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589B1 -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589B1
KR101797589B1 KR1020160119731A KR20160119731A KR101797589B1 KR 101797589 B1 KR101797589 B1 KR 101797589B1 KR 1020160119731 A KR1020160119731 A KR 1020160119731A KR 20160119731 A KR20160119731 A KR 20160119731A KR 101797589 B1 KR101797589 B1 KR 101797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tersection
area
entry are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토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토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토피아
Priority to KR1020160119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차로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인식하여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에 따라 교통량을 검출하도록 하는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는, 교차로에 설치되어 상기 교차로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교차로에 진입가능한 도로마다 진입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진입영역에서 차량이 주행가능한 방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부; 상기 진입영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차량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상기 차량을 실시간 추적하는 차량추적부; 및 상기 차량추적부에서의 추적결과 상기 진입영역을 진입하여 상기 주행영역을 주행하는 차량을 카운트하는 카운트부; 및 상기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결과에 따라 상기 교차로에서의 교통량을 계산하는 교통량계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Traffic volume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section}
본 발명은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차로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인식하여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에 따라 교통량을 검출하도록 하는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보급률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차량의 개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도로의 보급률은 이를 따라가질 못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의 큰 교차로에서는 차량 통행량이 많기 때문에 금방 혼잡해지고 이에 따른 교통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차로에서는 차량의 교통량에 따라 신호등을 적절히 조정하여 교통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교차로에서의 교통량 검출이 우선되어야 하며, 최근에 도로에서의 통행량을 측정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CCTV를 통해 통행량을 조사하거나 각 요금소의 통행량 분석을 통해 교통량을 분석하고 있어 대략적인 교통흐름만을 차량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초음파센서나 레이저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을 카운트하여 차량의 통행량을 측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거나, 또는 과거와 현재의 교통흐름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통혼잡을 예측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종래기술에서는 도로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카운트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개수만을 파악하는 정도에 그쳤을 뿐, 교차로에서 차량의 진행방향, 즉 좌회전, 직진, 우회전 등의 진행방향에 따라 교통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술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78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705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0049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4580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교차로의 영상으로부터 좌회전, 직진, 우회전 등과 같이 진행방향에 따라 실시간으로 교통량을 검출하는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차로의 진입영역에서 각 진행방향에 따라 결정된 주행영역을 통과하거나 주행영역의 끝단부에 설정된 진출영역을 통과하는 차량을 카운트함으로써 교차로에서의 진행방향에 따른 교통량을 정확히 검출하는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방법은, 교차로에 설치된 카메라부에서 상기 교차로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단계; 영역설정부에서 상기 교차로 영상으로부터 상기 교차로로 차량이 진입가능한 도로마다 진입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진입영역에서 차량이 주행가능한 방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주행영역의 끝단부에 상기 주행영역을 주행한 차량이 빠져나가는 진출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단계; 차량추적부에서 상기 진입영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차량을 인식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추적단계; 카운트부에서 상기 차량추적부에서의 추적결과 상기 진입영역을 진입하여 상기 주행영역을 주행하는 차량을 카운트하는 카운트단계; 및 교통량계산부에서 상기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결과에 따라 상기 교차로에서의 교통량을 계산하는 계산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추적부는 상기 진입영역으로 진입한 차량과 상기 진출영역을 통과중인 차량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경우 상기 두 차량이 이루는 방향각을 계산하되, 상기 진입영역을 기준으로 직진방향으로 기준선(L1)으로 설정하여 상기 기준선(L1)을 기준으로 상기 진입영역의 차량에서 상기 진출영역의 차량까지 이어진 선(L2)이 이루는 각으로 방향각을 계산하고,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계산된 방향각을 이용하여 주행방향별로 차량을 카운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운트부는 차량이 상기 진입영역에 진입한 후 주행영역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주행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을 카운트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카운트부는 차량이 진입가능한 도로마다 좌회전 주행방향, 직진 주행방향 및 우회전 주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방향별로 차량을 카운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적단계는 상기 차량추적부에서 상기 차량을 인식하여 차종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트부는 차종별로 차량을 카운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는, 교차로에 설치되어 상기 교차로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교차로에 진입가능한 도로마다 진입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진입영역에서 차량이 주행가능한 방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주행영역의 끝단부에 상기 주행영역을 주행한 차량이 빠져나가는 진출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부; 상기 진입영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차량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상기 차량을 실시간 추적하는 차량추적부; 상기 차량추적부에서의 추적결과 상기 진입영역을 진입하여 상기 주행영역을 주행하는 차량을 카운트하는 카운트부; 및 상기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결과에 따라 상기 교차로에서의 교통량을 계산하는 교통량계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추적부는 상기 진입영역으로 진입한 차량과 상기 진출영역을 통과중인 차량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경우 상기 두 차량이 이루는 방향각을 계산하되, 상기 진입영역을 기준으로 직진방향으로 기준선(L1)으로 설정하여 상기 기준선(L1)을 기준으로 상기 진입영역의 차량에서 상기 진출영역의 차량까지 이어진 선(L2)이 이루는 각으로 방향각을 계산하고,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계산된 방향각을 이용하여 주행방향별로 차량을 카운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부는 야간에도 교차로의 영상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운트부는 차량이 상기 진입영역에 진입한 후 주행영역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주행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을 카운트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카운트부는 차량이 진입가능한 도로마다 좌회전 주행방향, 직진 주행방향 및 우회전 주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방향별로 차량을 카운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통량계산부는 상기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교차로에서의 교통량을 기설정된 시간별로 계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차로에서 차량의 진행방향마다 차량이 진행할 때 차량을 인식하여 추적함으로써 정확한 교통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차로에서 차량의 진행방향마다 차량의 진입시점과 차량의 진출시점 간의 각도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른 교통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을 통해 각 교차로에서 차량의 통행을 제어하여 원활한 교통흐름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에 대한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 영상에서의 영역설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 영상에 설정된 영역을 이용한 차량의 방향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를 이용한 교통량 흐름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에 대한 영상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 영상에서의 영역설정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객체추출을 통한 차량 인식 및 추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100)는 카메라부(110), 영역설정부(120), 차량추적부(130), 카운트부(140) 및 교통량계산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부(110)는 교차로(10)의 인근에 설치되며 교차로(10)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이러한 카메라부(110)는 반도체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프레임속도(frame rate)로 교차로(10)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야간에도 영상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교차로(10)에 대한 실제영상에 대한 일 예시도로서, 예컨대 사거리 교차로에 대한 영상을 도시한다.
영역설정부(120)는 이미지프로세싱(image processing)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영역을 설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영역설정부(120)는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교차로(10)의 영상에서 교차로(10)에 차량(20)이 진입가능한 도로(11)마다 진입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그 설정된 진입영역에서 차량(20)이 주행가능한 방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영역을 설정한다. 예컨대, 도 3에는 도 2의 사거리 교차로의 영상에 대한 일례로서 4개의 진입영역(121)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진입영역(121)마다 차량(20)이 주행가능한 방향은 각각 좌회전, 직진 및 우회전의 주행방향이 있으므로 총 12개의 주행영역(122)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사거리는 일례이며 삼거리나 오거리 등도 상기와 같이 각각 교차로에 진입가능한 도로(11)마다, 즉 도 3의 일예에서와 같이 A,B,C,D 지역의 도로마다 각각 진입영역과 주행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차량추적부(130)는 영역설정부(120)에서 교차로(10)의 영상에서 설정된 진입영역(121)으로 차량(20)이 진입하면 이미지프로세싱 기법을 이용하여 그 진입한 차량(20)을 인식하고 공지된 영상에서의 객체추출(object extracting) 기법을 이용하여 차량(20)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차량(20)이 주행하는 동안 그 차량(20)을 실시간으로 추적한다. 본 발명에서 공지의 객체추출 기법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추적을 통해 차량추적부(130)는 진입영역(121)으로 진입한 차량(20)이 어느 주행영역(122)으로 주행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일례로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객체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차량을 인식 및 추적하는 예를 도시한다. 이는 교차로(10)에서 차량(20)의 형태를 추출하여 차량(20)으로 인식하는 것이며 차량(20)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실시간 추적이 이루어진다. 이때, 차량(20)의 인식만으로는 그 차량이 어느 주행방향으로 또는 어느 주행영역으로 주행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차량(20)의 이동에 따라 실시간 추적함으로써 어느 진입영역(121)과 주행영역(122)을 주행하는지에 따라 주행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카운트부(140)는 차량추적부(130)에서의 추적결과를 이용하여 진입영역(121)을 진입하여 주행영역(122)을 주행하는 차량을 카운트한다. 이는 차량(20)이 진입영역(121)을 진입한 이후에 주행영역(122)을 주행하는 차량(20)을 추적하는 경우 그 차량(20)이 해당 주행영역(122)을 통과하는 것을 판단하여 카운트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20)의 카운트는 각각의 주행영역(122)마다 차량(20)의 개수만큼 누적하여 증가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진입영역(121)에서 3대의 차량(20)이 직진방향의 주행영역(122)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추적된 경우 진입영역(121)에서 직진방향에 대하여 +3만큼 누적하여 카운트하는 것이다. 이러한 카운트부(140)는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으로 카운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카운트부(140)는 선택적으로 차량(20)이 진입영역(121)에 진입한 후 주행영역(122)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주행하는 경우에만 차량(20)을 카운트하도로 한다. 구체적으로, 교차로(10)로 진입가능한 도로(11)는 다수 개가 존재하며 진입영역(121)에서 주행가능한 방향의 주행영역(122)도 또한 다수 개가 존재하므로 차량(20)이 진입영역(121)을 통과하여 주행영역(122)으로 주행할 때 동일 차량(20)이 서로 다른 주행영역(122)을 침범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카운트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차량(20)이 주행영역(122)을 통과하는 시간을 체크하여 기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주행하는 경우에만 그 해당 주행영역(122)을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차량(20)이 잠깐 다른 주행영역(122)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카운트를 하지 않게 되고 정확한 카운트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기준시간은 교차로(10)의 넓이와 길이, 도로(11)의 개수, 진입영역(121)과 주행영역(122)의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변경될 수 있다.
교통량계산부(150)는 이와 같이 카운트부(140)에서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교차로(10)에서의 교통량을 계산하도록 한다. 이러한 교통량은 교차로(10)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얼마의 차량이 통과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컨대, 교통량계산부(150)는 교차로(10)에서 각 진입로마다 좌회전 차량, 직진 차량 및 우회전 차량이 몇 대가 통행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한 영역설정부(120)는 선택적으로 주행영역(122)의 끝단부에 진출영역(123)을 더 설정할 수도 있다. 진출영역(123)은 진입영역(121)과 반대되는 영역으로서, 진입영역(121)은 주행영역(122)의 일단부에서 교차로(10)로 진입하는 도로(11)에 설정되지만, 진출영역(123)은 주행영역(122)의 타단부에서 교차로(10)에서 진출하는 도로(11)에 설정된다. 따라서, 차량(10)은 진입영역(121)에 진입한 이후에 주행영역(122)을 주행하여 진출영역(123)을 통해 빠져나간다.
이와 같이 영역설정부(120)에서 교차로(10)의 영상에 진출영역(123)을 설정한 경우 차량추적부(130)는 진입영역(121)으로 진입한 차량(20)과 진출영역(123)을 통과중인 차량(20)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경우 이들 두 차량(20)이 이루는 방향각을 계산한다. 예컨대, 도 5의 일례와 같이 동일차량(20)이 진입영역(121)을 출발하여 주행영역(122)을 거쳐 진출영역(123)을 통과하는 시점에 진입영역(121)에서의 차량과 진출영역(123)에서의 차량 간에 이루는 방향각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때, 방향각은 진입영역(121)에서 수직인 직진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이 진입영역(121)을 중심으로 직진방향을 기준선(L1)으로 설정하여 진출영역(123)의 차량(20)까지 이어진 선(L2)이 이루는 각(θ)으로 방향각을 계산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진입영역(121)에서 좌회전하는 차량은 (-)각으로 계산하고 우회전하는 차량은 (+)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향각을 이용하면 차량이 좌회전 차량인지, 직진 차량인지 또는 우회전 차량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카운트부(140)에서는 주행방향별로 차량(20)을 카운트하도록 한다. 예컨대, 카운트부(140)는 상기한 방향각에 따라 각 도로(11)마다 좌회전 주행방향, 직진 주행방향 또는 우회전 주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방향별로 차량(20)을 카운트하도록 한다. 이는 해당 교차로(10)에서의 교통량을 검출할 때 어느 지역에서 어느 지역으로 차량(20)의 통행량이 많은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차량추적부(130)는 차량(20)의 인식시에 차량(20)의 종류, 즉 차종을 추가로 인식하도록 한다. 이러한 차종의 인식은 예컨대 차량의 크기나 길이, 부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카운트부(140)는 이러한 차종별로 차량을 카운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방법은 교차로(10)에 설치된 카메라부(110)에서 해당 교차로(10)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 촬영한다(S101). 이러한 영상은 영역설정부(120)로 입력된다. 영역설정부(120)는 입력된 교차로(10)의 영상에서 그 교차로(10)로 차량(20)이 진입가능한 도로(11)마다 진입영역(121)을 설정하고(S103), 그 설정된 진입영역(121)에서 차량(20)이 주행가능한 방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영역(122)을 설정한다(S105). 이러한 주행가능한 방향으로는 예컨대 좌회전 방향, 직진 방향 및 우회전 방향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주행영역(122)은 좌회전 주행영역, 직진 주행영역 및 우회전 주행영역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주행영역(122)은 교차로(10)에서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실제 교차로(10)에서 차량이 좌회전, 우회전 또는 직진하기 위해 통과하는 일정크기의 영역으로 설정된다.
이후, 차량(20)이 진입영역(121)에 진입하면(S107) 차량추적부(130)에서 진입영역(121)에 진입한 차량(20)을 객체추출 기법을 통해 추출하여 인식하고(S109), 그 차량(20)이 주행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추적한다(S111). 이러한 차량의 인식 및 추적은 공지의 객체추출 기법을 사용하며 차량(20)이 진입영역(121)에 진입한 후 교차로(10)의 주행영역(122)을 주행하는 동안에 그 차량(20)을 추적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는 어느 지역의 진입영역(121)에서 어느 주행영역(122)을 통해 주행하는지를 추적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추적부(130)에서 차량(20)을 추적한 결과를 이용하여 카운트부(140)에서 진입영역(121)에 진입하여 주행영역(122)을 주행하는 차량을 카운트한다(S113). 이때, 바람직하게는 카운트부(140)는 차량(20)이 진입영역(121)에 진입한 후 주행영역(122)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주행하는 경우에 차량(20)을 카운트한다. 이는 진입영역(121)에는 서로 다른 주행영역(122)이 설정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차량(20)이 어느 한 주행영역(122)을 주행하면서 다른 주행영역(122)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어느 주행영역(122)을 주행하여 통과하는지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진입영역(121)을 통과한 후 주행영역(122)을 주행하는 시간을 체크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주행하는 경우에 그 해당 주행영역(122)을 주행한 것으로 카운트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진입영역(121)에 진입한 차량(20)이 어느 주행영역(122)으로 주행하는지를 정확히 카운트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교통량계산부(150)에서는 카운트부(140)에서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해당 교차로(10)에서의 교통량을 계산한다(S115).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S105 단계의 영역설정단계에서는 각 주행영역(122)의 끝단부에 진출영역(123)을 더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카운트부(140)는 진입영역(121)을 진입하여 주행영역(122)을 주행한 후 진출영역(123)을 통해 진출하는 차량(20)을 카운트하도록 한다. 이는 주행영역(122)을 주행한 후 그 주행영역(122)의 끝단부에 설정된 진출영역(123)을 완전히 통과한 차량(20)에 대하여 카운트를 함으로써 차량(20)의 카운트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공사나 사고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교차로(10)에서 차량(20)이 진입영역(121)에서 직진 주행영역(122)을 거의 대부분 주행한 후에 좌회전하거나 우회전하는 경우 직진 주행영역(122)으로 카운트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차량(20)이 통과한 진출영역(123)을 체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차로(10)의 상황에 따라 차량(20)의 주행영역(122)별 카운트를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진입영역(121)에서 주행영역(122)을 통해 진출영역(123)으로 차량(20)이 주행하는 경우, 차량추적부(130)에서는 진입영역(121)으로 진입한 차량(20)과 진출영역(123)을 통과중인 차량(20)이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 이들 두 차량이 이루는 방향각을 계산하여 그 방향각에 따라 카운트부(140)에서 해당 주행방향별, 즉 주행영역별로 차량(20)을 카운트하도록 한다. 이로써, 카운트부(140)는 차량(20)이 진입가능한 도로(11)마다 좌회전 주행방향, 직진 주행방향 및 우회전 주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방향별로 차량을 카운트할 수 있게 되며, 이는 해당 교차로(10)에서 주행방향별 교통량을 측정하는 데이터가 된다. 이에 교통량계산부(150)는 기설정된 시간의 구간별로 교통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시간대, 요일별, 월별, 계절별 등으로 구분하여 교통량을 계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추적부(130)는 차량(20)을 인식함에 있어서 차종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는 차량(20)의 형태를 추출하여 개략적인 차종을 구별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카운트부(140)는 차종별로 차량(20)을 카운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교차로 20 : 차량
110 : 카메라부 120 : 영역설정부
121 : 진입영역 122 : 주행영역
123 : 진출영역 130 : 차량추적부
140 : 카운트부 150 : 교통량계산부

Claims (13)

  1. 교차로에 설치된 카메라부에서 상기 교차로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단계;
    영역설정부에서 상기 교차로 영상으로부터 상기 교차로로 차량이 진입가능한 도로마다 진입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진입영역에서 차량이 주행가능한 방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주행영역의 끝단부에 상기 주행영역을 주행한 차량이 빠져나가는 진출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단계;
    차량추적부에서 상기 진입영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차량을 인식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추적단계;
    카운트부에서 상기 차량추적부에서의 추적결과 상기 진입영역을 진입하여 상기 주행영역을 주행하는 차량을 카운트하는 카운트단계; 및
    교통량계산부에서 상기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결과에 따라 상기 교차로에서의 교통량을 계산하는 계산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추적부는 상기 진입영역으로 진입한 차량과 상기 진출영역을 통과중인 차량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경우 두 차량이 이루는 방향각을 계산하되, 상기 진입영역을 기준으로 직진방향으로 기준선(L1)으로 설정하여 상기 기준선(L1)을 기준으로 상기 진입영역의 차량에서 상기 진출영역의 차량까지 이어진 선(L2)이 이루는 각으로 방향각을 계산하고,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계산된 방향각을 이용하여 주행방향별로 차량을 카운트하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는 차량이 상기 진입영역에 진입한 후 주행영역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주행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을 카운트하는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는 차량이 진입가능한 도로마다 좌회전 주행방향, 직진 주행방향 및 우회전 주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방향별로 차량을 카운트하는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단계는,
    상기 차량추적부에서 상기 차량을 인식하여 차종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차종별로 차량을 카운트하는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방법.
  7. 교차로에 설치되어 상기 교차로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교차로에 진입가능한 도로마다 진입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진입영역에서 차량이 주행가능한 방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주행영역의 끝단부에 상기 주행영역을 주행한 차량이 빠져나가는 진출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부;
    상기 진입영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차량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상기 차량을 실시간 추적하는 차량추적부;
    상기 차량추적부에서의 추적결과 상기 진입영역을 진입하여 상기 주행영역을 주행하는 차량을 카운트하는 카운트부; 및
    상기 카운트부에서의 카운트결과에 따라 상기 교차로에서의 교통량을 계산하는 교통량계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추적부는 상기 진입영역으로 진입한 차량과 상기 진출영역을 통과중인 차량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경우 두 차량이 이루는 방향각을 계산하되, 상기 진입영역을 기준으로 직진방향으로 기준선(L1)으로 설정하여 상기 기준선(L1)을 기준으로 상기 진입영역의 차량에서 상기 진출영역의 차량까지 이어진 선(L2)이 이루는 각으로 방향각을 계산하고,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계산된 방향각을 이용하여 주행방향별로 차량을 카운트하는 교차로에서의 교통량 검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야간에도 교차로의 영상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는 교차로에서의 교통량 검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는 차량이 상기 진입영역에 진입한 후 주행영역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주행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을 카운트하는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는 차량이 진입가능한 도로마다 좌회전 주행방향, 직진 주행방향 및 우회전 주행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방향별로 차량을 카운트하는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량계산부는 상기 카운트부에서 카운트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교차로에서의 교통량을 기설정된 시간별로 계산하는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KR1020160119731A 2016-09-20 2016-09-20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 KR101797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731A KR101797589B1 (ko) 2016-09-20 2016-09-20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731A KR101797589B1 (ko) 2016-09-20 2016-09-20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589B1 true KR101797589B1 (ko) 2017-12-12

Family

ID=6094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731A KR101797589B1 (ko) 2016-09-20 2016-09-20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58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421B1 (ko) * 2018-08-22 2019-04-25 주식회사 사라다 교통 체증 발생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7276A (ko) * 2018-01-15 2019-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기반 교통량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7522B1 (ko) * 2020-04-02 2020-10-19 트라웍스(주)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3437B1 (ko) * 2021-06-01 2021-11-09 시티아이랩 주식회사 딥러닝 기반 교통량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6240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하이퍼센싱 교통정보 분석장치 및 방법
KR102590490B1 (ko) * 2022-09-19 2023-10-19 주식회사 노타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교차로의 회전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16571B1 (ko) * 2022-12-15 2023-12-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공지능을 이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도로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276A (ko) * 2018-01-15 2019-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기반 교통량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8892B1 (ko) * 2018-01-15 2021-10-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기반 교통량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72421B1 (ko) * 2018-08-22 2019-04-25 주식회사 사라다 교통 체증 발생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7522B1 (ko) * 2020-04-02 2020-10-19 트라웍스(주)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36240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하이퍼센싱 교통정보 분석장치 및 방법
KR102418344B1 (ko) * 2020-09-15 2022-07-11 주식회사 하이퍼센싱 교통정보 분석장치 및 방법
KR102323437B1 (ko) * 2021-06-01 2021-11-09 시티아이랩 주식회사 딥러닝 기반 교통량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590490B1 (ko) * 2022-09-19 2023-10-19 주식회사 노타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교차로의 회전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16571B1 (ko) * 2022-12-15 2023-12-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공지능을 이용한 영상 분석 기반의 도로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589B1 (ko) 교차로의 교통량 검출장치 및 방법
US10032085B2 (en) Method and system to identify traffic lights by an autonomous vehicle
KR101509995B1 (ko) Jc 진출입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EP3224819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traffic surveillance system
JP4776299B2 (ja) 車両挙動把握システム
KR102101956B1 (ko)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단속시스템
KR102019047B1 (ko) 영상 내 차량 속도 추정 장치 및 방법
CN113574574B (zh) 移动体监视系统、移动体监视系统的控制服务器以及移动体监视方法
CN107850456A (zh) 路径引导装置以及路径引导方法
JP2019159458A (ja) 交通信号制御装置、交通信号制御方法、および交通信号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38944A (ko) 교통감시 시스템
CN108445866B (zh) 基于卷积神经网络的ldw误漏报测试方法及测试系统
KR102111363B1 (ko) IoT기반의 카메라 그룹핑을 이용한 터널 내 유고 감시 시스템
KR101342613B1 (ko) 안전거리 단속시스템
KR101210615B1 (ko) 불법유턴 차량 단속 시스템
US20170294129A1 (en) Lane departure warning apparatus
JP2010281781A (ja) 走行車線検出装置
JP3470172B2 (ja) 交通流監視装置
KR20160088986A (ko) 소실점 기반의 양안시차를 이용한 차선 검출 방법
JP2005251062A (ja) 高さ制限超過検知装置
KR102418344B1 (ko) 교통정보 분석장치 및 방법
Chai et al. Automatic vehicle classification and tracking method for vehicle movement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JP4225242B2 (ja) 走行路認識装置
JPH11185194A (ja) 車両検知装置
EP41418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color of a substrate being laterally adjacent to a non-elevated surface of a ro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