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831B1 - 법면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 Google Patents

법면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831B1
KR101796831B1 KR1020150130748A KR20150130748A KR101796831B1 KR 101796831 B1 KR101796831 B1 KR 101796831B1 KR 1020150130748 A KR1020150130748 A KR 1020150130748A KR 20150130748 A KR20150130748 A KR 20150130748A KR 101796831 B1 KR101796831 B1 KR 101796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ppm
parts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993A (ko
Inventor
박덕신
Original Assignee
(주) 그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그린월드 filed Critical (주) 그린월드
Priority to KR102015013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8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01G9/1086
    • A01G1/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per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신 20~30 ppm, 시토키닌 20~30ppm, 지베렐린 10~20ppm, 및 NAA 10~20ppm을 포함하는 법면녹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법면녹화시 보비력, 보습력 및 통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침출수에 의한 지반침하 내지 유수 등에 의한 종자유실 우려가 없이 종자부착력과 활착력이 우수한 법면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법면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COMPOSITION FOR SLOPE AFFORESTATION AND METHOD OF SLOPE AFFOREST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법면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법면녹화시 보비력, 보습력 및 통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침출수에 의한 지반침하 내지 유수 등에 의한 종자유실 우려가 없이 종자부착력과 활착력이 우수한 법면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을 이용하여 훼손지 또는 민둥땅 표면을 식재 피복하는 것을 녹화라고 정의하며, 이는 식생을 도입하는 장소와 대상에 따라 도시녹화, 사막녹화, 절개지녹화 등으로 쓰이고 있다. 따라서 법면 녹화공법은 비탈면에 식물을 도입하고 토목적 수단으로 비탈면을 피복 보호하는 방법의 총칭이다.
녹화공법의 적용은 대상 비탈면의 경사도, 토질, 암질, 주변 경관 등의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토사비탈면에 사용되는 비탈면녹화공법은 기계를 이용한 종자분사파종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코아네트, 쥬트네트 등과 같이 식생의 활착을 돕고 초기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분해가 될 수 있는 천연소재의 망을 분사파종공법과 병행하여 시공하기도 하며, 매우 제한적으로 자생초종 및 목본의 활착을 위해 인력을 사용하여 파종한 후에 볏짚거적을 덮는 공법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고속도로 비탈면 중 암반지역 녹화공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녹화공법은 식생기반재취부공법으로 조기녹화를 도모하기 위해 초기 성장이 우수한 외래도입초종 위주의 종자배합으로 시공되고 있다.
식생기반재취부공법은 시공 재료의 형상과 장비 구성에 따라 즉 토양 재료로 마사와 각종 유ㆍ무기 폐기물을 이용해 만든 부숙토를 에어건으로 분사하여 시공하는 건식 형태의 공법과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을 접착제 등의 첨가제와 함께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 형상으로 만들어 고압펌프를 이용해 분사하여 시공하는 습식 형태의 공법으로 나눌 수 있다.
습식공법은 슬러리 상으로 뿜어 붙여지기 때문에 5cm 이상 두껍게 시공하기 어려운 반면 건식공법은 식생기반재를 10cm 이상 비탈면에 붙일 수 있다. 따라서 습식은 녹화 대상지가 토사 절토 성토 비탈면이나 풍화암 또는 리핑암일 때 효과적이며, 건식은 풍화암 또는 리핑암으로부터 토양층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암반 비탈면에 적용될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알려져 있거나 시공에 적용되고 있는 공법은 대개 법면녹화시 보비력, 보습력 및 통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침출수에 의한 지반침하 내지 유수 등에 의한 종자유실의 문제로 인해 결국 녹화실패로 귀결되는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법면녹화시 보비력, 보습력 및 통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침출수에 의한 지반침하 내지 유수 등에 의한 종자유실 우려가 없이 종자부착력과 활착력이 우수한 법면녹화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옥신 20~30 ppm, 시토키닌 20~30ppm, 지베렐린 10~20ppm, 및 NAA 10~20ppm을 포함하되,
세피오라이트, 사포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및 벤토나이트가 각각 중량비로 1:1:2:1로 구성되는 혼합광물 5.0~10.0 중량%, 장석 0.5~1.0 중량%, 각섬석 1.0~2.0 중량%, 휘석 0.5~2.0 중량%, 흑운모 0.5~2.0 중량%, 형석 1.0~2.0 중량%, 펄라이트 0.5~2.0 중량%, 부석 0.5~1.0 중량%,
코코피트와 피트모스가 중량비로 1:3~3:1로 조성된 혼합성분 40~60 중량%,
미강, 볏짚, 및 맥반석이 중량비로 1:2:3~3:2:1의 비로 조성된 혼합성분 10~30 중량%, 및
바인더 5~15 중량%를 포함하는 법면녹화용 조성물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법면녹화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접착력과 슬러리 유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지화이바 1~10 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녹화용 조성물.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법면녹화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충방제 및 영양성분 추가공급을 위한 커피박 1~10 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녹화용 조성물.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법면녹화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물 공급을 위한 패각분말 1~10 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녹화용 조성물.
(6) 상기 (1)의 법면녹화용 조성물을 법면에 건식 또는 습식으로 도포하여 법면을 녹화하는 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법면녹화시 보비력, 보습력 및 통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침출수에 의한 지반침하 내지 유수 등에 의한 종자유실 우려가 없이 종자부착력과 활착력이 우수한 법면녹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법면녹화용 조성물은 옥신 20~30 ppm, 시토키닌 20~30ppm, 지베렐린 10~20ppm, 및 NAA 10~20ppm을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세피오라이트, 사포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및 벤토나이트가 각각 중량비로 1:1:2:1로 구성되는 혼합광물 5.0~10.0 중량%, 장석 0.5~1.0 중량%, 각섬석 1.0~2.0 중량%, 휘석 0.5~2.0 중량%, 흑운모 0.5~2.0 중량%, 형석 1.0~2.0 중량%, 펄라이트 0.5~2.0 중량%, 부석 0.5~1.0 중량%,
코코피트와 피트모스가 중량비로 1:3~3:1로 조성된 혼합성분 40~60 중량%,
미강, 볏짚, 및 맥반석이 중량비로 1:2:3~3:2:1의 비로 조성된 혼합성분 10~30 중량%, 및
바인더 5~1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법면녹화용 조성물은 옥신 20~30 ppm, 시토키닌 20~30ppm, 지베렐린 10~20ppm, 및 NAA 10~20ppm을 포함한다. 이들 옥신, 시토키닌, 지베렐린 및 NAA는 생리활성물질로써, 종자의 발아 내지 발근을 촉진시켜 활착율을 높이고 조기에 녹화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을 미달하여 첨가할 경우 종자의 발아 내지 발근촉진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종자의 활착율 및 생존율을 떨어트려 녹화가 실패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도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법면녹화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코코피트와 피트모스가 중량비로 1:3~3:1로 조성된 혼합성분을 포함하며, 이 성분은 토양내 유기물 공급원으로써 뿐만 아니라, 보습성이 우수하여 흙 대용으로 사용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세피오라이트, 사포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및 벤토나이트가 각각 중량비로 1:1:2:1로 구성되는 혼합광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혼합광물은 보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절개지와 같은 비탈면에 우수한 부착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침출수에 의한 지반침하 내지 유수에 의한 종자유실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추가적 성분으로 장석, 각섬석, 휘석, 흑운모, 형석, 펄라이트, 및 부석을 더 포함하며, 이들 성분은 보습성이 큰 위 혼합광물과의 조합을 통해 법면녹화시 요구되어지는 통기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미강, 볏짚, 및 맥반석이 중량비로 1:2:3~3:2:1의 비로 조성된 혼합성분을 사용한다. 이들 성분들은 수분유지 및 보온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자에 충분한 영양공급원으로써 제공되어지며, 특히 뿌리 발육을 촉진하여 활착력을 증진시켜 녹화시기를 앞당기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바인더로는 CMC(카르목시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CMC는 부착력을 강화하면서 비탈면의 침식방지를 위한 토양결착제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되어 지반침하 내지 종자유실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특정하고 있는 성분의 조성비 및 함량은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법면녹화시 요구되는 보비력, 보습력 및 통기성 뿐만 아니라, 침출수에 의한 지반침하 내지 유수 등에 의한 종자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특정된 각 조성비 및 함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각 성분에서 기대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곤란하고, 이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오히려 하나의 효과가 특히 우세하여 다른 효과 예를 들어, 보습력이 너무 커 통기성을 저해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각 조성비 및 함량으로 조성하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법면녹화용 조성물은 에어건으로 분사하여 시공하는 건식 형태의 공법과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 형상으로 만들어 고압펌프를 이용해 분사하여 시공하는 습식 형태의 공법 중 어느 형태의 공법도 적용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법면녹화용 조성물은 기타 법면녹화시 요구되는 특성을 더욱 보강하기 위해. 상기 법면녹화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접착력과 슬러리 유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지화이바 1~10 중량부, 해충방제 및 영양성분 추가공급을 위한 커피박 1~10 중량부, 및 자칫 부족하기 쉬운 무기물 공급을 위한 패각분말 1~10 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써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이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코코피트와 피트모스가 중량비로 1:3으로 조성된 혼합성분 40중량%, 미강, 볏짚, 및 맥반석이 중량비로 1:2:3의 비로 조성된 혼합성분 30.0 중량%, 추가성분으로 장석 1.0 중량%, 각섬석 2.0 중량%, 휘석 2.0 중량%, 흑운모 2.0 중량%, 형석 2.0 중량%, 펄라이트 2.0 중량%, 부석 1.0 중량%, 및 세피오라이트, 사포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및 벤토나이트가 각각 중량비로 1:1:2:1로 구성되는 혼합광물 10.0 중량%, 및 바인더 8 중량%를 배합하여 법면녹화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법면녹화용 조성물에 옥신 20 ppm, 시토키닌 30ppm, 지베렐린 10 ppm, 및 NAA 20 ppm을 포함하는 법면녹화용 조성물이 되도록 생리활성물질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2]
코코피트와 피트모스가 중량비로 1:3으로 조성된 혼합성분 60중량%, 미강, 볏짚, 및 맥반석이 중량비로 1:2:3의 비로 조성된 혼합성분 10.0 중량%, 추가성분으로 장석 0.5 중량%, 각섬석 1.0 중량%, 휘석 0.5 중량%, 흑운모 1.0 중량%, 형석 1.0 중량%, 펄라이트 0.5 중량%, 부석 0.5 중량%, 및 세피오라이트, 사포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벤토나이트가 각각 중량비로 1:1:2:1로 구성되는 혼합광물 10.0 중량%, 및 바인더 15 중량%를 배합하여 법면녹화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법면녹화용 조성물에 옥신 30 ppm, 시토키닌 20 ppm, 지베렐린 20 ppm, 및 NAA 10 ppm이 되도록 생리활성물질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조성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지화이버 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법면녹화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의 조성 100중량부에 대하여 커피박 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법면녹화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의 조성 100중량부에 대하여 패각분말 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법면녹화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같이 제조한 법면녹화용 조성물을 미리 조성해 둔 마사토 사면에 시험적으로 부착하고 세 번의 자연강우 조건에서의 토양유실량을 측정해 본 결과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법면녹화용 조성물이 토양의 유실이 매우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구로 마사토 노출구인 A와 녹생토 처리구인 B를 두었고, S1(실시예 1), S2(실시예 2), S3(실시예 3), S4(실시예 4), 및 S5(실시예 5)는 마사토 위에 본 발명의 법면녹화용 조성물을 1cm 두께로 취부한 것이다.
구분 1차 강우 2차 강우 3차 강우 토양유실량
a1 b1 a2 b2 a3 b3 a1xb1+
a2xb2+
a3xb3=
입자함량 수분량 입자함량 수분량 입자함량 수분량
mg L-1 L mg L-1 L mg L-1 L mg
A 30 10.2 75 13.1 13 15.7 1,492.6
B 32 15.1 42 15.4 18 12.9 1,362.2
S1 22 2.7 57 2.4 11 1.7 214.9
S2 23 3.5 36 2.5 14 3.2 215.3
S3 22 2.8 33 2.2 9 1.3 145.9
S4 20 2.5 33 2.1 9 1.2 130.1
S5 20 2.4 32 2.2 7 1.2 126.8
[실험예 2]
식생현황을 조사해 본 결과 표 2에서와 같이 녹생토(B) 구간에 비해 본 발명의 법면녹화용 조성물 처리구에서 식생 피복율이 높았고, 출현종과 침입종의 수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법면녹화용 조성물이 주변 경관에 어울리는 식생경관 조성에 매우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B S1 S2 S3 S4 S5
비탈면 평균식생피복율 (%) 48.7 87.6 89.3 90.3 92.5 93.9
출현종의 수 2.6 5.3 6.3 6.8 6.9 7.2
침입종의 수 5 5 7 8 9 9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옥신 20~30 ppm, 시토키닌 20~30ppm, 지베렐린 10~20ppm, 및 NAA 10~20ppm을 포함하되,
    세피오라이트, 사포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및 벤토나이트가 각각 중량비로 1:1:2:1로 구성되는 혼합광물 5.0~10.0 중량%, 장석 0.5~1.0 중량%, 각섬석 1.0~2.0 중량%, 휘석 0.5~2.0 중량%, 흑운모 0.5~2.0 중량%, 형석 1.0~2.0 중량%, 펄라이트 0.5~2.0 중량%, 부석 0.5~1.0 중량%,
    코코피트와 피트모스가 중량비로 1:3~3:1로 조성된 혼합성분 40~60 중량%,
    미강, 볏짚, 및 맥반석이 중량비로 1:2:3~3:2:1의 비로 조성된 혼합성분 10~30 중량%, 및
    바인더 5~15 중량%를 포함하는 법면녹화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법면녹화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접착력과 슬러리 유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지화이바 1~10 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녹화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법면녹화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충방제 및 영양성분 추가공급을 위한 커피박 1~10 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녹화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법면녹화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물 공급을 위한 패각분말 1~10 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녹화용 조성물.
  6. 청구항 제1항의 법면녹화용 조성물을 법면에 건식 또는 습식으로 도포하여 법면을 녹화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30748A 2015-09-16 2015-09-16 법면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KR10179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748A KR101796831B1 (ko) 2015-09-16 2015-09-16 법면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748A KR101796831B1 (ko) 2015-09-16 2015-09-16 법면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993A KR20170032993A (ko) 2017-03-24
KR101796831B1 true KR101796831B1 (ko) 2017-11-13

Family

ID=5850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748A KR101796831B1 (ko) 2015-09-16 2015-09-16 법면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918A (ko) 2017-11-09 2019-05-1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 갱구부 녹화용 식생기반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2066698B1 (ko) * 2019-07-23 2020-01-15 주식회사 성안이엔씨 친환경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866A (ja) * 2000-03-06 2001-09-14 Suzuki Sogyo Co Ltd 植物生育環境付与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土壌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土壌改良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866A (ja) * 2000-03-06 2001-09-14 Suzuki Sogyo Co Ltd 植物生育環境付与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土壌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土壌改良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993A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632B1 (ko) 친환경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39201B1 (ko) 사면 녹화용 식생토 조성물
KR102018687B1 (ko) 사면녹화용 조성물의 시공방법
KR100847086B1 (ko) 사면 녹화용 식생토 제조방법
KR101796831B1 (ko) 법면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KR100847087B1 (ko) 사면 녹화용 식생토 조성물
KR101232290B1 (ko) 경사 사면 녹화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075828A (ko) 무토지 및 척박한 환경에 조기녹화 및 자연식생 활착유도를 위한 식생토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645894B1 (ko) 법면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WO20020146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lope stabilization
KR20080046075A (ko) 활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1201346B1 (ko) 비탈면 녹화용 배양토 조성물
KR100355175B1 (ko) 경사지 녹화용 객토 조성물
KR101572110B1 (ko) 친환경 법면녹화용 식생토
KR101236697B1 (ko) 알리신을 이용한 암반절개지 사면녹화공법
KR100423004B1 (ko) 산림표토성분 조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생표토층조성에 의한 생태복원 녹화방법
KR101203934B1 (ko)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31817B1 (ko) 비탈면을 안정화하기 위한 녹화토양조성물.
EP0828803B1 (de) Mineralisches vegetationssubstrat, verfahren zur (re)kultivierung von böden und verwendung
WO2006085260A3 (en) Spray-on film for application to soil
KR101004424B1 (ko) 식생네트와 녹화토혼합물을 이용한 법면 녹화구조
KR100733917B1 (ko) 절토 및 성토면 안정을 위한 녹화공법
KR101359314B1 (ko) 산성배수가 발생하는 특수지질지역의 녹화공법
KR102426659B1 (ko) 알리신 부엽토를 이용한 초기 발아 사면녹화공법
KR101495316B1 (ko) 산성배수가 발생하는 토사비탈면의 녹화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