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016B1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016B1
KR101798016B1 KR1020167002368A KR20167002368A KR101798016B1 KR 101798016 B1 KR101798016 B1 KR 101798016B1 KR 1020167002368 A KR1020167002368 A KR 1020167002368A KR 20167002368 A KR20167002368 A KR 20167002368A KR 101798016 B1 KR101798016 B1 KR 101798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
type
protocol
predetermined
tc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3900A (ko
Inventor
유 뎅
웨 장
위 펭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2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3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to a less power-consuming processor, e.g. sub-CP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04L69/085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specially adapted for interworking of IP-based networks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3In-band adaptation of TCP data exchange; In-band control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Y02B60/4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며, 단말기 애플리케이션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모바일 장치 내의 AP와 모뎀의 종합적인 에너지 소모가 크게 감소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데이터 처리 방법은,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지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지를 판정하여 판정의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 또는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 또는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TCP/IP 프로토콜 패밀리(protocol family)의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protocol suite) 및/또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로 구성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은 상태 데이터 패킷이고, 상기 상태 데이터 패킷은 단말기의 온라인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및 전송 과정에 주로 적용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본 특허출원은, 2013년 9월 17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310426077.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문헌의 내용은 그 전체로서 반복되는 것처럼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모바일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및 모뎀(Modem)에 기초한 인터넷 통신 모드를 사용한다. 데이터 패킷 전송 과정에서, AP는 데이터를 패킷화하고 패킷화된 데이터를 모뎀에 전송하고 모뎀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파싱(parsing)하는 것을 맡고 있으며, 모뎀은 AP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AP에 보고하는 것을 맡고 있다. 그러나, 사용 과정에서, 모바일 장치의 전력량은 제한되어 있다. 데이터 패킷이 빈번하게 전송되는 경우, 모바일 장치의 전력 소모가 크다.
모바일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이하의 솔루션이 제안되었다: 방화벽이 AP에 설치되고, 여기서 방화벽은 모뎀에 의해 수신되는 정크 데이터 패킷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모뎀은 AP를 깨우고(waken) AP는 방화벽 정책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대해 검출을 수행한다. 데이터 패킷이 정크 데이터 패킷인 경우, AP는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파싱하는 AP의 작업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처리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발명자는 종래 기술에 적어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정크 데이터 패킷의 수신은 AP 측 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방지될 수 있으나, AP와 모뎀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는 종합적인 효과는 크지 않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는 모바일 장치의 AP와 모뎀의 종합적인 에너지 소모가 크게 감소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모뎀(Modem)에 적용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지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지를 판정하여 판정의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TCP/IP 프로토콜 패밀리(protocol family)의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protocol suite) 및/또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로 구성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은 상태 데이터 패킷이고, 상기 상태 데이터 패킷은 단말기의 온라인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식에서, 이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이, 사전 설정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 및/또는 사전 설정된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ICMP 및 IG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TCP 및 UD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된다. 제1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핑 데이터 패킷(Ping data packet)인 경우, 상기 핑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여 질의된 장치의 도달 가능성 상태(reachability status)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의 도달 가능성 상태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측면의 제3 가능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된다. 제1 측면의 제3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IGMP 데이터 패킷인 경우, AP가 이미 슬립 상태(sleep state)에 있으면, 상기 IGMP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측면의 제4 가능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된다. 제1 측면의 제4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전에,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AP에 의해 전송된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port reachability information list)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번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트 번호는 활성화된 포트의 식별 번호이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인 경우, 상기 TCP 데이터 패킷 또는 상기 UDP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포트 번호가 상기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측면의 제5 가능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된다. 제1 측면의 제5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전에,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AP에 의해 전송된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상태 데이터 패킷은 푸시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된 푸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푸시 데이터 패킷에 따라 응답 데이터 패킷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데이터 패킷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상기 서버가 습득하는데 사용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측면의 제6 가능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된다. 제1 측면의 제6 가능 구현 방식에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사전 설정된 세기 값보다 작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된 재전송 실패 정보이면, 사전 설정된 대기 기간 내에 데이터 패킷 전송을 취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장치를 추가로 제공하며, 이는 모뎀에 적용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모뎀의 수신기;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을 획득하고; 상기 모뎀의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지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지를 판정하여 판정의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TCP/IP 프로토콜 패밀리의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 및/또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로 구성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은 상태 데이터 패킷이고, 상기 상태 데이터 패킷은 단말기의 온라인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 및/또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를 사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ICMP 및 IG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TCP 및 UD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된다. 제2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이 핑 데이터 패킷인 경우, 상기 핑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여 질의된 장치의 도달 가능성 상태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장치의 도달 가능성 상태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모뎀의 전송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측면의 제3 가능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된다. 제2 측면의 제3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이 IGMP 데이터 패킷인 경우, AP가 이미 슬립 상태에 있으면, 상기 IGMP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측면의 제4 가능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된다. 제2 측면의 제4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모뎀의 수신기는, AP에 의해 전송된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번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트 번호는 활성화된 포트의 식별 번호이고,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이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인 경우, 상기 TCP 데이터 패킷 또는 상기 UDP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포트 번호가 상기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를 폐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측면의 제5 가능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된다. 제2 측면의 제5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모뎀의 수신기는, AP에 의해 전송된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태 데이터 패킷은 푸시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모뎀의 수신기가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된 푸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푸시 데이터 패킷에 따라, 응답 데이터 패킷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모뎀의 전송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응답 데이터 패킷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상기 서버가 습득하는데 사용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측면의 제6 가능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된다. 제2 측면의 제6 가능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사전 설정된 세기 값보다 작고, 상기 모뎀의 수신기가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된 재전송 실패 정보를 수신하면, 사전 설정된 대기 기간 내에 데이터 패킷 전송을 취소하기 위해 상기 모뎀의 전송기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모뎀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유형을 획득할 수 있고;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지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 또는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모뎀이 AP를 깨우고, 처리를 위해 모든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AP에 전송한다. AP가 장시간 동안 깨워진 상태(wakened state)(고 전력 소모 상태)에 있어서, 모바일 장치의 전력 소모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이 모뎀의 메모리에 추가되고, 이는 모뎀으로 하여금 일부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AP는 깨워지지 않아도 되며, 모뎀이 AP 대신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데이터 패킷이 모뎀에 저장된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의 프로토콜 유형을 이용하여 처리될 수 없는 경우에만, AP가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깨워진다. 동일한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모뎀의 전력 소모가 AP의 전력 소모보다 작으므로, AP가 슬립 상태(sleep state)에 있는 시간이 연장될 수 있고, AP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모바일 장치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 또는 종래 기술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이하의 설명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조적 노력 없이 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a는, 핑 데이터 패킷(Ping data packet)이 종래 기술에 따라 처리되는 경우의 에너지 소모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6b는, 핑 데이터 패킷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처리되는 경우의 에너지 소모의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모든 실시예는 아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데이터 처리 방법은 모뎀에 적용되며,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101 :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의 유형을 획득한다.
데이터 패킷의 유형을 식별하는 플래그 비트는 데이터 패킷에서 찾아지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은 이 플래그 비트에 따라 판정된다. 모뎀은 무선 모뎀이다.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된 경우, 무선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상에서 전파될 수 있는 펄스 신호가, 복조기를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데이터 패킷의 유형은 다음의 데이터 패킷 중 임의의 하나이다: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는 핑 데이터 패킷(Ping data packet),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데이터 패킷, 인터넷 컨트롤 메시지 프로토콜(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 데이터 패킷,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GMP) 데이터 패킷, 전송 컨트롤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데이터 패킷,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데이터 패킷 등.
단계 102 :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지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지를 판정하여 판정의 결과를 획득한다.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protocol suite) 및/또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를 포함하고,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은 상태 데이터 패킷이다. 네트워크 계층 포로토콜 슈트는 ICMP 및/또는 IGMP이고,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TCP 및/또는 UDP이다. 상태 데이터 패킷은 단말기의 온라인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서버에 의해 전송된 푸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의 온라인 상태는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응답 데이터 패킷이 리턴된다. 사전 설정된 규칫 및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은 상이한 유형의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데 각각 사용된다.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이 이 유형의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판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이 이 유형의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고 결정된다. 일치한다는 것은,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유형과 동일하다는 것 또는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의 하나 이상의 유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다음의 포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ICMP 및 IGMP.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다음의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CP 및 UDP.
단계 103a :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한다.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처리는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수행된다.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네트워크 측 서버에 의해 전송된 상태 데이터 패킷을 정기적으로 수신하는 것과 상태 데이터 패킷에 따라 대응하는 것; 또는 상태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측 서버에 정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이 타이밍 피드백 메커니즘을 규정하는 경우, 타이밍 피드백 메커니즘은 사전 설정된 기간의 인터벌로 상태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측 서버에 정기적으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측 서버가 단말기의 온라인 상태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여기서 상태 데이터 패킷은 단말기의 온라인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단계 103b :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한다.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처리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의 규정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수행된다.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예컨대,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은 ICM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전송 계층 프로토콜은 핑 데이터 패킷, TCP 데이터 패킷 및 UD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단계 104 :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불일치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가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AP를 깨우고(waken), 데이터 패킷을 AP에 전송한다.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 유형 또는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의 유형과 불일치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가 깨워진다. 깨워진 후, AP는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르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획득되고;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지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지를 판정되고;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 또는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처리는 이 TCP/IP 프로토콜 스택 또는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AP가 깨워진다. 종래 기술에서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모뎀이 AP를 깨우고, 처리를 위해 모든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AP에 전송하였다. AP가 장시간 동안 깨워진 상태(wakened state)(고 전력 소모 상태)에 있어서, 모바일 장치의 전력 소모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이 모뎀에 추가되고, 이는 모뎀으로 하여금 일부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AP는 깨워지지 않아도 되며, 모뎀이 AP 대신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데이터 패킷이 모뎀에 저장된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처리될 수 없는 경우에만, AP가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깨워진다. 동일한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모뎀의 전력 소모가 AP의 전력 소모보다 작으므로, AP가 슬립 상태(sleep state)에 있는 시간이 연장될 수 있고, AP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모바일 장치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의 추가적인 설명으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사전 설정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 및/또는 사전 설정된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ICMP 및 IG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TCP 및 UD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패킷이 핑 데이터 패킷인 경우,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201 : 핑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여 질의된 장치의 도달 가능성 상태(reachability status)를 획득한다.
핑 데이터 패킷이 장치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핑 명령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핑 데이터 패킷은 ICMP에 따라 파싱되므로, 검출된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로컬리 리저브드 라우팅 정보 표(locally reserved routing information table)이 네트워크 주소가 존재하는지 체크하기 위해 검색된다.
단계 202 : 장치의 도달 가능성 상태를 서버에 전송한다.
도달 가능성 상태는 도달 가능 상태 또는 도달 불가능 상태를 가진다. 네트워크 주소가 라우팅 정보 표에 있는 경우, 장치는 도달 가능하고, 장치가 도달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서버에 전송된다. 그 외에, 네트워크 주소가 라우팅 정보 표에 없는 경우, 장치는 도달 가능하지 않고, 장치가 도달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서버에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데이터 패킷이 IGMP 데이터 패킷인 경우,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AP가 이미 슬립 상태에 있으면, IGMP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IGMP 데이터 패킷은 브로드캐스트 데이터 패킷이고, IGMP의 콘텐츠는 단말기가 위치되어 있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대한 정보이다. AP가 이 순간에 이미 슬립 상태에 있으면, IGMP 데이터 패킷은 즉시 폐기되므로, AP가 깨워진 시간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AP가 이미 슬립 상태에 있고, 스크린이 저 전력 상태에 있는 경우, IGMP 데이터 패킷은 폐기된다.
스크린의 저 전력 상태는, 스크린 잠금 상태 또는 스크린-오프 상태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IGMP 데이터 패킷을 즉시 폐기함으로써, AP가 깨워진 시간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추가로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301 : AP에 의해 전송된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port reachability information list)를 수신하고, 여기서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번호를 포함하고, 포트 번호는 활성화된 포트의 식별 번호이다.
단계 302 : 수신된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포트 번호가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정한다.
데이터 패킷이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인 경우,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3 :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포트 번호가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를 폐기한다.
단계 304 :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포트 번호가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를 AP에 전송한다.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용 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단말기가 로컬 메모리에 모든 활성화된 포트를 기록하는 리스트, 즉,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를 저장한다. 이 리스트는 AP가 슬립 상태에 들어가기 전 AP에 의해 모뎀에 전송된다. 모뎀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이면, 처리가 단계 303 내지 단계 304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수행된다.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포트 번호가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이것은 단말기가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AP는 깨워질 필요가 없고, 수신된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이 곧바로 폐기된다.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포트 번호가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이것은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이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모뎀이 AP의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AP가 깨워진다.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가 AP에 전송되므로, AP는 추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르면, 처리가 핑 데이터 패킷, IGMP 데이터 패킷,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에 수행될 수 있다. 모뎀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AP가 깨워질 필요가 없으므로, 시스템 자원을 줄일 수 있고, 시스템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의 추가 설명으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데이터 처리 방법은, AP에 의해 전송된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태 데이터 패킷은 푸시 데이터 패킷 또는 하트비트 데이터 패킷(heartbeat data packet)이고;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서버에 의해 전송된 푸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푸시 데이터 패킷에 따라 응답 데이터 패킷을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응답 데이터 패킷은 모바일 장치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서버가 습득하는데 사용된다.
푸시 데이터는 푸시 기술(Push technology)에 사용되고, 여기서 푸시 기술은 네트워크 측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사전에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푸시 데이터 패킷은 네트워크 측 서버에 의해 단말기에 정기적으로 전송된 상태 데이터 패킷이다. 푸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의 모뎀은 푸시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측 서버가 단말기의 온라인 상태를 알게 된다.
선택적으로, 하트비트 데이터 패킷이 사전 설정된 기간에 따라 서버에 전송되고, 여기서 하트비트 데이터 패킷은 모바일 장치가 현재 온라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일상적인 사용에서, 인스턴트 메시지 소프트웨어 및 소셜 소프트웨어가 단말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하트비트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측 서버에 정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서버는 단말기 사용자가 온라인 상태에 있는 지 오프라인 상태에 있는지 알 수 있다. 사전 설정된 기간은 30s, 60s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측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은 수신될 필요가 없고, 모뎀은 스스로 사전 설정된 기간에 따라 하트비트 데이터 패킷을 서버에 전송하므로, 네트워크 측 서버가 단말기의 온라인 상태를 알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사전 설정된 세기 값보다 작고, 서버에 의해 전송된 재전송 실패 정보가 수신되면, 사전 설정된 대기 기간 내에 데이터 패킷 전송을 취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네트워크 신호 세기는 사전 설정된 검출 기간 동안 검출된다.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사전 설정된 세기 값보다 작지 않으면, 데이터 패킷은 서버에 전송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에서, 전송이 실패하면, 전송이 성공할 때까지 재전송이 수행되었다. 네트워크 신호가 열악한 경우, 재전송이 계속 수행되면, 모뎀에 의해 불필요한 전송이 야기되어 네트워크 자원이 낭비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첫 번째 전송이 실패하면, 재전송이 한번만 수행된다. 재전송이 수행된 후 네트워크 측 서버에 의해 전송된 재전송 실패 정보가 수신되고, 현재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낮으면(현재 네트워크 신호 세기 값이 사전 설정된 세기 값, 예컨대 -90dBm보다 작음), 데이터 패킷 전송이 사전 설정된 대기 기간(예컨대 3분) 내에 취소된다. 네트워크 신호 세기는 사전 설정된 검출 기간(예컨대 30s) 동안 검출된다.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사전 설정된 세기 값보다 작지 않으면, 데이터 패킷은 서버에 전송된다.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사전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네트워크 신호 세기는, 검출된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사전 설정된 세기 값보다 작지 않을 때까지 다른 사전 설정된 검출 기간(예컨대 30s) 동안 검출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르면, 재전송이 한번 실패한 후, 데이터 패킷이 계속 전송되는지를 현재 네트워크 신호 세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추가로 제공하며, 이 데이터 처리 장치는 모뎀에 위치되어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뎀의 수신기(41); 및
데이터 패킷의 유형을 획득하고; 모뎀의 수신기(41)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지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지를 판정하여 판정의 결과를 획득하고;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뎀의 프로세서(42)
를 포함하고,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TCP/IP 프로토콜 패밀리의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 및/또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로 구성되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은 상태 데이터 패킷이고, 상태 데이터 패킷은 단말기의 온라인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 및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모뎀의 메모리(44)에 저장되어 있고, 모뎀의 프로세서(42)는 모뎀의 메모리(44)로부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 및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을 판독하여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한다.
나아가, 모뎀의 프로세서(42)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 및/또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를 사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ICMP 및 IG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TCP 및 UD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모뎀의 프로세서(42)가,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모뎀의 프로세서(42)가, 데이터 패킷이 핑 데이터 패킷인 경우, 핑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여 질의된 장치의 도달 가능성 상태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데이터 처리 장치는, 장치의 도달 가능성 상태를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뎀의 전송기(43)를 추가로 포함한다.
나아가, 모뎀의 프로세서(42)가,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모뎀의 프로세서(42)가, 데이터 패킷이 IGMP 데이터 패킷인 경우, AP가 이미 슬립 상태에 있으면, IGMP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나아가, 모뎀의 수신기(41)는, AP에 의해 전송된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번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트 번호는 활성화된 포트의 식별 번호이고,
모뎀의 프로세서(42)가,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모뎀의 프로세서(42)가, 데이터 패킷이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인 경우,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포트 번호가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를 폐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나아가, 모뎀의 수신기(41)는, AP에 의해 전송된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태 데이터 패킷은 하트비트 데이터 패킷 또는 푸시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고,
모뎀의 프로세서(42)가,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모뎀의 프로세서(42)가, 모뎀의 수신기(41)가 서버에 의해 전송된 푸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푸시 데이터 패킷에 따라, 응답 데이터 패킷을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모뎀의 전송기(43)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응답 데이터 패킷은 모바일 장치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서버가 습득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모뎀의 프로세서(42)는, 사전 설정된 기간에 따라 하트비트 데이터 패킷을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모뎀의 전송기(43)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하트비트 데이터 패킷은 모바일 장치가 현재 온라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나아가, 모뎀의 프로세서(42)는,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사전 설정된 세기 값보다 작고, 모뎀의 수신기(41)가 서버에 의해 전송된 재전송 실패 정보를 수신하면, 사전 설정된 대기 기간 내에 데이터 패킷 전송을 취소하기 위해 모뎀의 전송기(43)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51)는 모뎀(52)에 위치되어 있고, 단말기는 AP(53) 및 AP(53)에 연결되어 있는 모뎀(52)을 포함한다. 모뎀(52)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와 통신한다.
발명자는 단말기가 핑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때 1분 동안의 에너지 소모를 검출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행(row)이 전류를 나타내고, 이는 모뎀 및 AP에 의해 공동으로 손실된 전류를 포함하며, 단말기가 정전압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단말기의 전력 공급에 의해 출력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공급에 의해 출력된 최소 전류는 2.512 mA이고, 전력 공급에 의해 출력되는 최대 전류는 513.794 mA이고, 전력 공급에 의해 출력되는 평균 전류는 53.145 mA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가 사용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행은, 단말기의 동작 과정에서, 전력 공급에 의해 출력된 최소 전류가 1.484 mA이고, 전력 공급에 의해 출력되는 최대 전류가 267.451 mA이고, 전력 공급에 의해 출력되는 평균 전류가 43.321 mA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전력 소모와 전류 사이에 비례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전류가 감소하면 전력도 이에 따라 감소한다. 도 6a의 평균 전류 53.145 mA를 도 6b의 평균 전류 43.321 mA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처리 장치가 (53.145-43.321)/53.145=0.185, 즉, 18.5% 만큼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고 결론 지을 수 있다. 도 6b에서, AP의 처리가 모뎀으로 이전되어 모뎀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도 6a의 고 전류 상황이 도 6b에서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전술한 기능적 모듈의 분할은 단지 일 예시로 사용되어 설명된 것이며,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전술한 기능이 필요에 따라 상이한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즉, 장치의 내부 구조가 앞서 설명된 모든 또는 일부 기능을 이룰 수 있도록 상이한 기능적 모듈로 나누어진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고, 세부 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 구현 방식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의 대상일 것이다.

Claims (14)

  1. 모뎀(Modem)에 적용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지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지를 판정하여 판정의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TCP/IP 프로토콜 패밀리(protocol family)의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protocol suite) 및/또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로 구성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은 상태 데이터 패킷이고, 상기 상태 데이터 패킷은 단말기의 온라인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됨 - ;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 또는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불일치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를 깨우는(waken)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ICMP 및 IG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TCP 및 UD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전에,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AP에 의해 전송된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상태 데이터 패킷은 푸시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된 푸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푸시 데이터 패킷에 따라 응답 데이터 패킷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데이터 패킷은, 상기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상기 서버가 습득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핑 데이터 패킷(Ping data packet)인 경우, 상기 핑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여 질의된 장치의 도달 가능성 상태(reachability status)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의 도달 가능성 상태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IGMP 데이터 패킷인 경우, AP가 이미 슬립 상태(sleep state)에 있으면, 상기 IGMP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전에,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AP에 의해 전송된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port reachability information list)를 수신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번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트 번호는 활성화된 포트의 식별 번호이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인 경우, 상기 TCP 데이터 패킷 또는 상기 UDP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포트 번호가 상기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TCP 데이터 패킷 또는 상기 UDP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사전 설정된 세기 값보다 작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된 재전송 실패 정보이면, 사전 설정된 대기 기간 내에 데이터 패킷 전송을 취소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8. 모뎀에 적용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모뎀의 수신기;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을 획득하고; 상기 모뎀의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지 또는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지를 판정하여 판정의 결과를 획득하고 -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TCP/IP 프로토콜 패밀리의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 및/또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로 구성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은 상태 데이터 패킷이고, 상기 상태 데이터 패킷은 단말기의 온라인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됨 - ;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 유형 또는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불일치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를 깨우도록(wake) 구성되어 있는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 및/또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를 사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ICMP 및 IG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계층 프로토콜 슈트는 TCP 및 UD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모뎀의 수신기는, AP에 의해 전송된 사전 설정된 처리 규칙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태 데이터 패킷은 푸시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모뎀의 수신기가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된 푸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푸시 데이터 패킷에 따라, 응답 데이터 패킷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모뎀의 전송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응답 데이터 패킷은 상기 단말기가 온라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상기 서버가 습득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이 핑 데이터 패킷인 경우, 상기 핑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여 질의된 장치의 도달 가능성 상태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장치의 도달 가능성 상태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모뎀의 전송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이 IGMP 데이터 패킷인 경우, AP가 이미 슬립 상태에 있으면, 상기 IGMP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데이터 처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의 수신기는, AP에 의해 전송된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번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트 번호는 활성화된 포트의 식별 번호이고,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유형이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 유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패킷이 TCP 데이터 패킷 또는 UDP 데이터 패킷인 경우, 상기 TCP 데이터 패킷 또는 상기 UDP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포트 번호가 상기 포트 도달 가능성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TCP 데이터 패킷 또는 상기 UDP 데이터 패킷을 폐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데이터 처리 장치.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신호 세기가 사전 설정된 세기 값보다 작고, 상기 모뎀의 수신기가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된 재전송 실패 정보를 수신하면, 사전 설정된 대기 기간 내에 데이터 패킷 전송을 취소하기 위해 상기 모뎀의 전송기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KR1020167002368A 2013-09-17 2014-08-21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798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426077.0A CN104469901B (zh) 2013-09-17 2013-09-17 数据处理的方法及装置
CN201310426077.0 2013-09-17
PCT/CN2014/084894 WO2015039519A1 (zh) 2013-09-17 2014-08-21 数据处理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900A KR20160023900A (ko) 2016-03-03
KR101798016B1 true KR101798016B1 (ko) 2017-11-15

Family

ID=5268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368A KR101798016B1 (ko) 2013-09-17 2014-08-21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38509B2 (ko)
EP (1) EP3007494B1 (ko)
JP (1) JP6290397B2 (ko)
KR (1) KR101798016B1 (ko)
CN (1) CN104469901B (ko)
WO (1) WO2015039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7877A (zh) * 2013-11-06 2015-09-2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降低功耗的方法及系统、调制解调器
CN107251593B (zh) * 2015-04-10 2020-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包处理方法和相关设备
CN105490838B (zh) * 2015-11-24 2018-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通信功能异常的处理方法、调制解调器和移动终端
CN105491610B (zh) * 2015-11-24 2018-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通信功能异常的处理方法、调制解调器及移动终端
CN105517030B (zh) * 2015-11-24 2018-03-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通信功能异常的处理方法、调制解调器及移动终端
CN107465626A (zh) * 2016-06-03 2017-12-1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虚拟机热迁移方法及装置
CN106411776A (zh) * 2016-09-22 2017-02-15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数据流调度系统以及数据流调度方法
US10045297B1 (en) * 2017-01-24 2018-08-07 Google Llc Increased time in a suspended state during network transmissions
CN107040915B (zh) * 2017-03-30 2019-02-1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sim卡实现方法及虚拟sim卡装置
CN107969009B (zh) * 2017-11-06 2021-07-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控制终端通信的方法、装置和终端
CN108964979B (zh) * 2018-06-07 2021-05-18 成都深思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数据流显示系统及其工作方法
CN110569282A (zh) * 2019-09-04 2019-12-13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037353A (ko) 2019-09-27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1031072A (zh) * 2019-12-31 2020-04-17 北京力控华康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获取系统、方法及计算机设备
CN111315000A (zh) * 2020-01-16 2020-06-19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5514712B (zh) * 2021-06-22 2023-09-05 中移物联网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终端和网络侧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3797A (ja) * 2006-01-06 2007-07-19 Canon Inc アプリケーション装置及び電力状態復帰方法
JP2011060028A (ja) * 2009-09-10 2011-03-24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20188928A1 (en) * 2009-09-29 2012-07-26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maintaining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server, terminal and network server
JP2012217051A (ja) * 2011-03-31 2012-11-08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5281B2 (ja) * 2005-04-19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756103B2 (en) 2006-03-31 2010-07-13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adjustment of a delivery mechanism according to access categories
FR2919778A1 (fr) * 2007-07-30 2009-02-06 Canon Kk Procede de transmission de paquets de donnees dans un tunnel, produit programme d'ordinateur, moyen de stockage et tete de tunnel correspondants
CN101686195B (zh) 2008-09-28 2013-06-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实现网络终端设备节电的方法及装置
JP4775448B2 (ja) 2009-01-27 2011-09-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US8842590B2 (en) * 2009-07-21 2014-09-23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data connection method thereof
KR101627162B1 (ko) * 2010-02-08 2016-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패킷 필터링을 통해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529417B2 (en) * 2011-04-28 2016-12-27 Facebook, Inc. Performing selected operations using low power-consuming processors on user devices
EP2705640B1 (en) * 2011-06-02 2019-02-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ultiple cpu architecture platform network firewall
US9049660B2 (en) 2011-09-09 2015-06-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ke pattern management
JP5957231B2 (ja) 2012-01-27 2016-07-2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9118569B2 (en) * 2013-04-06 2015-08-25 Citrix Syste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CP Westwood hybrid approa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3797A (ja) * 2006-01-06 2007-07-19 Canon Inc アプリケーション装置及び電力状態復帰方法
JP2011060028A (ja) * 2009-09-10 2011-03-24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20188928A1 (en) * 2009-09-29 2012-07-26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maintaining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server, terminal and network server
JP2012217051A (ja) * 2011-03-31 2012-11-08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69901A (zh) 2015-03-25
JP2016526863A (ja) 2016-09-05
US20160156746A1 (en) 2016-06-02
US9838509B2 (en) 2017-12-05
EP3007494B1 (en) 2019-10-09
CN104469901B (zh) 2018-09-07
JP6290397B2 (ja) 2018-03-07
EP3007494A4 (en) 2016-07-13
WO2015039519A1 (zh) 2015-03-26
KR20160023900A (ko) 2016-03-03
EP3007494A1 (en) 201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016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US9198217B2 (en) Method for maintaining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server, terminal and network server
CN107070689B (zh) 减少使用网络保活消息时的错误警告的方法及装置
US10212654B2 (en) Neighbor discovery to support sleepy nodes
US10708885B2 (en) Methods and nodes for enabling context-awareness in CoAP
US80867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te limiting client requests
CN102664719B (zh) 适用于dcs的分布式安全传输方法
US1152834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apparatus
US9967777B2 (en) Processor sleep mode communication handling
TW201038004A (en) Wake up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4877086B2 (ja)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無線中継方法
JP5377399B2 (ja) フレーム転送装置及びフレーム転送方法
US89353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ddress duplication handl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WO2017101028A1 (zh) 数据传输方法、m2m服务器、pgw、sgw及服务网络节点
WO2015066849A1 (zh) 一种降低功耗的方法及系统、调制解调器
US20150016452A1 (en) Communication node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program product
WO2016058429A1 (zh) 一种单播数据包的处理方法及装置
TWI462521B (zh) 適用於多種應用層協定程序的高精確性具彈性化的低功耗遠端喚醒機制的網路存取裝置
JP2018125615A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5180011A (ja) 無線lan端末装置、無線lanシステム、無線lanチップの死活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66806B1 (ko) 호스트 종료를 탐색하는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KR20130085470A (ko) 패킷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킷 전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