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309Y1 - 유사 홀로그램 장치 - Google Patents

유사 홀로그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309Y1
KR200494309Y1 KR2020180004809U KR20180004809U KR200494309Y1 KR 200494309 Y1 KR200494309 Y1 KR 200494309Y1 KR 2020180004809 U KR2020180004809 U KR 2020180004809U KR 20180004809 U KR20180004809 U KR 20180004809U KR 200494309 Y1 KR200494309 Y1 KR 200494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displa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865U (ko
Inventor
김정근
이건민
유민선
김덕일
송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20180004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0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0408Total internal reflection [TIR] holograms, e.g. edge lit or substrate mode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0428Image holography, i.e. an image of the object or holobject is record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사 홀로그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는, 내부가 비치도록 하되, 빛 투과율 조절 처리를 하여 외부 밝기보다 내부 밝기가 더 어둡도록 구성된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 아래에 장착되고, 영상 이미지를 생성 또는 재생하기 위한 영상 제어 장치가 구비된 하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바디의 영상 제어 장치가 전송하는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여 외부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되,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때는 외부로부터 상기 상부 바디로 진입한 빛을 반사하여 거울 효과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사 홀로그램 장치{PSEUDO-HOLOGRAM APPARATUS}
본 고안은 유사 홀로그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팅 방식의 유사 홀로그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램은 완전함을 의미하는 'holo'와 메시지, 정보를 뜻하는 'gram'의 합성어로 실물처럼 입체로 보이는 3차원 영상이나 이미지를 의미한다. 1948년 영국 물리학자 데니스 가보르(Dennis Gabor)가 핵심 원리를 발견해 노벨상을 수상한 이 기술은 1960년대 간섭성을 가진 레이저가 개발된 후 본격적으로 연구 개발되기 시작하였는데, 그 기본 원리는 살펴보면, 동일한 파의 진로에 물체가 있으면, 파는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원래의 빛과 만나 간섭무늬를 만들고, 이 간섭 무늬의 패턴은 물체 표면에서의 거리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러한 간섭 무늬를 적당한 장소에 사진 필름을 놓고 노광(露光)하여 필름면에 새긴 후, 그 현상된 필름에 동일한 빛을 동일한 각도로 통과시키면 필름상의 간섭 무늬로 빛이 회절하여 똑같은 무늬가 재현되면서 물체의 입체상이 보이는 되는 것이다.
이처럼 대상을 입체영상으로 찍어내는 사진술인 아날로그 홀로그램 이외에도 홀로그램 기술에는 대상에 반사된 빛을 디지털로 재현하는 디지털 홀로그램이 있는데, 디지털 방식은 수학적 계산과 처리를 통해 간섭무늬를 만들고 데이터로 기록하여 3D 영상을 재생하는 것이다.
즉, 입체 이미지를 먼저 정하고 이를 수학적 원리로 역 계산하여 특정 패턴을 생성한 후, 해당 특정 패턴을 패널에 나타나게 하면, LCD 백라이트에서 나오는 빛이 이 패턴을 통과하면서 각 픽셀 별로 회절하고 강도가 변하면서 특정 공간상에 원하는 광선들이 만나 서로 간섭하게 되고, 결국 3D 입체 영상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본래 의미의 디지털 홀로그램의 경우 계산 과정의 복잡성으로 인해 동영상에 적용하기에는 아직 기술적 한계가 있고, 더 나아가 3D 입체 영상이 오픈된 공간에서 재현되기에는 그 화질이나 재현 정도가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래 의미의 디지털 홀로그램이 제대로 구현되기 전에 이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별도의 방식들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진정한 의미의 홀로그램이 아니라 이를 흉내 내어 입체 영상을 나타내거나 또는 영상이 특정 공간에 띄워져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것을 통칭하여 '유사 홀로그램'이라 통칭한다.
즉, 진정한 홀로그램의 세계로 진입하기 전단계로 최근에는 이러한 유사 홀로그램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이다.
플로팅방식의 홀로그램은 프로젝터로 2차원의 대형 투명 막에 고해상도 영상을 쏘아 공중에 떠있는 것과 같은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공연과 전시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또한, 4면의 각도에서 영상을 쏘아 보는 멀티플 홀로그램 방식도 있는데 마치 허공에 뜬 영상이 피라미드와 같다고 해서 피라미드 홀로그램 이라고도 한다. 이는 결국 각각의 네 가지 그림이 끊임없이 정보를 내보내고 있는 것으로 그 반사된 영상을 관찰자들이 하나의 떠 있는 홀로그램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소정의 영상이 허공에 떠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모두 '유사 홀로그램'이라 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개인용 소장용 소형 박스에도 이러한 유사 홀로그램 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예를 들어 SKT 사의 홀로박스나 일본 게이트박스 사의 홀로그램 가상 홈 로봇 등이 그 예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개인 소장용 유사 홀로그램 박스의 경우 무대에서 이용되는 전통적인 플로팅 홀로그램 기법을 이용하고 있다.
즉, 별도의 프로젝터가 영상을 송출하고, 그 송출된 영상이 반투명 투과막에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은 그 반투명 투과막에 표시되는 영상이 뒷 배경과 함께 보이므로 마치 공중에 떠 있는 영상이라고 착각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사 홀로그램 박스(1)의 경우에는 소정의 원통형 바디(10)의 내부에 일종의 스크린(11)이 구비되어 있고, 외부에 구비된 프로젝터(20)의 투사부(21)가 영상을 송출하여 해당 스크린에 비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종래의 유사 홀로그램 박스 기술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영상이 표시되는 것(반투명 스크린(11))과 영상을 송출하는 것(프로젝터 투사부(21))이 공간상 일정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분리되거나 또는 반사 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전체적인 부피를 소형화하는데 제한이 있다.
즉, 종래의 유사 홀로그램 박스의 경우에는 무대에서 이용되는 종래의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을 그대로 차용한 것에 불과하여,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597628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다 단순한 구조 및 방식을 통해 유사 홀로그램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유사 홀로그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는, 내부가 비치도록 하되, 빛 투과율 조절 처리를 하여 외부 밝기보다 내부 밝기가 더 어둡도록 구성된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 아래에 장착되고, 영상 이미지를 생성 또는 재생하기 위한 영상 제어 장치가 구비된 하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바디의 영상 제어 장치가 전송하는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여 외부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되,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때는 거울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방향 전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하프 미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프 미러부는 아크릴과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베이스 부재 표면에 니켈, 알루미늄, 티타튬, 크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착 또는 도포에 의해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니켈, 알루미늄, 티타튬, 크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착 또는 도포에 의해 박막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을 감싸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앞/뒤로 돌출된 패널 프레임과; 일측 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패널 프레임과 동시에 맞닿도록 굴곡 형성되고, 타측 면은 굴곡없이 평면이 되도록 이루어진 하프 미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바디의 표면에는 외부의 가시광선 투과율 조절을 위한 검정색 반투명 시트지가 부착된 거나, 검정색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바디는 사출 공정시 투입된 가시광선 투과율 조절용 검정색 염료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확한 검정색의 표현을 위해 복수 개의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영상 이미지가 마치 공간 또는 공중에 떠 있는 듯한 효과 즉, 유사 홀로그램 효과를 달성함에 있어서, 영상 이미지를 송출하는 별도의 프로젝터가 필요 없게 되므로, 유사 홀로그램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에 의해 송출된 이미지가 직접 또는 반사에 의해 스크린에 비춰지는 경우 그 화질이 선명하지 못한 단점이 있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그 자체에서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므로 뚜렷한 화질 개선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종의 하프 미러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존재를 사용자들에게 숨겨, 영상 이미지가 공간 또는 공중에 떠 있는 듯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사 홀로그램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유사 홀로그램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4는 하프 미러 구현을 위한 재료가 도포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일부 영역을 절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영상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m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에서 별도의 외곽 프레임이 없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별도의 하프 미러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에서 외곽 프레임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별도의 하프 미러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고안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또는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100)는 상부 바디(200), 하부 바디(300), 디스플레이 장치(210), 영상 재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바디(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함과 아울러 내부가 비치도록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 이미지가 외부로 투과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부 바디는 빛 투과율 처리를 하여 외부 밝기보다 내부 밝기가 더 어둡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외부로부터의 빛 투과율이 내부로부터의 빛 투과율보다 낮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바디(200) 주변에 위치한 조명 등 인공 광 또는 자연광들의 전체 양 중에서 상부 바디(200) 내부로 투과되는 양 보다 상부 바디(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인공광의 전체 양 중에서 상부 바디(200) 외부로 투과되는 양이 더 많도록 상부 바디(200)가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 바디(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인공광은 상부 바디(200) 내부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의한 것인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이처럼 상부 바디(200)는 외부보다 상부 바디(200) 내부가 더 어둡도록 하기 위해 상부 바디(200) 표면에 상부 바디(200) 내부를 어둡게 만드는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상부 바디(200) 재료 자체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바디(200)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는데, 그 표면에 외부의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 조절을 위한 유색(바람직하게는 검정색) 반투명 시트지가 부착된 거나, 유색(바람직하게는 검정색) 도료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유색 도료의 도포는 증착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출 공정을 통해 상부 바디(200) 몰드를 증착 기계에 넣어 색을 입히거나 코팅하는 방식으로 가시광선을 조절하는 착색제를 상부 바디(200)에 가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부 바디(200)는 사출 공정시 투입된 가시광선 투과율 조절용 검정색 염료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바디(200)를 생성하는 사출 공정에서는 컬러 안료(파우더/알갱이 모양 등)의 삽입 비율을 조정하는데, 피리돈 아조 등의 유사 염료를 가미하여 눈부심을 유발하는 옐로우 파장을 조절하며, 검정 염료를 조절함으로써 7~15%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진 상부 바디(2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부 바디(200) 안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표시되는 영상 이미지에 대한 집중도 개선을 위한 어두운 환경이 형성됨은 물론이고, 상부 바디(200) 외관의 시안성 개선 효과가 있다.
여기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7% 미만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바디(200)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밝기를 더 높여야 하므로 전력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가시광선 투과율이 15% 초과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바디(200)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주변부가 충분히 어두워지지 않아 본 고안이 달성하고자 하는 유사 홀로그램 효과가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상부 바디(200)를 어둡게 하게 위해 다른 방식들이 적용될 수도 있지만, 유색 도료 도포 방식의 경우에는 상부 바디(200) 양산 이후에 추가적인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종래의 상부 바디(200) 양산 공정을 바꿀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고, 검정색 시트지를 부착하는 방식은 균일하게 투과율이 조절된 시트지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부 바디(200)에서의 빛 투과율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그 빛 투과율을 부착 전에 미리 예상할 수 있어서 투과율 조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 바디(200)의 사출 공정시에 검정색 염료가 내부에 포함되도록 하는 방식은 상부 바디(200)의 표면이 긁히거나 손상을 입는다 하여도 전체적인 빛 투과율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즉, 상부 바디(200) 외부 표면의 손상에도 그 불투명도가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방식들의 처리 즉, 시트지, 유색 도료 도포 또는 유색 안료 삽입 등의 처리는 상부 바디(200) 전체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전면부 방향에만 그러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10) 뒤쪽으로는 빛이 전혀 투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하프 미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부 바디(200) 표면에 대한 색상 처리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오히려,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하프 미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부 바디(200)는 무색 투명한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하프 미러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후술하는 하부 바디(300)의 영상 제어 장치(310)에서 재생되는 영상 이미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실제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디스플레이 패널에 빛을 비추는 백라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자체 발광 소자이면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보다 정확한 검정색 재현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215)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확한 검정색 재현이 중요한 이유는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특정 객체(예를 들어 사람 영상 이미지)를 표시할 때 그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검정색에 가까울수록 해당 객체가 공간에 떠 있는 효과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사 홀로그램 효과의 달성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OLED 패널(215)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210)(디스플레이 패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테두리(211)가 없거나 적어도 1mm 이하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소정의 영상 이미지를 표시할 때 그 영상 이미지가 공중에 떠 있는 듯한 효과 즉, 유사 홀로그램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1mm 초과가 되는 경우 테두리가 두드러지게 눈에 띄어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존재를 알아차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양쪽 끝단과 상하 끝단이 상부 바디(200) 내부 면과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역시 상부 바디(200)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있는 것을 사용자들이 알아채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서, 이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사 홀로그램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상술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 이외에도 원형이나 기타 비정형 다각형 형상을 할 수도 있고, 또한 상부 바디(200) 내부 면과 맞닿지 않고 약간의 간격이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후 상부 바디(200) 내부 면과 맞닿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유사 홀로그램 효과가 더 커지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상하 끝단이 상부 바디(200) 내부 면과 맞닿도록 구성됨에 반해 양쪽 끝단은 상부 바디(200) 내부 면과 닿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차(210)의 좌/우측 끝단과 상부 바디(200) 내부 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뒤쪽 사물이 보이도록 함으로써 결국 본 고안이 달성하고자 하는 유사 홀로그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바디(2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상부 바디(200) 내부 중앙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원통 형상에 의한 빛의 굴절 등에 의해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표시되는 영상 이미지의 입체 효과를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때는 외부로부터 상부 바디로 진입한 빛을 반사하여 거울 효과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종의 하프 미러(즉, 안쪽 영상 이미지에 따른 빛은 통과시켜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상부 바디로 진입하는 빛은 반사시키는 하프 미러) 효과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영상 이미지 송출 방향의 면)에 하프 미러의 형성 또는 부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이미지가 표시될 때는 그 거울 효과가 상대적으로 반감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때는 거울 효과가 상승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평상시에는 상부 바디(200) 내부에 소정의 거울이 있는 것처럼 착각하게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이미지가 표시될 때는 그 표시 영역은 마치 공간에 떠 있는 착각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와 연결되는 핀 구조 등을 제외하고는 디스플레이 패널(215)만으로 구성된 것이라 가정하는데, 이때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215)에 니켈, 알루미늄, 티타튬, 크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착 또는 도포에 의해 박막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 그 자체가 영상 이미지를 송출하지 않을 때는 거울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처럼 거울 효과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215) 전면에 상술한 박막(218)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원통 형상의 상부 바디(200) 중앙 부분에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배치되고 그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양쪽 및 상하 끝단이 상부 바디(200)의 내부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상부 바디(200) 내면 사이에 별도의 고정용 프레임(미 도시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고정용 프레임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10)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와 맞닿고 고정용 프레임의 타 측면은 상부 바디(200) 내부 면과 맞닿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용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상부 바디(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고정용 프레임은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사 홀로그램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그 색상은 검정색과 같이 어두운 색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써, 고정용 프레임의 좌/우측 끝단은 상부 바디(200) 내부 면과 맞닿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용 프레임과 상부 바디(200) 내부 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뒤쪽 사물이 보이도록 함으로써 결국 본 고안이 달성하고자 하는 유사 홀로그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하부 바디(300)는 상부 바디(200) 아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부 바디(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하부 바디(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를 위한 각종 전자 장치들 즉, 영상 제어 장치(310)를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영상 제어 장치(310)는 영상 이미지 생성 또는 재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영상 제어 장치(310)의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제어 장치(310)는 저장부(314), 입력부(311), 통신부(312), 제어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314)는 영상 제어 장치(3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특히 영상 재생을 위한 각종 콘텐츠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311)는 사용자의 입력이나 각종 센서(미 도시함)에 의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센서를 통한 주변 환경에 따라 후술하는 제어부(313)가 특정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한다.
통신부(312)는 외부의 소정 장치 또는 소정 서버와 통신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랜 통신(와이파이)모듈 ,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 종래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각종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통신부(312)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정보(예를 들어, 오늘의 날씨 정보, 대기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13)는 입력부(311) 또는 통신부(312)를 통해 수신되는 명령 또는 각종 정보에 따라 저장부(314)에 저장된 콘텐츠를 실시간 재생시키거나 또는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313)는 이렇게 재생되거나 생성한 콘텐츠를 상술한 상부 바디(200)의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313)와의 통신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2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단자(212)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접촉 단자(212) 대신에 플랫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에 의해 제어부(313)와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하프 미러 효과를 내도록 하는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와 비교되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디스플레이 패널(215)과, 별도의 하프 미러부(217',2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215)은 실제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LCD 패널, 또는 OLED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하프 미러부(217',218')는 디스플레이 패널(215)의 표시 방향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1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15) 자체가 하프 미러 역할을 수행함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하프 미러부(217',218')가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하프 미러부(217',218')는 아크릴과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베이스 부재(217') 표면에 니켈, 알루미늄, 티타튬, 크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착 또는 도포에 의해 박막(218')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은 별도의 베이스 부재(아크릴 또는 유리 등)(217')에 크롬 등을 박막(218') 형태로 형성하였다는 점이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15) 또는 하프 미러부(217',218') 각각의 교체가 가능하여 교체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프 미러부(217',218')의 크기를 디스플레이 패널(215)의 크기보다 더 크게 한 경우, 홀로그램 효과를 더 극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하프 미러부(217',218')의 전체 크기의 1/2 정도가 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15)을 형성하고, 하프 미러부(217',218')의 중간에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215)이 부착되도록 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이미지는 마치 하프 미러부(217',218')의 중간 소정 영역이 되는 공간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215)과 상술한 하부 바디(300)간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연결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215)과는 달리 빛을 방출하는 것은 아니므로 하프 미러부(217',218')에 의해 보이지 않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15)과 하부 바디(300)간 연결 인터페이스 위치에 대응되는 하프 미러부(217',218')는 결과적으로 여전히 거울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고, 디스플레이 패널(215) 위치에 대응되는 하프 미러부(217',218')는 결과적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유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디스플레이 패널(215) 주변에 테두리 즉, 외곽 프레임이 없는 경우를 일 예로 하였는데, 디스플레이 패널(215) 주변에는 영상 이미지 신호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15)을 보호 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외곽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별도의 하프 미러부(217",218")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은 앞서 설명한 제2 실시예와 같고,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15")에 외곽 프레임(즉, 패널 프레임)(216")이 추가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디스플레이 패널(215")과, 패널 프레임(216")과, 하프 미러부(217",2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21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고, 패널 프레임(216")은 디스플레이 패널(215") 외곽을 감싸되 디스플레이 패널(215")보다 앞/뒤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즉, 디스플레이 프레임(216")의 두께는 디스플레이 패널(215")보다 더 두꺼운 것이다.
하프 미러부(217",2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15")에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곳에서는 유리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이미지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 대응되는 곳에서는 거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하프 미러부(217",218")의 크기는 패널 프레임(216")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215") 전체 크기보다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하프 미러부(217",218")는 패널 프레임(216")은 물론이고 디스플레이 패널(215")과 일측면에 밀착하여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15")과 하프 미러부(217",218")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영상 이미지가 보다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프 미러부(217",218")의 일측 면(즉, 패널 프레임(216") 및 디스플레이 패널(215")과 맞닿는 면)은 패널 프레임(216") 및 디스플레이 패널(215")의 높이에 맞춰 굴곡 형성되고, 타측 면(즉, 상술한 일측 면의 반대 면)은 굴곡없이 평면이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프 미러부(217",218")의 일측 면이 디스플레이 패널(215") 및 패널 프레임(216")과 맞닿아 있는 상태가 도 8(b)에 도시되었다.
도 8(b)는 도 8(a)에 나타난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하프 미러부(217",218")의 일측 면 즉, 아랫 면은 디스플레이 패널(215") 및 패널 프레임(216") 모두와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반대 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결국 패널 프레임(216") 쪽에는 얇게, 디스플레이 패널(215") 쪽에는 두껍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고안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100',100" : 유사 홀로그램 장치 200 : 상부 바디
300 : 하부 바디 210,210',210" : 디스플레이 장치
310 : 영상 제어 장치 311 : 입력부
312 : 통신부 313 : 제어부
314 : 저장부

Claims (8)

  1. 360도 방향으로 내부가 비치도록 하되, 빛 투과율 조절 처리를 하여 외부 밝기보다 내부 밝기가 더 어둡도록 구성된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 아래에 장착되고, 영상 이미지를 생성 또는 재생하기 위한 영상 제어 장치가 구비된 하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바디의 영상 제어 장치가 전송하는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여 외부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되,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때는 외부로부터 상기 상부 바디로 진입한 빛을 반사하여 거울 효과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방향 전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하프 미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부는 아크릴과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베이스 부재 표면에 니켈, 알루미늄, 티타튬, 크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착 또는 도포에 의해 박막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니켈, 알루미늄, 티타튬, 크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착 또는 도포에 의해 박막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을 감싸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앞 또는 뒤로 돌출된 패널 프레임과;
    일측 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패널 프레임과 동시에 맞닿도록 굴곡 형성되고, 타측 면은 굴곡없이 평면이 되도록 이루어진 하프 미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의 표면에는 외부의 가시광선 투과율 조절을 위한 검정색 반투명 시트지가 부착된 거나, 검정색 도료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는 사출 공정시 투입된 가시광선 투과율 조절용 검정색 염료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확한 검정색의 표현을 위해 복수 개의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장치.
KR2020180004809U 2018-10-23 2018-10-23 유사 홀로그램 장치 KR200494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809U KR200494309Y1 (ko) 2018-10-23 2018-10-23 유사 홀로그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809U KR200494309Y1 (ko) 2018-10-23 2018-10-23 유사 홀로그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65U KR20200000865U (ko) 2020-05-06
KR200494309Y1 true KR200494309Y1 (ko) 2021-09-10

Family

ID=7061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809U KR200494309Y1 (ko) 2018-10-23 2018-10-23 유사 홀로그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0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8692A (ja) * 2015-07-15 2017-02-02 株式会社ウィンクル 立体映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2064B2 (ja) * 2009-11-17 2015-06-10 エーテーハー チューリヒ 透明裸眼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KR20150128134A (ko) * 2014-05-08 2015-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디스플레이
KR101597628B1 (ko) 2014-11-17 2016-03-08 주식회사 헬로앱스 유사 홀로그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사 홀로그램의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8692A (ja) * 2015-07-15 2017-02-02 株式会社ウィンクル 立体映像表示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튜브, [online], 2015. 09. 05., [2019. 08. 20. 검색], 인터넷: <URL: https://www.youtube.com/watch?v=pzh382EF3i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65U (ko)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825B1 (ko) 보정한 단안의 깊이 단서를 갖는 접안 순차 라이트 필드 프로젝터
CN104067159B (zh) 显示装置
US6813083B2 (en) Device f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image with background
US1153695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8537046A (ja) 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並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810463A (zh) 混合显示系统
CN107438796A (zh) 近眼显示装置
CN107924061A (zh) 光学装置及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CN102830490A (zh) 显示设备
CN102375235A (zh) 显示设备
AU2012352273A1 (en) Display of shadows via see-through display
CN108027507A (zh) 可调整瞳孔距离可穿戴显示器
KR102129244B1 (ko) 3차원 물체 인쇄에서 깊이를 이용하여 시야각 및 조명각에 따라 변하는 색들의 형성
CN108873330A (zh) 头戴式显示装置以及适应性遮罩方法
US1118789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6618048B2 (ja) 照明装置及び画像記録媒体
CN105911696A (zh) 一种虚拟现实映像装置以及一体式虚拟现实设备
KR102037520B1 (ko) 입체감을 강화한 홀로그램 영상 재생 시스템
JP2001508553A (ja) 立体ホログラムディスプレイ(holdisp)
JP2015043317A (ja) 照明装置及び画像記録媒体
US10642223B2 (en) Holographic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mputer non-transient 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0494309Y1 (ko) 유사 홀로그램 장치
US6781619B1 (en) Parallax image string pickup apparatus
US6822772B2 (en) Holographic display
KR20190003063U (ko) 유사 홀로그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3024;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30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214

Effective date: 20210518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