KR101954765B1 - 비점오염정화시설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정화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765B1
KR101954765B1 KR1020170093879A KR20170093879A KR101954765B1 KR 101954765 B1 KR101954765 B1 KR 101954765B1 KR 1020170093879 A KR1020170093879 A KR 1020170093879A KR 20170093879 A KR20170093879 A KR 20170093879A KR 101954765 B1 KR101954765 B1 KR 101954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ow path
path forming
purification
pur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846A (ko
Inventor
이종래
Original Assignee
지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7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은 배수로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하는 것으로서, 우수의 오염원을 정화하는 정화층; 상기 정화층의 상측에 배치되어 우수를 상기 정화층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정화층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층을 지지하는 기초층; 및 상기 정화층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층으로부터 정화된 우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부는 상기 배수로로부터 우수를 전달받는 분배부, 상기 분배부로부터 우수를 전달받아 상기 정화층으로 우수가 낙하되도록 하는 배출부 및 상기 정화층으로 낙하되지 않은 우수를 상기 배출부로부터 전달받는 월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소정의 양 미만의 우수를 상기 정화층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되, 소정의 양 이상의 우수에 대해서는 상기 월류부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점오염정화시설{Purification establishment for nonpoint pollution}
본 발명은 비점오염정화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로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하는 비점오염정화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로 나눌 수 있다.
위와 같은 오염물 가운데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물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오염물질의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초기 빗물과 함께 하천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또, 상기 비점오염물은 빗물에 대한 비중과 비교하여 빗물보다 비중이 커서 침전이 가능한 침전성 오염물과 빗물보다 비중이 작아서 빗물과 섞이지 않고 그 상단부에 떠있게 되는 예컨대, 기름띠나 나무 등과 같은 부유성 오염물로 구분되는데, 비점오염물의 경우에는 우천시 특히 초기빗물과 함께 하천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에 유입되어 오염요인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한 초기빗물을 하천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상기한 오염물질은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유기화합물, 방사성물질, 유독물질, 및 기타 협잡물이나 부유물질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것들로 이루어지며, 통상 우천시에 빗물에 쓸려 하천, 강, 내만, 호수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생태계의 파괴는 물론 최종적으로는 인간에게 까지 매우 큰 폐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오염물질 중의 비점오염물은 우리 나라의 경우 수량적인 측면에서는 홍수로 또한 수질적인 측면에는 강우시 비점오염물 유출로 인한 공공수역의 수질악화가 초래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은 불투수성 포장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강우 시 피크 유출량도 커지고, 이에 따라 비점오염물의 이동력도 증가하여 수질과 수량적인 측면에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4대 강 오염부하의 22~37%에 달할 뿐만 아니라 팔당상수원의 경우 오염부하의 약 절반인 44.5%가 비점오염원으로 조사되는 등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우수 유출수 중의 오염물질 유출특성은 초기 우수 유출수에서 비교적 높은 오염농도를 나타내므로 약 20mm의 강우에 대한 우수 유출수 처리시설 용 량만으로도 전체 강우 사상의 80% 이상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연구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비점오염원을 정화하기 위해서는 초기 우수 유출수를 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우수 정화 장치는 초기 우수 유출수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강수도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기 우수에 대해 정화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비점오염정화시설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은 배수로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하는 것으로서, 우수의 오염원을 정화하는 정화층; 상기 정화층의 상측에 배치되어 우수를 상기 정화층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정화층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층을 지지하는 기초층; 및 상기 정화층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층으로부터 정화된 우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부는 상기 배수로로부터 우수를 전달받는 분배부, 상기 분배부로부터 우수를 전달받아 상기 정화층으로 우수가 낙하되도록 하는 배출부 및 상기 정화층으로 낙하되지 않은 우수를 상기 배출부로부터 전달받는 월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소정의 양 미만의 우수를 상기 정화층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되, 소정의 양 이상의 우수에 대해서는 상기 월류부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은 초기 우수에 대해 정화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의 개략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에서 초기 우수를 정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에서 초기 우수를 초과한 양의 우수를 정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에서 공급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은 배수로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하는 것으로서, 우수의 오염원을 정화하는 정화층; 상기 정화층의 상측에 배치되어 우수를 상기 정화층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정화층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층을 지지하는 기초층; 및 상기 정화층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층으로부터 정화된 우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부는 상기 배수로로부터 우수를 전달받는 분배부, 상기 분배부로부터 우수를 전달받아 상기 정화층으로 우수가 낙하되도록 하는 배출부 및 상기 정화층으로 낙하되지 않은 우수를 상기 배출부로부터 전달받는 월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소정의 양 미만의 우수를 상기 정화층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되, 소정의 양 이상의 우수에 대해서는 상기 월류부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 상기 배출부는 상류측의 높이가 하류측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또, 상기 배출부는 상기 분배부로부터 복수 개로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정화층 및/또는 상기 기초층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정화층 및/또는 상기 기초층에 공기가 이동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 및 상기 유로 형성부 상에서 공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한부는 상기 유로 형성부 상의 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제한부는 상기 유로 형성부에 연결되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에서 초기 우수를 정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에서 초기 우수를 초과한 양의 우수를 정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에서 공급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은 초기 우수를 정화하는 정화 시스템이다.
일례로, 상기 비점오염정화시설은 배수로(B)와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비점오염정화시설은 배수로(B)로부터 초기 우수가 유입되어 고형성 유기물, 미세 토사류 등의 침전을 유도하는 침전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침전부(700)는 초기 우수가 저장되어 이물질이 침전될 수 있는 침정공간을 제공하는 침전공간 형성부(710) 및 상기 침전공간 형성부(710)에 배치되는 배플(baffle, 720)을 구비할 수 있다.
배수로(B)와 침전부(700) 사이에는 우수가 이동될 수 있는 우수관(L)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수로(B)에는 초기 우수를 상기 우수관(L)으로 유도하도록 배수로(B)에 배치되는 방지턱(8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지턱(800)은 초기 우수가 배수로(B) 상에서 하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우수관(L)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배수로(B)를 소정의 높이로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방지턱(800)은 소정의 초기 우수만 상기 우수관(L)으로 유도하되, 이후의 많은 강수량에 의한 많은 우수는 상기 방지턱(800)을 넘어 배수로(B)의 하류로 흘러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례로, 배수로(B)와 상기 우수관(L) 사이에는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상기 우수관(L)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부(9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부(900)는 망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배수로(B)에서 이동되는 초기 우수는 상기 방지턱(800)의 유도에 의해 상기 필터부(900)를 거쳐 상기 우수관(L)으로 이동되고, 상기 침전부(700)에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은 우수의 오염원을 정화하는 정화층(100), 상기 정화층(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우수를 상기 정화층(100)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200), 상기 정화층(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층(100)을 지지하는 기초층(300) 및 상기 정화층(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층(100)으로부터 정화된 우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은 상기 정화층(100) 및/또는 상기 유도부(200)를 커버하여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상기 정화층(100) 및/또는 상기 유도부(200)를 보하는 표토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정화층(100)은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을 정화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정화층(100)에는 미생물 복합 담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생물 복합 담체는 비점오염원을 정화하는 황토재질의 황토담체 및/또는 미생물이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섬유재질의 섬유담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황토담체는 황토와 유기성물질을 혼합하여 900℃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미생물의 활성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부착력이 뛰어나도록 미생물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황토담체는 원통형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섬유담체는 비표면적이 큰 고리모양일 수 있으며, 미생물이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비점오염원은 미생물에 의해 상기 미생물 복합 담체에서 정화될 수도 있고 상기 미생물 복합 담체에 흡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유도부(200)는 상기 침전부(700)에 저장되어 있는 우수를 전달받아 상기 정화층(100)으로 이동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도부(200)는 상기 배수로(B)로부터 우수를 전달받는 분배부(210), 상기 분배부(210)로부터 우수를 전달받아 상기 정화층(100)으로 우수가 낙하되도록 하는 배출부(220) 및 상기 정화층(100)으로 낙하되지 않은 우수를 상기 배출부(220)로부터 전달받는 월류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배부(210)는 상기 침전부(700)와 연결되어 상기 침전부(700)로부터 우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배부(210)는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220)는 상기 분배부(210)로부터 우수를 전달받아 상기 정화층(100)으로 우수가 이동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220)는 상기 분배부(210)로부터 복수 개로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배부(210)와 상기 월류부(2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배부(210)와 상기 월류부(230)를 상호 연통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220)는 우수를 상기 정화층(100)으로 유도하도록 구멍이 형성된 유공관일 수 있다.
우수는 상기 배출부(220)의 구멍을 통해 낙하되어 상기 정화층(1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월류부(230)는 상기 배출부(220)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220)로부터 우수를 전달받아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부(600)로 우수를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월류부(230)는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연통부(600)는 상기 월류부(230)로부터 우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우수를 배출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통부(600)는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초층(300)은 상기 정화층(100) 및 상기 유도부(200)의 하중을 전달받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자갈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초층(300)은 상기 정화층(100)을 통과하여 낙하되는 우수를 전달받아 상기 유출부(400) 및/또는 지반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부(400)는 상기 기초층(3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층(100)을 통과하여 낙하되는 우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유출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부(400)는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으며, 구멍이 형성되어 구멍을 통해 우수가 상기 정화층(100)으로부터 상기 유출부(400)의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로(B)로부터 상기 침전부(700)로 유입된 우수는 상기 분배부(210)로 유입되고, 상기 분배부(210)로 유입된 우수는 상기 배출부(220)로 유입되어 상기 정화층(100)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정화층(100)으로 낙하된 우수는 상기 정화층(100)에서 정화되고, 상기 정화층(100)에서 낙하되는 우수는 상기 기초층(300)을 지나 상기 유출부(400)에 유입되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220)로 유입되었으나 상기 정화층(100)으로 낙하되지 않은 우수는 상기 월류부(230)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월류부(230)로 이동된 우수는 상기 연통부(60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220)는 소정의 양 미만의 우수를 상기 정화층(100)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되, 소정의 양 이상의 우수에 대해서는 상기 월류부(230)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배출부(220)는, 초기 우수, 즉, 상기 소정의 양 미만의 우수에 대해서는 상기 월류부(230)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정화층(100)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 초기 우수보다 많은 양의 우수, 즉, 상기 소정의 양 이상의 우수에 대해서는, 상기 배출부(220)는 우수가 상기 월류부(230)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우수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비점오염원은 초기 우수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어, 초기 우수에 대해 집중적으로 정화하는 비점오염정화시설의 정화 효율을 확보하고자 함이다.
이를 구현하고자, 일례로, 상기 배출부(220)는 상류측의 높이가 하류측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배부(210)와 연통되는 상기 배출부(220)의 상류측은 상기 월류부(230)와 연통되는 상기 배출부(220)의 하류측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초기 우수, 즉, 비점오염원을 대다수 포함하고 있는 상기 소정의 양 미만의 우수는, 상기 분배부(210)로부터 상기 배출부(220)로 유입되나, 상기 배출부(220)의 경사에 의해 상기 월류부(230)로 유출되지 않고, 배출부(220) 상에서 낙하되어 상기 정화층(1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가 지속되어, 초기 우수에 대해 정화 처리 후 상기 침전부(700)로 더 유입되는 우수, 즉 비점오염원이 많이 포함되지 않은 상기 소정의 양 이상의 우수는, 상기 분배부(210)로부터 상기 월류부(230)로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정화층(100)은 상기 초기 우수를 정화할 수 있는 정화 능력만 갖추면 되고, 상기 소정의 양 이상의 우수에 대해서는 정화 능력을 갖출 필요가 없어, 보다 효율적으로 우수를 정화할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는, 상기 배출부(220)의 상류측 높이가 상기 배출부(220)의 하류측 높이보다 낮은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배출부(220)의 기능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220)의 상류측 높이와 상기 배출부(220)의 하류측 높이가 동일하되, 상기 배출부(220) 상에서 우수가 이동되는 경로에 상기 방지턱(800)과 같은 동일한 원리로, 초기 우수에 대해서 상기 월류부(230)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격벽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소정의 양 미만의 우수를 상기 정화층(100)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되, 상기 소정의 양 이상의 우수에 대해서는 상기 월류부(230)로의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상기 배출부(220)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은 상기 정화층(100) 및/또는 상기 기초층(30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급부(500)는 상기 정화층(100) 및/또는 상기 기초층(300)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공급부(500)를 통해 상기 정화층(100) 및/또는 상기 기초층(300)에 공급되는 공기는 비점오염원을 정화하는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급부(500)는 상기 정화층(100) 및/또는 상기 기초층(300)에 공기가 이동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 및 상기 유로 형성부 상에서 공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 형성부는 중공을 형성하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 형성부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정화층(100)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유로 형성부(510) 및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기초층(300)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 유로 형성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 형성부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유입구(O1) 및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유출구(O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O1) 및 상기 공기 유출구(O2)는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는 상기 정화층(100)에 매설될 수 있고, 상기 정화층(100)에 매설된 제1 유로 형성부(510)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구멍을 통해 공기가 상기 정화층(1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유로 형성부(520)는 상기 기초층(300)에 매설될 수 있고, 상기 기초층(300)에 매설된 상기 제2 유로 형성부(520)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구멍을 통해 공기가 상기 기초층(3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 및 상기 제2 유로 형성부(520)는 상호 연결되어 연통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 유로 형성부(520)로 공급되어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외부로부터 상기 제2 유로 형성부(52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로 공급되어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유로 형성부 상에서 이동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유로 형성부 상에 연결되어 공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유로 형성부 상에서 이동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O1) 측에 연결되는 제1 제한부(530) 및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와 상기 제2 유로 형성부(520)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제한부(540)를 구비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상기 제2 제한부(540)는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와 상기 제2 유로 형성부(520)의 경계를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공급부(500)의 역세척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공급부(500)를 이용하여 상기 정화층(100) 및/또는 상기 기초층(30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흙, 모래, 자갈, 이물질 등에 의해 상기 공급부(500) 상에서 공기가 이동되는 경로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작업자는 상기 공급부(500)의 경로를 다시 개방하도록 역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유로 형성부(520)에 대해 역세척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제2 제한부(54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와 상기 제2 유로 형성부(520) 간의 연통을 폐쇄하고, 상기 공기 유출구(O2)에 펌프 등을 이용하여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2 유로 형성부(520)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역세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유로 형성부(520) 상의 공기는 고압이 되어 폐쇄된 경로 및/또는 구멍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에 대해 역세척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 제한부(540)를 다시 개방하고 상기 제1 제한부(53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와 외부 간의 연통을 폐쇄한 다음, 상기 공기 유출구(O2)에 펌프 등을 이동하여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는 역세척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 상의 공기는 고압이 되어 폐쇄된 경로 및/또는 구멍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에 대해 역세척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제한부(53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와 외부 간의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제한부(54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와 상기 제2 유로 형성부(520) 간의 연통을 폐쇄한 다음, 상기 공기 유입구(O1)에 펌프 등을 이용하여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 유로 형성부(510)는 역세척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한부는 상기 유로 형성부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 형성부 상에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유로 형성부의 역세척이 구현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유로 형성부에 연결되되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제한부를 조작하여 상기 유로 형성부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정화시설은 우수의 이동을 유도하는 펌프와 같은 구동장치 필요 없이, 초기 우수를 정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점오염정화시설은 낮은 곳으로 흐르려고 하는 물이 이동을 이용하여 초기 우수를 정화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분배부(210)를 이용하여 초기 우수에 대해 정화를 집중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정화층
200: 유도부
300: 기초층
400: 유출부
500: 공급부

Claims (6)

  1. 배수로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하는 비점오염정화시설에 있어서,
    우수의 오염원을 정화하는 정화층;
    상기 정화층의 상측에 배치되어 우수를 상기 정화층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정화층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층을 지지하는 기초층; 및
    상기 정화층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정화층으로부터 정화된 우수를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부는,
    상기 배수로로부터 우수를 전달받는 분배부,
    상기 분배부로부터 우수를 전달받아 상기 정화층으로 우수가 낙하되도록 하는 배출부 및
    상기 정화층으로 낙하되지 않은 우수를 상기 배출부로부터 전달받는 월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류측이 상기 분배부와 연통되고,
    하류측이 상기 월류부와 연통되며,
    상기 배출부는,
    소정의 양 미만의 우수를 정체시켜 정체된 우수가 상기 정화층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되, 소정의 양 이상의 우수에 대해서는 상기 정화층을 거치지 않고 상기 월류부로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상류측의 높이가 하류측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분배부는,
    상기 월류부보다 낮게 배치되며,
    상기 정화층 및 상기 기초층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정화층에 공기가 이동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유로 형성부 및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기초층에 공기가 이동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유로 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로 형성부와 상기 제2 유로 형성부는,
    상호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유로 형성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제2 유로 형성부에 공급되며,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 유로 형성부와 상기 제2 유로 형성부 사이에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구비하는,
    비점오염정화시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유로 형성부 상의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비점오염정화시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유로 형성부에 연결되되 외부로 노출되는,
    비점오염정화시설.
KR1020170093879A 2017-07-25 2017-07-25 비점오염정화시설 KR101954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79A KR101954765B1 (ko) 2017-07-25 2017-07-25 비점오염정화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79A KR101954765B1 (ko) 2017-07-25 2017-07-25 비점오염정화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46A KR20190011846A (ko) 2019-02-08
KR101954765B1 true KR101954765B1 (ko) 2019-03-08

Family

ID=6536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879A KR101954765B1 (ko) 2017-07-25 2017-07-25 비점오염정화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679B1 (ko) * 2019-05-13 2019-12-06 주식회사 가랑비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25B1 (ko) *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39389B1 (ko) * 2012-04-10 2013-03-05 (주)이앤씨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380A (ko) * 2006-06-12 2007-12-17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수평배관을 이용한 감/가압 조절에 의한 토양과 지하수의 유류 및 유기물 오염의 동시 지중정화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25B1 (ko) *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39389B1 (ko) * 2012-04-10 2013-03-05 (주)이앤씨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846A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3147B2 (en) Horizontal flow biofilter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JP4203610B2 (ja) 暴風雨水流の処理装置並びに方法
CA2684057C (en) In line wetland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741449B1 (ko)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20050080107A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Uhl et al. Constructed wetlands for CSO treatment: an overview of practice and research in Germany
KR101339617B1 (ko) 교량용 초기우수 비점오염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5253B1 (ko)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533596B1 (ko) 비점오염원 자연정화를 위한 정화 시스템
KR100794491B1 (ko) 비점오염 부하저감용 우수배수 재이용시스템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20110018758A (ko) 초기우수 분리장치
KR100750495B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1954765B1 (ko) 비점오염정화시설
KR100533326B1 (ko) 비점오염물질의 정화가 가능한 우수 배출시스템
KR100949388B1 (ko) 도시형 우수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20080102867A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100491867B1 (ko) 초기우수유출수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1912323B1 (ko) 침전 및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N212713180U (zh) 一种净化污水的生态处理系统
KR102507157B1 (ko)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KR101436334B1 (ko) 편심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N111960619A (zh) 一种净化污水的生态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