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641B1 -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641B1
KR100611641B1 KR1020060022190A KR20060022190A KR100611641B1 KR 100611641 B1 KR100611641 B1 KR 100611641B1 KR 1020060022190 A KR1020060022190 A KR 1020060022190A KR 20060022190 A KR20060022190 A KR 20060022190A KR 100611641 B1 KR100611641 B1 KR 100611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lid
injector
base
disinf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욱
엄태학
김병하
이인안
정광태
Original Assignee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2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7/00Cleaning or disinfecting devices combined with refuse receptacles or refuse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영업장등에서 사용되는 음식물 쓰레기통의 본체 및 뚜껑이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소독하여 사용자의 손에 미생물등이 묻지 않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통의 사용 시 뚜껑의 개폐를 감지하여 소독약품을 자동적으로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통의 외부에 미생물등의 번식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쾌감 해소 및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통(W)이 안착되도록 베이스(1)가 형성되고 베이스(1)의 일측에서 일정 높이로 헤드부(2)가 직립 설치된 본체(3)와, 상기한 헤드부(2)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소독약품탱크(4)로부터 소독약품이 인출되도록 인출공(5)이 설치된 약품인출브라켓(6)과, 상기한 인출공(5)과 호스(7)로 연결되어 약품이 공급되고 상기한 헤드부(2)의 종단에 설치되어 쓰레기통(W)의 상면으로 약품을 분사하도록 배치된 분사기(8)와, 상기한 헤드부(2)에서 베이스(1) 방향에 설치됨과 아울러 쓰레기통(W)의 뚜껑이 열리는 것을 감지할 정도의 높이에 배치된 감지 센서(9)와, 상기한 감지 센서(9)에서 입력된 신호가 있을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분사기(8)를 작동시켜 약품을 분무하도록 하는 제어부(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DISINFECTION DEVICE OF FOOD GARBAGE BOX}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헤드부의 단면도,
도3a는 도1에서 쓰레기통의 뚜껑을 열고 음식물을 버릴 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3b는 도3a에서 뚜껑을 닫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 2: 헤드부
3: 본체 4: 소독약품탱크
5: 인출공 6: 인출브라켓
7: 호스 8: 분사기
9: 감지센서 10: 제어부
W: 음식물 쓰레기통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영업장등에서 사용되는 음식물 쓰레기통의 본체 및 뚜껑이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소독하여 사용자의 손에 미생물등이 묻지 않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가정 또는 음식점에서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이 많을 뿐만 아니라 라면, 컵라면, 찌개등과 같이 국물과 함께 버리기 때문에 별도의 쓰레기통이 필요하게 된다.
즉, 국물과 건더기를 구분해서 버릴 수 있도록 내부에 걸름망등이 설치되어 있고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뚜껑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는 소정 크기인 박스형의 쓰레기통 본체와, 상기한 본체의 상면에 힌지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손잡이가 전면에 설치된 뚜껑과, 상기한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건더기를 거르도록 설치된 걸름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뚜껑을 연 후, 걸름망에 음식물 쓰레기를 쏟아 버리게 되는 바, 상기한 걸름망에는 건더기가 걸리고 본체에는 국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통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게 되면, 쓰레기통의 외부 즉, 뚜껑과 손잡이등에 국물 또는 건더기등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쓰레기통의 외부가 오염되어 미생물등이 번식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때 비위생적인 손잡이를 잡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 게 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손에 각종 미생물이 묻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통의 사용 시 뚜껑의 개폐를 감지하여 소독약품을 자동적으로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통의 외부에 미생물등의 번식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쾌감 해소 및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통이 안착되도록 베이스가 형성되고 베이스의 일측에서 일정 높이로 헤드부가 직립 설치된 본체와, 상기한 헤드부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소독약품탱크로부터 소독약품이 인출되도록 인출공이 설치된 약품인출브라켓과, 상기한 인출공과 호스로 연결되어 약품이 공급되고 상기한 헤드부의 종단에 설치되어 쓰레기통의 상면으로 약품을 분사하도록 배치된 분사기와, 상기한 헤드부에서 베이스 방향에 설치됨과 아울러 쓰레기통의 뚜껑이 열리는 것을 감지할 정도의 높이에 배치된 감지 센서와, 상기한 감지 센서에서 입력된 신호가 있을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분사기를 작동시켜 약품을 분무하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와 헤드 부분의 단면도로서, 음식물 쓰레기통(W)이 안착되도록 베이스(1)가 형성되고 베이스(1)의 일측에서 일정 높이로 헤드부(2)가 직립 설치된 본체(3)와, 상기한 헤드부(2)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소독약품탱크(4)로부터 소독약품이 인출되도록 인출공(5)이 설치된 약품인출브라켓(6)과, 상기한 약품인출브라켓(6)의 인출공(5)과 호스(7)로 연결되어 약품이 공급되고 상기한 헤드부(2)의 종단에 설치되어 쓰레기통(W)의 상면으로 약품을 분사하도록 배치된 분사기(8)와, 상기한 헤드부(2)에서 베이스(1) 방향에 설치됨과 아울러 쓰레기통(W)의 뚜껑이 열리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뚜껑보다 상측에 배치된 감지 센서(9)와, 상기한 감지 센서(9)에서 입력된 신호가 있을 경우 정해진 시간 경과 후 분사기(8)를 작동시켜 약품을 분무하도록 하는 제어부(1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김지센서(9)가 뚜껑의 개폐를 감지하게 되면, 이를 제어부(10)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한 제어부(10)는 뚜껑이 열린 후 일정 시간후(뚜껑이 닫히는 예상시간)에 분사기(8)를 작동시켜서 소독약품이 쓰레기통(W)의 상부로 분사되도록 자동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헤드부(2)의 각도는 쓰레기통(W)의 상면으로 약품이 가장 효율적으로 분사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상기한 감지센서(9)는 포토 커플러등과 같인 근접된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사용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베이스(1)에 음식물 쓰레기통(W)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약품인출 브라켓(6)에 소독약품이 충진된 탱크(4)를 올려놓게 되는 바, 상기한 약품탱크(4)의 약품이 브라켓(6)의 인출공(5)으로 흘러나와서 충진됨과 아울러 인출공(5)에 연결된 호스(7)에 충진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위하여 도3a와 같이 뚜껑을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게 되면, 상기한 헤드부(2)에 설치된 감지센서(9)가 상기한 뚜껑의 열림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한 감지 센서(9)가 감지 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게 되면 제어부(10)는 일정 시간 분사기(8) 작동 신호를 딜레이시키게 된다.
물론, 사용자는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후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통(W)의 뚜껑을 닫게 되는 바, 쓰레기통(W)의 뚜껑이 닫힌 후 분사기(8)가 제어부(10)에 의해 작동하여 소독약품을 분사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감지 센서(9)의 감지 신호 전송 후, 뚜껑이 닫힐 시간을 예상하여 30초후에 제어부(10)가 분사기(8)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분사기(8)가 작동되면 소독 약품이 쓰레기통(W)의 상면 및 측면으로 분사됨으로써, 쓰레기통(W)의 외부에 번식하는 미생물등이 제거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분사기(8)가 소독 약품을 분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통의 외부가 매우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소독약품이 떨어지게 되면 소독약품탱크(4)에 소독약품을 다시 충진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통을 사용할 때 뚜껑의 개폐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뚜껑이 닫힌 후, 쓰레기통에 소독 약품을 분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통의 외부에 번식하는 미생물등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불쾌감 해소 및 미생물등으로 인한 건강의 악영향을 개선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음식물 쓰레기통(W)이 안착되도록 베이스(1)가 형성되고 베이스(1)의 일측에서 일정 높이로 헤드부(2)가 직립 설치된 본체(3)와, 상기한 헤드부(2)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소독약품탱크(4)로부터 소독약품이 인출되도록 인출공(5)이 설치된 약품인출브라켓(6)과, 상기한 약품인출브라켓(6)의 인출공(5)과 호스(7)로 연결되어 약품이 공급되고 상기한 헤드부(2)의 종단에 설치되어 쓰레기통(W)의 상면으로 약품을 분사하도록 배치된 분사기(8)와, 상기한 헤드부(2)에서 베이스(1) 방향에 설치됨과 아울러 쓰레기통(W)의 뚜껑이 열리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뚜껑보다 상측에 배치된 감지 센서(9)와, 상기한 감지 센서(9)에서 입력된 신호가 있을 경우 정해진 시간 경과 후 분사기(8)를 작동시켜 약품을 분무하도록 하는 제어부(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
KR1020060022190A 2006-03-09 2006-03-09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 KR10061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190A KR100611641B1 (ko) 2006-03-09 2006-03-09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190A KR100611641B1 (ko) 2006-03-09 2006-03-09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1641B1 true KR100611641B1 (ko) 2006-08-11

Family

ID=3759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190A KR100611641B1 (ko) 2006-03-09 2006-03-09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6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395B1 (ko) * 2007-05-18 2007-10-12 김영진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KR100797756B1 (ko) 2006-12-28 2008-01-23 윤대현 음식물쓰레기통의 소독장치
KR101126623B1 (ko) 2011-08-30 2012-03-26 박형석 악취제거 및 살균소독이 가능한 통합 정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445U (ko) * 1995-11-14 1997-06-18 윤장호 쓰레기통 뚜껑
JP2000062904A (ja) * 1998-08-26 2000-02-29 Jiasu:Kk 消臭ごみ箱
KR20000074530A (ko) * 1999-05-21 2000-12-15 이상배 음식물 쓰레기통
KR20050014327A (ko) * 2003-07-30 2005-02-07 이정린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악취제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445U (ko) * 1995-11-14 1997-06-18 윤장호 쓰레기통 뚜껑
JP2000062904A (ja) * 1998-08-26 2000-02-29 Jiasu:Kk 消臭ごみ箱
KR20000074530A (ko) * 1999-05-21 2000-12-15 이상배 음식물 쓰레기통
KR20050014327A (ko) * 2003-07-30 2005-02-07 이정린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악취제거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56B1 (ko) 2006-12-28 2008-01-23 윤대현 음식물쓰레기통의 소독장치
KR100766395B1 (ko) * 2007-05-18 2007-10-12 김영진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KR101126623B1 (ko) 2011-08-30 2012-03-26 박형석 악취제거 및 살균소독이 가능한 통합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597B1 (ko) 손 세정 장치
KR20110063653A (ko) 자동형 손세척장치
KR100611641B1 (ko) 음식물 쓰레기통의 소독 장치
KR100826944B1 (ko) 손 소독기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20130027815A (ko) 손 소독기
EP3700585A1 (en) Apparatus for handle disinfection
JPH1121962A (ja) キッチン用洗浄装置及び殺菌装置
KR100766395B1 (ko)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장치
KR200466633Y1 (ko) 자외선 살균 장치가 구비된 싱크볼
KR200368440Y1 (ko) 손 소독기
KR20090108328A (ko) 식탁용 스팀 청소기
CN209988464U (zh) 一种医疗用分类垃圾桶
KR100905989B1 (ko) 광고기능이 부가된 음식물 쓰레기통 소독용 설비 시스템
KR101232362B1 (ko) 소독용 티슈제조기
JP2014036707A (ja) 消毒液収容器および消毒液噴射装置
JP6559749B2 (ja) 医療・介護用容器の処理装置
KR200410634Y1 (ko) 소독액 공급수단을 갖는 세수(洗手)장치
KR20190001993U (ko) 소독기능이 구비된 위생수거함
KR100797756B1 (ko) 음식물쓰레기통의 소독장치
KR20100005243U (ko)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KR20070062352A (ko) 냉장고에 구비된 소독장치 및 소독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16470A (ko) 자동 컵 세척기
KR101781518B1 (ko) 음식물 처리 배수구
KR200220661Y1 (ko) 페달식 손 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