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395B1 -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395B1
KR100766395B1 KR1020070048462A KR20070048462A KR100766395B1 KR 100766395 B1 KR100766395 B1 KR 100766395B1 KR 1020070048462 A KR1020070048462 A KR 1020070048462A KR 20070048462 A KR20070048462 A KR 20070048462A KR 100766395 B1 KR100766395 B1 KR 100766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isinfectant
cover
discharge pip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102007004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7/00Cleaning or disinfecting devices combined with refuse receptacles or refuse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는 음식물 쓰레기통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부에 설치되는 좌우측 커버와 상기 좌우 커버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커버에는 일정간격으로 하방으로 배출되는 배출공이 다수개 형성되며 좌우측 커버 사이에 길게 설치되는 배출파이프가 구비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좌측 커버 또는 우측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파이프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파이프로 송풍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어 상기 배출파이프에 형성된 배출공으로 소독제가 배출되도록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어 소독제를 투입되도록 하는 소독제투입박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다수개의 음식물 쓰레기통을 효율적으로 소독할 수 있으며, 소독제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어 소독제투입박스 내에 소독제의 충전시기를 연장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통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도록 하며, 풍량이 많은 곳에도 효과적으로 소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송풍기, 소독제, 배출공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Disinfection Apparatus of Refuse Bin for Food}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음식물 쓰레기통 2: 덮개
3: 수용공간 10,20: 좌우측 커버
15: 이동식 바퀴 30: 상부 커버
40: 배출파이프 41: 배출공
42: 확산판 50: 본체 프레임
60: 송풍기 70: 소독제투입박스
80: CCD 카메라 90: 감지센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음식물 쓰레기통을 효율적으로 소독하도록 하여 악취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하여 아파트 단지나 식당 밀집지역 등에 설치된다. 이 음식물 쓰레기통에는 분리된 음식물이 투입되게 되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일시저장하게 되어 대부분 정해진 날에 일시에 수거되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통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게 될 때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가 등록특허공보 제10-0611641호(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장치)에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장치는 음식물 쓰레기통(W)이 안착되도록 베이스(101)가 형성되고, 베이스(101)의 일측에서 일정높이로 헤드부(102)가 직립 설치된 본체(103)와, 상기한 헤드부(102)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소독악품탱크(104)로부터 소독약품이 인출되도록 인출공(105)이 설치된 약품인출브라켓(106)과, 상기한 약품인출브라켓(106)의 인출공(105)과 호스(107)로 연결되어 약품이 공급되고 상기한 헤드부(102)의 종단에 설치되어 쓰레기통(1)의 상면으로 약품을 분사하도록 배치된 분사기(108)와, 상기한 헤드부(102)에서 베이스(101) 방향에 설치됨과 아울러 쓰레기통(1)의 뚜껑이 열리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뚜껑보다 상측에 배치된 감지센서(109)와 상기한 감지센서(109)에서 입력된 신호가 있을 경우 정해진 시간 경과 후 분사기(108)를 작동시켜 약품을 분무하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장치는 음식물 쓰레기통을 소독하기 위하여 베이스(101)에 음식물 쓰레기통을 안착하여야 하므로 다수개의 음식물 쓰레기통을 소독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통을 교체 안착한 후에 소독하여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통에 음식물 쓰레기가 차 있는 경우에는 무게 때문에 쓰레기통을 옮겨 안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약품을 분무하는데 소요되는 약품의 소비량이 많아 유지하는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풍량이 많은 곳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다수개의 음식물 쓰레기통을 효율적으로 소독하도록 하고 약품의 소비량을 줄여 경제적인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통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도록 하며, 풍량이 많은 곳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를 제공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는 음식물 쓰레기통(1)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부에 설치되는 좌우측 커버(10,20)와 상기 좌우측 커버(10,2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3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커버(30)에는 일정간격으로 하방으로 배출되는 배출공(41)이 다수개 형성되며 좌우측 커버(10,20) 사이에 길게 설치되는 배출파이프(40)가 구비된 본체 프레임(50); 상기 본체 프레임(50)의 좌측 커버(10) 또는 우측 커버(20)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파이프(40)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파이프(40)로 송풍하는 송풍기(60); 상기 송풍기(60)에 의해 송풍되어 상기 배출파이프(40)에 형성된 배출공(41)으로 소독제가 배출되도록 상기 송풍기(60)와 연결되어 소독제를 투입되도록 하는 소독제투입박스(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송풍기(60)가 설정된 시간에 주기적으로 소독제를 송풍되도록 타이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 커버(30)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5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통(1)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한 CCD 카메라(8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상부 커버(30)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5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통(1) 덮개(2)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송풍기(60)를 작동되도록 하 는 감지센서(9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본체 프레임(50) 좌우측 커버(10,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50)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식 바퀴(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배출파이프(40)의 배출공(41) 주위에는 배출된 소독제가 음식물 쓰레기통 상부로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돔 형태의 확산판(4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는 양측부에 설치되는 좌우측 커버(10,20)와 상기 좌우측 커버(10,2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30)가 구비되며, 일정간격으로 하방으로 배출되는 배출공(41)이 다수개 형성된 배출파이프(40)가 구비된 본체 프레임(50); 상기 배출파이프(40)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파이프(40)로 송풍하는 송풍기(60); 상기 송풍기(60)와 연결되어 소독제를 투 입되도록 하는 소독제투입박스(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 프레임(50)은 음식물 쓰레기통(1)을 수용하는 수용공간(3)을 형성하도록 양측부에 설치되는 좌우측 커버(10,20)와 상기 좌우측 커버(10,2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30)에는 일정간격으로 하방으로 배출되는 배출공(41)이 다수개 형성되며 좌우측 커버(10,20) 사이에 길게 설치되는 배출파이프(4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공(41)으로 소독제가 상기 송풍기(60)에 의해 분무되어 배출되게 되며 배출된 소독제는 음식물 쓰레기통(1)을 소독하게 되며 음식물 쓰레기통(1)에서 발생되는 악취제거, 미생물 번식의 방지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소독제는 종래에 사용되는 악취제거, 미생물 번식 방지 등을 위한 소독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공지된 생분해성 소독제를 사용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50)에 구비된 상기 상부 커버(30)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5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통(1)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한 CCD 카메라(80)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 커버(30)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5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통(1) 덮개(2)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9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감지센서(90)의 감지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송풍기(60)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프레임(5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통(1) 덮개(2)의 개방 후에 확산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 프레임(50) 좌우측 커버(10,20)의 하단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 기 본체 프레임(50)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식 바퀴(15)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이동식 바퀴(15)를 구비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통 설치장소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기(60)는 상기 본체 프레임(50)의 좌측 커버(10) 또는 우측 커버(20)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파이프(40)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파이프(40)로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기(60)는 소독제투입박스(70)와 연결되어 송풍시 소독제투입박스(70)로부터 투입된 소독제가 분무되어 상기 배출공(41)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송풍기(60)는 설정된 시간에 주기적으로 소독제를 송풍되도록 타이머(미도시됨)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독제투입박스(70)는 상기 송풍기(60)에 의해 송풍되어 상기 배출파이프(40)에 형성된 배출공(41)으로 소독제가 배출되도록 상기 송풍기(60)와 연결되어 소독제를 투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독제투입박스(70)는 소독제 소진시에 소독제 충전이 가능하다.
상기 소독제투입박스(70)는 상기 송풍기(60)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60)에 의해 송풍시에 상기 소독제투입박스(70)에 수용된 소독제가 빨려 들어가면서 송풍되도록 하며, 이러한 기술은 종래에 사용하는 주지관용의 기술로서 당업자가 실시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또, 본 발명의 상기 배출파이프(40)의 배출공(41) 주위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배출된 소독제가 음식물 쓰레기통 상부로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돔 형태의 확 산판(4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확산판(42)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배출공(41)으로의 소독제 배출시 바람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흩날림이 없이 음식물 쓰레기통 상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악취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독제의 분사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다수개의 음식물 쓰레기통을 동시에 효율적인 소독을 할 수 있게 되며 소독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다수개의 음식물 쓰레기통을 효율적으로 소독할 수 있으며, 소독제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어 소독제투입박스 내에 소독제의 충전시기를 연장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통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도록 하며, 풍량이 많은 곳에도 효과적으로 소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음식물 쓰레기통(1)을 수용하는 수용공간(3)을 형성하도록 양측부에 설치되는 좌우측 커버(10,20)와 상기 좌우측 커버(10,2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3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커버(30)에는 일정간격으로 하방으로 배출되는 배출공(41)이 다수개 형성되며 좌우측 커버(10,20) 사이에 길게 설치되는 배출파이프(40)가 구비된 본체 프레임(50);
    상기 본체 프레임(50)의 좌측 커버(10) 또는 우측 커버(20)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파이프(40)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파이프(40)로 송풍하는 송풍기(60);
    상기 송풍기(60)에 의해 송풍되어 상기 배출파이프(40)에 형성된 배출공(41)으로 소독제가 배출되도록 상기 송풍기(60)와 연결되어 소독제를 투입되도록 하는 소독제투입박스(70);
    상기 송풍기(60)가 설정된 시간에 주기적으로 소독제를 송풍되도록 하는 타이머;
    상기 상부 커버(30)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5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통(1)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한 CCD 카메라(80);
    상기 상부 커버(30)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5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통(1) 덮개(2)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송풍기(60)를 작동되도록 하는 감지센서(9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50) 좌우측 커버(10,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50)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식 바퀴(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파이프(40)의 배출공(41) 주위에는 배출된 소독제가 음식물 쓰레기통(1) 상부로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돔 형태의 확산판(4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KR1020070048462A 2007-05-18 2007-05-18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KR100766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462A KR100766395B1 (ko) 2007-05-18 2007-05-18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462A KR100766395B1 (ko) 2007-05-18 2007-05-18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395B1 true KR100766395B1 (ko) 2007-10-12

Family

ID=3942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462A KR100766395B1 (ko) 2007-05-18 2007-05-18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3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89B1 (ko) 2007-10-09 2009-07-02 김영진 광고기능이 부가된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용 설비 시스템
WO2022198917A1 (zh) * 2021-03-24 2022-09-29 浙江金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消毒杀菌功能的垃圾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11A (ja) * 1987-12-03 1990-01-05 Ppg Ind Inc 安定な非水溶性のポリウレタン微粒子分散体
JP2004358306A (ja) * 2003-06-03 2004-12-24 Miura Tamae 生ゴミ乾燥処理装置
KR100611641B1 (ko) * 2006-03-09 2006-08-11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11A (ja) * 1987-12-03 1990-01-05 Ppg Ind Inc 安定な非水溶性のポリウレタン微粒子分散体
JP2004358306A (ja) * 2003-06-03 2004-12-24 Miura Tamae 生ゴミ乾燥処理装置
KR100611641B1 (ko) * 2006-03-09 2006-08-11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클린하우스 악취저감설비 설치공사 시방서(2006.11.자 공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89B1 (ko) 2007-10-09 2009-07-02 김영진 광고기능이 부가된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용 설비 시스템
WO2022198917A1 (zh) * 2021-03-24 2022-09-29 浙江金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消毒杀菌功能的垃圾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950B1 (ko) 신형 쓰레기 분리수거대
US20100047119A1 (en) Deodorizer/disinfectant fluid treatment system and liner for use therewith.
US7594480B2 (en) Deodorizer/disinfectant fluid treatment system and litter liner for use therewith
KR100766395B1 (ko)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KR101254750B1 (ko) 악취물 수집 보관용 콘테이너
CN106429129A (zh) 一种杀菌除味垃圾桶
KR100871136B1 (ko) 클린하우스
KR100302136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90004559U (ko) 전해식 손소독기
KR100905989B1 (ko) 광고기능이 부가된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용 설비 시스템
KR100611641B1 (ko)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
KR101445497B1 (ko) 소독 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통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소독 방법
KR101136844B1 (ko) 분무형 통합 정화장치
CN214268854U (zh) 一种除臭效果好的环保分类垃圾桶
RU2739439C1 (ru) Система подземного хранения мусора
KR101126623B1 (ko) 악취제거 및 살균소독이 가능한 통합 정화장치
KR100797756B1 (ko) 음식물쓰레기통의 소독장치
KR100871416B1 (ko) 오존살균수 생성장치
KR200216029Y1 (ko) 차량의소독장치
CN214494331U (zh) 一种垃圾箱控制系统
KR20050014327A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악취제거장치 및 방법
CN213975532U (zh) 一种垃圾消毒除臭装置
EP1154940A1 (en) System comprising a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d/or scenting rubbish bins
CN215709025U (zh) 一种除臭垃圾桶存放装置及系统
CN216582242U (zh) 一种垃圾箱用智能杀菌除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