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116B1 -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116B1
KR101798116B1 KR1020150142086A KR20150142086A KR101798116B1 KR 101798116 B1 KR101798116 B1 KR 101798116B1 KR 1020150142086 A KR1020150142086 A KR 1020150142086A KR 20150142086 A KR20150142086 A KR 20150142086A KR 101798116 B1 KR101798116 B1 KR 10179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play
link
angl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2900A (ko
Inventor
곽수만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 힌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 힌지텍 filed Critical (주)에이스 힌지텍
Priority to KR102015014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11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본체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하단이 상기 본체의 상면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저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와; 상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와, 상단이 상기 제1링크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본체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상단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각도가 조절될 때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로 이루어진 링크연결체;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의 설정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gle control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컴퓨터와 이를 이용한 각종 전자기기들, 예를 들면 노트북이나 일부 의료장치들이 휴대 가능한 사이즈로 제작되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본체와, 이 본체의 작동에 의하여 표시되는 각종 정보들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는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는 세워서 각종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절첩하거나 눕혀서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전에는 시중에서 사용하는 노트북과 같이 디스플레이 부분을 절첩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 부분이 본체의 키보드가 있는 부분에 접하도록 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는데, 근래에는 디스플레이의 화면 부분이 위쪽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화면 부분과 본체의 키보드가 있는 부분이 서로 접하지 않는 방식도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근래의 방식을 갖는 전자기기는 사용을 할 때 디스플레이 부분이 뒤로 약간 밀리면서 디스플레이의 선단 부분이 앞쪽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아직까지 상당히 복잡한 구성을 갖고 있어서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그 회동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6427호 (2015.01.20.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본체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설정 각도를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그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있는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본체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하단이 상기 본체의 상면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저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와; 상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와, 상단이 상기 제1링크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본체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상단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각도가 조절될 때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로 이루어진 링크연결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돌출블록과; 상기 돌출블록을 연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각도가 조절될 때 상기 이동돌기가 상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패널;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겹쳐졌을 때 상기 지지판과 가이드 및 링크연결체가 삽입되는 수납홈이 상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면에 상기 지지판과 연결되는 스프링이 설치되되,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판이 본체의 상면에서 직립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저면 양쪽에는 고정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겹쳐졌을 때 상기 고정후크와 결합되는 걸림후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걸림후크를 동작시키는 조작버튼이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고정후크와 걸림후크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로부터 움직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설정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판이 회동하기 때문에 결국 디스플레이의 본체에 대한 각도 설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쪽에 있는 가이드에 의해 지지를 받으면서 제1링크와 제2링크가 회동을 하여 디스플레이의 각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회동을 하면서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아 각도조절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각도조절수단을 보인 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각도조절과정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각도조절수단을 보인 도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각도조절과정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200)와, 상기 본체(100)와 디스플레이(200) 사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전자기기의 동작과 성능 구현을 위한 각종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이 본체(100)에는 수납홈(110)이 형성되고, 걸림후크(120)가 구비되며, 조작버튼(130)이 구비됨과 아울러 삽입돌기(14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수납홈(110), 걸림후크(120), 조작버튼(130) 및 삽입돌기(140)와 같이 본체(10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상면에 각종 정보들이 시각적으로 표현됨과 아울러 조작에 필요한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고, 저면이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인접한다.
좀 더 부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적층되는 것과 같은 형태로 겹쳐지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본체(100)의 조작버튼(130)을 누르면 본체(100)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뒤쪽으로 살짝 밀리면서 본체(100)의 상면에 누워있던 상태에서 서는 상태로 변경되고, 이로 인하여 본체(100)와 일정각도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200)는 저면 양측에 삽입홈(2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210)은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상비 본체(100)의 상면에 겹쳐졌을 때, 즉 디스플레이(200)와 본체(100)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었을 때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삽입돌기(14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은 지지판(310)과, 한 쌍의 가이드(320) 및 링크연결체(3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310)은 판재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본체(100)의 상면과 힌지결합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저면에 힌지결합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00)와 본체(100)의 각도가 조절될 때는 지지판(310)의 상단과 하단이 회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310)의 저면 양쪽에는 고정후크(311)가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320)는 상기 지지판(310)의 저면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320)는 2개의 돌출블록(321)과, 상기 2개의 돌출블록(321)을 연결하는 가이드패널(3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블록(321)은 상기 지지판(310)의 저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패널(322)은 상기 돌출블록(321)을 연결하고, 돌출블록(321)은 일정한 높이를 갖기 때문에 가이드패널(322)과 지지판(310)의 저면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패널(322)은 상기 본체(100)에 대한 디스플레이(200)의 설치각도가 조절될 때 후술할 링크연결체(330)의 이동돌기(333)가 상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는 곳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패널(322)은 링크연결체(330)의 이동돌기(333)의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각도 고정이 용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일자의 바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이동돌기(333)가 접면하는 상면은 돌출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가이드패널(322)은, 상부와 하부에 돌출블록(321)이 연결고정되는 블록홀(322-1)을 형성하고, 내측면, 즉 이동돌기(333)가 접촉되는 상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기울기를 가지며 형성된 경사면(322a)과, 상기 경사면(322a)과 연장되어 돌출부를 형성하는 만곡턱면(322b)과, 상기 만곡턱면(322b)과 연장되고 상기 이동돌기(333)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는 안착면(322c)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돌기(333)는 상기 가이드패널(322)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한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이동돌기(333)의 이동은 상기 돌출블록(321) 사이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돌출블록(321)은 이동돌기(333)가 더 이상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돌출블록(321)의 스토퍼 역할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본체(100)에 대한 각도 조절도 일정하게 제한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연결체(330)는 제1링크(331)와, 상기 제1링크(331)에 연결되는 제2링크(332)와, 상기 제2링크(332)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돌기(3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331)는 상단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저면에 힌지결합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332)는 상단이 상기 제1링크(331)의 하단에 힌지결합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동돌기(333)는 상기 제2링크(332)의 상단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돌기(333)는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각도가 조절될 때 상기 가이드(320)를 따라 이동한다.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하였지만 좀 더 부연설명을 한다면, 상기 이동돌기(333)는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저면과 가이드패널(322)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동시에 일정거리 이격된 2개의 돌출블록(321)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이동돌기(333)는 본체(100)에 대한 디스플레이(200)의 각도가 조절될 때 돌출블록(321)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서 제1링크(331)와 제2링크(332)가 서로 회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동돌기(333)는 상기 가이드패널(322)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한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이동돌기(333)의 이동은 상기 돌출블록(321) 사이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돌출블록(321)은 이동돌기(333)가 더 이상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돌출블록(321)의 스토퍼 역할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본체(100)에 대한 각도 조절도 일정하게 제한을 받게 된다.
앞서 상기 본체(100)는 상면에 수납홈(110)이 형성되고, 걸림후크(120)와 조작버튼(130)이 구비된다고 하였다.
상기 수납홈(110)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데, 이 수납홈(110)은 상기 지지판(310)과 가이드(320) 및 링크연결체(330)가 삽입된다.
부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겹쳐지면 상기 각도조절수단, 즉 지지판(310)과 가이드(320) 및 링크연결체(330)가 디스플레이(200)의 저면과 본체(10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수납홈(110)이 없으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각도조절수단(300) 때문에 디스플레이(200)가 본체(100)의 상측에 떠 있는 것처럼 된다. 따라서, 각도조절수단(300)을 어딘가에 수납하여 디스플레이(200)의 저면을 본체(100)의 상면에 최대한 인접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데, 바로 이러한 기능을 하는 것이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수납홈(110)이다.
이렇게 수납홈(110)에 지지판(310)과 가이드(320) 및 링크연결체(330)가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200)의 저면과 본체(100)의 상면은 최대한 인접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후크(12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판(310)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후크(311)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200)가 본체(100)의 상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겹쳐졌을 때 상기 고정후크(311)와 상기 걸림후크(120)는 결합되어 디스플레이(200)가 본체(100)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버튼(130)은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조작버튼(130)은 상기 걸림후크(120)를 동작시키는 버튼으로서, 상기 조작버튼(130)을 눌렀을 때 상기 고정후크(311)와 걸림후크(120)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움직이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상면에 상기 지지판(310)과 연결되는 스프링(400)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지지판(310)이 본체(100)의 상면에서 직립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400)은 코일스프링과 같은 형태를 취하는 스프링으로서, 일단이 상기 본체(100)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판(310)에 접촉되는데, 항상 상기 지지판(310)을 일으켜 세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지판(310)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후크(120)와 고정후크(311)의 결합이 해제되면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본체(100)의 수납홈(110)에 누워 있던 지지판(310)이 회동을 하면서 서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구성되지만, 상기 본체(100)와 디스플레이(20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강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보강판(150)을 설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저면에 마찬가지로 보강판(22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본체(100)와 디스플레이(200)에 각각 보강판(150,220)이 설치되면, 상기 본체(100)의 보강판(150)과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보강판(220)에 지지판(310)과 링크연결체(330)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더불어 상기 스프링(400)의 일단이 본체(100)의 보강판(15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만약, 본체(100)에 보강판(150)이 설치되지 않는다면 디스플레이(200)의 각도조절행위가 장시간 반복되었을 때 스프링(400)의 일단이 본체(100)를 파고 들어가서 본체(100)를 파손할 염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작동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체(10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200)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 즉 본체(10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200)가 적층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버튼(130)을 누르면 결합되어 있던 걸림후크(120)와 고정후크(311)의 결합관계가 해제된다.
스프링(400)은 각도조절수단(300)의 지지판(310)에 계속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었기 때문에 걸림후크(120)와 고정후크(311)의 결합관계가 해제되면,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본체(100)의 수납홈(110)에 누워 있던 지지판(310)이 본체(100)와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판(310)이 회동을 하게 되면, 디스플레이(200)에 가까운 돌출블록(321)에 인접해 있던 이동돌기(333)가 가이드패널(322)을 타고 이동하여 본체(100)에 가까운 돌출블록(321)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돌기(333)는 가이드패널(322)의 경사면(322a)을 타고 이동하고 만곡턱면(322b)을 거쳐 안착면(322c)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이동돌기(333)가 가이드패널(322)의 경사면(322a)을 타고 이동하면서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면(322c)에 안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면서 안정적인 각도조절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제1링크(331)와 제2링크(332)는 회동을 하여 제1링크(331)와 제2링크(332)가 이루는 각은 점점 작아지게 된다.
이렇게 이동돌기(333)가 가이드패널(322)을 타고 이동하다가 본체(100)에 가까운 돌출블록(321)에 접촉되면 더 이상 지지판(310)이나 제1링크(331) 및 제2링크(332)는 회동을 하지 않게 되고, 결국 디스플레이(200)도 본체(100)로부터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로써, 본체(100)에 대한 디스플레이(200)의 설치각도 조정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본체 110: 수납홈
120: 걸림후크 130: 조작버튼
140: 삽입돌기 150: 보강판
200: 디스플레이 210: 삽입홈
220: 보강판 300: 각도조절수단
310: 지지판 311: 고정후크
320: 가이드 321: 돌출블록
322: 가이드패널 330: 링크연결체
331: 제1링크 332: 제2링크
333: 이동돌기 400: 스프링

Claims (7)

  1.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200)와, 상기 본체(100)와 디스플레이(200) 사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300)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은,
    하단이 상기 본체(100)의 상면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단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판(310)과; 상기 지지판(310)의 저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320)와; 상단이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331)와, 상단이 상기 제1링크(331)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332)와, 상기 제2링크(332)의 상단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각도가 조절될 때 상기 가이드(32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333)로 이루어진 링크연결체(330);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320)는,
    상기 지지판(310)의 저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돌출블록(321)과; 상기 돌출블록(321)을 연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각도가 조절될 때 상기 이동돌기(333)가 상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패널(322);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패널(322)의 상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를 가지며 형성된 경사면(322a)과, 상기 경사면(322a)과 연장되어 돌출부를 형성하는 만곡턱면(322b)과, 상기 만곡턱면(322b)과 연장되고 상기 이동돌기(333)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는 안착면(322c)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겹쳐졌을 때 상기 지지판(310)과 가이드(320) 및 링크연결체(330)가 삽입되는 수납홈(110)이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면에 상기 지지판(310)과 연결되는 스프링(400)이 설치되되,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지지판(310)이 본체(100)의 상면에서 직립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10)의 저면 양쪽에는 고정후크(31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겹쳐졌을 때 상기 고정후크(311)와 결합되는 걸림후크(1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걸림후크(120)를 동작시키는 조작버튼(130)이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버튼(130)을 눌렀을 때 상기 고정후크(311)와 걸림후크(120)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20150142086A 2015-10-12 2015-10-12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1798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86A KR101798116B1 (ko) 2015-10-12 2015-10-12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86A KR101798116B1 (ko) 2015-10-12 2015-10-12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00A KR20170042900A (ko) 2017-04-20
KR101798116B1 true KR101798116B1 (ko) 2017-11-16

Family

ID=5870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086A KR101798116B1 (ko) 2015-10-12 2015-10-12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298B1 (ko) * 2018-01-26 2020-05-13 엠빅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스탠드
KR102268335B1 (ko) * 2019-10-28 2021-06-24 주식회사 아이도트 자궁경부 영상 획득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42036A (zh) 2006-03-23 2007-09-26 张二毛 滑撑机构、传动装置和电动内开内倒窗
US20080304215A1 (en) 2007-06-05 2008-12-11 Accton Technology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stickup structure
US20090040701A1 (en) 2007-08-10 2009-02-12 Quanta Computer Inc.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djustable display panel
US20120307441A1 (en) * 2011-06-02 2012-12-06 Wistron Corporation Keyboard dock and computer system
US20130176663A1 (en) 2012-01-09 2013-07-11 Wistron Corporation Hinge assembly having linear movement and slide type electronic device
JP2014039077A (ja) * 2012-08-10 2014-02-27 Fujitsu Ltd 情報機器及び情報機器のリンク機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42036A (zh) 2006-03-23 2007-09-26 张二毛 滑撑机构、传动装置和电动内开内倒窗
US20080304215A1 (en) 2007-06-05 2008-12-11 Accton Technology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stickup structure
US20090040701A1 (en) 2007-08-10 2009-02-12 Quanta Computer Inc.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djustable display panel
US20120307441A1 (en) * 2011-06-02 2012-12-06 Wistron Corporation Keyboard dock and computer system
US20130176663A1 (en) 2012-01-09 2013-07-11 Wistron Corporation Hinge assembly having linear movement and slide type electronic device
JP2014039077A (ja) * 2012-08-10 2014-02-27 Fujitsu Ltd 情報機器及び情報機器のリン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00A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0883B (zh) 平板型電腦用支持固定具及具備該支持固定具的支持裝置
US7249739B2 (en) Display stand
US6796538B2 (en) Adjusting device
US10098252B2 (en) Hing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ith a hinge device using a sliding position
US2017009052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759372B2 (en) Tablet computer support
KR101798116B1 (ko)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1998437B1 (ko) 통신용 단말기
US9261904B2 (en) Point of sale system
US20150271931A1 (en) Display apparatus
JP2009283937A (ja) ガイドレールのインターロッキング装置
US8955815B2 (en) Supporting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es
JP3106021U (ja) 支持装置付き物品
JP4675609B2 (ja) 棚装置の棚板取付装置
CN203948890U (zh) 固持装置
KR101414794B1 (ko) 문서 고정대를 포함하는 스테이플러
KR102061521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24183A (ko)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되는 테이블
JP4917949B2 (ja) 超音波診断装置
KR20060134558A (ko) 듀얼 화면 표시 장치
CN217113158U (zh) 铰链装置
KR101559239B1 (ko)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US20170114944A1 (en) Support device for monitor or display
KR101864580B1 (ko) 각도 조절장치를 갖는 가구
JP4917948B2 (ja) 超音波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