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021B1 - 스트립 홀더 - Google Patents

스트립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021B1
KR101796021B1 KR1020160008609A KR20160008609A KR101796021B1 KR 101796021 B1 KR101796021 B1 KR 101796021B1 KR 1020160008609 A KR1020160008609 A KR 1020160008609A KR 20160008609 A KR20160008609 A KR 20160008609A KR 101796021 B1 KR101796021 B1 KR 101796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trip
solution
groov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575A (ko
Inventor
백문철
신흥선
이학명
유준원
김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젠텍
Priority to KR102016000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0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 홀더에 관한 것으로, 스트립 자동 분석 시스템에 스트립을 따로 고정시키지 않아도, 전처리 후 스트립이 자동으로 정렬되어 분석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립 홀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립 홀더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홀더 홈(100)이 형성되어 스트립(20)이 위치하는 홀더(10); 상기 홀더(1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20)이 끼움 고정되는 스트립 홈(110); 상기 홀더(10)의 내부 일측에 용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용액 배출부(200); 및 상기 홀더 홈(100)과 용액 배출부(200)를 구획하도록 형성되어, 용액이 유통되는 용액 유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트립 홀더{STRIP HOLDER}
본 발명은 스트립 홀더에 관한 것으로, 스트립 자동 분석 시스템에 스트립을 따로 고정시키지 않아도, 전처리 후 스트립이 자동으로 정렬되어 분석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립 홀더에 관한 것이다.
스트립 자동 분석 시스템은 시료인 스트립(또는 멤브레인 등)과 액상의 반응물(시약 또는 샘플 등의 첨가물)을 용기에 넣은 상태에서, 전처리 자동화 장비를 통해 반응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교반(agitation)을 시킨다. 이때, 상기 교반은 기질과 반응물이 담겨진 용기를 rocking(어느 한 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 같은 진동), shaking, vibrating 등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트립이 전처리 공정을 거친 후, 용기에 담겨진 용액을 제거한 후 분석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트립 자동 분석 시스템에서 종래의 전처리 시스템과 같이 스트립을 비 고정 방식(비 접착식)으로 적용할 경우, 전처리 후 스트립의 위치가 불규칙하여 분석이 불가능하거나 분석의 정확성을 신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 고정 방식의 경우, 반응 용기 내 불규칙한 위치 편차로 인해 최종 분석단계에서 해당 영상 및 신호 등의 검출이 불가능 하거나, 오판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처리 후 분석 단계에서 고정(부착 또는 접착)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스트립을 홀더에 접착하여 전처리 및 분석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질을 용기에 부착하는 고정 방식의 경우, 기질을 용기에 부착 시 공정 라인 또는 장비의 추가로 인한 비용 상승과 기질의 오염, 손상 등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접착하는 공정이 어렵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공정 라인의 확보와 장비의 도입으로 생산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89597호 ("시험 장치, 시험 스트립을 위한 홀더, 샘플 중의 분석물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키트 및 샘플 중의 분석물을 검출하는 방법", 공개일 2008.04.1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전처리 시스템에서와 같이 스트립을 홀더에 접착하지 아니 하여도 전처리 후 스트립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스트립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스트립 홀더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홀더 홈(100)이 형성되어 스트립(20)이 위치하는 홀더(10); 상기 홀더(1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20)이 끼움 고정되는 스트립 홈(110); 상기 홀더(10)의 내부 일측에 용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용액 배출부(200); 및 상기 홀더 홈(100)과 용액 배출부(200)를 구획하도록 형성되어, 용액이 유통되는 용액 유통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액 유통부(300)는 상기 홀더(10)의 양측 내부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격벽(310); 및 각각의 상기 격벽(310)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격벽(310) 사이에 용액이 유통되는 제1 용액 유통로(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액 유통부(300)는 용액이 유통되는 다수의 용액 유통구멍이 형성되는 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액 유통부(300)는 상기 홀더(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 일측이 홀더 홈(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후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후크(330)는 상기 홀더(10)의 양측 내부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용액이 유통되는 제2 용액유통로(3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10)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홀더(10)의 일측 끝단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홀더 홈(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후크(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10)는 상기 홀더 홈(100)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어, 상기 스트립(20)을 고정하는 스트립 고정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립 고정수단(400)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립 고정수단(400)은 상기 홀더(10)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410); 및 상기 스트립 고정수단(40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4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410)에 끼움 결합하는 결합돌기(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립 홀더는 다수의 상기 홀더(10)가 수평방향으로 병렬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트립 홀더에 관한 것으로, 스트립을 홀더에 접착하지 않아도, 전처리 후 스트립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 분석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스트립 홀더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스트립 홀더의 A-A'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의 스트립 홀더의 단면 확대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스트립 홀더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스트립 홀더의 B-B'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스트립 홀더의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4의 스트립 홀더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4의 스트립 홀더의 C-C'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4의 스트립 홀더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스트립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스트립 홀더의 A-A'의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트립 홀더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홀더 홈(100)이 형성되는 홀더(10)와, 상기 홀더(1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스트립 홈(110)과, 상기 홀더(10)의 내부 일측에 용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용액 배출부(200) 및 상기 홀더 홈(100)과 용액 배출부(200)를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용액 유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홀더(10)는 상부가 개방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홀더 홈(10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홀더(10)는 홀더 홈(100)에 스트립과 반응용액이 수용된 상태에서, rocking(어느 한 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 같은 진동), shaking, vibrating 등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전처리 공정을 거치게 된다. 전처리 공정이 끝나면, 스트립(20)이 가라앉게 되고, 홀더 홈(100)의 바닥에 구비된 흐트립 홈(110)에 끼워지게 된다.
스트립 홈(110)은 상기 홀더(10)의 내부 바닥면에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이다. 이러한 상기 스트립 홈(110)에 상기 스트립(20)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스트립 홈(110)은 상기 스트립(2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거나, 상기 스트립(20)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스트립 홈(110)의 깊이는 스트립(2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기도 한다.
용액 배출부(200)는 상기 홀더(10)의 내부 일측에 용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공간이다. 전처리 공정이 끝난 후 용액을 배출할 때, 사용자는 스포이드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용액 배출부(200)에서 용액을 빨아들여 배출한다.
용액 유통부(300)는 홀더 홈(100)과 용액 배출부(200)를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액 유통부(300)는 용액이 유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용액 유통부(300)는 홀더 홈(100)과 용액 배출부(200)를 구획하여, 스트립(20)이 상기 용액 배출부(200)로 이동되지 않게 막아지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용액 유통부(300)는 용액이 통과되어 유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홀더 홈(100)에 수용되는 용액이 상기 용액 유통부(300)를 통과하여 용액 배출부(200)로 이동되게 한다.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용액 유통부(300)는 격벽(310) 및 제1 용액 유통로(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격벽(310)은 상기 홀더(10)의 양측 내부면에서 내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310)은 홀더(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까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격벽(310)은 스트립(110)이 용액 배출부(200)로 이동되지 않게 막아준다.
제1 용액 유통로(320)는 각각의 상기 격벽(310)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상기 제1 용액 유통로(320)는 각각의 상기 격벽(310) 사이에 용액이 유통된다. 즉, 전처리 공정이 끝난 후 용액을 배출 할 때, 홀더 홈(100)에 수용되는 용액이 상기 제1 용액 유통로(320)를 통과하여 용액 배출부(200)로 이동한다.
[실시예 2]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의 스트립 홀더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 2의 스트립 홀더는 홀더(10)에 홀더 홈(100), 스트립 홈(110), 용액 배출부(200), 용액 유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2의 용액 유통부(300)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망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망 형상의 용액 유통부(300)는 스트립(20)이 용액 배출부(200)으로 이동되지 않게 막아주며, 홀더 홈(100)에 수용되는 용액이 상기 망 형상의 용액 유통부(300)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과하여, 용액 배출부(200)로 이동하게 된다.
[실시예 3]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스트립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스트립 홀더의 B-B'의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스트립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4 및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 3의 스트립 홀더는 홀더(10)에 홀더 홈(100), 스트립 홈(110), 용액 배출부(200), 용액 유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3의 용액 유통부(300)는 제1 후크(330)로 이루어진다.
제1 후크(330)는 상기 홀더(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 일측이 홀더 홈(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후크(330)는 바닥면에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의 돌출부는 홀더 홈(100)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또한,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후크(330)는 상기 홀더(10)의 양측 내부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제2 용액유통로(331)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2 용액유통로(331)는 홀더 홈(100)의 용액이 용액 배출부(200)로 유통되는 통로이다. 즉, 상기 제1 후크(330)는 양측의 홀더(10)의 내부면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형성된 공간이 제2 용액 유통로(331)이며, 홀더 홈(100)에 수용된 용액이 상기 제2 용액 유통로(331)를 통과하여 용액 배출부(200)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3의 스트립 홀더는 제2 후크(3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제2 후크(340)는 상기 홀더(10)의 일측 끝단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홀더 홈(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후크(340)는 홀더(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 후크(340)는 제1 후크(33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후크(330) 및 제2 후크(340)는 전처리 공정 중 스트립 홀더가 움직일 때, 스트립(20)의 일측 끝단이 바닥면과 제1 후크(330) 사이 또는 바닥면과 제2 후크(340) 사이로 삽입된다. 이후, 상기 스트립(20)의 타측 끝단이 제1 후크(330) 또는 제2 후크(340)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트립(20)은 스트립 홈(110)에 끼워져 고정된다. 즉, 상기 제1 후크(330) 및 제2 후크(340)를 통해 스트립(20)은 공정 중에 홀더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추가되지 않아 생산 비용의 정감과 분석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4의 스트립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4의 스트립 홀더의 C-C'의 단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4의 스트립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실시예 4의 스트립 홀더는 홀더(10)에 홀더 홈(100), 스트립 홈(110), 용액 배출부(200), 용액 유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용액 유통부(300)는 실시예3의 제1 후크(3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실시예 4의 스트립 홀더는 상기 홀더 홈(100)에 삽입하는 스트립 고정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트립 고정수단(400)은 상기 홀더 홈(100)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어 구비되어, 스트립(20)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 스트립 고정수단(400)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트립 고정수단(400)은 홀더 홈(100)에 삽입되나,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다. 이때, 상기 스트립 고정수단(400)은 스트립(20)과 접촉되어, 상기 스트립(20)을 스트립 홈(110)에 삽입하기도 한다.
실시예 4의 제1 후크(330)와 스트립 고정수단(400)은 전처리 공정 중 스트립 홀더가 움직일 때, 스트립(20)의 일측 끝단이 바닥면과 제1 후크(330) 사이로 삽입된다. 이후, 스트립 고정수단(400)을 홀더 홈(100)에 삽입하여, 스트립(20)의 타측 끝단을 고정시킨다. 즉, 상기 제1 후크(330)와 스트립 고정수단(400)을 통해 스트립(20)은 공정 중에 홀더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추가되지 않아 생산 비용의 정감과 분석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 고정수단(400)은 결합홈(410) 및 결합돌기(420)가 구비되어, 홀더 홈(100)에 끼움 결합된다.
결합홈(410)은 상기 홀더(10)의 내부면에 내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결합돌기(420)는 상기 스트립 고정수단(400)의 일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4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420)는 상기 결합홈(410)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된다.
반대로, 상기 결합홈(410)이 스트립 고정수단(400)에 형성되고, 결합돌기(420)가 홀더(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의 스트립 홀더는 상기 홀더(10)가 수평방향으로 병렬 연결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즉, 상기 스트립 홀더는 하나의 홀더일 수도 있고, 다수의 홀더가 수평방향으로 병렬 연결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홀더
20 : 스트립
100 : 홀더 홈
110 : 스트립 홈
200 : 용액 배출부
300 : 용액 유통부
310 : 격벽
320 : 제1 용액 유통로
330 : 제1 후크
331 : 제2 용액 유통로
340 : 제2 후크
400 : 스트립 고정수단
410 : 결합홈
420 : 결합돌기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홀더 홈(100)이 형성되어 스트립(20)이 위치하는 홀더(10);
    상기 홀더(1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20)이 끼움 고정되는 스트립 홈(110);
    상기 홀더(10)의 내부 일측에 용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용액 배출부(200); 및
    상기 홀더 홈(100)과 용액 배출부(200)를 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액이 유통되는 용액 유통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용액 유통부(300)는
    상기 홀더(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 일측이 홀더 홈(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후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유통부(300)는
    상기 홀더(10) 양측의 내부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격벽(310); 및
    각각의 상기 격벽(310)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격벽(310) 사이에 용액이 유통되는 제1 용액 유통로(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유통부(300)는
    용액이 유통되는 다수의 용액 유통구멍이 형성되는 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홀더.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330)는
    상기 홀더(10)의 양측 내부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용액이 유통되는 제2 용액유통로(3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홀더(10)의 일측 끝단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홀더 홈(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후크(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홀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는
    상기 홀더 홈(100)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어, 상기 스트립(20)을 고정하는 스트립 고정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고정수단(400)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홀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고정수단(400)은
    상기 홀더(10)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410); 및
    상기 스트립 고정수단(40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4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410)에 끼움 결합하는 결합돌기(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홀더.
  10.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홀더는
    다수의 상기 홀더(10)가 수평방향으로 병렬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홀더.
KR1020160008609A 2016-01-25 2016-01-25 스트립 홀더 KR101796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609A KR101796021B1 (ko) 2016-01-25 2016-01-25 스트립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609A KR101796021B1 (ko) 2016-01-25 2016-01-25 스트립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575A KR20170088575A (ko) 2017-08-02
KR101796021B1 true KR101796021B1 (ko) 2017-12-01

Family

ID=5965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609A KR101796021B1 (ko) 2016-01-25 2016-01-25 스트립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299B1 (ko) * 2017-11-14 2019-04-03 주식회사 수젠텍 조립형 블롯 스트립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4516A (ja) 2008-02-28 2009-09-10 Sekisui Chem Co Ltd 電気化学分析システム及び電気化学分析方法
KR101328190B1 (ko) 2013-03-05 2013-11-13 (주)플렉센스 국소 표면플라즈몬 공명현상을 이용한 시료분석을 위한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JP2014519314A (ja) 2011-04-22 2014-08-14 ポリマー テクノロジ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乾燥試験ストリップのための血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4516A (ja) 2008-02-28 2009-09-10 Sekisui Chem Co Ltd 電気化学分析システム及び電気化学分析方法
JP2014519314A (ja) 2011-04-22 2014-08-14 ポリマー テクノロジ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乾燥試験ストリップのための血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328190B1 (ko) 2013-03-05 2013-11-13 (주)플렉센스 국소 표면플라즈몬 공명현상을 이용한 시료분석을 위한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talog EuroBlotMaster(EUROIMMUN, 20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575A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7361B2 (ja) 分析装置において用いる分析ユニット
JP5318963B2 (ja) 試薬容器パック
EP2943280B1 (en) Systems and devices for sample handling
US20090117005A1 (en) Unit Cuvette for Analyzing a Biological Fluid, Automatic Device for In Vitro Analysis
US20160266156A1 (en) Reagent container anti-evaporation tube
KR102026854B1 (ko) 배양 트레이
CN103884851A (zh) 用于管理散装液体和/或固体的系统
JP2016503171A (ja) 分析装置のための分析ユニット
JP6634222B2 (ja) 体外診断分析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0494757B (zh) 用于电容式流体水平检测和装卸容器的系统和方法
TW201418710A (zh) 反應容器、分析裝置及分析方法
KR101796021B1 (ko) 스트립 홀더
JP6120763B2 (ja) 反応槽を搬送する装置およびプロセス
RU2619260C2 (ru) Кювет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химического или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анализатора
US9746487B2 (en) Device for storing of fluid containers
CN108801920B (zh) 反应杯支架及样本分析设备
WO2005116612A1 (en) Container
US20210156877A1 (en) Rack for automated anaylzer
US10976331B2 (en) Container containing unit and automatic analysis apparatus
JP4754994B2 (ja) 試薬容器用アダプタ
CN215985708U (zh) 反应库以及自动分析装置
CN213060820U (zh) 一种便于使用的试剂卡条
EP0402588A2 (en) Incubator
RU2021100524A (ru) Мультиплексный планшет для образцов
TW201903139A (zh) 微陣列載具總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