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137B1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137B1
KR101798137B1 KR1020160013976A KR20160013976A KR101798137B1 KR 101798137 B1 KR101798137 B1 KR 101798137B1 KR 1020160013976 A KR1020160013976 A KR 1020160013976A KR 20160013976 A KR20160013976 A KR 20160013976A KR 101798137 B1 KR101798137 B1 KR 101798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portable terminal
plate
pan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821A (ko
Inventor
김지민
이재익
이상헌
김남이
Original Assignee
김지민
이재익
이상헌
김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민, 이재익, 이상헌, 김남이 filed Critical 김지민
Priority to KR102016001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1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94Addressing the hologram to an active spatial light modulator
    • H04W4/008
    • G03H2001/0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lo Graphy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측면을 뿔구조체 형태의 투명 재질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서 발광되는 화면 영상이 뿔구조체의 측면에 투과되어, 사각뿔 내부 공간에서 홀로그램 영상으로서 재생되는 홀로그램 재생 패널; 상기 홀로그램 재생 패널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확장된 후방판;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면과 이격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방면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확장된 플레이트판으로서, 상기 플레이트판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 접하도록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영상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홀로그램 패널의 측면에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거치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Apparatus for hologram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홀로그램 장치로서, 화면 영상을 홀로그램으로 재생해줄 수 있는 홀로그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램(hologram)은 실물과 똑같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3차원 영상으로서,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홀로그래피의 원리는 레이저에서 나온 광선을 2개로 나눠 하나의 빛은 직접 스크린을 비추게 하고, 다른 하나의 빛은 우리가 보려고 하는 물체에 비추는 것이다. 이때 직접 스크린을 비추는 빛을 기준광(reference beam)이라고 하고, 물체를 비추는 빛을 물체광(object beam)이라고 한다. 물체광은 물체의 각 표면에서 반사돼 나오는 빛이므로 물체 표면에 따라 위상차(물체 표면에서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이때 변형되지 않은 기준광이 물체광과 간섭을 일으키는데, 이 간섭 무늬에 의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홀로그램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3차원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홀로그램의 광원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 유기발광 다이오드 등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공급장치를 갖는 별도의 광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크기가 크다는 약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는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별도의 광원 없이 홀로그램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120835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 영상을 홀로그램으로 재생해주는 홀로그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홀로그램 재생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와 홀로그램 장치와 연동하여 다양한 특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측면을 뿔구조체 형태의 투명 재질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서 발광되는 화면 영상이 뿔구조체의 측면에 투과되어, 사각뿔 내부 공간에서 홀로그램 영상으로서 재생되는 홀로그램 재생 패널; 상기 홀로그램 재생 패널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확장된 후방판;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면과 이격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방면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확장된 플레이트판으로서, 상기 플레이트판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 접하도록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영상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홀로그램 패널의 측면에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거치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판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거치판의 상부면에 인접하거나 또는 이격되도록 회동하는 덮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재생 패널은, 전방 패널면, 좌측 패널면, 우측 패널면, 및 후방 패널면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 패널면이 상기 후방판에 접하도록 상기 홀로그램 재생 패널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홀로그램 제1소스영상, 홀로그램 제2소스영상, 및 홀로그램 제3소스영상이 화면 영상으로 동시에 표시될 때, 상기 홀로그램 제1소스영상이 상기 전방 패널면에, 상기 홀로그램 제2소스영상이 상기 좌측 패널면에, 상기 홀로그램 제3소스영상이 상기 우측 패널면에 각각 도달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판에 거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면은, 전방보다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거치판 역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개구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개구면 크기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판의 저면에 마련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판의 저면에 마련되어, 하측을 향해 조명광을 발광하는 조명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조명 램프에서 발광되는 조명광의 색상 및 밝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명 제어 요청 버튼; 시간을 상기 홀로그램 재생 패널 상에 표시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요청받는 시간 표시 요청 버튼; 및 날씨를 상기 홀로그램 재생 패널 상에 표시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요청받는 날씨 표시 요청 버튼;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조명 제어 요청 버튼을 통해 선택된 색상 및 밝기로 조명광이 발광되도록 상기 조명 램프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거치판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본체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제어부는, 상기 시간 표시 요청 버튼을 통해 시간 표시 요청을 받은 경우, 시간 표시 영상을 화면 영상으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본체 통신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날씨 표시 요청 버튼을 통해 날씨 표시 요청을 받은 경우 시간 표시 영상을 화면 영상으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본체 통신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별로 조명 램프의 색상 및 밝기가 설정되어 저장된 조명 제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제어부는, 상기 거치판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상기 본체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할당된 조명 램프의 색상 및 밝기를 상기 조명 제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추출한 색상 및 밝기로서 조명 램프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 영상을 홀로그램으로 재생해줌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홀로그램을 손쉽게 즐길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와 홀로그램 장치간에 무선 연동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홀로그램을 제공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홀로그램 재생 패널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덮개판이 힌지 회동하여 열려진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치판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치판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뒷면을 덮개판이 덮은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영상의 발광에 의해 홀로그램 재생 패널에 홀로그램이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의 개구부를 가변적으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수단이 도시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표시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서 발광되는 화면 영상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홀로그램 재생 패널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덮개판이 힌지 회동하여 열려진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치판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치판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뒷면을 덮개판이 덮은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영상의 발광에 의해 홀로그램 재생 패널에 홀로그램이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의 개구부를 가변적으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수단이 도시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표시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서 발광되는 화면 영상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300)의 화면에서 발광되는 영상(이하, '화면 영상'이라 함)을 이용하여 홀로그램 형태의 영상으로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300)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300)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는, 본체 하우징(100), 후방판(110), 거치판(120), 및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덮개판(130), 및 개구면 크기 조절 수단(121)을 더 포함하며, 나아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30), 조명 램프(20), 조명 제어 요청 버튼(11), 시간 표시 요청 버튼(12), 날씨 표시 요청 버튼(13), 본체 통신부(40), 조명 제어 데이터베이스(50), 및 본체 제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은, 측면을 가지는 뿔구조체 형태의 투명 재질로서, 휴대용 단말기(300)의 화면에서 발광되는 화면 영상이 측면에 투과 및 반사되어 사각뿔 내부 공간에서 홀로그램 영상으로서 재생된다.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의 재질은, 투과시에 투과된 광의 진행 방향이 달라지도록 하는 반사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필름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하면,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은 삼각형 모양의 측면을 가지는 뿔구조체로서, 바닥면이 삼각형인 삼각뿔 구조체, 바닥면이 사각형인 사각뿔 구조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각뿔 구조체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이 사각뿔 구조체의 형태를 가질 경우,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패널면(210), 좌측 패널면(220), 우측 패널면(230), 및 후방 패널면(240)으로 이루어진다. 전방 패널면(210)은, 하단의 폭이 넓고 상단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측 패널면(220) 및 우측 패널면(230)은 전방 패널면(210)의 양측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전방 패널면(210), 좌측 패널면(220), 우측 패널면(230), 및 후방 패널면(240)은, 각 상부변의 꼭지점이 서로 닿도록 형성되어, 사각뿔 구조체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럴 경우,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이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면(105)에 안착될 때, 후방 패널면(240)이 후방판(110)에 접하도록 위치하며 안착된다.
참고로, 홀로그램은 기록매질에 참조광과 정보를 기록하고자 하는 물체로부터 반사된 물체광을 입사시켜 참조광과 물체광의 간섭패턴을 기록함으로써 만들어진다. 홀로그램은, 크게 투과 방식 홀로그램, 반사 방식 홀로그램, 플로팅 방식 홀로그램이 있다.
투과 방식 홀로그램은 기록시 참조광과 물체광을 기록매질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입사시키며, 재생시에는 참조광이 기록매질에 기록된 홀로그램을 투과하도록 하여 참조광과 반대방향에서 홀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한다.
반사 방식 홀로그램은 기록시 참조광과 물체광을 기록매질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입사시키며, 재생시에는 참조광이 홀로그램을 반사하도록 하여 참조광과 같은 방향에서 홀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한다.
최근에는 시청자가 홀로그램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반사막을 이용하여 영상을 투과 및 반사되면서 합성하여 3차원으로 보이도록 하는 기술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방식을 플로팅 방식 홀로그램이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하여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의 전방 패널면(210), 좌측 패널면(220), 우측 패널면(230)에 각각 동일한 영상을 입사시켜, 전방 패널면(210), 좌측 패널면(220), 우측 패널면(230)을 각각 투과하며 투과 각도가 달라져 내부로 반사되는 영상이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의 내부에서 합성되어 홀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체 하우징(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105), 전면(101), 좌측면(102), 우측면(103), 및 후면(104)을 구비한 하우징으로서,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이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면(105)에 안착된다.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면(105)은, 홀로그램이 보여지는 방향인 전방보다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에서 홀로그램이 재생될 때 향상된 시인성을 가지도록 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체 하우징(100)의 후면(104)에서 상측으로 플레이트판이 확장되는데, 이와 같이 확장된 플레이트판을 후방판(110)이라 부르기로 한다.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의 후방 패널면(240)이 후방판(110)에 접하도록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면(105)에 안착된다. 후방판(110)은,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에서 재생되는 홀로그램이 정확하게 보이도록 하게 하기 위하여, 주변 배경 영상을 차단할 수 있는 검은색 등으로 표면이 구현되어, 암막 구조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거치판(120)은,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면(105)과 이격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후방면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확장된 플레이트판이다. 거치판(120) 역시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면(105)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한다. 이는 거치판(120)의 기울기가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면(105)의 경사면과 일치하는 경사(기울기)를 가지도록 하여, 재생되는 홀로그램의 영상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거치판(120)을 관통하는 개구부(131)가 형성되며, 개구부(131)에 접하도록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300)의 화면 영상이 개구부(131)를 통과하여 홀로그램 패널의 측면에 전달되도록 안내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의 화면에 홀로그램 제1소스영상(H1), 홀로그램 제2소스영상(H2), 및 홀로그램 제3소스영상(H3)으로 된 화면 영상으로 동시에 표시된다고 할 때, 홀로그램 제1소스영상(H1)이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의 전방 패널면(210)에, 홀로그램 제2소스영상(H2)이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의 좌측 패널면(220)에, 홀로그램 제3소스영상(H3)이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의 우측 패널면(230)에 각각 도달하도록 휴대용 단말기(300)가 거치판(120)에 거치된다.
거치판(120)은, 후방판(110)과 힌지 결합되어, 거치판(120)의 상부면(105)에 인접하거나 또는 이격되도록 회동하는 덮개판(130)을 가진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300)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에서 도 3과 같이 덮개판(130)을 회동시켜 거치판(120)과 이격시킨 후, 휴대용 단말기(300)의 화면 영상이 개구부(131)를 통과하여 하측의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를 거치판(120)에 거치시킨 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판(130)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휴대용 단말기(3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도 9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300)의 화면 영상이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에 도달하게 되어 도 6과 같이,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의 내부 공간에 홀로그램(H)이 재생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에서는 스마트폰을 휴대용 단말기(300)의 예시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디지털카메라,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영상 출력이 가능하고 휴대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라면 모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거치판(120)에 형성된 개구부(131)의 크기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화면 크기에 따라서 개구 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개구부(131)의 개구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개구면 크기 조절 수단(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면 크기 조절 수단(121)은,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개폐 도어로 구현하여, 슬라이딩 개폐 도어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개구 면적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덮개판(130)의 저면에는, 휴대용 단말기(30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30)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판(12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300)가 화면 영상을 발광하면서, 동시에 무선 충전될 수 있어 화면 영상의 발광에 의한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300)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거치판(12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본체 통신부(40)가 구비된다. 본체 통신부(4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NFC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밖에 본체 하우징(100)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통신 포트(14)가 마련될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300)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는, 홀로그램의 재생 시에 조명 무드를 추가적으로 더 인가하기 위하여 별도의 조명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판(120)의 저면에 마련되어 하측을 향해 조명광을 발광하는 조명 램프(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램프(20)의 제어를 위하여 본체 하우징(100)의 표면에는, 조명 램프(20)에서 발광되는 조명광의 색상 및 밝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명 제어 요청 버튼(11)과, 시간을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 상에 표시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요청받는 시간 표시 요청 버튼(12)과, 날씨를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 상에 표시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요청받는 날씨 표시 요청 버튼(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제어부(10)는, 조명 제어 요청 버튼(11)을 통해 선택된 색상 및 밝기로 조명광이 발광되도록 조명 램프(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연한 빨강색을 1단계의 밝기로 약하게 발광하도록 조명 제어 요청 버튼(11)을 통해 입력받은 경우, 요청된 제어대로 조명 램프(20)를 제어한다.
또한 본체 제어부(10)는, 시간 표시 요청 버튼(12)을 통해 시간 표시 요청을 받은 경우, 시간 표시 영상을 화면 영상으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본체 통신부(4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을 홀로그램으로서 재생해줄 것을 시간 표시 요청 버튼(12)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경우, 본체 제어부(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시간 표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300)는 현재 시간을 화면 영상으로 표시하여,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에서 시간이 홀로그램 형태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 제어부(10)는, 날씨 표시 요청 버튼(13)을 통해 날씨 표시 요청을 받은 경우 시간 표시 영상을 화면 영상으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본체 통신부(40)룰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을 홀로그램으로서 재생해줄 것을 날씨 표시 요청 버튼(13)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경우, 본체 제어부(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날씨 표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300)는 현재 날씨를 기상센터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 영상으로 표시하여, 홀로그램 재생 패널(200)에서 현재 날씨가 홀로그램 형태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300)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3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별로 조명 램프(20)의 색상 및 밝기가 설정되어 저장된 조명 제어 데이터베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제어 데이터베이스(5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체 제어부(10)는, 거치판(12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3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본체 통신부(40)를 통해 수신하여,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할당된 조명 램프(20)의 색상 및 밝기를 조명 제어 데이터베이스(50)에서 추출하여 추출한 색상 및 밝기로서 조명 램프(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은 해파리와 같은 해양 생물 영상이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단말기(300)에서 구동되는 경우, 바다를 표현해줄 수 있는 파란색의 조명이 표시되도록 조명 램프(2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간이 표시되는 시간 표시 어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단말기(300)에서 구동되는 경우,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하얀색의 조명이 표시되도록 조명 램프(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본체 제어부 20:조명 램프
30:무선 충전 모듈 40:본체 통신부
100:본체 하우징 110:후방판
120:거치판 130:덮개판
200:홀로그램 재생 패널 300:휴대용 단말기

Claims (12)

  1. 측면을 뿔구조체 형태의 투명 재질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서 발광되는 화면 영상이 뿔구조체의 측면에 투과되어, 사각뿔 내부 공간에서 홀로그램 영상으로서 재생되는 홀로그램 재생 패널;
    상기 홀로그램 재생 패널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확장된 후방판;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면과 이격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방면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확장된 플레이트판으로서, 상기 플레이트판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 접하도록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영상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홀로그램 재생 패널의 측면에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거치판;
    상기 거치판의 저면에 마련되어, 하측을 향해 조명광을 발광하는 조명 램프;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별로 조명 램프의 색상 및 밝기가 설정되어 저장된 조명 제어 데이터베이스; 및
    조명광의 색상 및 밝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조명 램프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제어부는, 상기 거치판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본체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할당된 조명 램프의 색상 및 밝기를 상기 조명 제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추출한 색상 및 밝기로서 조명 램프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판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거치판의 상부면에 인접하거나 또는 이격되도록 회동하는 덮개판;
    을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재생 패널은, 전방 패널면, 좌측 패널면, 우측 패널면, 및 후방 패널면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 패널면이 상기 후방판에 접하도록 상기 홀로그램 재생 패널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홀로그램 제1소스영상, 홀로그램 제2소스영상, 및 홀로그램 제3소스영상이 화면 영상으로 동시에 표시될 때, 상기 홀로그램 제1소스영상이 상기 전방 패널면에, 상기 홀로그램 제2소스영상이 상기 좌측 패널면에, 상기 홀로그램 제3소스영상이 상기 우측 패널면에 각각 도달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판에 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면은,
    전방보다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거치판 역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개구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개구면 크기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저면에 마련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조명 램프에서 발광되는 조명광의 색상 및 밝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명 제어 요청 버튼;
    시간을 상기 홀로그램 재생 패널 상에 표시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요청받는 시간 표시 요청 버튼; 및
    날씨를 상기 홀로그램 재생 패널 상에 표시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요청받는 날씨 표시 요청 버튼;
    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거치판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본체 통신부;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제어부는,
    상기 시간 표시 요청 버튼을 통해 시간 표시 요청을 받은 경우, 시간 표시 영상을 화면 영상으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본체 통신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날씨 표시 요청 버튼을 통해 날씨 표시 요청을 받은 경우 시간 표시 영상을 화면 영상으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본체 통신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12. 삭제
KR1020160013976A 2016-02-04 2016-02-0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KR101798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976A KR101798137B1 (ko) 2016-02-04 2016-02-0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976A KR101798137B1 (ko) 2016-02-04 2016-02-0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21A KR20170092821A (ko) 2017-08-14
KR101798137B1 true KR101798137B1 (ko) 2017-12-12

Family

ID=6014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976A KR101798137B1 (ko) 2016-02-04 2016-02-0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253A1 (ko) * 2019-06-21 2020-12-24 (주)코텍 홀로그램 영상을 출력하는 터미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30422B1 (ko) * 2020-04-01 2022-08-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홀로그램 영상 표시 장치 및 홀로그램 영상 표시 시스템
KR102439092B1 (ko) * 2020-12-02 2022-09-01 이은영 입체 영상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21A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137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홀로그램 장치
CN102436129B (zh) 光源单元、光源装置及投影仪
US10474100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2549520B (zh) 具备投影仪的信息处理装置
JP2010507128A (ja) ローラブル型又はラッパ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の前方照明
CN105474071A (zh) 投射显示系统的投射处理器
CN105612439B (zh) 一种包含mems装置的显示设备
CN106210379A (zh) 图像读取装置
JP2006267940A (ja) 立体投影装置
CN100543362C (zh) 光源装置及光源单元以及投影机
KR20160019193A (ko) 플로팅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54723B1 (ko) 휴대용 단말기
CN100454974C (zh) 摄像装置
KR20170055073A (ko) 융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1265B1 (ko)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87341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시스템
KR20160073741A (ko) 차량용 홀로그램 이미지 재생 램프
KR101429496B1 (ko) 원통형 홀로그램을 재생하는 장치
KR20190110397A (ko) 홀로그램 스크린이 구비된 영사기
KR102439092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JP2016075735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20190003063U (ko) 유사 홀로그램 장치
KR10187072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시스템
KR101560063B1 (ko) 융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494309Y1 (ko) 유사 홀로그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