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884B1 - 코일 엔드 성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코일 엔드 성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884B1
KR101797884B1 KR1020167013064A KR20167013064A KR101797884B1 KR 101797884 B1 KR101797884 B1 KR 101797884B1 KR 1020167013064 A KR1020167013064 A KR 1020167013064A KR 20167013064 A KR20167013064 A KR 20167013064A KR 101797884 B1 KR101797884 B1 KR 101797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lead wire
molding
coi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222A (ko
Inventor
신고 하시모토
가츠야 이토
다카노리 오타
노리히코 아카오
히로타카 가와우라
히사유키 고바야시
히로하루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35Wound windings
    • H02K15/0442Loop windings
    • H02K15/045Form wound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0Connecting leads to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02K15/0062Manufacturing the terminal arrangement per se; Connecting the terminals to an external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43Motor or generator
    • Y10T29/53161Motor or generator including deform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Abstract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는,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을 서로 접근시켜, 코일(1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11)에, 어느 하나(f1)가 잔여(f2, f3)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를 성형하는 것이며, 이동형인 제2 성형형(22)은, 리드선부(11)에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 중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보다도 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f2)가 성형되는 동안에 리드선부(11)와 비접촉으로 되어 당해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을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클리어런스부(230)를 갖는다.

Description

코일 엔드 성형 장치 및 방법 {COIL-END-MOLD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코일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에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코일 엔드 성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 전기의 스테이터를 구성하는 코일로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선재(평각선)를 권회하여 형성됨과 함께, 일단부에 도선(리드선부)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코일은, 절연 부재를 통해 스테이터 코어에 장착된다. 또한, 코일의 도선은, 플랫와이즈 방향(단면의 긴 변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2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를 갖고 있으며, 당해 도선의 단부는, 대응하는 다른 코일의 도선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10122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회전 전기의 코일에 있어서, 리드선부의 2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지만, 리드선부(도선)끼리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회전 전기를 컴팩트화하기 위해, 리드선부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잔여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2개 이상의 플랫와이즈 굽힘부를 형성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리드선부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잔여의 것과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2개 이상의 플랫와이즈 굽힘부를 한 쌍의 성형형에 의해 일괄해서 성형하면, 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에 비해 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에서의 선재의 신장량이 커짐으로써, 리드선부의 치수 오차가 증가하거나, 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에 있어서의 전기 저항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치수 오차나 전기 저항의 증가는, 직사각형(장방형) 형상의 단면 이외의 예를 들어 정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리드선부에 대해, 한 쌍의 성형형에 의해 단면의 1변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굽힘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일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에,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어느 하나가 잔여의 제1 굽힘부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한 쌍의 성형형에 의해 일괄적으로 고정밀도로 성형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엔드 성형 장치는,
코일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에,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코일 엔드 성형 장치이며,
서로 접근 이격 가능함과 함께, 서로 접근하여 상기 리드선부를 접근 이격 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따라 굽힘으로써,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제1 및 제2 성형형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당해 하나의 제1 굽힘부 이외의 제1 굽힘부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최유격 단부측의 1개보다도 기단부측의 제1 굽힘부가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에 의해 상기 리드선부에 성형되는 동안에, 상기 리드선부와 비접촉으로 되어 당해 리드선부의 상기 최유격 단부측에서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을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클리어런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코일 엔드 성형 장치는, 서로 접근 이격 가능한 제1 및 제2 성형형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성형형을 서로 접근시켜, 코일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를 접근 이격 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따라 굽힘으로써, 당해 리드선부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잔여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은, 리드선부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최유격 단부측의 1개보다도 기단부측의 제1 굽힘부가 성형되는 동안에, 리드선부와 비접촉으로 되어 당해 리드선부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을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클리어런스부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에 클리어런스부를 설치하여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최유격 단부측의 1개보다도 기단부측의 제1 굽힘부가 성형되는 동안(소성 변형될 때까지)에 리드선부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을 구속하지 않도록 함(소성 변형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재의 신장량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리드선부의 기단부측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한 후에, 최유격 단부측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각 제1 굽힘부에 있어서의 치수 오차나 전기 저항의 증가를 억제함과 함께, 코일에 대한 리드선부의 유격 단부의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따르면, 코일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잔여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한 쌍의 성형형에 의해 일괄적으로 고정밀도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다른 쪽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에 대응한 복수의 곡면을 포함하는 제1 성형면을 가져도 되고, 상기 클리어런스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최유격 단부측의 1개보다도 기단부측의 제1 굽힘부가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에 의해 상기 리드선부에 성형되는 동안에, 상기 제1 성형면의 상기 최유격 단부측의 제1 굽힘부에 대응한 곡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에 형성된 오목부여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성형형을 서로 접근시켜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최유격 단부측의 1개보다도 기단부측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동안에, 리드선부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과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의 접촉을 끊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1 및 제2 성형형에 의해 리드선부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이 구속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은, 상기 리드선부와 평행하게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이 서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성형면에 근접하도록 경사지는 압박면을 가져도 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압박면측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성형형에 의해 리드선부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이 구속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의 압박면에 의해 리드선부를 제1 및 제2 성형형의 다른 쪽의 제1 성형면에 압박하여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최유격 단부측의 1개보다도 기단부측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은, 다른 쪽에 대해 접근 이격 가능한 이동형이어도 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다른 쪽은, 고정형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고정형에 의해 리드선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형을 고정형에 접근시킴으로써, 코일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잔여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한 쌍의 성형형에 의해 일괄적으로 고정밀도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은, 상기 리드선부의 상기 최유격 단부측의 제1 굽힘부보다도 유격 단부측을 구속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간에 있어서의 선재의 신장량의 편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리드선부에는, 3개의 제1 굽힘부가 성형되어도 되고, 상기 3개의 제1 굽힘부 중 최기단부측의 1개가 잔여의 2개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져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은, 서로 접근하여 상기 제1 굽힘 방향과 직교하는 제2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 적어도 1개의 제2 굽힘부를 성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성형형을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및 적어도 1개의 제2 굽힘부를 보다 단시간 중에 리드선부에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코일은, 평각선을 권회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되고, 상기 제1 굽힘 방향은, 플랫와이즈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은, 상기 리드선부를 상기 접근 이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굽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엔드 성형 방법은,
서로 접근 이격 가능한 제1 및 제2 성형형을 사용하여, 코일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를 당해 제1 및 제2 성형형의 접근 이격 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따라 굽힘으로써, 상기 리드선부에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코일 엔드 성형 방법이며,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을 서로 접근시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당해 하나의 제1 굽힘부 이외의 제1 굽힘부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상기 리드선부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에 의해 상기 리드선부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최유격 단부측의 1개보다도 기단부측의 제1 굽힘부가 성형되는 동안에, 상기 리드선부의 상기 최유격 단부측에서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을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코일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잔여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한 쌍의 성형형에 의해 일괄적으로 고정밀도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코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성형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성형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2 성형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성형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2 성형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의한 리드선부의 성형 수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의한 리드선부의 성형 수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의한 리드선부의 성형 수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의한 리드선부의 성형 수순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의한 리드선부의 성형 수순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의한 리드선부의 성형 수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의한 리드선부의 성형 수순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의한 리드선부의 성형 수순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7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의한 리드선부의 성형 수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코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코일(10)은, 도시하지 않은 로터와 함께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구동원 및/또는 발전기로서 사용되는 3상 교류 전동기를 구성하는 전동기용 스테이터(도시 생략)에 포함되는 것이다. 코일(10)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평각선을 복수회에 걸쳐 권회함으로써 형성되고, 그 일단부로부터는 긴 리드선부(11)가 연장됨과 함께, 그 타단부로부터는 짧은 접속 단부(12)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전동기용 스테이터는, 적어도 1개의 코일(10)과, 당해 코일(10)과는 리드선부의 구성이 약간 다른 복수의 코일과, 도시하지 않은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하고, 스테이터 코어는, 원환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할 코어와, 당해 복수의 분할 코어가 고정되는 고정 링을 갖는다. 코일(10)은, 도시하지 않은 절연 부재를 통해 대응하는 분할 코어에 장착되고, 전동기용 스테이터(스테이터 코어)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열경화성 수지 혹은 열가소성 수지 등의 몰드 수지에 의해 피복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10)의 리드선부(11)는, 에지와이즈 방향(제2 굽힘 방향:단면의 짧은 변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 2개의 에지와이즈 굽힘부(제2 굽힘부)(e1 및 e2)와, 플랫와이즈 방향(제1 굽힘 방향:단면의 긴 변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제1 굽힘부)(f1, f2 및 f3)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2개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1, e2) 및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는, 리드선부(11)가 코일(10)의 외주측으로부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도면 중 상방을 향해 연장됨과 함께 당해 축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굴곡되고, 일단 스테이터 외주측을 향하고 나서 다시 스테이터 내주측을 향하고, 유격 단부(11a)가 도면 중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성형된다. 즉, 2개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1 및 e2)는, 서로 역방향으로 구부러지고,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 중 최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는, 잔여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2 및 f3)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다.
도 2는 코일(10)의 리드선부(11)의 성형에 사용되는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는, 코일(10)의 리드선부(11)에 복수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1, e2) 및 복수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를 성형하기 위한 제1 성형형(21) 및 제2 성형형(22)과, 코일(10)을 지지하는 코일 지지부(25)를 포함한다.
제1 성형형(21)은,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의 설치 개소에 설치되는 베이스부(200)에 지지 블록(201)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형이며,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10)의 리드선부(11)에 에지와이즈 굽힘부(e2)를 성형하기 위한 제1 에지와이즈 성형면(210)과, 리드선부(11)에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를 성형하기 위한 플랫와이즈 성형면(제1 성형면)(215)을 갖는다. 제1 에지와이즈 성형면(210)은,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면 중 Z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압면(지지면)(211)과, 당해 수압면(211)에 연속됨과 함께 에지와이즈 굽힘부(e2)에 대응한 곡면(212)과, 곡면(212)에 연속됨과 함께 도면 중 X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압면(213)을 포함한다. 제1 에지와이즈 성형면(210), 즉, 수압면(211), 곡면(212) 및 수압면(213)은, 모두 도면 중 Y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은, 도면 중 Z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가 도면 중 상방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오목면이며, 플랫와이즈 굽힘부(f1)에 대응한 곡면(216)과, 플랫와이즈 굽힘부(f2)에 대응한 곡면(217)과, 플랫와이즈 굽힘부(f3)에 대응한 곡면(218)과, 리드선부(11)의 유격 단부(11a)를 압박하는 압박면(219)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와이즈 굽힘부(f1)에 대응한 곡면(216) 및 압박면(219)은, 도면 중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면이다. 이에 반해, 플랫와이즈 굽힘부(f2)에 대응한 곡면(217) 및 플랫와이즈 굽힘부(f3)에 대응한 곡면(218)은, 도면 중 상방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오목면이다. 또한, 제1 성형형(21)에는, 플랫와이즈 성형면(215)보다도 제2 성형형(22)측(도 2에 있어서의 우측)에 위치함과 함께 제2 성형형(22)에 근접함에 따라 도면 중 상방으로 경사지는 완만한 곡면 형상의 가이드면(21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성형형(22)은, 베이스부(200)에 고정되어 도 2에 있어서 좌우, 즉, X 방향(접근 이격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200r)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전동 모터 혹은 유체압 실린더 등을 포함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어 가이드 레일(200r)의 연장 방향, 즉, 도 2에 있어서의 X 방향을 따라 진퇴 이동 가능한 이동 스테이지(202)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형이다. 제2 성형형(22)은, 도 2 등에 있어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형인 제1 성형형(21)에 접근함과 함께 도 2 등에 있어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성형형(21)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성형형(22)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10)의 리드선부(11)에 에지와이즈 굽힘부(e2, e3)를 성형하기 위한 제2 에지와이즈 성형면(220)과, 리드선부(11)에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를 성형하기 위한 플랫와이즈 성형부(225)를 갖는다.
제2 에지와이즈 성형면(22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와이즈 성형부(225)보다도 이동 스테이지(202)에 고정되는 제2 성형형(22)의 기단부측에 위치함과 함께, 제1 성형형(21)의 제1 에지와이즈 성형면(210)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제2 성형형(22)에 형성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에지와이즈 성형면(220)은, 제1 에지와이즈 성형면(210)의 수압면(211)과 대향하도록 도면 중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박면(221)과, 당해 압박면(221)에 연속됨과 함께 에지와이즈 굽힘부(e2)에 대응한 곡면(212)과, 곡면(212)에 연속됨과 함께 제1 에지와이즈 성형면(210)의 수압면(213)과 대향하도록 제2 성형형(22)의 유격 단부를 향해 도면 중 X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압박면(223)과, 당해 압박면(223)에 연속됨과 함께 도면 중 Z 방향으로 굴곡되는 곡면인 압박면(224)을 포함한다.
또한, 플랫와이즈 성형부(225)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에지와이즈 성형면(220)보다도 제2 성형형(22)의 유격 단부측[제1 성형형(21)측]에 위치하도록 당해 제2 성형형(22)에 형성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와이즈 성형부(225)는, 플랫와이즈 굽힘부(f1)에 대응한 곡면(226)과, 플랫와이즈 굽힘부(f2)에 대응한 곡면(227)과, 플랫와이즈 굽힘부(f3)에 대응한 곡면(228)과, 곡면(226∼228)보다도 제2 성형형(22)의 유격 단부측[제1 성형형(21)측]에 형성된 압박면(229)과, 클리어런스부(23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와이즈 굽힘부(f1)에 대응한 곡면(226)은, 도면 중 하방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오목면이다. 이에 반해, 플랫와이즈 굽힘부(f2)에 대응한 곡면(227) 및 플랫와이즈 굽힘부(f3)에 대응한 곡면(228)은, 도면 중 상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면이다. 이들 곡면(226∼228)은, 제2 에지와이즈 성형면(220)보다도 제2 성형형(22)의 유격 단부측[제1 성형형(21)측]에 형성된다. 또한, 압박면(229)은, 도면 중 Z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도면 중 X 방향을 따라 제2 성형형(22)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유격 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베이스부(200)에 근접하도록 형성된 평탄한 경사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박면(229)과, 그것보다도 제2 성형형(22)의 기단부측에 배치되는 곡면(226, 227) 등의 사이에는, 완만한 곡면 형상의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다.
플랫와이즈 성형부(225)의 클리어런스부(230)는,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 성형되는 플랫와이즈 굽힘부(f3)에 대응한 곡면(228)과, 압박면(229)의 연결을 끊도록 압박면(229)측에서 개구됨과 함께 도면 중 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2 성형형(22)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클리어런스부(230)는,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에 의해 리드선부(11)에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 중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보다도 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f2)가 성형되는 동안에, 제1 성형형(21)의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에 대응한 곡면(218)과 대향함과 함께 리드선부(11)와 비접촉으로 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부(230)의 외주와, 주위의 압박면(229)이나 곡면(228) 등의 사이에는, 완만한 곡면 형상의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 지지부(25)는, 도 3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선부(11)가 도면 중 Z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코일(10)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코일 지지부(25)는, 당해 코일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코일(10)의 리드선부(11)의 플랫와이즈 방향, 즉, 도면 중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5a)을 갖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축(25a)의 축심 주위로 도 3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는, 리드선부(11)에 최기단부측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1)를 성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굽힘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굽힘 가이드부는, 코일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된 코일(10)의 리드선부(11)를 양측으로부터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와, 리드선부(11)의 최기단부측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1)의 굽힘 지지점이 되는 원기둥 형상의 굽힘 지지점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코일 지지부(25)를 회전축(25a)의 축심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리드선부(11)를 굽힘 지지점부의 주위로 에지와이즈 방향으로 굽혀 당해 리드선부(11)에 최기단부측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1)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굽힘 지지점부는, 그 외주면(원기둥면)이 리드선부(11)(그 측면)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그 축심은, 에지와이즈 굽힘부(e1)의 성형 시에 리드선부(11)가 코일 지지부(25)와 굽힘 가이드부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코일 지지부(25)의 회전축(25a)의 축심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이에 의해, 에지와이즈 굽힘부(e1)의 성형 시에 리드선부(11)가 굽힘 지지점부와 서로 마찰되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코일 지지부(25)의 회전축(25a)의 축심은, 코일 지지부(25)를 회전시킴으로써 에지와이즈 굽힘부(e1)를 성형할 때에 리드선부(11)가 코일 지지부(25) 및 굽힘 가이드부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즉,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에 의해 보유 지지(구속)된 리드선부(11)의 유격 단부측 및 리드선부(11)의 코일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기단부측의 양쪽이 구속된 상태에서 리드선부(11)가 신장되지 않도록, 굽힘 지지점부로부터 오프셋된다. 이에 의해, 에지와이즈 굽힘부(e1)의 성형 시에, 리드선부(11)가 신장되어 가늘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엔드 성형 방법, 즉, 상술한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를 사용한 코일(10)의 리드선부(11)의 성형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를 사용한 리드선부(11)의 성형 시에는, 이동 스테이지(202)를 도 2에 도시하는 대기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제2 성형형(22)을 제1 성형형(21)으로부터 이격시켜 둔다. 또한, 코일 지지부(25)를 도 3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 위치까지 회전시킴과 함께, 곧게 연장되는 리드선부(11)를 갖는 코일(10)을 코일 지지부(25)에 지지시키고(도 3 및 도 4 참조), 도시하지 않은 굽힘 가이드부의 한 쌍의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 리드선부(11)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코일(10)이 코일 지지부(25)에 세트되면, 리드선부(11)의 제1 성형형(21)측의 측면은, 제1 성형형(21)의 제1 에지와이즈 성형면(210)에 포함되는 수압면(211)의 일부와 접촉하고, 리드선부(11)는, 도면 중 Z 방향을 따라 곧게 연장된다(도 3의 실선, 도 5의 이점 쇄선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선부(11)의 성형에 앞서, 유격 단부(11a)로부터 표면에 실시된 피막이 미리 제거된다.
계속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스테이지(202)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 유닛에 의해 제1 에지와이즈 성형면(210)과 제2 에지와이즈 성형면(220)의 간격이 리드선부(11)의 폭에 일치하도록 이동 스테이지(202) 및 제2 성형형(22)을 X 방향을 따라 대기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제1 성형형(21)을 향해 이동(접근)시켜 간다. 이동 스테이지(202) 및 제2 성형형(22)이 제1 성형형(21)에 접근하는 것에 수반하여, 제2 성형형(22)의 플랫와이즈 성형부(225)를 구성하는 압박면(229)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선부(11)의 제2 성형형(22)측의 측면의 에지부와 접촉하고, 당해 리드선부(11)를 제1 성형형(21)의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을 향해 압박한다. 즉, 제1 성형형(21)의 수압면(211)에 의해 X 방향으로 지지된 리드선부(11)에는, 제2 성형형(22)으로부터 압박면(229)과 직교하는 방향의 힘이 부여되고, 리드선부(11)의 곡면(216)과의 접촉부와 압박면(219)과의 접촉부 사이의 부분이 서서히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의 곡면(217, 218)에 접근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간다.
또한, 이동 스테이지(202) 및 제2 성형형(22)이 제1 성형형(21)에 접근하는 것에 수반하여,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선부(11)가 제2 성형형(22)의 플랫와이즈 성형부(225)를 구성하는 곡면(226, 227)과 접촉하게 되면, 리드선부(11)의 일부가 제2 성형형(22)의 곡면(226)에 의해 제1 성형형(21)의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의 곡면(216)에 압박되어 소성 변형된다. 또한, 이것에 병행하여, 리드선부(11)의 일부가 제2 성형형(22)의 곡면(227)에 의해 제1 성형형(21)의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의 곡면(217)에 압박되어 소성 변형된다. 이에 의해, 리드선부(11)에 기단부측의 2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및 f2)가 성형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서는, 리드선부(11)에 기단부측의 2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및 f2)가 성형되는 동안에(소성 변형될 때까지의 동안에),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성형형(22)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에 대응한 곡면(228)과 압박면(229)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인 클리어런스부(230)가 리드선부(11)를 통해 제1 성형형(21)의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에 대응한 곡면(218)과 대향한다. 즉, 리드선부(11)에 기단부측의 2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및 f2)가 성형되는 동안에,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플랫와이즈 굽힘부(f3)에 대응한 부분]은, 제1 성형형(21)의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의 곡면(218)에 의해 압박되어 탄성 변형되지만, 클리어런스부(230)의 존재에 의해 제2 성형형(22)에 의해 구속되는[제2 성형형(22)에 압박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성형형(22)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보다도 유격 단부측의 부분이 제1 성형형(21)의 압박면(219)에 의해 압박되어도, 당해 유격 단부측의 부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서는,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 중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보다도 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및 f2)가 성형되는 동안에,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이나, 그것보다도 유격 단부측의 부분이 구속되지 않도록(소성 변형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선재의 신장량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리드선부(11)의 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및 f2)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리드선부(11)에 기단부측의 2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및 f2)가 성형된 후, 이동 스테이지(202) 및 제2 성형형(22)이 더욱 제1 성형형(21)에 접근해 가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이 제2 성형형(22)의 플랫와이즈 성형부(225)를 구성하는 곡면(228)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이 제2 성형형(22)의 곡면(228)에 의해 제1 성형형(21)의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의 곡면(218)에 압박되어 소성 변형되고, 리드선부(11)에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가 성형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성형형(22)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보다도 유격 단부측의 부분, 즉, 피막이 제거되어 있는 유격 단부(11a)가 제1 성형형(21)의 압박면(219) 등에 의해 압박되어도, 당해 유격 단부측의 부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서는,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 중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가 성형되는 동안에, 당해 플랫와이즈 굽힘부(f3)보다도 유격 단부측의 부분이 구속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선재의 신장량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서는, 선재의 신장량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리드선부(11)의 각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를 성형할 수 있다. 이 결과, 각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에 있어서의 치수 오차나 전기 저항의 증가를 억제함과 함께, 코일(10)에 대한 리드선부(11)의 유격 단부(11a)의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 따르면, 코일(1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11)에, 어느 하나가 잔여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를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에 의해 일괄적으로 고정밀도로 성형할 수 있다.
리드선부(11)에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가 성형된 후, 이동 스테이지(202) 및 제2 성형형(22)이 더욱 제1 성형형(21)에 접근해 가면, 리드선부(11)의 제2 성형형(22)측의 측면,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격 단부(11a)의 측면의 일부가 제2 성형형(22)의 제2 에지와이즈 성형면(220)의 압박면(224)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1 성형형(21)에 대한 제2 성형형(22)의 접근에 수반하여, 제2 성형형(22)의 제2 에지와이즈 성형면(220)의 압박면(224)으로부터 에지와이즈 굽힘부(e2)를 성형하기 위한 하중이 리드선부(11)의 유격 단부(11a)에 부여된다. 이 결과, 리드선부(11)의 유격 단부(11a)는, 도 17의 (a) 및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성형형(21)의 제1 에지와이즈 성형면(210)의 수압면(213)을 향해 에지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간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리드선부(11)의 유격 단부(11a)는, 제2 성형형(22)의 제2 에지와이즈 성형면(220)의 곡면(222)에 의해 제1 성형형(21)의 제1 에지와이즈 성형면(210)의 곡면(212)에 압박되어 소성 변형되고, 그에 의해 최유격 단부측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2)가 성형된다.
이와 같이,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서는,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을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에 더하여, 최유격 단부측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2)를 리드선부(11)에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은, 에지와이즈 굽힘부(e2)의 성형 시에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에지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보다도 유격 단부측의 부분, 즉, 피막이 제거되어 있는 유격 단부(11a)와 적어도 양자가 동시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드선부(11)의 유격 단부(11a)를 구속하는 일 없이 최유격 단부측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2)를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에지와이즈 굽힘부(e2)에서의 선재의 신장량의 증가를 억제하고, 리드선부(11)의 치수 오차나 에지와이즈 굽힘부(e2)에서의 전기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리드선부(11)에는, 이동 스테이지(202) 및 제2 성형형(22)이 이동하기 시작하고 나서 대기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할 때까지의 동안[제1 에지와이즈 성형면(210)과 제2 에지와이즈 성형면(220)의 간격이 리드선부(11)의 폭에 대략 일치할 때까지의 동안]에,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에 의해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와, 에지와이즈 굽힘부(e2)가 성형된다. 이동 스테이지(202) 및 제2 성형형(22)은, X 방향을 따라 대기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한 단계에서 정지되고, 정지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또한, 이동 스테이지(202) 및 제2 성형형(22)을 정지 위치에 보유 지지할 때에는, 제2 성형형(22)으로부터 제1 성형형(21)을 향하게 한 X 방향의 하중(토크)을 부여해도 되고, 이동 스테이지(202) 및 제2 성형형(22)을 이송 나사 등의 작용에 의해 기계적으로 정지 위치에 보유 지지해도 된다.
제1 성형형(21)에 대한 이동 스테이지(202) 및 제2 성형형(22)의 접근 이동을 정지시킨 후, 도시하지 않은 구동 유닛에 의해 제2 성형형(22)이 제1 성형형(2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스테이지(202)를 X 방향을 따라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도 3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 유닛을 작동시켜 코일 지지부(25)를 회전축(25a)의 축심 주위로 도 3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에 의해 리드선부(11)의 유격 단부측을 보유 지지(구속)한 상태에서, 코일(10)을 지지한 코일 지지부(25)의 회전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굽힘 지지점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리드선부(11)를 에지와이즈 방향을 따라 굽혀 최기단부측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1)를 성형할 수 있다. 이 결과, 코일(10)에 대한 리드선부(11)의 유격 단부(11a)의 위치의 정밀도를 확보하면서 최기단부측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1)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지지부(25)를 초기 위치로부터 도 3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90°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최기단부측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1)의 성형이 완료된다. 그리고, 리드선부(11)에 대한 복수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1, e2) 및 복수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f2, f3)의 성형이 완료된 후, 코일(10)을 코일 지지부(25)로부터 제거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는, 서로 접근 이격 가능한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을 서로 접근시켜, 코일(1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11)를 접근 이격 방향(X 방향)과는 다른 방향(Y 방향, 즉,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굽힘으로써, 당해 리드선부(11)에, 어느 하나(f1)가 잔여(f2, f3)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를 성형하는 것이다. 그리고,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 있어서, 제2 성형형(22)은, 리드선부(11)에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 중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보다도 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f2)가 성형되는 동안에 리드선부(11)와 비접촉으로 되어 당해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을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클리어런스부(230)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2 성형형(22)에 클리어런스부(230)를 설치하여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보다도 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f2)가 성형되는 동안(소성 변형될 때까지)에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을 구속하지 않도록 함(소성 변형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재의 신장량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리드선부(11)의 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f2)를 성형한 후에,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각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에 있어서의 치수 오차나 전기 저항의 증가를 억제함과 함께, 코일(10)에 대한 리드선부(11)의 유격 단부(11a)의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 따르면, 코일(1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11)에, 어느 하나가 잔여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를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에 의해 일괄적으로 고정밀도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 있어서, 제1 성형형(21)은,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에 대응한 복수의 곡면(216, 217 및 218)을 포함하는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을 갖고, 제2 성형형(22)의 클리어런스부(230)는, 리드선부(11)에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보다도 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f2)가 성형되는 동안에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의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에 대응한 곡면(218)과 대향하는 오목부로 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을 서로 접근시켜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보다도 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f2)를 성형하는 동안에,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과 제2 성형형(22)의 접촉을 끊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에 의해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이 구속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 있어서, 제2 성형형(22)은, Z 방향, 즉, 코일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된 코일(10)의 리드선부(11)와 평행하게 연장됨과 함께,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이 서로 접근함에 따라 제1 성형형(21)의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에 근접하도록 경사지는 압박면(229)을 갖고, 오목부인 클리어런스부(230)는, 압박면(229)측에서 개구되도록 제2 성형형(22)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에 의해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에서 플랫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이 구속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2 성형형(22)의 압박면(229)에 의해 리드선부(11)를 제1 성형형(21)의 플랫와이즈 성형면(215)에 압박하여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보다도 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 f2)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서는, 고정형인 제1 성형형(21)의 수압면(211)에 의해 리드선부(11)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형인 제2 성형형(22)을 제1 성형형(21)에 접근시킴으로써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가 성형된다. 이에 의해, 코일(1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11)에, 어느 하나가 잔여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를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에 의해 일괄적으로 고정밀도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 있어서, 제1 성형형(21)을 이동형으로서 구성함과 함께 제2 성형형(22)을 고정형으로서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은, 서로 접근하여 에지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 최유격 단부측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2)를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을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 및 1개의 에지와이즈 굽힘부(e2)를 보다 단시간 중에 리드선부(11)에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은, 서로 접근하여 에지와이즈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 복수의 에지와이즈 굽힘부를 성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성형형(21, 22) 중 어느 한쪽의 에지와이즈 성형면을 생략함과 함께,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의 다른 쪽에 접근 이격 가능한 제3 성형형을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 설치하여,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의 다른 쪽과 제3 성형형에 의해 적어도 1개의 에지와이즈 굽힘부를 리드선부(11)에 성형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의 다른 쪽에 제3 성형형이 접근하는 것에 연동하여,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에지와이즈 굽힘부(e1)를 성형하도록 제3 성형형 및 코일 지지부(25)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은,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보다도 유격 단부측의 부분[적어도 피막이 제거된 유격 단부(11a)]을 구속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 사이에 있어서의 선재의 신장량의 편차를 억제함과 함께, 에지와이즈 굽힘부(e2)에서의 선재의 신장량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나 에지와이즈 굽힘부(e1, e2)의 성형에 앞서, 리드선부(11)의 유격 단부(11a)의 피막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피막의 두께를 고려하면서, 리드선부(11)의 최유격 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3)보다도 유격 단부측의 부분을 구속하지 않도록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을 구성하면 된다.
또한,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은, 리드선부(11)에 최기단부측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가 잔여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2, f3)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3개의 플랫와이즈 굽힘부(f1∼f3)를 성형하도록 구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플랫와이즈 굽힘부(f2 또는 f3)가 잔여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져도 되고,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은, 서로 접근함으로써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잔여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진 2개 이상의 플랫와이즈 굽힘부를 리드선부(11)에 성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의 성형 대상이 되는 리드선부(11)는, 직사각형(장방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정사각 형상, 원 형상 혹은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들의 경우, 플랫와이즈 방향에 대응한 제1 굽힘 방향은, 도선의 단면(정사각형)의 1변, 1개의 직경, 혹은 짧은 직경과 직교하는 방향이 되고, 에지와이즈 방향에 대응한 제2 굽힘 방향은, 도선의 단면(정사각형)의 상기 1변과 직교하는 다른 변, 상기 1개의 직경과 직교하는 다른 직경, 혹은 긴 직경과 직교하는 방향이 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 엔드 성형 장치(20)의 제1 및 제2 성형형(21, 22)의 접근 이격 방향은, Y 방향(제1 굽힘 방향)과, Z 방향[코일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된 굽힘 가공 전의 코일(10)의 리드선부(11)의 연장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X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당해 접근 이격 방향은,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과,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XZ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이면, X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제1 굽힘 방향은, X 방향(접근 이격 방향)과 Z 방향[굽힘 가공 전의 코일(10)의 리드선부(11)의 연장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Y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굽힘 방향은, XZ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이면, Y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이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외연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이룰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는, 어디까지나 과제의 해결 수단의 란에 기재된 발명의 구체적인 일 형태에 지나지 않고, 과제의 해결 수단의 란에 기재된 발명의 요소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플랫와이즈 굽힘부를 갖는 리드선부를 일단부에 구비하는 코일의 제조 산업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10)

  1. 삭제
  2. 코일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에,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코일 엔드 성형 장치이며,
    서로 접근 이격 가능함과 함께, 서로 접근하여 상기 리드선부를 접근 이격 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따라 굽힘으로써,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제1 및 제2 성형형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당해 하나의 제1 굽힘부 이외의 제1 굽힘부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최유격 단부측의 1개보다도 기단부측의 제1 굽힘부가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에 의해 상기 리드선부에 성형되는 동안에, 상기 리드선부와 비접촉으로 되어 당해 리드선부의 상기 최유격 단부측에서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을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클리어런스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다른 쪽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에 대응한 복수의 곡면을 포함하는 제1 성형면을 갖고,
    상기 클리어런스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최유격 단부측의 1개보다도 기단부측의 제1 굽힘부가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에 의해 상기 리드선부에 성형되는 동안에, 상기 제1 성형면의 상기 최유격 단부측의 제1 굽힘부에 대응한 곡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에 형성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엔드 성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은, 상기 리드선부와 평행하게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이 서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성형면에 근접하도록 경사지는 압박면을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압박면측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엔드 성형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은, 다른 쪽에 대해 접근 이격 가능한 이동형이며,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다른 쪽은, 고정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엔드 성형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은, 상기 리드선부의 상기 최유격 단부측의 제1 굽힘부보다도 유격 단부측을 구속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엔드 성형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부에는, 3개의 제1 굽힘부가 성형되고, 상기 3개의 제1 굽힘부 중 최기단부측의 1개가 잔여의 2개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엔드 성형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은, 서로 접근하여 상기 제1 굽힘 방향과 직교하는 제2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 적어도 1개의 제2 굽힘부를 성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엔드 성형 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평각선을 권회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1 굽힘 방향은, 플랫와이즈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엔드 성형 장치.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은, 상기 리드선부를 상기 접근 이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굽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엔드 성형 장치.
  10. 서로 접근 이격 가능한 제1 및 제2 성형형을 사용하여, 코일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리드선부를 당해 제1 및 제2 성형형의 접근 이격 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따라 굽힘으로써, 상기 리드선부에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코일 엔드 성형 방법이며,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을 서로 접근시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당해 하나의 제1 굽힘부 이외의 제1 굽힘부와는 역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상기 리드선부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를 성형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에 의해 상기 리드선부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최유격 단부측의 1개보다도 기단부측의 제1 굽힘부가 성형되는 동안에, 상기 리드선부의 상기 최유격 단부측에서 제1 굽힘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부분을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클리어런스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다른 쪽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에 대응한 복수의 곡면을 포함하는 제1 성형면을 갖고,
    상기 클리어런스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굽힘부 중 최유격 단부측의 1개보다도 기단부측의 제1 굽힘부가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에 의해 상기 리드선부에 성형되는 동안에, 상기 제1 성형면의 상기 최유격 단부측의 제1 굽힘부에 대응한 곡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성형형의 한쪽에 형성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엔드 성형 방법.
KR1020167013064A 2013-12-05 2014-12-05 코일 엔드 성형 장치 및 방법 KR101797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2000 2013-12-05
JPJP-P-2013-252000 2013-12-05
PCT/JP2014/082265 WO2015083827A1 (ja) 2013-12-05 2014-12-05 コイルエンド成形装置およ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222A KR20160072222A (ko) 2016-06-22
KR101797884B1 true KR101797884B1 (ko) 2017-11-14

Family

ID=5327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064A KR101797884B1 (ko) 2013-12-05 2014-12-05 코일 엔드 성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50500B2 (ko)
EP (1) EP3048709B1 (ko)
JP (1) JP6089118B2 (ko)
KR (1) KR101797884B1 (ko)
CN (1) CN105745825B (ko)
WO (1) WO20150838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3538A (zh) * 2017-12-01 2019-06-1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线圈形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9161B (zh) * 2016-08-01 2018-02-16 中车永济电机有限公司 增强抗振性的异步牵引电机定子结构
JP2018074861A (ja) * 2016-11-02 2018-05-10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
JP6544349B2 (ja) * 2016-12-27 2019-07-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平角線の曲げ加工装置
DE102017208550A1 (de) * 2017-05-19 2018-11-22 Mahle International Gmbh Elektrische 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CN107749700B (zh) * 2017-12-06 2024-04-12 昆山迈征自动化科技有限公司 用于电枢绕组的扁铜线扭转装置
JP6922732B2 (ja) * 2017-12-27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導線成形装置
JP6962182B2 (ja) * 2017-12-27 2021-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導線成形装置
JP6897582B2 (ja) 2018-01-17 2021-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導線成形装置
JP2020048359A (ja) * 2018-09-20 2020-03-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ータの製造方法
CN113113977B (zh) * 2020-01-10 2022-10-04 浙江盘毂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轴向磁场电机的绕组结构及绕制方法
CN111564941B (zh) * 2020-06-15 2021-07-20 中车株洲电机有限公司 一种直线电机长定子电缆绕组端部弯形装置及其方法
CN111934502B (zh) * 2020-07-24 2021-08-27 章文中 一种大型电机定子线圈弯形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028A (ja) * 2000-08-16 2002-02-28 Toyota Motor Corp コイルおよびリード形成装置並びにリード形成方法
US20030173842A1 (en) * 2001-10-26 2003-09-1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entralized power distribution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bus ba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505A (ja) * 1993-03-08 1994-09-16 Toshiba Corp 亀甲形コイル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080488A (ja) * 2003-09-03 2005-03-24 Aisin Aw Co Ltd 回転電機ステータコイルエンドの拡張成形方法及び装置
JP4460499B2 (ja) * 2005-07-28 2010-05-1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
CN201018367Y (zh) * 2007-03-02 2008-02-06 中国北车集团永济电机厂 并排双头定子线圈引线头定位弯头工装
CN101303933B (zh) * 2007-05-11 2011-02-16 上海置信非晶合金变压器有限公司 线圈换位弯线工具及使用方法
JP5309897B2 (ja) 2008-10-30 2013-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
JP5131560B2 (ja) * 2009-03-13 2013-01-3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コイル製造方法及びコイル製造装置
JP5392548B2 (ja) * 2009-04-07 2014-01-22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テータコイルのコイルエンド成形方法およびコイルエンド成形装置
CN201608605U (zh) * 2009-10-29 2010-10-13 天津市天发重型水电设备制造有限公司 条形定子线圈可调节编花压弯模装置
KR101224688B1 (ko) * 2009-12-18 2013-01-21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스테이터
CN202043005U (zh) * 2011-03-31 2011-11-16 天津市天发重型水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铜排引线的压弯工装
US9712024B2 (en) * 2012-07-25 2017-07-18 Aisin Aw Co., Ltd. Coil end shap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028A (ja) * 2000-08-16 2002-02-28 Toyota Motor Corp コイルおよびリード形成装置並びにリード形成方法
US20030173842A1 (en) * 2001-10-26 2003-09-1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entralized power distribution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bus ba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3538A (zh) * 2017-12-01 2019-06-1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线圈形成设备
CN109873538B (zh) * 2017-12-01 2021-04-2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线圈形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45825A (zh) 2016-07-06
JP6089118B2 (ja) 2017-03-01
EP3048709A1 (en) 2016-07-27
EP3048709B1 (en) 2018-12-05
US10050500B2 (en) 2018-08-14
WO2015083827A1 (ja) 2015-06-11
EP3048709A4 (en) 2017-01-11
JPWO2015083827A1 (ja) 2017-03-16
KR20160072222A (ko) 2016-06-22
CN105745825B (zh) 2018-07-03
US20160294263A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884B1 (ko) 코일 엔드 성형 장치 및 방법
KR101699144B1 (ko) 코일 엔드 성형 장치 및 방법
US9859775B2 (en) Method for forming a concentric winding coil
JP6234791B2 (ja) 導線成形装置および方法
US9613750B2 (en) Segmented-coil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JP6180552B2 (ja) 固定子巻線用コイルの製造方法
JP2007037313A (ja) 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
JP2014135857A (ja) セグメント製造方法、及びセグメント製造装置
CN109888993B (zh) 导线成型装置以及方法
JP5146779B2 (ja) コイル製造方法及びコイル製造装置
JP2011120356A (ja) ステータおよびステータ製造方法
CN110022038B (zh) 导线成型装置
JP2022035822A (ja) 捻り加工装置および捻り加工方法
JP6922732B2 (ja) 導線成形装置
US11858029B2 (en) Method for processing round metallic wire, round metallic wir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distribution component
CN110038976B (zh) 导线成型装置
CN111555571A (zh) 一种电机绕组线圈的绕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