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729B1 -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729B1
KR101796729B1 KR1020170028485A KR20170028485A KR101796729B1 KR 101796729 B1 KR101796729 B1 KR 101796729B1 KR 1020170028485 A KR1020170028485 A KR 1020170028485A KR 20170028485 A KR20170028485 A KR 20170028485A KR 101796729 B1 KR101796729 B1 KR 101796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driving
substation
auxiliary
ab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분성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분성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분성전기
Priority to KR102017002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변전설비에서의 사용부품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부품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보조부품을 구동시키거나 다른 변전설비에 포함되는 동일한 보조부품으로 자동 교체하여 변전설비의 중단 없이 변전을 수행함과 아울러 이상 부품을 보수할 수 있으며, 다시 교체된 교체 부품에서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보수한 사용부품으로 자동 교체함으로서 변전설비의 중단 없이 변전을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정상 사용부품을 대신하여 보조부품이 구동된 후 비정상 사용부품이 탈거되도록 함으로써 변전소 설비 관리자가 비정상 사용부품을 현장에 출동하기 전에 비정상 사용부품이 정상 보조부품과 함께 병렬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변전설비에 미치는 악영향과 단전 사고 또는 타 부품의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며, 탈거된 부품을 변전설비가 설치된 변전소 바닥으로 하강시켜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보수되거나 교체된 부품을 상승시켜 변전설비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하나의 변전설비에 부품이 상하 2단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부품탈착장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어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Substation monitoring and war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변전 분야 기술 중에서,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변전설비에 설치된 사용부품의 동작을 감시하여 비상이 발생한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고 대응하는 보조부품을 구동시켜 변전설비의 중단 없이 변전을 수행함과 아울러 비정상 사용부품을 탈거하여 비정상 사용부품이 교체 구동된 보조부품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른 변전설비에 미치는 악영향과 단전 사고 또는 타 부품의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변전설비에 부품이 상하 2단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부품탈착장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어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한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에는 각종 변전설비 및 기기들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설비에는 자체의 상태변화를 검출하는 상태변화 검출수단과 이들 상태변화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 「오프」 작동되는 경보수단(램프 및 경보기를 포함)이 일 대 일 대응방식으로 구비되어 있어 각종 변전설비들 중 특정 설비에서 이상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설비에 대응하는 경보수단이 구동하여 변전소 설비 관리자가 각각의 설비에 해당하는 경보수단들의 구동 또는 비구동 상태를 육안 또는 청각을 통해 확인하여 상태변화 경보가 발생한 해당 변전설비를 점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변전설비에 사용되는 변압기는 154 KV급 전력 이상의 변전소에 설치(시설)되어 운영, 유지보수되는 변압기가 포함되며, 차단기와 단로기와 조상설비와 피뢰기와 보호배번반은 25.8 KV급 이상 전력에서 사용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적용 전압은 기술발전, 발달에 따라 임의 변경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변전소의 설비 이상 경보 시스템은 변전소에 설치되어 있는 수개의 변전설비 중 어느 한 설비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하여 해당 경보수단인 램프들의 구동상태 또는 경보기의 경보음을 일일이 육안 또는 청각을 통해 이상 상태를 확인하고 어느 설비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인지한 다음 해당 설비를 점검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기록을 남겨야만 하므로 큰 판넬 상에 설치되어 있는 수많은 경보수단들 중 이상 상태가 발생한 해당 설비를 즉시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보 내용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관리자의 오판 또는 오조작으로 인하여 경보 창구가 소멸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총괄적인 관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616호호(2012.02.07. 등록)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접점 연동 시험기"(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단자대의 접점에 접촉하는 적어도 2개의 리드선부에 접촉되는 해당 시험 접점을 자유롭게 동작 유지시키거나, 단락시키고, 상기 시험 접점의 동작 유지시간을 측정하거나 시험 접점의 동작 유지 시간을 설정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접점 연동 시험 시 혼촉으로 인한 오시험을 방지하고, 접점의 정확한 동작 지연 시간을 측정하여 설비 운영의 안정을 도모하고, 부동작 원인을 분석할 수 있게 한 것인바, 선행기술 역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8978호(2015.08.26. 등록) "변전설비 원격 감시 시스템"(이하, '선행기술2'라 함)은 다수의 변전설비에서의 부품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부품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보조부품을 구동시키거나 다른 변전설비에 포함되는 동일한 보조부품을 사용하여 변전설비의 중단 없이 변전을 수행함과 아울러 이상 부품을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는 사용부품이 비정상일 경우 보조부품으로 교체 구동함으로써 변전설비의 중단 없이 변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되지만, 변전소 설비 관리자가 비정상 사용부품을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하여 탈거하기 전까지는 정상 부품인 보조부품과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게 되기 때문에 비정상인 사용부품이 변전설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고, 자칫 단전 사고 또는 타 부품의 손상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다수의 변전설비에서의 부품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부품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보조부품을 구동시키거나 다른 변전설비에 포함되는 동일한 보조부품을 사용하여 변전설비의 중단 없이 변전을 수행함과 아울러 이상 부품을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정상 사용부품을 대신하여 보조부품이 구동된 후 비정상 사용부품을 탈거되도록 함으로써 변전소 설비 관리자가 비정상 사용부품을 현장에 출동하기 전에 비정상 사용부품이 정상 보조부품과 함께 병렬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변전설비에 악영향을 미치고 단전 사고 또는 타 부품의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07482호(2016.03.24. 등록) "변전설비 감시 시스템"(이하, '선행기술3'이라 함)은 부품탈착장치를 구비하여, 비정상 사용부품 발생시 비정상 사용부품을 대신하여 보조부품이 구동된 후 비정상 사용부품이 변전설비로부터 탈거되도록 함으로써 변전소 설비 관리자가 현장에 충돌하기 전에 비정상 사용부품이 정상 보조부품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탈거한 부품이 원래의 설치 높이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부품을 보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변전소 바닥으로 하강시켜야 하며, 보수 또는 교체된 부품을 설치 위치로 상승시킬 경우에도 별도의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게 되며, 하나의 변전설비에 대하여 부품이 상하 2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비정상 사용부품의 탈거와 접속을 위한 부품탈착장치를 이중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하고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정상 사용부품이 발생하였을 때 비정상 사용부품을 변전설비로부터 탈거함과 아울러 변전소 바닥으로 하강시켜 추후 보수 및 교체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보수 및 교체된 부품을 변전설비에 설치함에 있어서도 별도의 크레인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나의 변전설비에 부품이 상하 2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하나의 부품탈착장치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616호호(2012.02.07. 등록)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접점 연동 시험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8978호(2015.08.26. 등록) "변전설비 원격 감시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07482호(2016.03.24. 등록) "변전설비 감시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전설비에 설치된 사용부품의 동작을 감시하여 비상이 발생한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고 대응하는 보조부품을 구동시켜 변전설비의 중단 없이 변전을 수행함과 아울러 비정상 사용부품을 탈거하여 비정상 사용부품이 교체 구동된 보조부품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른 변전설비에 미치는 악영향과 단전 사고 또는 타 부품의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변전설비에 부품이 상하 2단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부품탈착장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어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한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사용부품들을 구비하여 구동되는 다수의 변전설비;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부품들의 구동 결과를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부;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 각각의 측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 각각에서의 측정된 상기 사용부품들의 구동 결과를 전송 받는 서버부; 및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측정된 상기 사용부품들의 구동 결과를 상기 서버부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사용부품들 중 비정상 구동이 발생되면, 비정상 구동이 발생된 사용부품과 동일한 사용부품을 해당 변전설비 또는 다른 변전설비에서 선정하여 구동시키는 원격리페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 각각은, 상기 사용부품들과 동일한 보조부품들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부품들 및 상기 보조부품들은 규격과 기능별로 구분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원격리페어부는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 각각의 상기 측정부로부터 상기 사용부품들의 구동 결과를 전송 받고, 상기 구동 결과가 기설정된 구동 기준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여 비정상 구동이 발생된 사용부품을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하는 판단기와, 상기 판단기로부터 판단한 상기 비정상 부품을 해당 변전설비에 따른 비정상 부품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기와, 상기 해당 변전설비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부품들 중, 상기 비정상 부품과 동일한 규격 및 기능을 갖는 보조부품을 선정하는 선정기와, 상기 비정상 부품의 구동을 중지하고, 선정된 상기 보조부품을 구동시키는 구동기 및, 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판단기에 의해 비정상 구동이 발생된 사용부품이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되는 사용부품의 구동 정보를 일시 저장하고, 상기 구동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기준 시간 동안 가상 구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준 시간을 상기 서버부로부터 전송 받아 설정하고,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되는 사용부품의 과거 교체 시간 이력 정보이며, 상기 비정상 부품이 정상인 사용부품으로 교체되기까지의 시간이고,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 각각에는 보조 측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 측정부는 상기 구동기에 의해 상기 비정상 부품의 구동 중지에 대한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비정상 부품의 구동이 중지되는지를 감시하여, 상기 비정상 부품이 구동되는 경우, 선정된 상기 보조부품이 구동되기 전에, 상기 비정상 부품의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전원 라인을 강제 차단하여, 상기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된 사용부품과, 상기 보조부품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비정상 사용부품을 물리적으로 탈거하고, 보수 및 교체된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탈착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품탈착장치는, 각각 변전 설비에 구비되며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사용부품 고정단자와 보조부품 고정단자와; 상기 사용부품 고정단자와 보조부품 고정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사용부품과 보조부품에 각각 구비되는 사용부품단자와 보조부품단자와; 각각의 변전설비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사용부품 안내레일과 보조부품안내레일과; 상기 사용부품 안내레일에 구름접촉되는 안내롤러를 구비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용부품이 장착되는 사용부품 슬라이더와; 상기 보조부품 안내레일에 구름접촉되는 안내롤러를 구비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조부품이 장착되는 보조부품 슬라이더와; 상기 변전설비가 설치되는 바닥에 형성된 개방부의 하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슬라이더와; 상기 좌우슬라이더를 좌우슬라이딩 구동하는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와; 상기 좌우슬라이더의 상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를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와; 상기 승강대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슬라이더와; 상기 전후슬라이더를 전후슬라이딩 구동하는 전후슬라이딩 구동수단과; 상기 전후슬라이더의 상면에 설치되며, 승강 가능한 연동핀이 구비된 연동용 솔레노이드와; 상기 연동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부품 슬라이더에 형성된 사용부품 연동핀홀과; 상기 연동핀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부품 슬라이더에 형성된 보조부품 연동핀홀과; 상기 전후슬라이더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부품 안내레일과 보조부품 안내레일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탈착용 안내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격리페어부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하여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에 대한 좌우슬라이딩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좌우슬라이딩 구동부와,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에 대한 승강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승강 구동부와, 상기 전후구동모터에 대한 전후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전후슬라이딩 구동부 및, 상기 연동용 솔레노이드에 대한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연동용 솔레노이드 구동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변전설비에서의 사용부품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부품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보조부품을 구동시키거나 다른 변전설비에 포함되는 동일한 보조부품으로 자동 교체하여 변전설비의 중단 없이 변전을 수행함과 아울러 이상 부품을 보수할 수 있으며, 다시 교체된 교체 부품에서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보수한 사용부품으로 자동 교체함으로서 변전설비의 중단 없이 변전을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정상 사용부품을 대신하여 보조부품이 구동된 후 비정상 사용부품이 탈거되도록 함으로써 변전소 설비 관리자가 비정상 사용부품을 현장에 출동하기 전에 비정상 사용부품이 정상 보조부품과 함께 병렬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변전설비에 미치는 악영향과 단전 사고 또는 타 부품의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며, 탈거된 부품을 변전설비가 설치된 변전소 바닥으로 하강시켜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보수되거나 교체된 부품을 상승시켜 변전설비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하나의 변전설비에 부품이 상하 2단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부품탈착장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어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의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의 작동을 보인 흐름도이며,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4 및 도 5는 부품탈착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다른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의 작동을 보인 흐름도,
도 8 내지 도 13은 부품탈착장치에 의하여 비정상 사용부품을 탈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는 다수의 변전설비(100)와, 다수의 측정기(200)와, 서버부(300) 및 원격리페어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100)는 각각 다수의 사용부품(110)을 구비한다.
상기 사용부품(110)은 펌프, 온도센서 등의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변전설비(100)는 각각 다수의 사용부품(110)에 대응하는 다수의 보조부품(120)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보조부품(120)는 펌프, 온도세서 등의 부품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부품(110) 중 (111)은 사용 펌프이고, (112)는 사용 온도센서라고 하면, 보조부품(120) 중 (121)은 사용 펌프(111)에 대체할 수 있는 보조 펌프이고, (122)는 사용 온도센서(112)에 대체할 수 있는 보조 온도센서이다.
상기 측정부(200)는 펌프의 경우 펌프 구동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일 수 있다.
즉, 상기 측정부(200)는 각 변전설비(100)에 설치되어 사용 펌프(111)와 사용 온도센서(112)의 구동 상태를 측정한다.
상기 서버부(300)는 측정부(200)들과 랜과 같은 통신선(L)을 통하여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버부(300)는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100) 각각의 측정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100) 각각에서의 측정된 상기 사용부품(110)들의 구동 결과를 전송받는다.
상기 원격리페어부(400)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측정된 상기 사용부품(110)들의 구동 결과를 상기 서버부(300)로부터 전송받고, 구동 결과를 기설정된 정상 구동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부품(110)들 중 비정상 구동이 발생하면, 비정상 구동이 발생한 사용부품(110)과 동일한 사용부품을 해당 변전설비(100) 또는 다른 변전설비(100)에서 선정하여 구동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100) 각각은 상기 사용부품(110)들과 동일한 보조부품(120)들을 구비한다.
상기 사용부품(110)들 및 상기 보조부품(120)들은 규격과 기능별로 구분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원격리페어부(400)는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100) 각각의 측정부(200)로부터 상기 사용부품(110)의 구동 결과를 전송받고, 상기 구동 결과가 구동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 비정상 구동이 발생한 사용부품(110)을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하는 판단기(410)와, 상기 판단기(410)로부터 판단한 상기 비정상 부품을 해당 변전설비(100)에 따른 비정상 부품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기(420)와, 상기 비정상 부품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보기(430)와, 상기 해당 설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부품(120)들 중 상기 비정상 부품과 동일한 규격 및 기능을 가지는 보조부품(120)을 선정하는 선정기(440)와, 상기 비정상 부품의 구동을 중지하고 선정된 상기 보조부품(120)을 구동시키는 구동기(450)로 구성된다.
예컨대, 1번 변전설비(100)의 사용부품(110) 중 사용 펌프(111)가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되면, 1번 변전설비(100)의 사용 펌프(111)에 대체할 수 있는 보조부품(210) 중 보조 펌프(121)를 검색 및 선정한다.
이어 해당 보조 펌프(121)가 검색되면, 이를 상기 사용 펌프(111)를 대체할 수 있는 보조 펌프(121)로 선정하고,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된 사용 펌프(111)의 구동을 중지하고, 보조 펌프(121)를 구동시킨다.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된 사용부품(110)이 발생하면, 경보부(430)에 의하여 경보를 발령하여 관리자가 비정상 부품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보부(430)는 관리자가 상주하는 관리사무실과 상기 사용부품(110)과 보조부품(12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430)는 사용부품 경광램프(431)와 보조부품 경광램프(432)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정기(440)는 해당 변전설비(100)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부품(120) 중 상기 비정상 부품과 동일한 규격 및 기능을 가지는 보조부품이 없는 경우, 다른 변전설비(100)에 구비된 사용부품(110) 및 보조부품(120) 중 상기 비정상 부품과 동일한 규격 및 기능을 가지는 보조부품을 선정한다.
즉, 1번 변전설비(100)의 사용 펌프(111)가 비정상 부품을 판단되면, 1번 변전설비(100)에서 사용 펌프(111)에 대체할 수 있는 보조부품(120)을 검색 및 선정한다.
만일, 1번 변전설비(100)에 상기 사용 펌프(111)를 대체할 수 있는 보조 펌프(121)가 없는 경우, 2번 내지 N번 변전설비(100) 중 사용 펌프(111)에 대체할 수 있는 보조 펌프(121)를 검색 및 선정한다.
이어 해당 보조 펌프(111)가 검색되면 이를 상기 사용 펌프(111)에 대체할 수 있는 보조 펌프(121)로 선정하고,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된 사용 펌프(111)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보조 펌프(121)를 구동시킨다.
한편, 상기 원격리페어부(400)는 제어기(46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460)는 상기 판단기(410)에 의해 비정상 구동이 발생한 사용부품(110)이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되는 사용부품(110)의 구동 정보를 일시 저장하고, 상기 구동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기준 시간 동알 가상 구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460)는 상기 기준 시간을 상기 서버부(300)로부터 전송 받아 설정하되,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비정상 부품이 정상인 사용부품으로 교체되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즉, 1번 변전설비(100)에서 사용 펌프(11)가 비정상 구동으로 판단되면, 사용 펌프(111)가 비정상 구동으로 판단되기 이전까지의 구동 경로를 로그 파일화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로그 파일화된 구동 정보로 기준 시간 동안 가상 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시간은 비정상 구동으로 판단되는 사용 펌프(111)의 과거 교체 이력 정보로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하기 이전까지 해당 변전설비(100)를 중지하지 않고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수의 변전설비(100)에서의 사용부품(110)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부품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보조부품을 구동시키거나 다른 변전설비(100)에 포함되는 동일한 보조부품(120)을 사용하여 설비 중지 없이 보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100) 각각에는 보조 측정부(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측정부는 상기 구동기(450)에 의하여 상기 비정상 부품의 구동 중지에 대한 신호를 센싱한다.
그리고 보조 측정부는 상기 비정상 부품의 구동이 중지되었는지를 감시하고, 만일 상기 비정상 부품이 구동되는 경우, 선정된 상기 보조부품(120)이 구동되기 전에 상기 비정상 부품의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전원 라인을 강제 차단한다.
따라서 비정상 부품이 구동 중지신호에도 불구하고, 오작동하여 보조부품(120)과 동시에 구동하여 발생되는 설비 이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부품(110)이 비정상 부품일 경우 해당 사용부품(110)을 보수하기 전까지 정상 부품인 보조부품(120)과 함께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면 변전설비(100)에 대하여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자칫 단전 사고 또는 타 부품의 손상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비정상 부품으로 인한 악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대응하는 사용부품(110)과 보조부품(120)을 물리적으로 탈착할 수 있는 부품탈착장치(500)를 더 포함한 것이다.
상기 부품탈착장치(500)는 각각 변전 설비(100)에 구비되며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사용부품 고정단자(510)와 보조부품 고정단자(520)와; 상기 사용부품 고정단자(510)와 보조부품 고정단자(520)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사용부품(110)과 보조부품(120)에 각각 구비되는 사용부품단자(530)와 보조부품단자(540)와; 각각의 변전설비(100)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사용부품 안내레일(550)과 보조부품안내레일(560)과; 상기 사용부품 안내레일(550)에 구름접촉되는 안내롤러(571)를 구비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용부품(110)이 장착되는 사용부품 슬라이더(570)와; 상기 보조부품 안내레일(560)에 구름접촉되는 안내롤러(571)를 구비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조부품(120)이 장착되는 보조부품 슬라이더(580)와; 상기 변전설비(100)가 설치되는 바닥(130)에 형성된 개방부(140)의 하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슬라이더(590)와; 상기 좌우슬라이더(590)를 좌우슬라이딩 구동하는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와; 상기 좌우슬라이더(590)의 상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610)와; 상기 승강대(610)를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과; 상기 승강대(610)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슬라이더(630)와; 상기 전후슬라이더(630)를 전후슬라이딩 구동하는 전후슬라이딩 구동수단(640)과; 상기 전후슬라이더(630)의 상면에 설치되며, 승강 가능한 연동핀(660)이 구비된 연동용 솔레노이드(650)와; 상기 연동핀(650)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부품 슬라이더(570)에 형성된 사용부품 연동핀홀(670)과; 상기 연동핀(650)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부품 슬라이더(580)에 형성된 보조부품 연동핀홀(680)과; 상기 전후슬라이더(6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부품 안내레일(550)과 보조부품 안내레일(560)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탈착용 안내레일(6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부품 안내레일(550)와 보조부품 안내레일(560) 및 탈착용 안내레일(690)의 상면에는 각각 사용부품 슬라이더(570)와 보조부품 슬라이더(580)의 안내롤러(571, 581)가 구름접촉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안내 홈(551, 561, 691)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슬라이더(590)와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 및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은 각각의 변전설비(100)의 전방에서 바닥(130)에 형성된 피트(140) 내에 설치된다.
상기 좌우슬라이더(59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한 상태에서도 피트(140)의 상단 개방부가 가려질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슬라이더(590)는 바닥(130)에 설치되는 안내봉에 의하여, 승강대(610)는 좌우슬라이더(590)에 설치되는 안내봉에 의하여, 전후슬라이더(630)는 승강대(610)에 설치되는 안내봉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우슬라이더(590)는 상판부(591)와, 상기 상판부(591)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보강부(59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은 상기 피트(140) 내에서 바닥(130)에 고정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60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601)에 좌우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부가 상기 좌우슬라이더(690)의 보강부(592)에 결합되는 작동봉(6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대(61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는 상기 좌우슬라이더(590)의 상판부(591) 하면에 상단이 고정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62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621)에서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우슬라이더(590)를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승강대(610)의 하면에 결합되는 작동봉(6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의 리니어액튜에이터와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는 유압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후슬라이더(630)는 상기 승강대(61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부(631)와, 상기 수직부(63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6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슬라이딩 구동수단(640)은 상기 승강대(610)의 전면에 후단부가 고정되는 전후구동모터(641)와, 상기 전후구동모터(641)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후구동스크루(642)와, 상기 전후슬라이더(630)의 수직부(631)에 형성되어 상기 전후구동스크루(642)에 나사물림되는 너트부(6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구동스크루(642)는 상기 승강대(6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동용 솔레노이드(650)는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봉이 상승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작동봉이 하강하는 방식의 솔레노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동핀(660)은 연동용 솔레노이드(650)의 작동봉으로 구성하거나 작동봉에 별도의 핀을 용접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부품 연동핀홀(670)과 보조부품 연동핀홀(680)은 연동핀(660)이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탈착용 안내레일(690)는 상기 사용부품 안내레일(550)과 보조부품 안내레일(560)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각각의 사용부품 안내레일(550)과 보조부품 안내레일(560)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사용부품 안내레일(550)과 보조부품 안내레일(560)을 연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탈착장치(5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원격리페어부(400)의 제어기(460)의 제어에 의하여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에 대한 좌우슬라이딩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좌우슬라이딩 구동부(471)와,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에 대한 승강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승강 구동부(472)와, 상기 전후구동모터(641)에 대한 전후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전후슬라이딩 구동부(473) 및, 상기 연동용 솔레노이드에 대한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연동용 솔레노이드 구동부(474)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과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와 전후구동모터(641) 및 연동용 솔레노이드(650)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슬라이딩 모드와 승강구동 모드와 전후구동 모드 및 연동 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80)는 서버부(300)를 구성하는 컴퓨터의 키보드등과 같은 입력장치로 구성하거나 각 변전설비(100)에 주변에 설치되는 스위치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되며, 사용부분(110) 중 비정상 부품이 발생하여 보조부품(120)을 선정하고, 보조부품(120)을 구동한 다음, 부품탈착장치(500)에 의하여 비정상 부품을 탈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부품탈착장치(500)에 의하여 비정상 부품을 탈거하는 과정과, 탈거한 비정상 부품을 바닥(130)로 하강시키는 과정, 부품을 다시 장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 사용부품(110)의 사용부품중 사용부품단자(530)와 보조부품(120)의 보조부품단자(540)가 각각 사용부품 고정단자(510)와 보조부품 고정단자(520)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감시 및 경보 등의 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된 사용부품(110)의 구동을 중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조부품(120)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제어기(460)는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된 사용부품(110)의 위치에 따라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와,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 및 전후구동모터(641)에 대한 구동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좌우슬라이딩 구동부(471)와 승강 구동부(472)와 전후슬라이딩 구동부(473) 및 연동용 솔레노이드 구동부(474)가 구동신호를 송출하여, 제1 리니어액튜에이터(600)과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와 전후구동모터(641) 및 연동용 솔레노이드(650)가 구동되고, 결과적으로 좌우슬라이더(590)의 좌우슬라이딩 동작, 승강대(610)의 승강 동작과, 전후슬라이더(630)의 전후슬라이딩 동작 및, 연동용 솔레노이드(650)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대, 좌측 상단의 사용부품(110)이 비정성 부품으로 판단된 경우,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에 의하여 좌우슬라이더(59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이에 따라 좌우슬라이더(590)상에 설치된 승강대(610),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 전후슬라이더(630), 전후슬라이딩 구동수단(640), 연동용 솔레노이드(650), 연동핀(660), 탈착용 안내레일(690)이 좌측으로 슬라이딩된다(도 9 참조).
이 동작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슬라이더(590)가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동작이며, 좌우슬라이더(590)가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동작은 생략된다.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에 의하여 승강대(610)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대(610)에 설치된 전후슬라이더(630), 전후슬라이딩 구동수단(640), 연동용 솔레노이드(650), 연동핀(660) 및 탈착용 안내레일(690)이 상승하여, 탈착용 안내레일(690)의 후단부가 좌측 상단의 사용부품 안내레일(550)의 선단부에 일치하는 상태로 된다(도 10 참조).
이 동작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용 안내레일(690)가 상측의 사용부품 안내레일(550)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동작임, 탈착용 안내레일(690)이 상측 사용부품 안내레일(550)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경우에는 이 동작은 생략된다.
전후구동모터(641)에 의하여 전후구동스크루(642)가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고, 서로 나사맞춤되어 있는 전후구동스크루(642)와 너트부(643)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전후슬라이더(630)가 사용부품(110)을 향하여 전진하며, 연동핀(660)이 사용부품 슬라이더(570)의 연동핀홀(670)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도 11 참조).
이때, 도 11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연동용 솔레노이드(650)의 동작에 의하여 연동핀(660)이 상승하여 사용부품 연동핀홀(670)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전후슬라이딩 구동수단(640)에 의하여 전후슬라이더(630)가 후퇴하면, 연동핀(660)이 사용부품 연동핀홀(67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사용부품 슬라이더(570)와 이에 안착된 사용부품(110)이 전후슬라이더(630)와 함께 후퇴하게 되어 사용부품단자(530)가 사용부품 고정단자(510)로부터 분리되고, 사용부품 슬라이더(570)는 탈착용 안내레일(690) 상에 위치하게 된다(도 12 참조).
최종적으로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에 의하여 승강대(610)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대(61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전후슬라이더(630), 전후슬라이딩 구동수단(640), 연동용 솔레노이드(650), 연동핀(660), 탈착용 안내레일(690) 및 탈착용 안내레일(690) 상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부품 슬라이더(570)과 사용부품(110)이 바닥(130)측으로 하강하게 된다(도 13 참조).
다음, 연동용 솔레노이드(650)에 의하여 연동핀(660)이 하강하여 사용부품 슬라이더(570)의 사용부품 연동핀홀(670)에서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탈착용 안내레일(690)는 바닥(130)면에 근접한 위치에 있게 되므로 사용부품 슬라이더(570)를 견인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부품(110)를 사용부품 슬라이더(570)와 함께 탈착용 안내레일(690)로부터 쉽게 수거할 수 있다.
한편, 탈거된 사용부품(110)은 보수하여 다시 설치하거나 새로운 사용부품(110)으로 교체하여 다시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재설치 동작은 상술한 탈거시의 동작과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부품탈착장치(500)를 이용하여 하나의 변전설비(100)에 설치된 좌측 상단 및 좌측 하단의 사용부품(110)과 우측 상단과 우측 하단의 보조부품(120)을 선택적으로 탈거 또는 재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는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는 상기 탈착용 안내레일(690)의 후단부에 경사안내부(692)를 형성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경사안내부(692)는 탈거된 사용부품(110) 또는 보조부품(120)를 하강시킨 다음, 바닥(130) 상으로 끌어내릴 때 무리한 힘이 가해지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보수되거나 교체되는 사용부품(110) 또는 보조부품(120)을 바닥(130)으로부터 탈착용 안내레일(690) 상에 안착시키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안착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변전설비 110 : 사용부품
120 : 보조부품 200 : 측정부
300 : 서버부 400 : 원격리페어부
410 : 판단기 420 : 저장기
430 : 경보기 440 : 선정기
450 : 구동기 460 : 제어기
471 : 좌우슬라이딩 구동부
472 : 승강 구동부 473 : 전후슬라이딩 구동부
480 : 입력부 500 : 부품탈착장치
510 : 사용부품 고정단자 520 : 보조부품 고정단자
530 : 사용부품단자 540 : 보조부품단자
550 : 사용부품 안내레일 560 : 보조부품 안내레일
570 : 사용부품 슬라이더 580 : 보조부품 슬라이더
590 : 좌우슬라이더 600 :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
610 : 승강대 620 :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
630 : 전후슬라이더 640 : 전후슬라이딩 구동수단
650 : 연동용 솔레노이드 660 : 연동핀
670 : 사용부품 연동핀홀 680 : 보조부품 연동핀홀
690 : 탈착용 안내레일

Claims (1)

  1. 사용부품(110)들을 구비하여 구동되는 다수의 변전설비(100);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100)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부품(110)들의 구동 결과를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부(200);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100) 각각의 측정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100) 각각에서의 측정된 상기 사용부품(110)들의 구동 결과를 전송 받는 서버부(300); 및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측정된 상기 사용부품(110)들의 구동 결과를 상기 서버부(300)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사용부품(110)들 중 비정상 구동이 발생되면, 비정상 구동이 발생된 사용부품(110)과 동일한 사용부품을 해당 변전설비 또는 다른 변전설비에서 선정하여 구동시키는 원격리페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100) 각각은, 상기 사용부품(110)들과 동일한 보조부품(120)들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부품(110)들 및 상기 보조부품(120)들은 규격과 기능별로 구분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원격리페어부(400)는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100) 각각의 상기 측정부(200)로부터 상기 사용부품(110)들의 구동 결과를 전송 받고, 상기 구동 결과가 기설정된 구동 기준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여 비정상 구동이 발생된 사용부품(110)을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하는 판단기(410)와, 상기 판단기(410)로부터 판단한 상기 비정상 부품을 해당 변전설비에 따른 비정상 부품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기(420)와, 상기 해당 변전설비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부품(120)들 중, 상기 비정상 부품과 동일한 규격 및 기능을 갖는 보조부품(120)을 선정하는 선정기(440)와, 상기 비정상 부품의 구동을 중지하고, 선정된 상기 보조부품(120)을 구동시키는 구동기(450) 및, 제어기(460)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460)는 상기 판단기(410)에 의해 비정상 구동이 발생된 사용부품(110)이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되는 사용부품(110)의 구동 정보를 일시 저장하고, 상기 구동 정보를 기초로 설정되는 기준 시간 동안 가상 구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어기(460)는 상기 기준 시간을 상기 서버부(300)로부터 전송 받아 설정하고,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되는 사용부품(110)의 과거 교체 시간 이력 정보이며, 상기 비정상 부품이 정상인 사용부품(110)으로 교체되기까지의 시간이고,
    상기 다수의 변전설비(100) 각각에는 보조 측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 측정부는 상기 구동기(450)에 의해 상기 비정상 부품의 구동 중지에 대한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비정상 부품의 구동이 중지되는지를 감시하여, 상기 비정상 부품이 구동되는 경우, 선정된 상기 보조부품(120)이 구동되기 전에, 상기 비정상 부품의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전원 라인을 강제 차단하여, 상기 비정상 부품으로 판단된 사용부품(110)과, 상기 보조부품(120)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비정상 사용부품을 물리적으로 탈거하고, 보수 및 교체된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탈착장치(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품탈착장치(500)는,
    각각 변전 설비(100)에 구비되며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사용부품 고정단자(510)와 보조부품 고정단자(520)와;
    상기 사용부품 고정단자(510)와 보조부품 고정단자(520)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사용부품(110)과 보조부품(120)에 각각 구비되는 사용부품단자(530)와 보조부품단자(540)와;
    각각의 변전설비(100)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사용부품 안내레일(550)과 보조부품안내레일(560)과;
    상기 사용부품 안내레일(550)에 구름접촉되는 안내롤러(571)를 구비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용부품(110)이 장착되는 사용부품 슬라이더(570)와;
    상기 보조부품 안내레일(560)에 구름접촉되는 안내롤러(571)를 구비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조부품(120)이 장착되는 보조부품 슬라이더(580)와;
    상기 변전설비(100)가 설치되는 바닥(130)에 형성된 개방부(140)의 하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슬라이더(590)와;
    상기 좌우슬라이더(590)를 좌우슬라이딩 구동하는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와;
    상기 좌우슬라이더(590)의 상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610)와;
    상기 승강대(610)를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과;
    상기 승강대(610)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슬라이더(630)와;
    상기 전후슬라이더(630)를 전후슬라이딩 구동하는 전후슬라이딩 구동수단(640)과;
    상기 전후슬라이더(630)의 상면에 설치되며, 승강 가능한 연동핀(660)이 구비된 연동용 솔레노이드(650)와;
    상기 연동핀(660)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부품 슬라이더(570)에 형성된 사용부품 연동핀홀(670)과;
    상기 연동핀(660)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부품 슬라이더(580)에 형성된 보조부품 연동핀홀(680)과;
    상기 전후슬라이더(6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부품 안내레일(550)과 보조부품 안내레일(560)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탈착용 안내레일(69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부품 안내레일(550)와 보조부품 안내레일(560) 및 탈착용 안내레일(690)의 상면에는 각각 사용부품 슬라이더(570)와 보조부품 슬라이더(580)의 안내롤러(571, 581)가 구름접촉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안내 홈(551, 561, 691)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슬라이더(590)와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 및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은 각각의 변전설비(100)의 전방에서 바닥(130)에 형성된 피트(14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슬라이더(59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한 상태에서도 피트(140)의 상단 개방부가 가려질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좌우슬라이더(590)는 상판부(591)와, 상기 상판부(591)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보강부(59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은 상기 피트(140) 내에서 바닥(130)에 고정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60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601)에 좌우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부가 상기 좌우슬라이더(590)의 보강부(592)에 결합되는 작동봉(602)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대(61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는 상기 좌우슬라이더(590)의 상판부(591) 하면에 상단이 고정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62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621)에서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우슬라이더(590)를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승강대(610)의 하면에 결합되는 작동봉(6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슬라이더(630)는 상기 승강대(61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부(631)와, 상기 수직부(63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632)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슬라이딩 구동수단(640)은 상기 승강대(610)의 전면에 후단부가 고정되는 전후구동모터(641)와, 상기 전후구동모터(641)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후구동스크루(642)와, 상기 전후슬라이더(630)의 수직부(631)에 형성되어 상기 전후구동스크루(642)에 나사물림되는 너트부(643)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구동스크루(642)는 상기 승강대(6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사용부품 연동핀홀(670)과 보조부품 연동핀홀(680)은 연동핀(660)이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탈착용 안내레일(690)는 상기 사용부품 안내레일(550)과 보조부품 안내레일(560)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사용부품 안내레일(550)과 보조부품 안내레일(560)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사용부품 안내레일(550)과 보조부품 안내레일(560)을 연장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원격리페어부(400)는,
    상기 제어기(460)의 제어에 의하여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에 대한 좌우슬라이딩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좌우슬라이딩 구동부(471)와,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에 대한 승강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승강 구동부(472)와, 상기 전후구동모터(641)에 대한 전후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전후슬라이딩 구동부(473)와, 상기 연동용 솔레노이드에 대한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연동용 솔레노이드 구동부(474), 및 상기 좌우슬라이딩 리니어액튜에이터(600)과 승강구동 리니어액튜에이터(620)와 전후구동모터(641) 및 연동용 솔레노이드(650)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슬라이딩 모드와 승강구동 모드와 전후구동 모드 및 연동 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4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
KR1020170028485A 2017-03-06 2017-03-06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 KR10179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85A KR101796729B1 (ko) 2017-03-06 2017-03-06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85A KR101796729B1 (ko) 2017-03-06 2017-03-06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729B1 true KR101796729B1 (ko) 2017-12-01

Family

ID=6092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485A KR101796729B1 (ko) 2017-03-06 2017-03-06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5190A (zh) * 2021-04-14 2021-08-03 昆山中钧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网的储能安全预警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482B1 (ko) * 2015-12-16 2016-03-31 (주)화신파워텍 변전 설비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482B1 (ko) * 2015-12-16 2016-03-31 (주)화신파워텍 변전 설비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5190A (zh) * 2021-04-14 2021-08-03 昆山中钧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网的储能安全预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50327B (zh) 一种铁路电源屏的故障监测系统和方法
CN110941918B (zh) 智能化变电站故障分析系统
JP5787231B2 (ja) 開閉器の診断方法及び診断装置
CN110073057B (zh) 异物去除系统以及异物去除装置的监视方法
KR101644013B1 (ko) 전력설비 원격소장치용 전원공급부 프레임 그라운드 레벨을 이용한 장애 검출 장치
DE102015106853B4 (de) Motorantrieb mit Funktion zum Erkennen eines Verschweißens eines elektromagnetischen Konnektors
KR101773433B1 (ko) 기중 차단기 듀얼형 자동 시험장치
KR102135388B1 (ko) 발전소 초고압 선로 감시 시스템
KR101796729B1 (ko) 변전설비 감시 및 경보 장치
CN111645720A (zh) 一种可列车自主控制的智能转辙机
CN111474470A (zh) 用于变电站的智能断路器在线监测方法
KR20150003168A (ko) 부하 시 탭 절환기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CN113800371B (zh) 一种基于永磁门机控制器的电梯运行控制系统及方法
KR101607482B1 (ko) 변전 설비 감시 시스템
CN109765033B (zh) 一种光测测量设备镜头智能监控系统及方法
CN112180219B (zh) 一种工业用数字量输出回路的线缆电路及实现方法
CN212921524U (zh) 转辙机位置表示装置及智能转辙机
KR20190077403A (ko) 전력 시스템 신뢰도
CN110854699B (zh) 一种自检故障电控柜
CN107965238B (zh) 一种智能化的机柜防护门和控制方法
TWI651231B (zh) 道岔監控系統及其方法
CN106557054A (zh) 变压器冷却器智能控制装置的故障自动修复的系统及方法
CN212921522U (zh) 支持与列车通信和实现列车自主控制的转辙机
SK472009A3 (sk) Spôsob zisťovania prevádzkového stavu železničných výhybiek
KR101697178B1 (ko) 스위치기어 차단기 자동 시험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