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950B1 - 신형 쓰레기 분리수거대 - Google Patents

신형 쓰레기 분리수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950B1
KR101798950B1 KR1020170056030A KR20170056030A KR101798950B1 KR 101798950 B1 KR101798950 B1 KR 101798950B1 KR 1020170056030 A KR1020170056030 A KR 1020170056030A KR 20170056030 A KR20170056030 A KR 20170056030A KR 101798950 B1 KR101798950 B1 KR 101798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compression
cylinder
collection contain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원
Original Assignee
(주)비오티스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오티스엔텍 filed Critical (주)비오티스엔텍
Priority to KR102017005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0Glass recyc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Zo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 청소행정이 가능한 쓰레기 분리수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수거대를 구성하는 압축이 가능한 쓰레기 수거용기에는 쓰레기 압축수단과 압축바 이동수단을 설치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깨지기 쉬운 유리병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수거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는 침출수를 분리하여 소독함으로써 세균 번식을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센서를 통해 주변 대기 상태를 측정하고 대시 상태에 맞추어 미세 먼지와, 악취를 제거하는 정화 기능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주변 대기 상태를 측정하고 미세 먼지와, 악취를 제거하는 정화 기능을 완벽히 구현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쓰레기 분리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형 쓰레기 분리수거대{A new garbage collection stand}
본 발명은 효율적 청소행정이 가능한 신형 쓰레기 분리수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수거대를 구성하는 압축이 가능한 쓰레기 수거용기에는 쓰레기 압축수단과 압축바 이동수단을 설치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깨지기 쉬운 유리병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수거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는 침출수를 분리하여 소독함으로써 세균 번식을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센서를 통해 주변 대기 상태를 측정하고 대시 상태에 맞추어 미세 먼지와, 악취를 제거하는 정화 기능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주변 대기 상태를 측정하고 미세 먼지와, 악취를 제거하는 정화 기능을 완벽히 구현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쓰레기 분리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소비 규모가 확대되면서 각 가정이나 산업체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 쓰레기의 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생활 쓰레기를 수거하여 일정한 장소에 매립하거나 소각처리 처리하고 있으나, 처리할 쓰레기의 양이 계속 늘어남에 따라 새로운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생활 쓰레기들 중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알루미늄 캔이나, 병, 플라스틱, 폐지, 금속류 등이나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분리 회수하는 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은 한정된 자원을 재활용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실질적인 효과를 얻고 있어서 도시 사회의 기본적인 생활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 주택이나 단독 주택들이 밀집해 있는 도시 공간에서는 재활용 쓰레기나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 회수하고, 나아가 생활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기 위하여 쓰레기 분리수거대를 설치, 운용하고 있으며, 종래에도 이러한 쓰레기 분리 수거대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여러 가지 기술들이 소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국내 등록특허 제10-0769242호(2007년 10월 16일)에는,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물을 지지프레임과 덮개부로 형성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휘발성 살균탈취제가 수용되는 수납부가 구비되고, 기화된 살균탈취제를 강제로 배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송풍팬이 설치된 내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부; 상기 송풍팬에 연통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송풍덕트; 상기 송풍덕트에 연통되며, 음식물 쓰레기통 측으로 기화된 살균탈취제를 분사하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분배관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의 살균탈취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음식물 쓰레기에 유인된 해충에 대한 방제기능이나 미세먼지 대책은 미흡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43773호(2009년 03월 05일)에는, 일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내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측방지지대; 상기 내부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방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악취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관; 상기 한 쌍의 측방지지대 각각의 상부에 연통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입관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부로 제공된 악취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배기부재; 상기 한 쌍의 측방지지대 후방에 연결 설치되는 후방지지대; 상기 한 쌍의 측방지지대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분리수거함 보관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쓰레기 악취제거에 한정된 것이어서 여전히 사용자들의 불만이 많았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68744호(2013년 08월 26일)에는, 지면에 설치되며,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쓰레기 수거칸으로 구획되고 전면 상부에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각 쓰레기 수거칸 내측에 망 걸이가 형성되는 프레임;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 상기 태양광 모듈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호용 덮개; 상기 망 걸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쓰레기를 수집하기 위한 쓰레기 수거망; 을 구비하여, 쓰레기를 금속, 유리, 종이 및 플라스틱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거하기 위한 분리수거형 쓰레기통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쓰레기통 감시에 대한 관련 기술을 집약하였을 뿐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았다.
공개특허 제10-2016-0137151호(2016년 11월 30일) 등록특허 제10-0769242호(2007년 10월 16일) 등록실용신안 제20-0443773호(2009년 03월 05일) 등록실용신안 제20-0468744호(2013년 08월 26일)
종래의 쓰레기 분리수거대는 대체로 지상에 양쪽으로 세워지는 좌우측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위에 설치되는 캐노피(canopy) 형태의 덮개와, 그리고 상기 지지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frame) 구조의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는 쓰레기를 분리수거 할 수 있도록 여러 칸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 칸에는 예컨대 음식물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거통을 비치하거나, 재활용 플라스틱 용기를 담을 수 있는 포대를 걸어둘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쓰레기 분리수거대는 상기 쓰레기 수거통이나 쓰레기 수거포대는 밖으로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악취나 해충으로 인해서 생활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수거통이나 수거포대에다 별도로 덮개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쓰레기를 버릴 때마다 사용자가 손으로 덮개를 들어 올려야 하였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럽고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거치대 속에 비치되는 수거통이나 수거포대를 가려주며, 쓰레기를 버릴 때는 자동으로 작동되는 유압식 커버가 설치되어 있어서 공동주택의 생활공간을 보다 아름답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쓰레기 분리수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이 가능한 쓰레기 수거용기에는 쓰레기 압축수단과 압축바 이동수단을 설치하여 부피를 줄이도록 구성된 쓰레기 분리수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쓰레기의 종류에 맞추어 깨지기 쉬운 유리병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는 침출수를 분리하여 소독하여 세균 번식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쓰레기 분리수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를 통해 주변 대기 상태를 측정하고 대시 상태에 맞추어 미세 먼지와, 악취를 제거하는 정화 기능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쓰레기 분리수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를 통해 주변 대기 상태를 측정하고 대시 상태에 맞추어 미세 먼지와, 악취를 제거하는 정화 기능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네트워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관리실, 각 행정구역의 청소행정과, 환경관리공단 등으로 전송하여 쓰레기 관리 및 통계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쓰레기 분리수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를 더욱 발전시켜 청소 행정에 본격 사물인터넷을 도입, 운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는 지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방을 수직으로 막고 있는 백보드와, 상기 백보드의 양쪽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측벽과, 상기 백보드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캐노피를 포함하는 쓰레기 수집막사와; 상기 측벽 사이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리수거칸과; 각 분리수거칸 내에 비치되는 쓰레기 수거용기와; 압축 가능한 쓰레기를 압축하는 쓰레기 압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쓰레기 압축수단은 압축용 실린더와, 압축용 실린더에 연결된 압축용 로드와, 연결바를 통해 상기 압축용 로드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 내에 수용된 쓰레기를 압축하는 압축바와,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의 일측 상단에서 하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연결바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와, 상기 압축용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압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에 있어서, 압축바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몸체에는 압축바 이동수단이 형성되되, 상기 압축바 이동수단은 횡으로 배치된 상기 승강몸체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 2실린더부와; 상기 제1실린더부의 좌측에 설치되며 하나의 압축바가 연결된 제1로드 및 상기 제2실린더부의 우측에 설치되며 나머지 하나의 압축바가 연결된 제2로드와; 상기 제1, 2실린더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에 수용된 쓰레기가 압축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압축바가 중앙 영역에 배치되도록 하고, 쓰레기의 압축이 완료되어 상기 한 쌍의 압축바가 상승한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압축바를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의 좌우 외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압축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에 있어서, 재활용 내지 재사용이 가능한 유리병을 수거하는 쓰레기 수거용기는 외통과, 상기 외통 내에 삽입되는 내통과, 일단은 상기 내통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인 적어도 하나의 제1경사판과, 일단은 상기 내통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인 적어도 하나의 제2경사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에 투입되는 유리병은 상기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의 안내에 따라 충격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에 있어서, 쓰레기 수집막사에 설치되며 필터가 장착된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와 연통되는 흡입 펌프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수단; 상기 측벽에 설치되는 탈취제 박스와, 상기 탈취제 박스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백보드의 상단 또는 캐노피 상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및 탈취제 성분을 분사하는 분사 탈취 성분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탈취 수단;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 장치와, 상기 유인 장치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살충하는 살충 장치를 포함하는 살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에 있어서, 각 쓰레기 수거용기에 설치되어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또는 수위 센서와, 대기 상태를 측정하는 대기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백보드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한 각 쓰레기 수거용기에 수용된 쓰레기의 중량 또는 계측 수위, 압축률, 공기 정화 정도, 악취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네트워크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에 있어서,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설치된 급수 시설; 및 손을 씻은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저수부와, 상기 조수부로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액 공급부와, 소독액이 함유된 저수부의 물을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 내로 분무하는 살균 노즐을 포함하는 살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쓰레기 수거용기는 망부재를 경계로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침출수를 수용하는 침출수 수용부가 배치되며, 상기 침출수 수용부에는 상기 소독액 공급부로부터 소독액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는 거치대 커버가 상기 거치대 속에 비치되는 쓰레기 수거통이나 쓰레기 수거포대를 덮고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깨끗하고, 나아가 악취나 해충의 발생을 방지하여 공동주택의 생활공간을 보다 아름답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는 압축이 가능한 쓰레기 수거용기에는 쓰레기 압축수단과 압축바 이동수단을 설치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쓰레기의 종류에 맞추어 깨지기 쉬운 유리병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는 침출수를 분리 소독하여 세균 번식을 방지함으로써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는 센서를 통해 주변 대기 상태를 측정하고 그 상태에 맞추어 미세 먼지와, 악취 제거 정화 기능을 통해 주변 대기를 쾌적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네트워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관리실, 각 행정구역의 청소행정과, 환경관리공단 등으로 전송하여 쓰레기 관리 및 통계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의 커버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압축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수단과, 탈취 수단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리병 수거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부와, 센서부, 모니터, 단말기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공기 정화 수단, 탈취 수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대는 지상에 설치되는 쓰레기 수집막사(10)와, 상기 수집막사(10)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조립체(20)와 거치대 커버(30), 그리고 거치대 커버(30)를 작동시켜 주는 유압실린더(40)와, 압축 가능한 쓰레기를 압축하는 쓰레기 압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쓰레기 수집막사(10)는 후방을 수직으로 막고 있는 백보드(11)와, 상기 백보드(11)의 양쪽 하반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측벽(12), 그리고 상기 백보드(1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확장되어 상기 측벽(12) 사이의 내부공간을 덮는 캐노피(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12)의 높이는 상기 백보드(11)의 절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캐노피(13)는 상기 백보드(11)의 상단에서 완만하게 연결되어 약간의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백보드(11)와 측벽(12) 및 캐노피(13)가 서로 결합하여 전면이 개방된 하나의 하우스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백보드(11)와 측벽(12) 및 캐노피(13)는 통상적인 건축용 판재를 사용하되, 모두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백보드(11)와 측벽(12)에는 적소에 통기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 조립체(20)는 통상적인 사각 파이프나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세로지지대(21)와, 하단지지대(22) 및 상단지지대(23), 그리고 거치대(24)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로지지대(21)는 상기 백보드(10)의 양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백보드(10)와 양쪽 측벽(12) 사이의 연결 부위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상기 하단지지대(22) 및 상단지지대(23)와 거치대(24)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세로지지대(21)는 필요에 따라 상기 캐노피(13)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하단지지대(22)와 상단지지대(23)는, 양쪽 세로지지대(2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24)는, 상기 세로지지대(21) 및 하단지지대(22)에서 전방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분리수거칸(S)을 형성하며, 상기 분리수거칸(S)의 내부에는 각각 쓰레기 수거통을 비치하거나 쓰레기 수거포대를 걸어둘 수 있는 걸고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조립체(20)의 거치대(24) 하단에는 수평 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받침판(25)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판(25)은 분리수거칸(S) 속에 비치되는 쓰레기 수거통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쓰레기 수거통이나 쓰레기 수거포대에서 흘러내리는 오수를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25)에 설치되는 수평 조절수단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상기 받침판(25) 밑에다 수평조절용 볼트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하중센서를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커버(30)는, 상기 프레임 조립체(20)의 거치대(24) 상부를 덮는 상판부(31)와, 상기 상판부(31)의 전방에서 아래로 절곡되어 상기 거치대(24)의 전방을 덮는 앞판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부(31)의 후방은 힌지부(33)에 의해서 상기 상단지지대(2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판부(31)에는 상기 거치대(24)의 각 분리수거칸(S)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상판부(31)에 관통된 다수개의 쓰레기 투입구(34)가 관통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33)에는 후술하는 유압실린더(40)와 함께 상기 거치대 커버(30)을 승강시켜 주는 코일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40)는 상기 하단지지대(22)와 상기 거치대 커버(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부(33)를 중심으로 상기 거치대 커버(3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커버 하중을 더욱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유압실린더(40)를 상기 거치대 커버(30)의 양쪽 가장자리 부위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압실린더(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41)와 직선로드(42) 및 원호형 곡선로드(43)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41)는 후단부가 상기 하단지지대(22)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그 전방으로는 상기 직선로드(42)가 직선 방향으로 출몰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직선로드(42)의 전단부에는 상기 곡선로드(43)의 후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곡선로드(43)의 전단부는 상기 거치대 커버(30)의 내면을 떠받치고 있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직선로드(42)의 직선 왕복운동은 상기 곡선로드(43)에 의해서 상기 거치대 커버(30)를 효과적으로 밀어 올려 주는 회전운동으로 전환된다.
상기 작동제어부(50)는, 상기 유압실린더(40)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51)와, 상기 유압펌프(51)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5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제어부(50)는 상기 거치대 커버(3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도중에 일정량 이상의 비정상적인 하중이 미치면,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작동을 중지시켜 주는 안전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 커버(30)에 사람이나 물건 등이 끼일 경우에는 상기 안전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즉시 상기 거치대 커버(3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상기 스위치(52)는 상기 측벽(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압실린더(40)와 이를 작동시켜 주는 유압펌프(51)는 유압의 매체가 액체일 수도 있고, 기체일 수도 있다.
상기 쓰레기 압축수단(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용 실린더(101)와, 압축용 실린더(101)에 연결된 압축용 로드(102)와, 연결바(103)를 통해 상기 압축용 로드(102)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몸체(104)와, 상기 승강몸체(104)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170) 내에 수용된 쓰레기를 압축하는 압축바(105)와,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170)의 일측 상단에서 하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연결바(103)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71)와, 상기 압축용 실린더(101)의 작동을 제어하는 압축 제어부(106)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몸체(104)의 전방에는 좌우로 형성되는 이동 가이드홈(104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가이드홈(104a)을 통해 압축바(105)가 인출된다.
여기서, 압축 가능한 쓰레기는 일반 생활 쓰레기와, 페트병과 같이 플라스틱이나, 음료수 캔과 같은 재활용품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깨질 수 있는 유리병이나, 음식물 쓰레기는 압착하지 않는 등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달리 대응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쓰레기 압축수단은 압축 가능한 쓰레기를 수용하는 쓰레기 수거용기마다 설치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며, 각 쓰레기 압축수단의 작동 유무도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축 제어부(106)에서는 도 8을 참조하면 쓰레기가 투입될 때마다 압축해야하는 것은 아니고, 쓰레기 수거용기 바닥에 설치된 로드셀(111)을 통해 미리 설정된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수위 센서(112) 등을 통해 미리 설정된 높이로 쓰레기가 채워진 경우에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압축 강도도 쓰레기의 종류에 맞추어 강약을 제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강도 상한치를 일정하게 제한하여 운영할 수 있다.
상기 압축바(105)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몸체(104)에는 압축바 이동수단(130)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쓰레기 수거용기(170)는 상면에 쓰레기투입구(172)가 형성되는데, 압착이 가능하고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리는 일반 생활 쓰레기의 경우 상기 압축바(105)가 쓰레기투입구(172)의 직하방에 배치되면 쓰레기투입구(172)를 막기 때문에 쓰레기를 압축할 때는 상기 압축바(105)가 중앙 영역에 배치되도록 하고, 압축이 완료된 후에는 쓰레기투입구를 막지 않도록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압축바 이동수단(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으로 배치된 상기 승강몸체(104)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 2실린더부(131,133)와, 상기 제1실린더부(131)의 좌측에 설치되며 하나의 압축바(105)가 연결된 제1로드(132) 및 상기 제2실린더부(133)의 우측에 설치되며 나머지 하나의 압축바(105)가 연결된 제2로드(134)와, 상기 제1, 2실린더부(131,13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에 수용된 쓰레기가 압축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압축바(105)가 중앙 영역에 배치되도록 하고, 쓰레기의 압축이 완료되어 상기 한 쌍의 압축바(105)가 상승한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압축바(105)를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170)의 좌우 외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압축바 제어부(135)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쓰레기 압축수단(100)과 압축바 이동수단(130)을 통해 압축 가능한 쓰레기를 압축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한정된 부피의 쓰레기 수거용기에 보다 많은 양의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재활용 내지 재사용이 가능한 유리병을 수거하는 쓰레기 수거용기(180)는 유리병이 투하되더라도 깨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즉, 외통(181)과, 상기 외통(181) 내에 삽입되는 내통(182)과, 일단은 상기 내통(182)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인 적어도 하나의 제1경사판(184)과, 일단은 상기 내통(182)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인 적어도 하나의 제2경사판(18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외통(181)과 내통(182) 사이에는 수거망(187)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수거망(187)에 유리병이 채워지면 내통(182)을 분리한 상태에서 수거망(187)을 꺼낸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180)에 투입되는 유리병은 상기 제1경사판(184)과, 제2경사판(185)의 안내에 따라 충격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유리병을 수거하는 쓰레기 수거용기(180) 바닥 쪽으로 수용되기 때문에 쉽게 파손되지 않아 재사용할 수 있으며 파손된 유리병을 치우는데 드는 노력과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경사판(184)과 제2경사판(185)이 복수 개인 경우 교대로 설치된다.
상기 내통(182)과 상기 제1, 2경사판(184,185)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183)을 설치하여 충격 흡수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급수 시설(155)과, 살균 수단(1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시설(155)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설치하는 수도 시설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좌우 한 쌍의 측벽(12) 사이 또는 측벽(12)의 외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살균 수단(156)은 손을 씻은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저수부(157)와, 상기 저수부(157)로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액 공급부(158)와, 소독액이 함유된 저수부(157)의 물을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190) 내로 분무하는 살균 노즐(159)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흡입펌프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저수부의 물을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대기 중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쓰레기 수거용기(190)는 망부재(193)를 경계로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191)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침출수를 수용하는 침출수 수용부(192)가 배치되며, 상기 침출수 수용부(192)에는 상기 소독액 공급부(158)로부터 소독액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소독액으로 소독된 침출수는 별도의 호스를 통해 오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병원균이나 해충발생을 차단하여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공기 정화 수단(140)과, 탈취 수단(145)과, 살충 수단(1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 정화 수단(140)은 상기 쓰레기 수집막사(10), 예를 들어 백보드(11)에 설치되며 필터(미도시)가 장착된 먼지 흡입구(141)와, 상기 먼지 흡입구(141)와 연통되는 흡입 펌프(142)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 정화 수단(140)을 통해 쓰레기 분리수거대 주변의 공기를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탈취 수단(145)은 상기 측벽 내에 삽입 설치되는 탈취제 박스(146)와, 상기 탈취제 박스(146)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기(147)와, 상기 백보드(11)의 상단 또는 캐노피(13) 상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147)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및 탈취제 성분을 분사하는 분사 탈취 성분 분사노즐(1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공기 정화 수단과 함께 쓰레기 분리수거대 주변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12) 외면에는 상기 탈취제 박스(146)와 대응되는 위치에 흡기구(149)가 형성된다.
또한, 탈취 수단은 대기측정센서(113)에서 특정 악취 성분이 검출되거나, 미세먼지가 일정한 수준 이상 초과하는 경우 스스로 작동하도록 프로그램화 함으로써 대기환경에 반응하여 정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충 수단(150)은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 장치(151)와, 상기 유인 장치(151)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살충하는 살충 장치(152)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쓰레기 분리수거대 주변에 모여드는 파리, 모기 등의 해충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유인 장치(151)는 모기 등의 해충을 유인하는 빛을 내는 장치로서 자외선 램프를 예시할 수 있고, 상기 살충 장치(152)는 고전압 전격살충 장치를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110)와, 모니터(115)와, 네트워크 통신수단(1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각 쓰레기 수거용기에 설치되어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111) 또는 수위 센서(112)와, 대기 상태를 측정하는 대기측정센서(113)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대기측정센서(113)는 대기 중 악취 성분 유무 및 그 양을 측정하거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115)는 백보드(11)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측정한 각 쓰레기 수거용기(170,180,190)에 수용된 쓰레기의 중량 또는 계측 수위, 압축률, 공기 정화 정도, 악취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백보드(11)에는 모니터(115)와 함께 쓰레기 무단투기 예방과 방범 등의 목적으로 무인카메라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통신수단(116)은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기술로, 유,무선 통신망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기(1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관공서나, 아파트 관리실 등에 설치된 PC일 수도 있고, 사용자 개인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효율적 청소 행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역별 체계적인 청소 행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가 운용되기 위하여 태양열 또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 배터리에 저장 사용함으로써 독립적 생존성을 크게 높여 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쓰레기 수집막사 11 : 백보드(back board)
12 : 측벽 13 : 캐노피(canopy)
20 : 프레임 조립체 21 : 세로지지대
22 : 하단지지대 23 : 상단지지대
24 : 거치대 25 : 받침판
30 : 거치대 커버 31 : 상판부
32 : 앞판부 33 : 힌지부
34 : 쓰레기 투입구 40 : 유압실린더
41 : 실린더 42 : 직선로드
43 : 곡선로드 S : 분리수거칸
100 : 쓰레기 압축수단 101 : 압축용 실린더
102 : 압축용 로드 103 : 연결바
104 : 승강몸체 104a : 이동 가이드홈
105 : 압축바 106 : 압축 제어부
110 : 센서부 111 : 로드셀
112 : 수위 센서 113 : 대기측정센서
115 : 모니터 116 : 네트워크 통신수단
117 : 단말기 130 : 압축바 이동수단
131 : 제1실린더부 132 : 제1로드
133 : 제2실린더부 134 : 제2로드
135 : 압축바 제어부 140 : 공기 정화 수단
141 : 먼지 흡입구 142 : 흡입 펌프
145 : 탈취 수단 146 : 탈취제 박스
147 : 송풍기 148 : 탈취 성분 분사노즐
149 : 흡기구 150 : 살충 수단
151 : 유인 장치 152 : 살충 장치
155 : 급수 시설 156 : 살균 수단
157 : 저수부 158 : 소독액 공급부
159 : 살균 노즐 170 : 쓰레기 수거용기
171 : 가이드홈 172 : 쓰레기 투입구
180 : 유리병 수거용기 181 : 외통
182 : 내통 183 : 탄성 스프링
184 : 제1경사판 185 : 제2경사판
187 : 수거망 190 :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
191 :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 192 : 침출수 수용부
193 : 망부재

Claims (7)

  1. 지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방을 수직으로 막고 있는 백보드와, 상기 백보드의 양쪽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측벽과, 상기 백보드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캐노피를 포함하는 쓰레기 수집막사와;
    상기 측벽 사이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리수거칸과;
    각 분리수거칸 내에 비치되는 쓰레기 수거용기와;
    압축 가능한 쓰레기를 압축하는 쓰레기 압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쓰레기 압축수단은,
    압축용 실린더와, 압축용 실린더에 연결된 압축용 로드와, 연결바를 통해 상기 압축용 로드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 내에 수용된 쓰레기를 압축하는 압축바와,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의 일측 상단에서 하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연결바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와, 상기 압축용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압축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쓰레기 수집막사에 설치되며 필터가 장착된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와 연통되는 흡입 펌프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수단;
    상기 측벽에 설치되는 탈취제 박스와, 상기 탈취제 박스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백보드의 상단 또는 캐노피 상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및 탈취제 성분을 분사하는 분사 탈취 성분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탈취 수단;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 장치와, 상기 유인 장치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살충하는 살충 장치를 포함하는 살충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수단이 설치된 쓰레기 분리수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바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몸체에는 압축바 이동수단이 형성되되,
    상기 압축바 이동수단은,
    횡으로 배치된 상기 승강몸체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 2실린더부와;
    상기 제1실린더부의 좌측에 설치되며 하나의 압축바가 연결된 제1로드 및 상기 제2실린더부의 우측에 설치되며 나머지 하나의 압축바가 연결된 제2로드와;
    상기 제1, 2실린더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에 수용된 쓰레기가 압축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압축바가 중앙 영역에 배치되도록 하고, 쓰레기의 압축이 완료되어 상기 한 쌍의 압축바가 상승한 때에는 상기 한 쌍의 압축바를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의 좌우 외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압축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수단이 설치된 쓰레기 분리수거대.
  3. 제1항에 있어서,
    재활용 내지 재사용이 가능한 유리병을 수거하는 쓰레기 수거용기는,
    외통과, 상기 외통 내에 삽입되는 내통과, 일단은 상기 내통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인 적어도 하나의 제1경사판과, 일단은 상기 내통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인 적어도 하나의 제2경사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에 투입되는 유리병은 상기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의 안내에 따라 충격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수단이 설치된 쓰레기 분리수거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각 쓰레기 수거용기에 설치되어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또는 수위 센서와, 대기 상태를 측정하는 대기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백보드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한 각 쓰레기 수거용기에 수용된 쓰레기의 중량 또는 계측 수위, 압축률, 공기 정화 정도, 악취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네트워크 통신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수단이 설치된 쓰레기 분리수거대.
  6. 제1항에 있어서,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설치된 급수 시설; 및
    손을 씻은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로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액 공급부와, 소독액이 함유된 저수부의 물을 상기 쓰레기 수거용기 내로 분무하는 살균 노즐을 포함하는 살균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수단이 설치된 쓰레기 분리수거대.
  7. 제6항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쓰레기 수거용기는,
    망부재를 경계로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부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침출수를 수용하는 침출수 수용부가 배치되며,
    상기 침출수 수용부에는 상기 소독액 공급부로부터 소독액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수단이 설치된 쓰레기 분리수거대.

KR1020170056030A 2017-05-02 2017-05-02 신형 쓰레기 분리수거대 KR101798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030A KR101798950B1 (ko) 2017-05-02 2017-05-02 신형 쓰레기 분리수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030A KR101798950B1 (ko) 2017-05-02 2017-05-02 신형 쓰레기 분리수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950B1 true KR101798950B1 (ko) 2017-12-11

Family

ID=6094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030A KR101798950B1 (ko) 2017-05-02 2017-05-02 신형 쓰레기 분리수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950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9654A (zh) * 2019-04-03 2019-07-05 北京桑德新环卫投资有限公司 一种多功能社区便民服务亭
CN110369333A (zh) * 2019-08-01 2019-10-25 安徽芳奎环境治理研究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自动分拣系统
KR102051574B1 (ko) 2019-06-13 2019-12-03 홍복선 재활용 수거박스
KR102100167B1 (ko) * 2018-10-30 2020-04-14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간이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CN111071654A (zh) * 2020-01-06 2020-04-28 福建工程学院 一种垃圾分类回收站系统
CN111514325A (zh) * 2020-04-29 2020-08-1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智能消杀系统和方法
CN111942785A (zh) * 2020-08-06 2020-11-17 合肥金誉堂文化传媒有限责任公司 多功能垃圾分类收集站
KR102239982B1 (ko) 2020-08-28 2021-04-14 김하영 용기 잔여 액체 분리 구조의 재활용 쓰레기통
CN112938265A (zh) * 2021-04-18 2021-06-11 刘慧� 一种太阳能自动化垃圾中转站及收集方法
CN113460532A (zh) * 2021-05-31 2021-10-01 常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自动压缩并带消毒功能的垃圾桶
CN113666013A (zh) * 2020-05-13 2021-11-19 山东光大智慧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垃圾分类的智能回收机
KR102362779B1 (ko) 2020-10-30 2022-02-14 정장훈 이동형 캐노피가 구비된 분리수거용 구조물
CN114453390A (zh) * 2022-01-27 2022-05-10 熊敏 一种餐饮用的厨余垃圾无害化处理设备
CN114919901A (zh) * 2022-06-28 2022-08-19 江西宏昌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带污水处理功能的环保垃圾房
KR20220143373A (ko) *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시큐리티존 페트병 파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쇄 시스템
KR20220147432A (ko) * 2021-04-27 2022-11-03 강서린 벌레퇴치 쓰레기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535B1 (ko) * 2014-06-27 2015-01-19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와 악취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535B1 (ko) * 2014-06-27 2015-01-19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와 악취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167B1 (ko) * 2018-10-30 2020-04-14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간이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
CN109969654A (zh) * 2019-04-03 2019-07-05 北京桑德新环卫投资有限公司 一种多功能社区便民服务亭
KR102051574B1 (ko) 2019-06-13 2019-12-03 홍복선 재활용 수거박스
CN110369333A (zh) * 2019-08-01 2019-10-25 安徽芳奎环境治理研究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自动分拣系统
CN110369333B (zh) * 2019-08-01 2024-02-20 安徽芳奎环境治理研究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自动分拣系统
CN111071654A (zh) * 2020-01-06 2020-04-28 福建工程学院 一种垃圾分类回收站系统
CN111514325A (zh) * 2020-04-29 2020-08-1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智能消杀系统和方法
CN113666013A (zh) * 2020-05-13 2021-11-19 山东光大智慧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垃圾分类的智能回收机
CN111942785A (zh) * 2020-08-06 2020-11-17 合肥金誉堂文化传媒有限责任公司 多功能垃圾分类收集站
KR102239982B1 (ko) 2020-08-28 2021-04-14 김하영 용기 잔여 액체 분리 구조의 재활용 쓰레기통
KR102362779B1 (ko) 2020-10-30 2022-02-14 정장훈 이동형 캐노피가 구비된 분리수거용 구조물
KR20220143373A (ko) *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시큐리티존 페트병 파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쇄 시스템
KR102510879B1 (ko) * 2021-04-16 2023-03-17 주식회사 시큐리티존 페트병 파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쇄 시스템
CN112938265A (zh) * 2021-04-18 2021-06-11 刘慧� 一种太阳能自动化垃圾中转站及收集方法
KR102469792B1 (ko) 2021-04-27 2022-11-21 강서린 벌레퇴치 쓰레기통
KR20220147432A (ko) * 2021-04-27 2022-11-03 강서린 벌레퇴치 쓰레기통
CN113460532B (zh) * 2021-05-31 2022-07-22 常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自动压缩并带消毒功能的垃圾桶
CN113460532A (zh) * 2021-05-31 2021-10-01 常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自动压缩并带消毒功能的垃圾桶
CN114453390A (zh) * 2022-01-27 2022-05-10 熊敏 一种餐饮用的厨余垃圾无害化处理设备
CN114919901A (zh) * 2022-06-28 2022-08-19 江西宏昌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带污水处理功能的环保垃圾房
CN114919901B (zh) * 2022-06-28 2023-05-05 江西宏昌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带污水处理功能的环保垃圾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950B1 (ko) 신형 쓰레기 분리수거대
CN211282310U (zh) 一种密封防臭垃圾桶
KR101254750B1 (ko) 악취물 수집 보관용 콘테이너
CN110002138A (zh) 一种自动打包垃圾桶
CN209009355U (zh) 一种灭蚊蝇垃圾箱
CN210000951U (zh) 一种自动打包垃圾桶
CN211309676U (zh) 一种具有满溢警报功能的绿色环保太阳能垃圾收集站
CN211443657U (zh) 一种臭氧除味垃圾桶
CN212449057U (zh) 一种地埋式垃圾分类投放站
CN208181884U (zh) 一种分类垃圾环保储运箱
KR100766395B1 (ko)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CN201729444U (zh) 多功能垃圾箱
KR102611252B1 (ko) 쓰레기 수거함 살균장치
CN214932802U (zh) 一种智能垃圾集成箱控制电路
CN215602751U (zh) 一种害虫诱捕防治装置
Vishali et al. Wireless Waste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for Residential Society with Automatic Self-Navigated and Self-Sanitizing Trash Can
CN214778373U (zh) 一种具有杀菌消毒功能的垃圾分类收集站
CN217946388U (zh) 一种对开式盖子缓慢下落的医用垃圾桶装置
CN213293565U (zh) 一种宿舍用可分类简易垃圾桶
CN213110889U (zh) 一种垃圾处理设备
CN216271151U (zh) 一种多功能智能垃圾房
CN214691476U (zh) 一种疫情防控用免接触垃圾筒
CN212221279U (zh) 一种防虫除臭垃圾装置
KR20230105528A (ko) 분리수거대
CN211109184U (zh) 一种具有满溢警报功能的太阳能垃圾收集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