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091B1 -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 - Google Patents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091B1
KR101798091B1 KR1020170079099A KR20170079099A KR101798091B1 KR 101798091 B1 KR101798091 B1 KR 101798091B1 KR 1020170079099 A KR1020170079099 A KR 1020170079099A KR 20170079099 A KR20170079099 A KR 20170079099A KR 101798091 B1 KR101798091 B1 KR 10179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ed
welded body
welding
torch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김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기 filed Critical 김명기
Priority to KR1020170079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091B1/ko
Priority to PCT/KR2018/004535 priority patent/WO2018236035A1/ko
Priority to CN201810522324.XA priority patent/CN10910850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6Accessories for electrodes, e.g. ignition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도록 위치시키는 준비단계; 상기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는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하나의 면에 토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점용접이 이격된 간격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용접단계; 상기 점용접단계에서 점용접이 이루어진 반대면에 상기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용접을 실시하는 제1본용접단계; 및 상기 점용접단계에서 점용접이 이루어진 면에 상기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용접을 실시하는 제1본용접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WELDING METHOD HAVING UNIFORM BEAD}
본 발명은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비드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를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는 면에 토치를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하는 경우, 토치를 제1피용접체 또는 제2피용접체로부터 기울인 상태에서 위빙을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한번의 용접으로 비드가 형성되는 길이를 최대로 증가시켜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도록 하는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빙을 이용한 용접은 전극봉을 용접방향에 대하여 양측방향으로 교대로 움직이면서 토치를 이동시켜 비드가 형성되도록 하는 용접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위빙을 이용한 용접은 용접을 하는 과정에서 토치의 잦은 유동으로 위빙을 하기 위한 범위를 벗어난 토치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균일한 형태의 비드가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치가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로 작업자의 숙련된 경험을 바탕으로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빙을 하는 과정에서 불균일한 형태의 비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한번의 용접으로 비드가 형성되는 길이가 짧아, 비드와 비드가 연결되는 연결점이 다수 개 증가함에 따라, 상기 연결점에서의 비드 형태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자동화를 통해 용접을 실시하는 다양한 용접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용접 장치는 설치하고 유지하는데 고가의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활용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번의 용접으로 비드가 형성되는 길이를 최대로 증가시키고, 지지된 토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균일한 형태의 비드가 형성되도록 하는 용접방법이 요구된다.
공개특허 제10-2017-0067346호(2017.06.16.) 공개특허 제10-2013-0061297호(2013.06.1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를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는 면에 토치를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하는 경우, 토치를 제1피용접체 또는 제2피용접체로부터 기울인 상태에서 위빙을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한번의 용접으로 비드가 형성되는 길이를 최대로 증가시켜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도록 하는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은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도록 위치시키는 준비단계;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는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하나의 면에 토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점용접이 이격된 간격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용접단계; 점용접단계에서 점용접이 이루어진 반대면에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용접을 실시하는 제1본용접단계; 및 점용접단계에서 점용접이 이루어진 면에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용접을 실시하는 제1본용접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를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는 면에 토치를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하는 경우, 토치를 제1피용접체 또는 제2피용접체로부터 기울인 상태에서 위빙을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한번의 용접으로 비드가 형성되는 길이를 최대로 증가시켜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는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하나의 면에 점용접을 1차적으로 실시하고, 점용접이 실시된 반대면에 제1본용접을 2차적으로 실시한 후, 점용접이 이루어진 면에 본용접을 3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용접시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구부러지는 것을 보정하여 설계에 따른 평평한 형태 또는 직각인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는 부분이 지면과 수직인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토치를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한 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접시 형성되는 비드가 굳기전의 쇳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리기 전에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균일한 형태의 비드가 형성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토치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에 의해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접하는 부분과 토치에 구비되는 전극봉과의 간격이 약 1 ~ 2mm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간격에 의해 균일하게 비드가 형성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준비단계를 나타낸 다양한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지그고정단계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점용접단계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제1본용접단계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제2본용접단계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토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수직인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은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를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면에 토치(400)를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하는 경우, 토치(400)를 제1피용접체(100) 또는 제2피용접체(200)로부터 기울인 상태에서 위빙을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한번의 용접으로 비드(10)가 형성되는 길이를 최대로 증가시켜 균일한 비드(10)가 형성되도록 하는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점용접과 본용접은 용접하는 정도의 차이에 따라 비드(10)가 형성되는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점용접은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부분의 길이(용접이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가 길게 형성된 경우, 길이 방향에 따라 이격된 간격으로 점 형태의 비드(10)가 형성되도록 용접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점용접은 본용접이 이루어지기 전의 사전작업으로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점용접에 의해 임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본용접은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를 본용접을 통해 완전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길이 방향으로 일자 형태의 비드(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은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를 위빙을 이용한 용접을 통해 용접하되, 균일한 비드(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준비단계(S10), 점용접단계(S20), 제1본용접단계(S30) 및 제2본용접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준비단계를 나타낸 다양한 실시예이다.
준비단계(S10)는 용접을 통해 결합시키기 위한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상호간에 접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로,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접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준비단계(S10)는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지면과 수평인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수직인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용접을 하기 위한 피용접체들 간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용접할 부위를 먼저 선정한 후, 상호간에 접합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용접체들의 형태적 특성에 따라 상기 피용접체들의 형태를 고려하여 위치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상호 직각인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면을 갖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준비단계(S10)에서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상호간에 접합된 상태가 되면,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임시적으로 접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점용접단계(S20), 제1본용접단계(S30) 및 제2본용접단계(S40)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밀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준비단계(S10)는 지그고정단계(S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지그고정단계(S1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지그고정단계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지그고정단계(S11)는 후술되는 점용접단계(S20) 및 제2본용접단계(S40)에서 토치(400)의 가이드부(420)가 지그(30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균일한 형태의 비드(10)가 형성되도록 가이드 해줄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지그고정단계(S11)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의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직각인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제1피용접체(100) 또는 제1피용접체(100) 중 선택된 하나에 지그(300)가 인접하도록 배치시킨 후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지그(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피용접체(200)의 하측에 지그(300)가 배치되는 경우, 지그(300)의 일부분이 제2피용접체(200)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1피용접체(100)와 지그(300)가 직각이 형태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용접을 하는 과정에서 토치(400)의 가이드부(420)의 끝단 양측면이 각각 제1피용접체(100)와 지그(300)에 지지된채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이드부(420)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전극봉(430) 끝단이 용접이 이루어지기 위한 부분과 항상 동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420)의 끝단 양측면이 각각 제1피용접체(100)와 지그(300)에 지지되어 전극봉(430)의 끝단이 용접이 이루어지기 위한 부분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접이 이루어지기 위한 부분과 전극봉(430)의 끝단 간격을 유지한 채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용접시 비드(10)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균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420)가 제1피용접체(100)와 지그(300)에 접촉되어 지지되면, 전극봉(430)의 끝단과 용접이 이루어지기 위한 부분, 즉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부분과 약 1 ~ 2mm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용접이 이루어지기 위한 부분과 전극봉(430)의 끝단 간격이 2mm 보다 크면 비드(10)의 크기가 커져 균일한 형태의 비드(10)를 형성할 수 없으며, 상기 간격이 1mm 보다 작으면 용접에 따른 결합력이 저하되어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의 길이방향으로 토치(400)가 이동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토치(400)의 가이드부(420)가 제2피용접체(200)와 지그(300)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토치(400)를 제2피용접체(200)와 지그(300)로부터 접합하였다 분리시켰다를 반복하더라도, 가이드부(420)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전극봉(430)은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여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과 이격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형성되는 비드(10)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며, 용접시, 토치(4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토치(400)를 안정되게 지지하여 비드(10)의 형태가 균일한 모양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지그(300)를 배치시킨 후, 제1피용접체(100) 또는 제2피용접체(200)과 고정시키는 것은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임시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점용접단계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점용접단계(S20)는 준비단계(S10)에서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하나의 면에 토치(400)를 이용하여 다수의 점용접이 이격된 간격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점용접단계(S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량의 비드(10)가 형성되도록 점용접을 실시한 후, 토치(400)를 이동시켜 다른 비드(10)가 형성되도록 점용접을 실시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임시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후술되는 제1본용접단계(S30)와 제2본용접단계(S40)를 통해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의 일측과 타측을 바로 용접하지 않고 점용접을 실시하는 것은, 준비단계(S10)에서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합되도록 한 후, 본용접을 바로 실시하게 되면 본용접이 이루어지는 측으로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점용접을 실시하여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를 임시로 결합하되, 점용접에 의한 소량의 비드(10)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기울어지는 정도를 최소화하고, 후술되는 제1본용접단계(S30)에서 점용접이 이루어진 반대면에 본용접을 함으로써, 점용접시, 기울어진 정도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점용접단계(S20)는 점용접이 이루어지는 면은 후술되는 제2본용접단계(S40)에서 본용접이 이루어지는 면과 동일한 면에서 이루어지며, 점용접단계(S20)와 제2본용접단계(S40)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반대면에서는 후술되는 제1본용접단계(S30)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제1본용접단계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제1본용접단계(S30)는 점용접단계(S20)에서 점용접이 이루어진 반대면에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용접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1본용접단계(S3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점용접단계(S20)에서 점용접이 이루어지는 측으로 기울어진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에서 점용접이 이루어진 반대면에 본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본용접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다시 기울어지게 되어 원래의 형태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용접시 기울어진 정도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제1본용접단계(S30)에서 본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형태로 이루어진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 사이에 토치(400)의 가이드부(420) 끝단 양측면이 각각 접합도록 지지한 채 토치(400)를 위빙 하면서 이동시켜 본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제2본용접단계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제2본용접단계(S40)는 점용접단계(S20)에서 점용접이 이루어진 면에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용접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1본용접단계(S30)는 제1본용접단계(S30)에서 본용접이 이루어진 면의 반대면에 본용접을 실시하는 단계로, 점용접단계(S20)에서 점용접에 의해 비드(10)가 형성된 부분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2본용접단계(S40)는 제1본용접단계(S30)의 본용접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되며, 토치(400)의 가이드부(420) 끝단 양측면 각각이 제1피용접체(100)와 지그(300)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한 후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점용접단계(S20), 제1본용접단계(S30) 및 제2본용접단계(S40)에서 용접시, 토치(400)가 경사지도록 뉘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토치(400)가 제1피용접체(100) 또는 제1피용접체(100)와 이루는 경사각은 약 45°~ 7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토치(400)가 기울어지는 경사각이 45° 보다 작으면, 토치(400)가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로부터 과도하게 기울어져 토치(400) 끝단에 형성된 전극봉(430)의 끝단이 용접이 이루어지고자 하는 부분과 인접하지 않아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경사각이 75° 보다 크면, 토치(400)가 용접이 이루어지고자 하는 부분과 수직인 상태와 유사하게 되어, 용접시 토치(4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토치(400)가 기울어진 경사각을 유지하기 어려워 이러한 토치(400)의 유동에 따라 균일한 형태의 비드(10)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토치(400)가 경사지도록 뉘어지는 방향은 토치(400)가 용접을 위해 진행하는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가 토치(400)를 파지하고, 작업자 측으로 경사지도록 한 후, 작업자와 멀어지는 측으로 토치(400)를 이동시킴으로써,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용접시 토치(400)가 이동함에 있어,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합한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쇳물을 밀어내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쇳물이 굳기 전의 유채 상태에서 유동하게 되면 비드(10)의 형태가 흐트러진 후 굳기 때문에, 상기 비드(10)의 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균일한 형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제1본용접단계(S30)와 제2본용접단계(S40)에서 위빙을 이용하여 본용접을 실시하는 토치(400)는 가이드부(420) 끝단에 테이퍼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토치(400)를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7는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토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토치(400)는 몸체(410), 상기 몸체(410)의 이측에 구비된 가이드부(420) 및 상기 몸체(410)에 설치되어 가이드부(420)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극봉(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부(420)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봉(430)의 길이는 직각으로 이루어진 면에 가이드부(420)의 끝단 외측면 각각이 직각으로 이루어진 면에 접촉되면, 지각으로 이루어진 모서리 부분과 약 1 ~ 2mm 이격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가.
설계조건에 따라, 가이드부(420)는 끝단에, 몸체(410) 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부(421)는 용접시 토치(400)가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 사이 또는 제1피용접체(100)와 지그(300) 사이에 위치한 경우, 가이드부(420)의 끝단, 즉 테이퍼부(421)가 형성된 외주면은 상기 제1피용접체(100), 제2피용접체(200) 또는 지그(300)에 면접하여 지지되는데, 이때, 경사진 형태의 특성에 의해 토치(400)의 경사각을 작업자가 임의로 조작하지 않아도 상기 경사진 형태의 테이퍼부(421)에 의해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기울어진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부(421)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제1테이퍼부(421a), 제2테이퍼부(421b) 및 제3테이퍼부(42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테이퍼부(421a)는 가이드부(420) 끝단에 일부 형성되며, 몸체(410) 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420)의 외주면과 45°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 토치(400)를 피용접체(100, 200) 또는 지그(300)에 접하게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피용접체(100, 200) 또는 지그(300)와 면접하게 되면, 토치(400)의 경사각이 45°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테이퍼부(421b)는 가이드부(420) 끝단에 일부 형성되며, 몸체(410) 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420)의 외주면과 60°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 토치(400)를 피용접체(100, 200) 또는 지그(300)에 접하게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피용접체(100, 200) 또는 지그(300)와 면접하게 되면, 토치(400)의 경사각이 60°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3테이퍼부(421c)는 가이드부(420) 끝단에 일부 형성되며, 몸체(410) 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420)의 외주면과 75°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 토치(400)를 피용접체(100, 200) 또는 지그(300)에 접하게 위키시키는 경우, 상기 피용접체(100, 200) 또는 지그(300)와 면접하게 되면, 토치(400)의 경사각이 75°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제1테이퍼부(421a), 제2테이퍼부(421b) 또는 제3테이퍼부(421c)를 선택적으로 피용접체(100, 200) 또는 지그(300)와 면접하도록 함으로써, 토치(400)의 경사각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에서 제1피용접체와 제2피용접체가 수직인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한편,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수직인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토치(400)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직인 형태로 이루어진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준비단계(S10)를 통해 상기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일측면에 점용접을 실시한 후, 타측면에 제1본용접단계(S30)를 통해 본용접을 실시하고, 점용접이 실시된 일측면에 제2본용접단계(S40)를 통해 본용접을 실시하되, 모든 용접과정이 토치(400)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형태의 비드(1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토치(400)를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한 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접시 형성되는 비드(10)가 굳기전의 쇳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리기 전에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균일한 형태의 비드(1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은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를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면에 토치(400)를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하는 경우, 토치(400)를 제1피용접체(100) 또는 제2피용접체(200)로부터 기울인 상태에서 위빙을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한번의 용접으로 비드가 형성되는 길이를 최대로 증가시켜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하나의 면에 점용접을 1차적으로 실시하고, 점용접이 실시된 반대면에 본용접을 2차적으로 실시한 후, 점용접이 이루어진 면에 본용접을 3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용접시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구부러지는 것을 보정하여 설계에 따른 평평한 형태 또는 직각인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부분이 지면과 수직인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토치(400)를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한 후,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접시 형성되는 비드가 굳기전의 쇳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리기 전에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균일한 형태의 비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토치(400)에 구비되는 가이드부(420)에 의해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부분과 토치(400)에 구비되는 전극봉(430)과의 간격이 약 1 ~ 2mm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간격에 의해 균일하게 비드(1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비드 100 : 제1피용접체
200 : 제2피용접체 300 : 지그
400 : 토치 410 : 몸체
420 : 가이드부 421 : 테이퍼부
421a : 제1테이퍼부 421b : 제2테이퍼부
421c : 제3테이퍼부 430 : 전극봉

Claims (7)

  1.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도록 위치시키는 준비단계(S10);
    상기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하나의 면에 토치(400)를 이용하여 다수의 점용접이 이격된 간격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용접단계(S20);
    상기 점용접단계(S20)에서 점용접이 이루어진 반대면에 상기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용접을 실시하는 제1본용접단계(S30); 및
    상기 점용접단계(S20)에서 점용접이 이루어진 면에 상기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용접을 실시하는 제2본용접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준비단계(S10)는
    제1피용접체(100) 또는 제1피용접체(100) 중 선택된 하나에 인접하여 지그(300)를 배치 및 고정하는 지그고정단계(S1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그고정단계(S11)는
    상기 점용접단계(S20)에서 지그(30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피용접체(100) 또는 제2피용접체(200) 중 선택된 하나와 지그(300) 사이에 토치(400)의 가이드부(420)를 인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토치(400)는
    몸체(410);
    상기 몸체(410)의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부(420); 및
    상기 몸체(410)에 설치되어 가이드부(420) 외측으로 돌출 된형태로 이루어지는 전극봉(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420)는
    몸체(410) 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부(421)가 상기 가이드부(420)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테이퍼부(421)는
    가이드부(420) 끝단에 일부 형성되며, 몸체(410) 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420)의 외주면과 45°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테이퍼부(421a);
    가이드부(420) 끝단에 일부 형성되며, 몸체(410) 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420)의 외주면과 60°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테이퍼부(421b);
    가이드부(420) 끝단에 일부 형성되며, 몸체(410) 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420)의 외주면과 75°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3테이퍼부(421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20)는
    상기 제1피용접체(100) 또는 제2피용접체(200)에 경사진 형태로 접촉되되,
    상기 가이드부(420)가 제1피용접체(100) 또는 제2피용접체(200)에 접촉되면, 상기 전극봉(430)의 끝단은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접하는 부분과 1 ~ 2mm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용접단계(S20), 제1본용접단계(S30) 및 제2본용접단계(S40)에서 토치(400)가 제1피용접체(100) 또는 제2피용접체(200)와 이루는 경사각은 45°~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용접단계(S20), 제1본용접단계(S30) 및 제2본용접단계(S40)는
    상기 제1피용접체(100)와 제2피용접체(200)가 수직인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토치(400)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
KR1020170079099A 2017-06-22 2017-06-22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 KR101798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099A KR101798091B1 (ko) 2017-06-22 2017-06-22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
PCT/KR2018/004535 WO2018236035A1 (ko) 2017-06-22 2018-04-19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
CN201810522324.XA CN109108508B (zh) 2017-06-22 2018-05-28 形成均匀焊道的焊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099A KR101798091B1 (ko) 2017-06-22 2017-06-22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091B1 true KR101798091B1 (ko) 2017-11-15

Family

ID=6038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099A KR101798091B1 (ko) 2017-06-22 2017-06-22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98091B1 (ko)
CN (1) CN109108508B (ko)
WO (1) WO201823603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989B1 (ko) * 2015-08-28 2017-04-18 주식회사 세아제강 고망간강 강관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0084A (en) * 1976-04-23 1977-11-01 Hitachi Ltd Method of profiling fillet joint
JPS61119385A (ja) * 1984-11-15 1986-06-06 Mitsubishi Heavy Ind Ltd 隅肉スポツト溶接方法
KR900003972B1 (ko) * 1985-04-30 1990-06-07 닛뽕 고오깡 가부시기가이샤 고속회전 아아크 필릿(fillet)용접의 그루우브 트레이싱(GROOVE TRACING) 제어방법
JPH06182545A (ja) * 1992-12-18 1994-07-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ガスシールド溶接による突き合せ片面溶接方法
JP3011913B2 (ja) * 1997-10-27 2000-02-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仮付け溶接用治具
CN101081460A (zh) * 2007-03-26 2007-12-05 南阳二机石油装备(集团)有限公司 大型t型接头全熔透组合焊接工艺
JP2012139712A (ja) * 2010-12-28 2012-07-26 Ihi Marine United Inc 隅肉自動溶接装置及び隅肉自動溶接方法
KR20120131592A (ko) * 2011-05-26 2012-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티타늄 금속관의 용접 방법
CN102343485A (zh) * 2011-07-21 2012-02-08 青岛沈源水务科技有限公司 一种焊接方法
CN102528303A (zh) * 2011-12-31 2012-07-04 大连理工大学 T型结构件双激光-电弧复合焊接方法
CN103170743A (zh) * 2012-11-28 2013-06-26 上海飞机制造有限公司 T型接头的补焊方法
JP6257489B2 (ja) * 2014-09-26 2018-01-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方法
CN206122958U (zh) * 2016-10-26 2017-04-26 中建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大型钢构件角焊缝的焊接应力消除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989B1 (ko) * 2015-08-28 2017-04-18 주식회사 세아제강 고망간강 강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08508A (zh) 2019-01-01
WO2018236035A1 (ko) 2018-12-27
CN109108508B (zh)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1955B (zh) 镀锌钢板制部件用的激光搭接焊方法
CN102161144B (zh) 接头用焊接支承台
CN102554469A (zh) 镀锌钢板制部件用的激光搭接焊方法
KR20230000473A (ko) 클램핑 장치를 이용한 다이아몬드 원형톱날의 레이저용접 시스템
US20160096246A1 (en) Manufacturing fixture
CN109175672B (zh) 线性摩擦焊接过程中飞边变形控制装置及方法
KR101798091B1 (ko) 균일한 비드가 형성되는 용접방법
US201202053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welding parts with spot contact or short line contact in the joining region and joining device
CN204771232U (zh) 一种夹具
EP3674030A1 (en) Tack welding method and tack welding device
KR200479618Y1 (ko) 링플랜지 용접용 지그장치
JP6621086B2 (ja) 鋼材加工方法及び鋼材加工システム
KR102350789B1 (ko) 카울크로스 부품 제조방법
KR100951049B1 (ko) 곡판 용접용 토치 슬라이드 및 동담금 발란싱 장치
EP262627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frame
KR101835781B1 (ko) 엔에프씨 자동 납땜 장치
JP7078256B2 (ja) アプセット溶接装置およびアプセット溶接方法
KR101542946B1 (ko) 서로 직교하는 ㄱ자 앵글의 상면이 단차없이 수평을 이루도록 앵글 팔레트를 제조하기 위한 펀칭 장치
KR20200029799A (ko) 컨테이너선의 셀가이드 구조체 제작 및 설치 공법
CN210115623U (zh) 支架焊接工装
KR101444377B1 (ko) 블록 접합용 가이드장치
KR20180043519A (ko) 경사 수평 용접 이음 개선 구조를 갖는 블록
JP2019199203A (ja) 車両組立設備
CN109865972B (zh) 折弯工件焊接工装
KR101762817B1 (ko) 용접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