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257B1 - 입출식 소화전 - Google Patents

입출식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257B1
KR101796257B1 KR1020160058253A KR20160058253A KR101796257B1 KR 101796257 B1 KR101796257 B1 KR 101796257B1 KR 1020160058253 A KR1020160058253 A KR 1020160058253A KR 20160058253 A KR20160058253 A KR 20160058253A KR 101796257 B1 KR101796257 B1 KR 101796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fire hydrant
fire
groun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김현성
박진하
Original Assignee
디테코 주식회사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김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테코 주식회사,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김현성 filed Critical 디테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16L27/08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the joint elements extending coaxially for some distance from their point of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입출식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지하에 배치된 소화전을 원호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승강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소화전을 지하에 배치시키고 화재 발생시에만 지상으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평상시에 건물이나 문화재 등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미관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소화전의 배관에 곡관부를 형성하여 원호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식 및 링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승강 조작 수단을 통해 소화전을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소화전의 승강 이동 작업에 요구되는 작동력이 상대적으로 작아 소화전의 승강 작업이 용이하여 화재 발생시 더욱 신속하게 소화전을 상향 돌출시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식 소화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출식 소화전{Extractable Fire Hydrant}
본 발명은 입출식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배치된 소화전을 원호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승강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소화전을 지하에 배치시키고 화재 발생시에만 지상으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평상시에 건물이나 문화재 등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미관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소화전의 배관에 곡관부를 형성하여 원호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식 및 링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승강 조작 수단을 통해 소화전을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소화전의 승강 이동 작업에 요구되는 작동력이 상대적으로 작아 소화전의 승강 작업이 용이하여 화재 발생시 더욱 신속하게 소화전을 상향 돌출시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식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소화전은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에 소방 호스를 연결하여 화재를 진압하고자 할 때에 주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소화전은 지상에 노출되어 설치되거나 건물의 외벽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러한 노출형의 소화전은 공사비와 유지 비용이 저렴한 반면에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고 차량 등의 추돌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소화전은 도심 및 주택가에 설치되는 시설물이고 그 설치 장소는 대부분 사유지(토지, 건물 등)이므로 소화전이 설치되는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어 사유지 또는 건물의 소유자 및 인근 주민들로부터 민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진입로가 좁아 소방차의 진입이 어려운 골목길 및 주택가 등에서는 보행 통로에 소화전을 설치할 경우 통행에 불편이 가중되어 소화전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산사나 사찰과 같은 문화재에 대한 화재 위험을 대비하기 위해 산사나 사찰 등에도 소화전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데, 산사나 사찰과 같은 문화재 시설에 지상 노출형 소화전을 설치하게 되면, 그 자체로 문화재의 예술적 가치를 훼손함은 물론 관람에 방해가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따라 최근에는 소화전을 지하에 매설하는 지하 매설형 소화전 또한 많이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지하 매설형 소화전은 맨홀의 뚜껑이 무거워서 뚜껑 개폐시 장시간이 소요되며, 야간 이용시 가로등의 불빛으로는 소방호스의 장착이 어렵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고, 지하에서 소방 호스를 연결하는 경우, 소방 호스의 연결 작업이 어렵고 그 시간이 오래 걸려 사용이 불편하고 이에 따라 초기 화재 진압에 실패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1179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에 배치된 소화전을 원호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승강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소화전을 지하에 배치시키고 화재 발생시에만 지상으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평상시에 건물이나 문화재 등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미관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입출식 소화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화전의 배관에 곡관부를 형성하여 원호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식으로 소화전을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소화전의 승강 이동 작업에 요구되는 작동력이 상대적으로 작아 소화전의 승강 작업이 용이하여 화재 발생시 더욱 신속하게 소화전을 상향 돌출시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식 소화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링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승강 조작 수단을 통해 소화전을 승강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아주 작은 조작력 만으로 소화전을 상향 이동시킬 수 있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입출식 소화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소화전 매립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지상으로 외부 돌출되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입출식 소화전으로서, 소화수가 공급되도록 일단이 소화수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전 매립 챔버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소화수 공급관에 연결되지 않은 타단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구간에는 원호 경로를 이루는 고정 곡관부가 형성되는 고정관; 상기 고정 곡관부에 삽입되어 원호 구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 곡관부와 동심원의 원호 경로를 이루는 이동 곡관부와, 상기 이동 곡관부의 일단에 직선 경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이동 직관부를 포함하고, 이동 직관부의 일단부에는 소방 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호스 연결 포트가 형성되는 승강 이동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 이동관을 원호 구간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승강 조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이동관은 상기 승강 조작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 곡관부가 상기 고정 곡관부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 직관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소화전 매립 챔버로부터 지상으로 외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식 소화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승강 조작 수단은, 상기 소화전 매립 챔버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지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면 덮개; 일단부가 상기 이동 곡관부의 원중심 지점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승강 이동관과 함께 일체로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직관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회동 링크; 및 상기 지면 덮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회동 링크가 연동하여 회전 이동하도록 일단이 상기 지면 덮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 링크에 연결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면 덮개에는 상기 지면 덮개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소화전 매립 챔버의 상단 지면에는 상기 지면 덮개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가 각각 삽입 맞물림되도록 걸림 홈이 적어도 2개 형성되며, 상기 소화전 매립 챔버에는 상기 승강 이동관의 이동 직관부가 지상으로 외부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 링크가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회동 링크에 회전력을 가하는 가스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에 배치된 소화전을 원호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승강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소화전을 지하에 배치시키고 화재 발생시에만 지상으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평상시에 건물이나 문화재 등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미관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전의 배관에 곡관부를 형성하여 원호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식으로 소화전을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소화전의 승강 이동 작업에 요구되는 작동력이 상대적으로 작아 소화전의 승강 작업이 용이하여 화재 발생시 더욱 신속하게 소화전을 상향 돌출시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승강 조작 수단을 통해 소화전을 승강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아주 작은 조작력 만으로 소화전을 상향 이동시킬 수 있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식 소화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식 소화전의 고정관 및 승강 이동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식 소화전의 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식 소화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식 소화전의 고정관 및 승강 이동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식 소화전의 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식 소화전은 지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소화전 매립 챔버(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지상으로 외부 돌출되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관(200), 승강 이동관(300) 및 승강 조작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관(200)은 소화전 매립 챔버(100)에 고정 장착되는데, 일단은 소화수를 공급하도록 지하에 매립되는 소화수 공급관(110)에 연결된다. 이러한 고정관(200)은 소화수 공급관(110)에 연결되지 않은 타단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구간에 원호 경로를 이루는 고정 곡관부(210)가 형성된다. 즉, 고정관(200)은 직선 경로를 이루는 고정 직관부(220)와 고정 직관부(220)로부터 연장되어 원호 경로를 이루는 고정 곡관부(2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 직관부(220)의 일단이 소화수 공급관(110)에 연결된다.
승강 이동관(300)은 고정관(200)에 삽입되어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원호 경로를 이루는 이동 곡관부(310)와, 이동 곡관부(310)로부터 연장되어 직선 경로를 이루는 이동 직관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곡관부(310)는 고정 곡관부(210)에 삽입되어 원호 구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고정 곡관부(210)와 원중심(C)이 동일한 동심원의 원호 경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동 직관부(320)는 이동 곡관부(310)의 일단에 직선 경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데, 이동 곡관부(310)의 원호 경로에 대한 접선 방향의 직선 경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직관부(320)의 일단부에는 소방 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호스 연결 포트(330)가 형성된다.
승강 조작 수단(4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승강 이동관(300)을 원호 구간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승강 조작 수단(400)의 구성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때, 승강 이동관(300)은 승강 조작 수단(400)에 의해 이동 곡관부(310)가 고정 곡관부(210)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 직관부(320)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소화전 매립 챔버(100)로부터 지상으로 외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곡관부(210)와 이동 곡관부(310)는 원 중심(C)이 동일한 동심원의 원호 경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원호 경로를 이루는 구간(P1,P2)은 각각 원호 중심에 대한 각도가 45°를 이루며 동일한 원호 길이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P1 구간의 원호 길이와 P2 구간의 원호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이동 곡관부(310)가 고정 곡관부(210) 내부에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방향으로 원호 구간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 곡관부(310)에 연장 형성되는 이동 직관부(320)는 직선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구간(P3)의 길이는 이동 곡관부(310)가 고정 곡관부(210)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끝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적어도 이동 직관부(320)의 호스 연결 포트(330)가 소화전 매립 챔버(100)로부터 지상으로 외부 돌출될 수 있을 정도는 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소화수의 공급 경로는 소화수 공급관(110)으로부터 고정관(200)을 거쳐 승강 이동관(300)으로 공급되고, 승강 이동관(300)에 형성된 호스 연결 포트(330)를 통해 소방 호스로 공급된다. 따라서, 고정 곡관부(210)와 이동 곡관부(310) 사이에는 소화수의 누수 방지를 위해 별도의 실링 부재(S)가 삽입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식 소화전은 이와 같이 승강 이동관(300)이 원호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승강하기 때문에,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구조에 비해 상하 작동 거리가 감소하고 승강 작동에 요구되는 작동력이 감소하여 비상시 사용자가 소화전을 상향 이동시키는 작업을 상대적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승강 조작 수단(400)은 승강 이동관(300)의 이동 직관부(320)에 결합되어 승강 이동관(300)을 원호 경로를 따라 승강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지면 덮개(410)와, 회동 링크(420)와, 연결 링크(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면 덮개(410)는 단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소화전 매립 챔버(10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지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소화전 매립 챔버(100)의 상면에 지면 덮개(41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지면에 단순한 오목홈 형태로 지면 덮개(410)를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오목홈은 지면 덮개(41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일정 범위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지면 덮개(410)는 지면의 오목홈 영역 내에서 소화전 매립 챔버(100)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는데, 소화전 매립 챔버(10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오목홈 일부 영역이 외부 노출되어 지면과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별도의 마감 덮개(500)를 오목홈에 삽입하여 지면과의 단차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마감 덮개(500)가 오목홈에 삽입됨에 따라 지면 덮개(4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 또한 아울러 수행된다. 또한, 마감 덮개(500)는 지면 덮개(410)가 소화전 매립 챔버(100)를 폐쇄한 상태에서 오목홈에 삽입되고, 지면 덮개(410)를 소화전 매립 챔버(10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 덮개(500)를 제거해야 한다.
지면 덮개(410)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41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지면 덮개(410)의 하면에는 지면 덮개(410)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림 돌기(4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화전 매립 챔버(100)의 상단 지면(오목홈 부위)에는 이러한 걸림 돌기(411)가 삽입 맞물림될 수 있도록 걸림홈(450)이 형성될 수 있는데, 걸림홈(450)은 지면 덮개(410)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에 따라 걸림 돌기(411)가 각각 삽입 맞물림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적어도 2개 형성된다.
따라서, 지면 덮개(4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전 매립 챔버(10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에서는 지면 덮개(410)의 걸림 돌기(411)가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걸림홈(450)에 삽입 맞물림되어 위치 고정되고, 지면 덮개(41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전 매립 챔버(10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에서는 지면 덮개(410)의 걸림 돌기(411)가 우측에 위치한 걸림홈(450)에 삽입 맞물림되어 위치 고정된다.
회동 링크(420)는 일단부가 이동 곡관부(310)의 원중심(C) 지점에 형성된 힌지축(4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승강 이동관(300)과 함께 일체로 회전 이동하도록 이동 직관부(32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회동 링크(420)를 힌지축(421)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면, 회동 링크(420)의 회전 이동 경로가 이동 곡관부(310) 및 고정 곡관부(210)의 원호 경로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동 곡관부(310)가 고정 곡관부(210) 내에서 원호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회동 링크(420)를 힌지축(4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 곡관부(310)가 고정 곡관부(210)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 직관부(320)의 일단부가 소화전 매립 챔버(100)의 상면 지상으로 돌출되고, 회동 링크(4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 곡관부(310)가 고정 곡관부(2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 직관부(320)의 일단부가 지상으로부터 하향 이동하여 소화전 매립 챔버(100)로 다시 삽입된다.
연결 링크(430)는 지면 덮개(41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회동 링크(420)가 연동하여 회전 이동하도록 일단이 지면 덮개(410)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동 링크(420)에 연결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지면 덮개(410)가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회동 링크(420)는 연결 링크(430)에 의해 이와 연동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지면 덮개(410)가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회동 링크(420)는 연결 링크(430)에 의해 이와 연동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지면 덮개(410)를 소화전 매립 챔버(100)를 개방시키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링크(430)에 연동하여 회동 링크(4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승강 이동관(300)의 이동 직관부(320)가 소화전 매립 챔버(100)로부터 지상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식 소화전은 단순히 지면 덮개(410)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이와 동시에 소화전의 승강 이동관(300)이 상승 이동하여 지상으로 돌출되게 되고, 승강 이동관(300)의 호스 연결 포트(330)에 소방 호스를 연결하여 화재 지점에 소화수를 신속하게 분사시킬 수 있다. 특히, 소화전을 상승시키는 작업시 별도의 작업 공구가 불필요하며, 소화전을 상승시키는데 요구되는 작동력 또한 단순히 지면 덮개(41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력만 필요하기 때문에, 소화전 상승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소화전의 상승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회동 링크(420)에 회전력을 가하는 가스 스프링(440)이 소화전 매립 챔버(100)에 더 장착될 수 있다. 가스 스프링(440)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이동관(300)의 이동 직관부(320)가 지상으로 외부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동 링크(420)가 회전 이동하도록 회동 링크(420)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회동 링크(4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한다.
이와 같이 가스 스프링(440)이 장착됨에 따라 지면 덮개(4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력이 없이도 회동 링크(420)를 회전시킬 수 있어 더욱 용이하게 승강 이동관(30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덮개(410)를 살짝 들어올려 걸림 돌기(411)가 걸림홈(45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지면 덮개(410)를 가스 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회동 링크(420)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 이동관(300)이 지상으로 상향 돌출 이동할 수 있다.
즉, 소화전을 지상으로 상승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단순히 지면 덮개(410)를 살짝 들어올리는 작업 만으로 소화전을 지상으로 돌출되게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소화전 매립 챔버 110: 소화수 공급관
200: 고정관 210: 고정 곡관부
220: 고정 직관부 300: 승강 이동관
310: 이동 곡관부 320: 이동 직관부
330: 호스 연결 포트 400: 승강 조작 수단
410: 지면 덮개 411: 걸림 돌기
420: 회동 링크 430: 연결 링크
440: 가스 스프링 450: 걸림홈
500: 마감 덮개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지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소화전 매립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지상으로 외부 돌출되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입출식 소화전으로서,
    소화수가 공급되도록 일단이 소화수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전 매립 챔버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소화수 공급관에 연결되지 않은 타단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구간에는 원호 경로를 이루는 고정 곡관부가 형성되는 고정관;
    상기 고정 곡관부에 삽입되어 원호 구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 곡관부와 동심원의 원호 경로를 이루는 이동 곡관부와, 상기 이동 곡관부의 일단에 직선 경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이동 직관부를 포함하고, 이동 직관부의 일단부에는 소방 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호스 연결 포트가 형성되는 승강 이동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 이동관을 원호 구간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승강 조작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이동관은 상기 승강 조작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 곡관부가 상기 고정 곡관부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 직관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소화전 매립 챔버로부터 지상으로 외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강 조작 수단은
    상기 소화전 매립 챔버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지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면 덮개;
    일단부가 상기 이동 곡관부의 원중심 지점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승강 이동관과 함께 일체로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직관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회동 링크; 및
    상기 지면 덮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회동 링크가 연동하여 회전 이동하도록 일단이 상기 지면 덮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 링크에 연결되는 연결 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지면 덮개에는 상기 지면 덮개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소화전 매립 챔버의 상단 지면에는 상기 지면 덮개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가 각각 삽입 맞물림되도록 걸림 홈이 적어도 2개 형성되며,
    상기 소화전 매립 챔버에는 상기 승강 이동관의 이동 직관부가 지상으로 외부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 링크가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회동 링크에 회전력을 가하는 가스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식 소화전.
KR1020160058253A 2016-05-12 2016-05-12 입출식 소화전 KR101796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253A KR101796257B1 (ko) 2016-05-12 2016-05-12 입출식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253A KR101796257B1 (ko) 2016-05-12 2016-05-12 입출식 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257B1 true KR101796257B1 (ko) 2017-11-10

Family

ID=6038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253A KR101796257B1 (ko) 2016-05-12 2016-05-12 입출식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5176A (zh) * 2018-04-08 2018-08-31 张桂华 一种高层建筑智能消防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5176A (zh) * 2018-04-08 2018-08-31 张桂华 一种高层建筑智能消防系统
CN108465176B (zh) * 2018-04-08 2021-07-16 青岛中建联合集团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智能消防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231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KR101796257B1 (ko) 입출식 소화전
KR102007127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CN103362415B (zh) 多功能防护门窗
KR200496577Y1 (ko)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KR102078663B1 (ko) 계단실 화재확산 방지 장치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101332599B1 (ko) 차수장치
CN208220562U (zh) 一种上悬带隐藏式闭窗器的防火窗
KR101760566B1 (ko) 스톱퍼 기능이 구비된 외함용 힌지
KR101974072B1 (ko) 플립업 타입 차수문
CN105896324A (zh) 一种常闭式防潮配电柜
CN108265759A (zh) 一种用于综合管廊的安全智能液压井盖
KR101641667B1 (ko)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박스
KR20160017291A (ko) 선박용 파일럿 도어장치
KR20210041760A (ko) 자동 방화문 장치
KR100496491B1 (ko) 아파트 베란다용 낙하방지장치
KR100954698B1 (ko) 유동수 안내수단을 갖는 다기능 제수밸브
CN104539884A (zh) 一种楼宇对讲机的室内机系统
CN210049785U (zh) 一种密封式对开防火门
CN209298830U (zh) 一种砖墙中电气管线的预埋结构
JP7483248B2 (ja) 防災備蓄倉庫および防災備蓄倉庫の製造方法
CN109162600B (zh) 一种用于增加室内空间的楼梯门结构
KR100912107B1 (ko) 다기능 제수밸브
CN110374465B (zh) 一种钢结构装配式集成建筑竖井检修门模块
CN110778260A (zh) 核电厂应急指挥中心的出入口的建筑构造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