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399B1 -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399B1
KR101797399B1 KR1020160157261A KR20160157261A KR101797399B1 KR 101797399 B1 KR101797399 B1 KR 101797399B1 KR 1020160157261 A KR1020160157261 A KR 1020160157261A KR 20160157261 A KR20160157261 A KR 20160157261A KR 101797399 B1 KR101797399 B1 KR 10179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lag
blocking
hoo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현
한상곤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7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1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는 출선구에서 토출되는 용융물이 저류되는 탕도에 형성되는 잔선구와 연결되는 잔선 탕도 상에 배치되어 잔선 탕도를 덮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설치되고, 잔선 탕도의 바닥부에 접촉되어 잔선구에서 배출되는 용융물 상의 슬래그가 용선통로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SLAG BLOCKING APPARATUS FOR BLAST FURNACE}
본 발명은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진 등 이물질의 접근을 차단하고 용선에 슬래그가 혼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고로 작업은 용광로의 상부로부터 철광석과 코크스를 장입한 후 열풍로 설비에서 보내온 고온의 열풍을 하부로부터 불어넣어 그 열로서 철광석을 용융, 환원시켜 쇳물을 생산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등록특허공보 제10-1249058호(2013.03.25. 등록, 발명의 명칭: 고로의 대탕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래그가 용선통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용선에 슬래그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는: 출선구에서 토출되는 용융물이 저류되는 탕도에 형성되는 잔선구와 연결되는 잔선 탕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잔선 탕도를 덮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잔선 탕도의 바닥부에 접촉되어 상기 잔선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용융물 상의 슬래그가 용선통로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본체부 상의 관통홀부를 둘러싸는 차단프레임부; 및 상기 차단프레임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차단프레임부에서 분리되면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낙하되어 상기 잔선 탕도의 바닥부 상에 배치되는 차단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프레임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판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프레임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는 상기 잔선구와 대면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잔선구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는 상기 커버부와 대향되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 상에 있는 물체의 상기 잔선 탕도 내로의 추락이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핸드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는 상기 본체부 상에는 상기 잔선 탕도에서 상기 용선통로로 진입하려는 상기 슬래그의 흐름이 보이도록 상기 차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관찰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관찰홀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는 차단부가 잔선 탕도의 바닥부에 접촉하여 슬래그가 용선통로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용선 에 슬래그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부와 걸이부의 걸림 결합으로 인하여 차단판부가 차단프레임부로부터 분리 및 낙하되어 잔선 탕도 바닥부에 접촉되고 슬래그의 용선통로로의 진입을 즉각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판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차단프레임부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차단판부가 잔선 탕도 바닥부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에 설치되는 핸드레일부로 인하여 사용자가 본체부 상에서 잔선 탕도 내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 상에 관찰홀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관찰홀부를 통해 슬래그가 용선통로로 진입하려 하는 것을 즉각적으로 확인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부로 인하여 잔선구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본체부 상면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본체부 상면에 있는 사용자가 이물질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부로 인하여 잔선 탕도 내의 고온의 열 및 이물질이 본체부 상면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탕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탕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출선구(4)에서 토출되는 용융물은 용선(20)과 슬래그(30)로 구성되고, 용선(20)과 슬래그(30)는 비중 차이에 의해 분리된다.
슬래그(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용선(20)이 용융물의 하부에 위치하여 경사진 탕도(5)를 따라 이동한다.
탕도(5)에는 스키머(8)가 설치되고 스키머(8)의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스키머(8)에 의해 용선(20) 위에서 흐르는 슬래그(30)의 이동이 차단되며 용선(20)이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탕도(5)의 측면 하부에 잔선구(7)가 형성되고 잔선구(7)는 폐쇄되어 있다가 탕도(5) 내부 침식을 확인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탕도(5) 내 잔류하는 용융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개방시킨다.
잔선구(7)는 산소파이프(9)를 통해 산소를 공급받고, 점화에 의해 잔선구(7)를 막고 있는 물체가 용융됨으로써 개방된다. 개방된 잔선구(7)를 통해 잔류 용융물이 잔선 탕도(10)로 진입한다.
잔류 용융물에 용선(20)과 슬래그(30)가 혼합되어 있으며 비중 차이에 따라 용선(20)이 잔선 탕도(10)의 바닥부(12)와 접하며 이동하고, 용선(20)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슬래그(30)가 용선(20)의 위에서 이동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1)는 본체부(100), 차단부(200), 커버부(300), 핸드레일부(400), 덮개부(5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잔선 탕도(10) 상에 배치되어 잔선 탕도(10)를 덮는 것으로 잔선 탕도(10)의 측벽에 걸쳐지며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잔선 탕도(10)에 걸쳐지며 이동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관찰홀부(120)는 본체부(100) 상에서 차단부(200)의 우측(도 4 기준)에서 본체부(100)의 상하(도 3 기준)방향을 관통하며 형성된다.
관찰홀부(120)는 잔선 탕도(10)에서 용선통로(11)로 진입하려는 슬래그(30)의 흐름이 보이도록, 차단부(20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사용자는 관찰홀부(120)를 통하여 본체부(100)의 하면의 바닥부(12)를 따라 흐르는 잔류 용융물 중 용선(20) 및 슬래그(30)의 이동을 관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용선(20)이 용선통로(11)를 통하여 이동한 뒤, 슬래그(30)가 용선통로(11)로 진입 시 차단판부(220)를 낙하시켜 슬래그(30)가 용선통로(11)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차단부(2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고, 바닥부(12)에 접촉되어 잔선구(7)에서 배출되는 용융물 상의 슬래그(30)가 용선통로(11)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차단프레임부(210), 차단판부(220), 걸이부(230)을 포함한다.
차단프레임부(210)는 본체부(100) 상의 관통홀부(110)를 둘러싸며, 관통홀부(110)는 본체부(100)의 상하(도 2 기준)면을 관통하며 차단판부(220)가 상하(도 2 기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차단프레임부(210)는 본체부(100)의 상면(도 2 기준)에 결합되며, 차단프레임부(210)와 본체부(100)는 볼트결합,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프레임부(210)는 본체부(100)와 별물로서 결합될 수 있고 일체로서 본체부(100) 상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213)은 차단프레임부(210)상에 형성되고 차단판부(220)는 가이드레일(213)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213)이 차단프레임부(210)의 양 측면에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차단판부(220)는 관통홀부(110)를 통과하여 차단프레임부(21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차단프레임부(210)를 따라 낙하되어 바닥부(12)에 접촉된다.
이로 인하여 용선(20)이 용선통로(11)로 이동한 뒤, 차단판부(220)에 의해 잔선 탕도(10)에서 용선통로(11)로의 경로가 차단되어 슬래그(30)가 용선통로(11)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차단되어 용선(20)에 슬래그(30)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차단판부(220)의 두께는 흐르는 잔류 용융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차단판부(220)는 철(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판부(220)는 고온의 잔류 용융물을 견딜 수 있도록 캐스터블(CASTABLE) 내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캐스터블 내화물은 내화성 골재에 알루미나 시멘트 혹은 인산염 화합물을 배합한 분말상의 내화재료로 물을 가해서 혼련하며 소정의 형에 넣음으로써 성형한다.
이로 인하여 차단판부(220)에 고온의 용융물이 접촉하여도 녹지 않고 용융물 상의 슬래그(30)가 용선통로(11)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차단판부(220)의 하부(도 5 기준)는 잔선 탕도(10) 내에서 용선통로(11)로 진입하는 부분의 바닥부(12)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바닥부(12)에 차단판부(220)가 접촉되고 발생될 수 있는 틈을 차단하여 슬래그(30)가 용선통로(11)로 진입하여 용선(20)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잔선 탕도(10)에서 용선통로(11)로 진입하는 구간의 바닥부(12)가 하측(도 5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차단판부(220)의 하부(도 5 기준)의 형상도 이에 대응하여 라운딩 처리되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걸림부(211)는 차단프레임부(210)에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부(211)에 걸이부(230)가 걸림 결합된다. 걸이부(230)가 걸림부(211)에 결합되면 차단판부(220)는 낙하되지 않고 걸이부(230)와 걸림부(211)의 결합이 해제되면 차단판부(220)가 차단프레임부(210)를 따라 하측(도 5 기준)으로 낙하하게 된다.
걸림부(211)는 차단프레임부(210)에 걸림홀부 혹은 걸림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단프레임부(210)의 상부에 걸이부(230)가 안착되도록 걸림홈부 형식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홀부 형상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걸이부(230)는 차단판부(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걸림부(211)와 걸림 결합되는 것으로, 걸이본체부(231), 안착부(233), 레버부(235)를 포함한다. 걸이부(230)는 고온의 용융물에 용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캐스타블 내화물로 시공된다.
걸이본체부(231)는 원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차단판부(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걸이본체부(231)는 차단판부(220)의 하부(도 5 기준)에 고정결합되는 연결부(240)와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연결부(240)에 형성되는 연결홈부(241)에 안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안착부(233)는 걸이본체부(231)에 결합되고 걸림부(211)에 안착되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차단판부(220)가 차단프레임부(210)을 따라 낙하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안착부(233)는 걸이본체부(23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안착부(233)가 걸림부(211)에 안착되면 걸이본체부(231)와 결합되는 차단판부(220)가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레버부(235)는 걸이본체부(231)와 결합되고 안착부(233)와 이격되어 안착부(233)보다 상측(도 5 기준)에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레버부(235)를 파지하여 레버부(235)를 시계방향(도 5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걸걸이본체부(231)도 회전하여 안착부(233)와 걸림부(211)로부터 결합이 해제되어 차단판부(220)가 낙하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차단판부(220)가 낙하하고 바닥부(12)에 접촉되어 용선통로(11)로 진입하는 슬래그(30)의 유동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걸이부(230)는 차단판부(220)에서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부(240)에 결합된다. 연결부(240)는 차단판부(220)에 고정 결합되고, 내측에 오목한 형상으로 연결홈부(241)이 형성된다.
걸이본체부(231)는 연결홈부(241)에 안착되어 연결부(2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로 인하여 차단판부(220)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걸이부(230)가 차단판부(220)와 분리되어 상하(도 5 기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중간연결부(245)는 연결부(240)보다 상측(도 5 기준)에 배치되어 차단판부(220)에 고정결합되며 걸이본체부(231)는 연결부(240)를 관통하여 연결홈부(241)에 안착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레버부(235)가 시계방향(도 6 기준)으로 회전되면 회전걸림부(211)에 안착되어 걸림 결합된 안착부(233)와 걸림부(211)의 결합이 해제되고 차단판부(220)가 낙하되며 바닥부(12)에 접촉된다.
이로 인하여 슬래그(30)가 용선통로(11)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용선(20)에 슬래그(30)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커버부(300)는 잔선구(7)와 대면하는 본체부(100)의 일측에서 상향 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며 잔선구(7)에서 발생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본체부(100)의 상면(도 2 기준)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한다.
커버부(300)는 본체부(1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300)는 잔선 탕도(10) 내에서 잔선구(7)의 개방작업 시 발생되는 분진이 잔성 탕도(10)의 외측으로 퍼지고 본체부(100)의 상면(도 2 기준)으로 퍼지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더하여 분진이 본체부(100) 상면에서 작업하는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분진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호흡기 질환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커버부(300)의 하면(도 3 기준)에는 흡착판(도면 미 도시)이 부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분진이 흡착판에 부착되어 공기 중에 퍼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흡착판은 커버부(300)에서 교체가 가능하도록 부착 및 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00)의 하면(도 3 기준)에는 집진장치(도면 미 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집진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잔선구(7)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즉각적으로 흡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장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핸드레일부(400)는 커버부(300)와 대향되는 본체부(100)의 타측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봉부(410), 손잡이부(420)를 포함한다.
지지봉부(410)는 본체부(100)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본체부(100) 상면에 설치된다. 지지봉부(410)는 본체부(100)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420)는 복수 개의 지지봉부(410) 사이를 연결하며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덮개부(500)는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관찰홀부(120)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덮개부(500)는 본체부(100) 상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여 관찰홀부(120)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500)는 본체부(100)에 힌지 결합되어 관찰홀부(120)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500)는 힌지 결합, 핀 결합 등으로 본체부(100)의 상면(도 2 기준)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잔류 용융물은 잔선 탕도(10)에 설치되는 턱부(15)에 의해 턱부(15)를 지나 형성되는 슬래그통로(13)로의 진입이 차단되고 용선통로(11)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잔류 용융물 중 슬래그(30)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더 큰 용선(20)이 먼저 용선통로(11)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는 본체부(100)의 상면(도 2 기준)에서 관찰홀부(120)를 통하여 잔선 탕도(10) 내 용선(20)과 슬래그(30)의 흐름을 지켜보고 용선(20)의 용선통로(11)로의 진입이 완료되면 차단부(200)를 작동시켜 슬래그(30)가 용선통로(11)로의 진입이 차단되도록 한다.
턱부(15)에 의해 슬래그(30)가 슬래그통로(13)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되는데, 사용자는 턱부(15)를 붕괴시켜 슬래그(30)가 슬래그통로(13)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슬래그(30)는 차단부(200)에 의해 용선통로(11)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용선(20)에 슬래그(30)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체부(100)는 잔선 탕도(10) 상에 배치되어 잔선 탕도(10)를 덮도록 형성된다. 본체부(100)는 잔선 탕도(10)에서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지게차 등을 이용해 타 잔선 탕도(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단프레임부(210)에 형성되는 걸림부(211)에 안착부(233)가 걸림 결합된다. 사용자가 레버부(235)를 파지하여 시계방향(도 6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안착부(233)와 걸림부(211)의 결합이 해제된다.
걸이본체부(231)는 연결홈부(241)에 안착되어 연결부(2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레버부(235)가 시계방향(도 6 기준)으로 회전하여도 차단판부(220)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안착부(233)와 걸림부(211)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어 차단판부(220)가 낙하되도록 한다.
중간연결부(245)는 연결부(240)의 상측(도 6 기준)에서 차단판부(220)와 결합되고, 걸이본체부(231)가 중간연결부(245)를 관통하여 연결부(240)와 결합되며 이로 인하여 걸이부(230)가 좌우(도 5 기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걸이부(230)와 걸림부(211)가 안정적으로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
안착부(233)와 걸림부(211)의 결합이 해제됨에 따라 걸이부(230)과 결합되는 차단판부(220)는 본체부(100) 상에 형성되는 관통홀부(110)를 통과하여 차단프레임부(210)를 따라 낙하된다.
차단판부(220)의 전면 및 후면(도 6 기준)이 관통홀부(110)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차단판부(220)의 낙하 시 차단판부(220)에 결합되는 연결부(240), 중간연결부(245)가 관통홀부(110)와 충돌하여 차단판부(220)의 낙하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판부(220)가 낙하되고 바닥부(12)에 접촉되어 슬래그(30)가 용선통로(11)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로 인하여 용선(20)에 슬래그(30)가 혼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차단판부(220)는 차단프레임부(21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13)을 따라 상하(도 5 기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차단판부(220)가 바닥부(12)에 접촉되도록 경로를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차단판부(220)가 바닥부(12)에 안정적으로 접촉되고 차단판부(220)와 바닥부(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시켜 슬래그(30)가 용선통로(11)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용선(20)에 슬래그(30)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커버부(300)로 인하여 잔선구(7)와 대면하는 본체부(100)의 상면(도 2 기준) 일측에 형성되어 잔선구(7)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본체부(100) 상면(도 2 기준)에 있는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이물질로 발생할 수 있는 호흡기 질환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손잡이부(420)는 복수 개의 지지봉부(410) 사이를 연결하며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420)를 파지하여 본체부(100)의 상면(도 2 기준)에서 잔성 탕도(10)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덮개부(500)가 본체부(10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덮개부(500)가 관찰홀부(120)를 덮으면 관찰홀부(120)를 통하여 잔선 탕도(10) 내에서 본체부(100)의 상면(도 2 기준)으로 고온의 열 및 이물질의 전달을 차단하여 본체부(100) 상면(도 2 기준)에 있는 사용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4: 출선구
5: 탕도 7: 잔선구
8: 스키머 9: 산소파이프
10: 잔선 탕도 11: 용선통로
13: 슬래그통로 15: 턱부
20: 용선 30: 슬래그
100: 본체부 110: 관통홀부
120: 관찰홀부 200: 차단부
210: 차단프레임부 211: 걸림부
213: 가이드레일 220: 차단판부
230: 걸이부 231: 걸이본체부
233: 안착부 235: 레버부
240: 연결부 241: 연결홈부
245: 중간연결부 300: 커버부
400: 핸드레일부 410: 지지봉부
420: 손잡이부 500: 덮개부

Claims (8)

  1. 출선구에서 토출되는 용융물이 저류되는 탕도에 형성되는 잔선구와 연결되는 잔선 탕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잔선 탕도를 덮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잔선 탕도의 바닥부에 접촉되어 상기 잔선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용융물 상의 슬래그가 용선통로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본체부 상의 관통홀부를 둘러싸는 차단프레임부; 및
    상기 차단프레임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차단프레임부에서 분리되면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낙하되어 상기 잔선 탕도의 바닥부 상에 배치되는 차단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프레임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판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차단판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본체부;
    상기 걸이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이격되며 상기 걸이본체부에 결합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프레임부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선구와 대면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잔선구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대향되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 상에 있는 물체의 상기 잔선 탕도 내로의 추락이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핸드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에는 상기 잔선 탕도에서 상기 용선통로로 진입하려는 상기 슬래그의 흐름이 보이도록 상기 차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관찰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관찰홀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KR1020160157261A 2016-11-24 2016-11-24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KR10179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261A KR101797399B1 (ko) 2016-11-24 2016-11-24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261A KR101797399B1 (ko) 2016-11-24 2016-11-24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399B1 true KR101797399B1 (ko) 2017-11-14

Family

ID=6038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261A KR101797399B1 (ko) 2016-11-24 2016-11-24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3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3205A (ja) * 2014-03-20 2015-10-2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高炉樋カバ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3205A (ja) * 2014-03-20 2015-10-2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高炉樋カ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399B1 (ko) 잔선 탕도용 슬래그 차단장치
US8124006B2 (en) Ladle for molten metal delivery
EA022456B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шлака из печи
EP0636697A1 (en) Apparatus for water-granulating slag
JPS62501859A (ja) 液体中に処理物質を導入する為の装置
CN210231514U (zh) 自锁式内管口系统
FI104381B (fi) Sähköuunin syöttölaite
US3374999A (en) Slag-granulating apparatus
FI56495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gjutning av metall i en straenggjutningskokill
KR20140087160A (ko) 전기로 출선구용 더스트 비산 방지장치
KR20180033906A (ko) 소형 전기로
JP6419287B1 (ja) 堆積物処理方法
KR20090063784A (ko) 턴디쉬 막힘 방지 장치
JP3534671B2 (ja) 溶融炉の出滓口開口装置
CN215832481U (zh) 一种操作方便的烟化炉放空口装置
KR100954794B1 (ko) 전기로 설비의 슬래그포트 비상유출용탕 처리기능을 가진패디스탈
KR101808455B1 (ko) 탈가스 설비의 냉각 장치
CN209978625U (zh) 一种扒渣杆
MXPA05007534A (es) Sistema para el suministro controlado de una mezcla de cemento desde una tolva suspendida.
US11454445B2 (en) Swiveling sanding system
KR100862840B1 (ko) 연속주조설비의 톱 노즐내로 유입되는 이물질 차단판
RU2206429C2 (ru) Литник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легирования стали в процессе отливки слитков
CN105274367B (zh) 一种镁合金保护气体熔化装置
KR101572381B1 (ko) 고로 대탕도의 용융물 배출 장치
KR20190105925A (ko) 플라즈마 용융로의 용탕배출구 개폐용 게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