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700B1 -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700B1
KR101797700B1 KR1020160011790A KR20160011790A KR101797700B1 KR 101797700 B1 KR101797700 B1 KR 101797700B1 KR 1020160011790 A KR1020160011790 A KR 1020160011790A KR 20160011790 A KR20160011790 A KR 20160011790A KR 101797700 B1 KR101797700 B1 KR 10179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lutch
roll
transfer mode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865A (ko
Inventor
김태완
길영배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티이엔지 filed Critical (주)티아이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1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7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1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 B41J33/16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with drive applied to spool or spool spindle
    • B41J33/22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with drive applied to spool or spool spindle by gears or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2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ards, envelopes, or the like, e.g. credit cards, cut visiting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2Key actions for specified purposes
    • B41J25/10Ink-ribbon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embossing, e.g. for making matrices for stereotypes
    • B41J3/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embossing, e.g. for making matrices for stereotypes of plates, e.g. metal plates, plastic cards
    • B41J3/38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embossing, e.g. for making matrices for stereotypes of plates, e.g. metal plates, plastic cards with automatic plate transport systems, e.g. for credit cards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급롤은 인쇄리본을 권취한 상태로부터 인출한다. 회수롤은 공급롤로부터 인출되어 열전사헤드를 거친 인쇄리본을 권취해서 회수한다. 회전모터는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회수롤 기어는 회수롤에 동축으로 고정된다. 제1 이송모드 기어는 회수롤 기어의 축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이송모드 기어는 제1 이송모드 기어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회수롤 기어에 치합된다. 장력제어 기구는 열전사헤드를 지나는 인쇄리본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도록 제1 이송모드 기어로부터 제2 이송모드 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한다. 클러치 기구는 회전모터에 의해 정,역 방향의 회전력이 발생될 때, 어느 한쪽 방향의 회전력을 제1 이송모드 기어로 전달하여 인쇄리본을 제1 이송모드로 이송시키며, 다른 쪽 방향의 회전력을 제2 이송모드 기어로 전달하여 인쇄리본을 제2 이송모드로 이송시킨다.

Description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PRINTING-RIBBON OPERATING APPARATUS OF CARD PRINTER}
본 발명은 카드 프린터에 채용되는 것으로, 열전사헤드와 인쇄리본을 이용하여 카드의 표면에 카드 정보를 인쇄할 때, 열전사헤드로 인쇄리본을 공급한 후 회수하기 위한 인쇄리본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드 프린터는 신분증, 신용카드 등과 같은 각종 카드의 표면에 카드 정보를 인쇄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카드 프린터의 경우, 열전사헤드와 인쇄리본을 이용해서 카드의 표면에 카드 정보를 인쇄하게 된다. 이때, 인쇄리본 구동장치에 의해 인쇄리본을 열전사헤드로 공급한 후 회수시킬 수 있다. 인쇄리본 구동장치는 인쇄리본을 권취한 상태로부터 인출하는 공급롤과, 공급롤로부터 인출되어 열전사헤드를 거친 인쇄리본을 권취해서 회수하는 회수롤을 포함한다. 여기서, 회수롤은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종래의 일 예에 따르면, 회전모터의 구동축은 벨트에 의해 회수롤과 연결되어 회수롤에 회전력을 전달된다. 그런데, 공급롤로부터 인출된 인쇄리본이 회수롤에 회수됨에 따라 회수롤에 감긴 인쇄리본의 반경이 커지게 되면, 열전사헤드를 지나는 인쇄리본의 장력이 커지게 된다. 이때, 회수롤은 벨트에 의해 회전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쇄리본과 슬립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인쇄품질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인쇄시 인쇄리본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7605(2002. 06. 14.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인쇄품질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는 공급롤과, 회수롤과, 회전모터와, 회수롤 기어와, 제1 이송모드 기어와, 제2 이송모드 기어와, 장력제어 기구, 및 클러치 기구를 포함한다. 공급롤은 인쇄리본을 권취한 상태로부터 인출한다. 회수롤은 공급롤로부터 인출되어 열전사헤드를 거친 인쇄리본을 권취해서 회수한다. 회전모터는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회수롤 기어는 회수롤에 동축으로 고정된다. 제1 이송모드 기어는 회수롤 기어의 축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이송모드 기어는 제1 이송모드 기어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회수롤 기어에 치합된다. 장력제어 기구는 열전사헤드를 지나는 인쇄리본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도록 제1 이송모드 기어로부터 제2 이송모드 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한다. 클러치 기구는 회전모터에 의해 정,역 방향의 회전력이 발생될 때, 어느 한쪽 방향의 회전력을 제1 이송모드 기어로 전달하여 인쇄리본을 제1 이송모드로 이송시키며, 다른 쪽 방향의 회전력을 제2 이송모드 기어로 전달하여 인쇄리본을 제2 이송모드로 이송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리본의 이송이 제1 이송모드로 이루어질 때 인쇄리본의 장력이 일정하게 제어될 수 있으므로,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부재의 마모가 줄어들어 수명을 향상시키고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쇄리본의 이송이 제2 이송모드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회전모터로 인쇄리본의 이송이 제1,2 이송모드에 따라 각기 다르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리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회수롤 쪽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클러치 기구에 의해 제1 이송모드 기어가 회전 구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클러치 기구에 의해 제2 이송모드 기어가 회전 구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제2 클러치 기어 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리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회수롤 쪽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100)는 공급롤(110)과, 회수롤(120)과, 회전모터(130)와, 회수롤 기어(140)와, 제1 이송모드 기어(150)와, 제2 이송모드 기어(160)와, 장력제어 기구(170), 및 클러치 기구(180)를 포함한다.
공급롤(110)은 인쇄리본(10)을 권취한 상태로부터 인출한다. 공급롤(110)은 구동원 없이 자유 회전할 수 있다. 공급롤(110)에 권취된 인쇄리본(10)의 한쪽 단을 회수롤(120)에 고정한 상태에서, 회수롤(120)이 회전 구동하여 인쇄리본(10)을 권취하면, 공급롤(110)에 권취된 인쇄리본(10)이 공급롤(110)로부터 풀리면서 인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리본(10)은 필름 상에 잉크층(11)과 오버레이층(overlay layer, 12)이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 오버레이층(12)들 사이에 위치되는 잉크층(11)은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의 잉크층들(11a, 11b, 11c, 11d)이 일정 간격으로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잉크층(11)은 카드(20)의 표면에 카드 정보를 인쇄하는데 사용된다. 오버레이층(12)은 투명하게 이루어지며 카드(20)의 표면을 코팅하는데 사용된다.
회수롤(120)은 공급롤(110)로부터 인출되어 열전사헤드(30)를 거친 인쇄리본(10)을 권취해서 회수한다. 열전사헤드(30)는 인쇄 출력 신호를 입력 받으면, 인쇄리본(10)의 잉크층(11)에 열을 가함으로써, 카드(20)의 표면에 카드 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열전사헤드(30)는 카드 코팅 신호를 입력 받으면, 인쇄리본(10)의 오버레이층(12)에 열을 가함으로써, 카드(20)의 표면을 코팅할 수 있다.
회전모터(130)는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회전모터(130)의 회전력은 클러치 기구(180)를 거쳐 회수롤(120)로 전달된다. 회수롤 기어(140)는 회수롤(120)에 동축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회수롤 기어(140)가 회전함에 따라 회수롤(12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이송모드 기어(150)는 회수롤 기어(140)의 축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이송모드 기어(150)는 인쇄리본(10)을 제1 이송모드로 이송시킬 때, 회전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한다. 여기서, 제1 이송모드는 카드(20)의 표면에 카드 정보를 인쇄하거나 카드(20)의 표면을 코팅할 때 인쇄리본(10)을 이송시키는 모드에 해당한다. 제2 이송모드 기어(160)는 제1 이송모드 기어(150)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회수롤 기어(140)에 치합된다.
제2 이송모드 기어(160)는 인쇄리본(10)을 제2 이송모드로 이송시킬 때, 회전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한다. 여기서, 제2 이송모드는 제1 이송모드 외에 인쇄리본(10)을 이송시키는 모드에 해당한다. 예컨대, 제2 이송모드는 잉크층들(11a, 11b, 11c, 11d) 중 사용되지 않는 색상의 잉크층 또는 오버레이층(12)을 스킵할 때 인쇄리본(10)을 이송시키는 모드, 인쇄리본(10)의 초기 장착된 상태에서 초기점에 위치시킬 때 인쇄리본(10)을 이송시키는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장력제어 기구(170)는 열전사헤드(30)를 지나는 인쇄리본(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도록 제1 이송모드 기어(150)로부터 제2 이송모드 기어(160)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한다. 예컨대, 장력제어 기구(170)는 마찰부재(171) 및 스프링(17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171)는 제1 이송모드 기어(150)에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 이송모드 기어(150)와 함께 회전한다. 마찰부재(171)는 제2 이송모드 기어(160)의 중앙 부위와 면 접촉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172)은 마찰부재(171)를 제2 이송모드 기어(160)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마찰부재(171)에 탄성력을 가한다. 이러한 장력제어 기구(17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마찰부재(171)가 스프링(172)에 의해 제2 이송모드 기어(160)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이송모드 기어(150)가 회전 구동하면, 제1 이송모드 기어(150)의 회전력이 제2 이송모드 기어(160)로 전달된다. 이때, 공급롤(110)로부터 인출된 인쇄리본(10)이 회수롤(120)에 회수됨으로 인해, 열전사헤드(30)를 지나는 인쇄리본(10)의 장력이 커지게 되면, 마찰부재(171)와 제2 이송모드 기어(160)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되므로, 인쇄리본(10)의 장력이 일정하게 제어될 수 있다.
클러치 기구(180)는 회전모터(130)에 의해 정,역 방향의 회전력이 발생될 때, 어느 한쪽 방향의 회전력을 제1 이송모드 기어(150)로 전달하여 인쇄리본(10)을 제1 이송모드로 이송시키며, 다른 쪽 방향의 회전력을 제2 이송모드 기어(160)로 전달하여 인쇄리본(10)을 제2 이송모드로 이송시킨다. 예컨대, 클러치 기구(180)는 제1 클러치 기어(181)와, 제2 클러치 기어(182)와, 아이들 기어(183)와, 클러치 구동기어(184)와, 샤프트(185)와, 제1 원웨이 베어링(186), 및 제2 원웨이 베어링(18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러치 기어(181)는 제1 이송모드 기어(150)와 치합된다. 제2 클러치 기어(182)는 제1 클러치 기어(181)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아이들 기어(183)는 한쪽 부위가 제2 클러치 기어(182)에 치합되고 다른 쪽 부위가 제2 이송모드 기어(160)에 치합된다. 아이들 기어(183)는 제2 이송모드 기어(160)의 회전 방향을 제2 클러치 기어(18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전환한다.
클러치 구동기어(184)는 제1 클러치 기어(181)와 제2 클러치 기어(182) 사이에서 동축으로 배치되며 회전모터(130)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한다. 클러치 구동기어(184)는 모터 기어(131) 및 동력전달 기어(132)를 통해 회전모터(13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모터 기어(131)는 회전모터(130)의 구동축에 동축으로 고정된다. 동력전달 기어(132)는 한쪽 부위가 모터 기어(131)에 치합되고 다른쪽 부위가 클러치 구동기어(184)에 치합됨으로써, 모터 기어(131)의 회전력을 클러치 구동기어(184)로 전달한다.
샤프트(185)는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중심으로부터 양쪽으로 각각 돌출되어 제1 클러치 기어(181)와 제2 클러치 기어(182)의 각 중심에 끼워진다. 샤프트(185)는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 원웨이 베어링(186)은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 방향이 회수롤(120)의 권취 방향과 동일 방향일 때만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력을 제1 클러치 기어(181)로 전달한다. 회수롤(120)의 권취 방향이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된다면, 제1 원웨이 베어링(186)은 클러치 구동기어(18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제1 클러치 기어(181)가 샤프트(185)에 구속되어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한다.
또한, 제1 원웨이 베어링(186)은 제1 클러치 기어(181)가 샤프트(185)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샤프트(185)에 구속되지 않게 함으로써, 제1 클러치 기어(181)로부터 클러치 구동기어(184)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한다.
제2 원웨이 베어링(187)은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 방향이 회수롤(120)의 권취 방향과 반대 방향일 때만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력을 제2 클러치 기어(182)로 전달한다. 회수롤(120)의 권취 방향이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된다면, 제2 원웨이 베어링(187)은 클러치 구동기어(18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제2 클러치 기어(182)가 샤프트(185)에 구속되어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한다.
또한, 제2 원웨이 베어링(187)은 제2 클러치 기어(182)가 샤프트(185)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샤프트(185)에 구속되지 않게 함으로써, 제2 클러치 기어(182)로부터 클러치 구동기어(184)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클러치 기구(180)에 대한 작용 예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는 인쇄리본(10)을 제1 이송모드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1 이송모드 기어(150)를 회전 구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인쇄리본(10)을 제2 이송모드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2 이송모드 기어(160)를 회전 구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기어(131)가 회전모터(13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 구동기어(184)는 동력전달 기어(132)를 매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 클러치 기어(181)는 제1 원웨이 베어링(186)에 의해 샤프트(185)에 구속되므로,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클러치 기어(18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이송모드 기어(1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 이송모드 기어(160)는 제1 이송모드 기어(150)의 마찰부재(171)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마찰부재(171)와의 마찰력에 의해 제1 이송모드 기어(1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회수롤(120)은 회수롤 기어(14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쇄리본(10)을 열전사헤드(30)에 대해 제1 이송모드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클러치 구동기어(18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클러치 기어(182)는 제2 원웨이 베어링(187)에 의해 샤프트(185)에 구속되지 않으므로,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2 클러치 기어(182)로부터 제2 이송모드 기어(160)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이송모드 기어(1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때, 제2 클러치 기어(182)가 제2 이송모드 기어(160)에 종속되어 샤프트(185)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제2 클러치 기어(182)는 제2 원웨이 베어링(187)에 의해 샤프트(185)에 구속되지 않으므로, 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쇄리본(10)의 이송이 제1 이송모드로 이루어질 때, 제1 이송모드 기어(150)는 회전모터(130)의 회전력을 직접적으로 제공받고, 제2 이송모드 기어(160)는 마찰부재(171)를 통해 제1 이송모드 기어(150)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에 따라, 회수롤(120)에 권취되는 인쇄리본(10)의 장력이 커짐으로 인해 제2 이송모드 기어(160)의 속도 변화가 생기게 되면, 제2 이송모드 기어(160)는 제1 이송모드 기어(150)에 대해 슬립을 일으킬 수 있게 되므로, 인쇄리본(10)의 장력이 일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리본(10)은 제1 이송모드로 이송될 때 열전사헤드(30)에 대해 일정 속도로 이송될 수 있으므로,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드(20)의 표면에 대한 코팅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기어(131)가 회전모터(13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 구동기어(184)는 동력전달 기어(132)를 매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 클러치 기어(182)는 제2 원웨이 베어링(187)에 의해 샤프트(185)에 구속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2 이송모드 기어(160)가 아이들 기어(183)를 거쳐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롤(120)은 회수롤 기어(14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쇄리본(10)을 열전사헤드(30)에 대해 제2 이송모드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클러치 구동기어(18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클러치 기어(181)는 제1 원웨이 베어링(186)에 의해 샤프트(185)에 구속되지 않으므로,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1 클러치 기어(181)로부터 제1 이송모드 기어(150)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이송모드 기어(160)가 클러치 구동기어(184)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때, 제1 클러치 기어(181)가 제1 이송모드 기어(150)에 종속되어 샤프트(185)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 클러치 기어(181)는 제1 원웨이 베어링(186)에 의해 샤프트(185)에 구속되지 않으므로,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쇄리본(10)의 이송이 제2 이송모드로 이루어질 때, 제2 이송모드 기어(160)는 회전모터(130)의 회전력을 직접적으로 제공받고, 제1 이송모드 기어(150)는 회전모터(130)의 회전력을 직접적으로 제공받지 않는다. 이에 따라, 회수롤(120)에 권취되는 인쇄리본(10)의 장력이 커짐으로 인해 제2 이송모드 기어(160)의 속도 변화가 생기더라도, 제1 이송모드 기어(150)는 제2 이송모드 기어(160)에 대해 슬립 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마찰부재(171)의 마모가 줄어들어 수명을 향상시키고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쇄리본(10)의 이송이 제2 이송모드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공급롤 10..인쇄리본
11..잉크층 12..오버레이층
30..열전사헤드 120..회수롤
130..회전모터 140..회수롤 기어
150..제1 이송모드 기어 160..제2 이송모드 기어
170..장력제어 기구 171..마찰부재
172..스프링 180..클러치 기구
181..제1 클러치 기어 182..제2 클러치 기어
183..아이들 기어 184..클러치 구동기어
185..샤프트 186..제1 원웨이 베어링
187..제2 원웨이 베어링

Claims (3)

  1. 인쇄리본을 권취한 상태로부터 인출하는 공급롤;
    상기 공급롤로부터 인출되어 열전사헤드를 거친 인쇄리본을 권취해서 회수하는 회수롤;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회수롤에 동축으로 고정된 회수롤 기어;
    상기 회수롤 기어의 축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이송모드 기어;
    상기 제1 이송모드 기어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수롤 기어에 치합되는 제2 이송모드 기어;
    상기 열전사헤드를 지나는 인쇄리본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도록 상기 제1 이송모드 기어로부터 상기 제2 이송모드 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장력제어 기구; 및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정,역 방향의 회전력이 발생될 때, 어느 한쪽 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이송모드 기어로 전달하여 상기 인쇄리본을 제1 이송모드로 이송시키며, 다른 쪽 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제2 이송모드 기어로 전달하여 상기 인쇄리본을 제2 이송모드로 이송시키는 클러치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제1 이송모드 기어와 치합되는 제1 클러치 기어와,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2 클러치 기어와,
    한쪽 부위가 상기 제2 클러치 기어에 치합되고 다른 쪽 부위가 상기 제2 이송모드 기어에 치합되는 아이들 기어와,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와 제2 클러치 기어 사이에서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클러치 구동기어와,
    상기 클러치 구동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양쪽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와 제2 클러치 기어의 각 중심에 끼워지는 샤프트와,
    상기 클러치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이 상기 회수롤의 권취 방향과 동일 방향일 때만 상기 클러치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1 클러치 기어로 전달하는 제1 원웨이 베어링, 및
    상기 클러치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이 상기 회수롤의 권취 방향과 반대 방향일 때만 상기 클러치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2 클러치 기어로 전달하는 제2 원웨이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제어 기구는,
    상기 제1 이송모드 기어에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 이송모드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마찰부재, 및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제2 이송모드 기어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마찰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
KR1020160011790A 2016-01-29 2016-01-29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 KR10179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790A KR101797700B1 (ko) 2016-01-29 2016-01-29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790A KR101797700B1 (ko) 2016-01-29 2016-01-29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865A KR20170090865A (ko) 2017-08-08
KR101797700B1 true KR101797700B1 (ko) 2017-11-15

Family

ID=5965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790A KR101797700B1 (ko) 2016-01-29 2016-01-29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169A (ko) 2022-07-25 2024-02-01 프리닉스(주) 프린터의 리본 권취 구동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556A1 (ko) * 2017-10-31 2019-05-09 디에스글로벌 (주) 포토 프린터
JP7259442B2 (ja) * 2019-03-19 2023-04-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リボン送り機構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197B1 (ko) * 2004-09-16 2006-08-01 박준규 카드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
JP6013235B2 (ja) * 2013-03-06 2016-10-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セッテ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197B1 (ko) * 2004-09-16 2006-08-01 박준규 카드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
JP6013235B2 (ja) * 2013-03-06 2016-10-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セッテ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169A (ko) 2022-07-25 2024-02-01 프리닉스(주) 프린터의 리본 권취 구동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865A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8973B2 (ja) 印刷装置
KR101797700B1 (ko) 카드 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
WO2014084169A1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US8550732B2 (en)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conveying device and thermal transfer line printer using the same
JP4939147B2 (ja) 記録装置
US9505229B2 (en) Apparatus for forming images
US897923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025266A (ko) 마찰롤러를 이용한 동력전달장치, 이를 이용한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US6848845B2 (en) Thermal ribbon cartridge or roll with slack ribbon retraction
JP634396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04742A (ja) 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装置
KR101336570B1 (ko) 그라비아 인쇄장치
KR100897861B1 (ko) 카드프린터의 인쇄리본 구동장치
JP5978117B2 (ja) 印刷装置
JP3581084B2 (ja) ラインサ−マルヘッド印字装置
JP2006137193A (ja) 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用の供給ユニット
JP512574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41294A (ja) リボン供給装置
JP2024068551A (ja) 歯車機構、張力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57421A (ja) ロール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305910A (ja) プリンタ
JPH1134419A (ja) 印刷装置におけるリボン巻取機構
JP2006315375A (ja) 中間転写型熱転写印刷装置
JP4853158B2 (ja) プリンタ
JP2019162790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