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783B1 -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 - Google Patents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783B1
KR101798783B1 KR1020160100864A KR20160100864A KR101798783B1 KR 101798783 B1 KR101798783 B1 KR 101798783B1 KR 1020160100864 A KR1020160100864 A KR 1020160100864A KR 20160100864 A KR20160100864 A KR 20160100864A KR 101798783 B1 KR101798783 B1 KR 101798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cavity
hole
pres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석
이병두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783B1/ko
Priority to PCT/KR2017/007750 priority patent/WO201803066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39Details of the shape in the form of hollow cylinder with an open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유동성을 가지며, 일정 시간 경과 후 경화되는 재료로 이루어진 식립부에 고정되는 고정구에 있어서, 일측이 식립부 내부에 식립되어 위치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타측 내부에 위치하는 소정 공간인 공동부;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제공하며, 이에 의하면, 고정구의 다양한 구조를 통하여 식립부 재료가 고정구 내부로 자리잡게 하여 식립부와 고정구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또한, 식립부 재료의 픽스쳐 내부로의 침투가 용이해지고, 이후 침투된 식립부 재료가 경화됨으로써 고정구가 식립부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정구가 식립부에 식립된 후의 향상된 고정력 및 안정적인 유지를 보장한다.

Description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A fixture and A fixture for dental impla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정구 및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에 관한 것이다.
대상물체의 고정 또는 시공시의 토대가 되는 대상부위에 삽입되는 고정구는 대상 부위에 삽입되어 고정(식립)된 후의 내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시공 등에 사용되는 토대부의 재료로서 유동성을 갖고 이후에 경화되는 재료(예를 들면,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에 있어서의 고정구의 식립은, 도 1에 도시되 바와 같이, 재료(A)가 유동성을 갖는 상태에서 고정구(20)가 식립되어, 이후 경화됨으로써 고정구가 대상부분에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구의 식립 후에 고정구의 식립방향 또는 이외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고정구가 대상부분으로부터 빠져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에는 콘크리트 기초 등에 사용되는 토대 고정구가 개시된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토대 고정구는 체결너트를 대상부위에 매설하고, 매설된 체결너트에 볼트를 결합시키고, 체결된 볼트 및 너트의 주위에 고정되는 토대 고정구를 통하여 대상부분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구는 고정구의 고정 후에, 다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체결볼트의 대상 부위 내부에서의 고정력이 약하여 체결너트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고정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15-0084313 A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립부인 대상 부위 내에서의 고정력 향상, 식립의 편리함 및 식립 후의 고정력 및 내구성이 뛰어난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동성을 가지며, 일정 시간 경과후 경화되는 재료로 이루어진 식립부에 고정되는 고정구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식립부 내부에 식립되어 위치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타측 내부에 위치하는 소정 공간인 공동부;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제공한다.
상기 공동부는 상기 몸체부 타측 내부에 다수개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 외측과 상기 공동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 외측과 상기 다수의 공동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통되도록 하는 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공동부 중 적어도 2개의 공동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동성을 가지며, 일정 시간 경과후 경화되는 재료로 이루어진 식립부에 고정되는 고정구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식립부 내부에 식립되어 위치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타측 내부에 위치하는 소정 공간인 공동부; 및 일측이 상기 공동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 외측과 상기 공동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동부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부 일측의 외주면은 체결된 상태에서 소정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 일측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공과 상기 홈부는 상기 지지부 일측이 상기 공동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동부는, 그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공동부는, 그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좁아지고, 상기 지지부는, 그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 상단에 위치하여, 인공치아에 형성된 지주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에 의하면, 고정구의 다양한 구조를 통하여 식립부 재료가 고정구 내부로 자리잡게 하여 식립부와 고정구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또한, 식립부 재료의 픽스쳐 내부로의 침투가 용이해지고, 이후 침투된 식립부 재료가 경화됨으로써 고정구가 식립부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정구가 식립부에 식립된 후의 향상된 고정력 및 안정적인 유지를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는 그 이식의 성공률 및 이식 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치아 임플란트 픽스쳐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의 몸체부 및 지지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 각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 실시 예마다 서로 상이한 구성에 있어서만 추가적으로 설명하며, 그 외 동일한 구성은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식립부(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가 식립되어 고정되는 대상물로서, 유동성을 가지며, 경화될 수 있는 재질의 부위를 말하며, 한정되지 않으나, 일례로, 시멘트, 콘크리트,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는, 몸체부(200) 및 공동부(220)를 포함한다.
몸체부(200)는 상기와 같이 식립부를 관통하여 그 내부에 식립되어 고정되도록 그 외주면에 나사산 등의 식립수단이 형성됨으로써 식립부 내에 식립되어, 식립부가 경화됨으로써 고정된다.
몸체부(200)의 일측(상측)에는, 인공치아에 구비된 지대주가 삽입되어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는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결합부(210)의 내주면 및 지대주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등의 결합수단을 통하여 지대주가 몸체부(200)에 결합됨으로써 인공치아가 몸체부(200)에 결합 및 고정된다.
공동부(220)는 몸체부(200)의 타측(하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공동부(220)는 몸체부(200)의 타측 내부 즉, 몸체부(200) 타측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몸체부(200)가 식립부 내부에 삽입될 시 식립부를 이루는 재료가 공동부(220) 내측으로 들어와 자리잡게 되고, 경화됨으로써, 몸체부(200)가 식립부 내부에서 보다 강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구의 고정력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는 공동부(220')의 구성에 있어서, 공동부(220')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몸체부(200)가 식립부 내부에 삽입될 시, 식립부를 이루는 재료가 공동부(220') 내측으로 들어와 경화됨으로써 몸체부(200)의 고정이 보다 강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한 테이퍼 형상으로 인하여, 몸체부(200)가 식립부로부터 인발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는 몸체부(200a) 외부와 공동부(220)를 관통하는 통공(230)을 더 포함한다. 통공(230)의 갯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230)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230)을 통하여 몸체부(200a) 외부와 공동부(220)가 연통된다. 이로써, 몸체부(200a)가 식립부 내부에 삽입된 후 식립부를 이루는 재료가가 통공(230)을 통하여 공동부(220) 내부까지 침투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침투된 재료는 공동부(220) 내부에 위치하는 식립부와 접촉하게 되고 식립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공동부(220) 내부에 위치한 식립부 재료와 연결된 식립부 재료가 공동부(220) 및 통공(230) 내부에서 경화됨에 따라 몸체부(200a)가 치조골 내부에서 보다 강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로써, 고정구의 고정력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 도 8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는, 몸체부(200b)의 타측 내부 즉, 몸체부(200b) 타측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공동부(220b)를 다수개 포함한다.
이로써, 몸체부(200b)가 식립부 내부에 삽입될 시 식립부를 이루는 재료가 다수의 공동부(220b) 내측으로 들어와 자리잡게 되어, 보다 향상된 몸체부(200b)의 고정력을 제공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고정구는, 통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수개 각각의 통공과 몸체부(200b)의 외부를 관통하는 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각 통공과 몸체부(200b)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통공의 갯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다수의 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공과 몸체부(200b)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나, 구비되는 공동부(220b)의 갯수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공동부(220b)와 몸체부(200b) 외부가 각각 연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다수의 공동부(220b) 내측으로 들어와 자리잡은 식립부를 이루는 재료와 통공을 통하여 침투된 재료가 다수의 공동부(220b) 내부에 위치하는 치조골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몸체부(200b)가 치조골 내부에서 보다 강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에 고정된 인공치아의 고정력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다수의 공동부(220b)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통공(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공동부(220b) 사이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이를 통하여 침투된 식립부를 이루는 재료에 의해 다수의 공동부(220b) 내에 위치하는 재료가 연결됨에 따라 몸체부(200b)의 고정력이 더욱 향상된다.
다음, 도 10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는, 몸체부(200c) 타측(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40)는 그 일측(상측)에 위치하는 지지대(241) 및 타측(하측)에 위치하는 받침부(242)를 구비한다.
지지대(241)는 공동부(220c)에 삽입되어 지지부(240)가 몸체부(200c)와 결합되도록 하며, 지지대(24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 등의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공동부(220c)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등의 결합수단과 결합됨으로써, 지지부(240)가 몸체부(200c)에 결합된다.
받침부(24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 등의 식립수단이 형성됨으로써 지지부(240)가 식립부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된 지지부(240)의 지지대(241)가 몸체부(200c)의 공동부(220c)에 결합됨으로써 몸체부(200c)가 식립부 내에 고정된다.
이때, 먼저 식립부 내에 위치한 지지부(240)의 지지대(241) 외주면에 위치하는 식립부 재료가가 공동부(220c) 내로 인입되게 되어, 경화됨으로써 몸체부(200c)의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41)의 직경이 공동부(220c)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됨으로써 몸체부(200c)와 지지부(240)의 결합시 지지대(241) 외주면과 공동부(220c)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식립부 재료가 공동부(220c) 내부의 상기 소정간격 내로 인입되어 경화됨으로써 보다 큰 고정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200c) 외부와 공동부(220c)를 관통하는 통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공의 갯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41) 외주면에는 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는 지지대(241) 외주면에 파인 홈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240)와 몸체부(200c)의 결합시 즉, 지지대(241)가 공동부(220c)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공과 연통될 수 있다.
이로써, 통공을 통하여 공동부(220c) 내부로 침투된 식립부 재료가 지지대(241)에 형성된 홈부의 내측까지 침투되어 경화됨으로써 몸체부(200c)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각 실시 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상기 제3실시예의 다수의 공동부(220b)가 제2실시 예에서와 같이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고, 제5실시예의 공동부(220c)가 제2실시 예에서와 같이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고, 이에 결합되는 지지부(240)의 형상이, 그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고 상기 공동부(220c)에 결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각 실시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고정구를 이용하는 일례로서, 상기한 고정구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fixture)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고정구의 구조가, 유동성을 갖는 식립부의 재료가 경화됨으로써 고정구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상기 일례로든 식립부를 이루는 재료들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치조골 형성 세포의 성질을 이용하여, 고정구를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쳐에도 적용하게 되면, 픽스쳐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fixture)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의 몸체부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210)에, 치아부(110) 및 그 하단에 위치한 지대주(120)를 포함하는 인공치아(100)의 상기 지대주(12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 13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는 상기 설명한 고정구에 형성된 공동부, 통공, 지지부 등의 구조를 갖고, 잇몸 내 치조골(A')에 식립되어 시술 시, 상기한 공동부, 통공, 지지부의 구성에 뼈 형성 세포가 자리잡게 되고, 이후 성장하여 치조골을 이룸으로써, 픽스쳐가 잇몸 내부에서 보다 강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에 의하면, 고정구의 다양한 구조를 통하여 식립부 재료가 고정구 내부로 자리잡게 하여 식립부와 고정구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또한, 식립부 재료의 픽스쳐 내부로의 침투가 용이해지고, 이후 침투된 식립부 재료가 경화됨으로써 고정구가 식립부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정구가 식립부에 식립된 후의 향상된 고정력 및 안정적인 유지를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는 그 이식의 성공률 및 이식 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200, 200a, 200b, 200c: 몸체부
210: 결합부
220, 220b, 220c: 공동부
230: 통공
240: 지지부
241: 지지대
242: 받침부

Claims (12)

  1. 유동성을 가지며, 일정 시간 경과 후 경화되는 재료로 이루어진 식립부에 고정되는 고정구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식립부 내부에 식립되어 위치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타측 내부에 위치하며,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소정 공간인 공동부;를 포함하는,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는 상기 몸체부 타측 내부에 다수개가 위치하는,
    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외측과 상기 공동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더 포함하는,
    고정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외측과 상기 다수의 공동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통되도록 하는 통공을 더 포함하는,
    고정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공동부 중 적어도 2개의 공동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통공을 더 포함하는,
    고정구.
  6. 유동성을 가지며, 일정 시간 경과 후 경화되는 재료로 이루어진 식립부에 고정되는 고정구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식립부 내부에 식립되어 위치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타측 내부에 위치하는 소정 공간인 공동부; 및
    일측이 상기 공동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외측과 상기 공동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더 포함하는,
    고정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부 일측의 외주면은 체결된 상태에서 소정간격 이격되는,
    고정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일측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공과 상기 홈부는 상기 지지부 일측이 상기 공동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는,
    고정구.
  10. 삭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는, 그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좁아지고,
    상기 지지부는, 그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고정구.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 상단에 위치하여, 인공치아에 형성된 지대주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
KR1020160100864A 2016-08-08 2016-08-08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 KR101798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864A KR101798783B1 (ko) 2016-08-08 2016-08-08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
PCT/KR2017/007750 WO2018030662A1 (ko) 2016-08-08 2017-07-19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864A KR101798783B1 (ko) 2016-08-08 2016-08-08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783B1 true KR101798783B1 (ko) 2017-11-17

Family

ID=6080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864A KR101798783B1 (ko) 2016-08-08 2016-08-08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8783B1 (ko)
WO (1) WO201803066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2499B2 (ja) * 1996-01-25 2006-06-07 ワイスマン バーナード 支持フレームを備えた歯科用ポス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5595B2 (ja) * 2003-08-21 2009-01-28 安正 赤川 インプラント固定部材およびインプラント複合材
IL177848A0 (en) * 2006-09-03 2006-12-31 Oz Vachtenberg Expandable dental implants of high surface area and methods of expanding the same
KR200444952Y1 (ko) * 2007-09-04 2009-06-18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1170468B1 (ko) * 2010-04-14 2012-08-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2499B2 (ja) * 1996-01-25 2006-06-07 ワイスマン バーナード 支持フレームを備えた歯科用ポ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662A1 (ko)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582Y1 (ko) 접골용 보철구
ES2269305T3 (es) Dispositivo para la determinacion de posicion.
US10010385B2 (en) Dental implant with cushion
BR112012018070B1 (pt) pilar para um implante dentário e combinação de um implante dentário e de um pilar
JP2010532229A5 (ko)
SE9704112L (sv) Anordning för att åstadkomma tillförlitlig förankring av gängförsett implantat i ben
JP2010220700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アバットメントスクリュー緩み止め方法
US8408903B2 (en) Multi-cortical dental implant anchor, dental implant kit and template
KR101798783B1 (ko)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쳐
JP5405013B2 (ja) 歯根管アンカ組立体
KR20150052539A (ko) 뿔 임플란트
KR101419488B1 (ko) 옹벽 연결 구조물
KR10157352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09061306A1 (en) Dental implant screw system
KR20190141503A (ko) 임플란트재
US6981872B2 (en) Bone implant method of implanting, and kit for use in making implants, particularly useful with respect to dental implants
JP2006299546A (ja) ロックボルト
CN110840631A (zh) 膝关节假体
KR10145701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구의 설치 방법
US20110143313A1 (en) Dental implant device
KR20040001000A (ko) 치과용임플란트와 이를 사용하여 임플란팅하는 방법
EP3135244A1 (en) Dental screw of prosthodontic device with detachable suprastructure
EP2481372B1 (en) A retention system to fix a complete denture in a mandible
KR20170103101A (ko) 신속하게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임플란트
KR20030083784A (ko) 신속하게 식립되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치과용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