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108B1 - 단말 장치,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108B1
KR101795108B1 KR1020137003251A KR20137003251A KR101795108B1 KR 101795108 B1 KR101795108 B1 KR 101795108B1 KR 1020137003251 A KR1020137003251 A KR 1020137003251A KR 20137003251 A KR20137003251 A KR 20137003251A KR 101795108 B1 KR101795108 B1 KR 101795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s
orthogonal sequence
retransmission
codewords
ma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770A (ko
Inventor
마사유키 호시노
아키히코 니시오
다이치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filed Critical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ublication of KR2013010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H04J13/18Alloc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91Spatial equalizers
    • H04L25/03898Spatial equalizers codebook-based design
    • H04L25/03929Spatial equalizers codebook-based design with layer mapping, e.g. codeword-to layer desig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91Spatial equalizers
    • H04L25/03949Spatial equalizers equalizer selection or adaptation based on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26Division using four or more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PHICH를 이용해 논어댑티브 HARQ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신규 유저 할당에 대한 제약을 회피하고, 스케줄러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할당 동작을 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 코드워드 생성부(103)는 데이터열을 부호화함으로써 코드워드(CW)를 생성하고, 레이어 매핑부(108)는 각 CW를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하고, DMRS 생성부(110)는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OCC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리소스 중 어느 것인가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CW가 배치되는 레이어마다,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ACK/NACK 복조부(102)는 CW에 대한 재송 요구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DMRS 생성부(110)는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단일 CW만의 재송을 요구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레이어에서 각각 생성되는 참조 신호에 대해서, 복수의 리소스 중 동일한 OCC를 가지는 리소스를 각각 이용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집적 회로{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재송(再送) 방법 및 리소스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지국 장치(이하, 기지국이라고 약기(略記)한다) 및 단말 장치(이하, 단말이라고 약기한다)의 양쪽에 복수의 안테나를 탑재하고, 상향 회선(uplink)에 있어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통신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스루풋(throughput) 개선을 꾀하는 일이 검토되고 있다. 이 MIMO 통신 기술에서는, 단말이, 프리코딩 제어를 적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일이 검토되고 있다. 프리코딩 제어에서는, 기지국은, 단말의 각 안테나로부터 독립적으로 송신되는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 SRS)의 수신 상황으로부터, 기지국과 해당 단말간의 전파로(傳播路) 상황을 추정하고, 추정한 전파로 상황에 가장 적합한 프리코더(Precoder)가 선택되어, 데이터 송신에 적용된다.
특히, LTE-Advanced(Long Term Evolution-Advanced : 이하, LTE-A라고 약기한다)에서는, 송신 랭크(Rank)에 기초한 프리코딩 제어가 적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SRS를 관측한 값으로 구성되는 채널 행렬에 대해서 가장 적합한 랭크 및 프리코더를 선택한다. 여기서, 랭크란, 공간 다중 통신(Space Division Multiplexing : SDM)을 행할 경우의 공간 다중수(레이어(Layer) 수)를 나타내고, 동시에 송신되는 독립적인 데이터 수이다. 구체적으로는, 랭크마다 다른 사이즈의 코드북이 이용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참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채널 행렬을 추정하고, 추정한 채널 행렬에 가장 적합한 랭크 및 프리코더를 선택한다.
또, 이동체 통신과 같이 전파로 변동이 비교적 큰 통신로에서는, 오류 제어 기술로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가 적용되고 있다. HARQ는, 송신측이 재송 데이터를 재송하고, 수신측에 있어서 수신이 끝난 데이터와 재송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오류 정정 능력을 향상시켜, 고품질 전송을 실현하는 기술이다. HARQ의 방법으로서는, 어댑티브 HARQ(adaptive HARQ)와 논어댑티브 HARQ(non-adaptive HARQ)가 검토되고 있다. 어댑티브 HARQ는, 재송 데이터를 임의의 리소스에 할당하는 방법이다. 한편, 논어댑티브 HARQ는, 재송 데이터를 미리 정해져 있는 리소스에 할당하는 방법이다. LTE의 상향 회선에서는, HARQ 방식 중, 논어댑티브 HARQ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도 1을 이용하여, 논어댑티브 HARQ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논어댑티브 HARQ에서는, 먼저, 첫회 데이터 할당시에, 기지국은, 데이터를 할당하는 리소스를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하향 제어 채널(PDCCH :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이용하여, 송신 파라미터를 단말에 통지한다. 여기서, 송신 파라미터에는, 리소스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할당 주파수 리소스, 송신 랭크 수, 프리코더, 변조 방식ㆍ부호화율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단말은, PDCCH를 이용해 송신된 송신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전술한 리소스 할당 정보에 따라 미리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첫회 데이터를 송신한다.
첫회 데이터를 수신한 기지국은, 첫회 데이터 중에서 복조하지 못했던 데이터에 대한 NACK를 HARQ 통지 채널(PHICH :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을 이용하여 단말에 통지한다. 단말은, NACK를 수취하면, PDCCH를 이용하여 리소스 할당 등의 정보가 통지되었을 때의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재송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은, 할당 주파수 리소스, 프리코더, 변조 방식 등을 첫회 송신시와 동일한 것으로서 재송 데이터를 생성해서 송신한다. 단, 단말은, 재송 요구 횟수에 따라 RV(Redundancy Version)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여기서, RV 파라미터는, 터보(Turbo) 부호화한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Circular buffer로 불린다)상의 판독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메모리가 약 4등분으로 분할되어, 각 영역의 선두에 0, 1, 2, 3이라고 번호 붙여지는 경우에, 단말은, 재송 요구 횟수에 따라, RV 파라미터(판독 위치)를 예를 들면 0→2→1→3→0의 차례로 변경한다.
또한, 논어댑티브 HARQ는, 송신 간격을 일정하게 하는 싱크로너스(Synchronous) HARQ와 병용되는 일이 많아, LTE에서는, 재송 데이터는, NACK가 통지되고 난 뒤 8 서브프레임 후에 재송된다.
또, 논어댑티브 HARQ는, 소정의 제어 단위마다 행해지고, 제어 단위는, 코드워드(Code word : CW)라고 불린다. 또한, CW는, 동일한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이 적용되는 제어 단위이기도 하다. 또, 변조 및 부호화를 취급하는 물리층에서 처리하는 CW와 마찬가지로, HARQ를 취급하는 MAC층에서 처리하는 것을 의식하여 트랜스포트 블록(Transport block : TB)이라고 부르며, 양자를 구별하기도 하지만, 이하에서는 구별하지 않고 CW로 통일한 표기로 한다.
또, LTE에서는 일반적으로, 첫회 송신시, 랭크 1(단일 랭크 송신시)에서는 1CW 송신이 적용되고, 랭크 2, 3, 4(복수 랭크 송신시)에서는 2CW 송신이 적용된다. 또한, 복수 랭크 송신시에 있어서, 랭크 2에서는, CW0은 Layer0에 배치되고, CW1은 Layer1에 배치된다. 또, 랭크 3에서는, CW0은 Layer0에 배치되고, CW1은 Layer1 및 Layer2에 배치된다. 또, 랭크 4에서는, CW0은 Layer0 및 Layer1에 배치되고, CW1은 Layer2 및 Layer3에 배치된다.
단, 복수 레이어에 배치된 CW만을 재송하는 경우, 단말은, 랭크 2에서 1 CW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랭크 3의 CW1, 랭크 4의 CW0 또는 CW1을 재송하는 경우, 단말은, 이들 CW를 랭크 2에서 1 CW 송신한다.
그런데, 기지국은, 단말에 비해 많은 안테나를 탑재하기 때문에, 비교적 설치상의 자유도가 있다. 그 때문에, 기지국은 적절한 수신 신호 처리를 함으로써, 복수의 단말에 대해서 동일 리소스를 할당하는 소위 멀티 유저(multi user) MIMO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이 가지는 송신 안테나수가 1이고, 기지국이 가지는 수신 안테나수가 2인 경우에, 2 단말에 동일 리소스를 할당하는 경우를 생각해 본다. 이 경우, 등가적으로 송신 2안테나ㆍ수신 2안테나의 MIMO 채널로 간주할 수 있고, 기지국은 수신 신호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은, 공간 필터링 혹은 캔슬러ㆍ최우(最尤) 추정 등의 일반적인 MIMO 수신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복수의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시스템을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멀티유저 MIMO에서는, 기지국은, 각 단말과 기지국간의 전파로 상황에 기초하여 단말끼리가 서로에게 주는 간섭량을 추정하고, 해당 간섭량을 고려해서 각 단말에 개별적으로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복수의 안테나를 탑재하는 1개의 단말(단일 유저)에서 MIMO의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를, 멀티유저 MIMO와 구별해서 싱글 유저 MIMO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또, 단말에 탑재된 송신 안테나가 1개인 경우에 한하지 않고, 복수의 싱글 유저 MIMO의 동작이 가능한 단말을 동일 리소스에 할당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멀티유저 MIMO라고 표현한다.
또, 단말은, 전술한 SRS에 더해, 복조용 참조 신호(Demodulation RS : DMRS)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기지국은, 수신한 DMRS를 데이터의 복조에 이용한다. LTE-A에서는, DMRS는, 레이어마다 송신된다. 또, 단말은, 각 레이어에서 송신되는 신호와 동일 프리코딩 벡터를 이용해서 DMRS를 송신한다. 그 때문에, 복수 레이어 및 복수 단말의 DMRS를 동일한 주파수 리소스에서 송신할 때는 무엇인가의 다중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LTE-A에서는, DMRS의 다중 방법으로서 LTE에 있어서 복수 단말의 다중에 이용된 순회 쉬프트 계열(Cyclic shift sequence)에 의한 다중에 더해, 직교 커버 코드(Orthogonal Cover Code : OCC)에 의한 다중을 도입하고 있다.
순회 쉬프트 계열은, 자기 상관 특성이 양호하고, 그러면서 또, 정진폭(定振幅)이 되는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계열 중 규정의 것을 순회 쉬프트 함으로써 생성된다. 예를 들면, CAZAC 계열의 부호 길이를 12등분한 각 포인트의 어느 것인가를 개시점(開始点)으로 하는 12개의 순회 쉬프트 계열이 이용된다. 이후, 이 개시점을 ncs라고 표기한다.
OCC는, 상향 회선 데이터의 송신 포맷을 고려하여, 1 서브프레임당 2심볼 포함되는 DMRS에 의해 계열 길이 2인 확산 부호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LTE-A에서는, OCC로서, {+1, +1} 및 {+1, -1}의 2개의 계열 길이 2인 확산 부호를 가진다. 이후, OCC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를 nocc라고 표기한다. 예를 들면, {+1, +1} 및 {+1, -1}의 2개의 확산 부호를, 각각 nocc=0, 1라고 한다.
ncs 및 nocc는, PDCCH를 이용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통지되는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된다. 또한, ncs 및 nocc를 포함한 송신 파라미터의 통지 방법의 상세한 것, 특히, 싱글 유저 MIMO에서의 통지 방법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동일 주파수 리소스에서 다중되는 DMRS간에서의 간섭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ncs=6 및 nocc=0을 할당한 DMRS가 주는 간섭을 모의한 도면을 나타낸다. 전술한 순회 쉬프트 계열 및 OCC로 구성되는 DMRS에서 발생하는 간섭의 특징으로서, 동일한 nocc에 있어서 인접하는 ncs로 구성되는 DMRS간에서는 서로 간섭을 미치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참조 신호간의 nocc가 동일하고, 그러면서 또, ncs의 차(差)가 3 정도(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영역(도 2의 경우, nocc=0, ncs=3~5, 7~9의 영역)에서는 간섭이 생긴다. 그 때문에, ncs에 관해서는, 동시에 할당 가능한 참조 신호로서, 참조 신호간의 ncs의 차를 6 정도 떼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nocc에 관해서는, 동시에 할당되는 참조 신호(다중되는 참조 신호)의 부호 길이가 동일, 즉, 동시에 할당되는 참조 신호의 할당 대역폭이 동일한 경우에는, 다른 nocc의 참조 신호는 서로 직교(直交)하는 것이 기대된다. 이 직교의 정도(직교성)는, 1 서브프레임 내에서 참조 신호(DMRS)가 배치된 2개의 심볼간의 페이딩(fading) 상관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MIMO의 주된 적응 영역인 저속 이동 환경에서는 양호한 직교성이 확보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 싱글 유저 MIMO에 있어서 DMRS의 확산 부호를 통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LTE에서의 DMRS의 확산 부호의 통지 방법으로서, 유저(user) 개별적으로 비교적 긴 주기를 상정하여 상위 레이어에서 설정되는 파라미터 nDMRS (1)와, PDCCH를 이용해 통지되는 송신 파라미터이며, 스케줄러의 판단에 기초해서 해당하는 송신 서브프레임에 특화해서 설정되는 파라미터 nDMRS (2)를 이용해서, 기지국이 임의로 확산 부호를 설정하여 단말에 지시하는 방법이 있다. 단말은, 지시된 파라미터(nDMRS (1) 또는 nDMRS (2))로부터 산출되는 규정의 ncs를 이용해서 DMRS를 생성한다.
LTE-A에서는, 상기 통지 방법의 구조를 싱글 유저 MIMO에 확장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비특허 문헌 1에서는, 제k번째(k=0~3)의 레이어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 계열의 개시점 및 OCC의 확산 부호의 설정값은, 각각 nDMRS ,k (2)(전술한 ncs에 상당) 및 nocc ,k로서 설정된다. 또, 비특허 문헌 1에서는, 상위 레이어 또는 PDCCH로 통지되는 정보는 0번째(k=0) 레이어(Layer0)에 대응하는 설정값(nDMRS,0 (2) 및 nocc,0)만으로 하고, 나머지(k=1~3) 레이어(Layer1~3)에 대응하는 설정값은, 0번째(k=0) 레이어(Layer0)에 대응하는 설정값으로부터 환산해서 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어 신호 통지에 수반하는 오버헤드(overhead)를 최소화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참조 신호간의 간섭을 싱글 유저 MIMO에 있어서도 가능한 한 회피할 의도로, 이하와 같이 각 설정값을 설정하는 것이, 비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nDMRS ,0 (2)을 (nDMRS ,0 (2)k) mod 12로서 정의
단,
2 Layer 송신시 : k=0일 때 Δk=0, k=1일 때 Δk=6
3 Layer 송신시 : k=0일 때 Δk=0, k=1일 때 Δk=6, k=2일 때 Δk=3
또는, k=0일 때 Δk=0, k=1일 때 Δk=4, k=2일 때 Δk=8
4 Layer 송신시 : k=0일 때 Δk=0, k=1일 때 Δk=6, k=2일 때 Δk=3, k=3일 때 Δk=9
nocc ,k를 nocc ,0 또는 (1-nocc ,0)로서 정의
단,
k=1일 때 nocc ,k=nocc ,0, k=2 또는 3일 때 nocc ,k=(1-nocc ,0)
(선행 기술 문헌)
(비특허 문헌)
(비특허 문헌 1) R1-104219, "Way Forward on cs and OCC signalling for UL DMRS," Panasonic, Samsung, Motorola, NTT DOCOMO, NEC, Pantech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참조 신호(DMRS)의 확산 부호 할당 방법을 이용해 단말이 데이터를 송신하고, 기지국이 PHICH를 이용해 논어댑티브 HARQ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데이터 재송을 지시하는 PHICH에는 송신 파라미터의 정보를 실을 수가 없다. 이 때문에, 데이터 재송시에 이용하는 참조 신호의 확산 부호,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이 NACK를 돌려준 CW의 재송시에 이용하는 참조 신호의 확산 부호는, 첫회 송신시와 동일한 것을 이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일례와 같이 첫회 송신이 3 Layer 송신(랭크3 송신)의 경우, 각 레이어(k=0~3)에서 이용되는 확산 부호(CS(개시점 ncs ,k) 및 OCC(부호 nocc ,k))는, ncs ,0=0, nocc ,0=0과, ncs ,1=6, nocc ,1=0과, ncs ,2=3, nocc ,2=1의 3개가 된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CW1만 재송하는 지시가 PHICH에 의해 통지되었다고 한다(CW0 : ACK, CW1 : NACK). 이 경우, CW1의 재송시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는, 첫회 송신시와 동일한 ncs ,1=6, nocc ,1=0과, ncs ,2=3, nocc,2=1의 2개가 된다. 이 2개의 확산 부호는, 양쪽의 OCC(nocc ,k=0 및 1)를 점유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동일 리소스에 다중할 수 있는 신규 유저용으로 할당 가능한 확산 부호의 리소스(이하, 확산 부호 리소스라고 칭한다)로서는, 도 3 우측(재송시)에 나타내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으로 한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 우측에 나타내는 것처럼, 양쪽의 OCC(nocc ,k=0 및 1)에 있어서, 신규 유저용으로 할당 가능한 확산 부호 리소스로서 ncs를 6 정도 떼어 놓은 확산 부호 리소스 할당이 불가능한 상황이 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본래는 기지국의 스케줄러에 의해 멀티유저 MIMO의 동작으로서 2 Layer 송신을 행하는 신규 유저를 다중하고 싶은 경우(즉, 동일 OCC에서 ncs를 6 정도 떼어 놓은 확산 부호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확산 부호 리소스의 빈 것이 존재하지 않아, 신규 유저에 대해서 확산 부호 리소스 할당을 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PHICH를 이용해 논어댑티브 HARQ 제어를 적용할 경우에, 스케줄러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 할당에 있어서 신규 유저 할당에 대한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PHICH를 이용해 논어댑티브 HARQ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신규 유저 할당에 대한 제약을 회피하여, 스케줄러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할당 동작을 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재송 방법 및 리소스 할당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의 한 형태는, 데이터열을 부호화함으로써 코드워드를 생성하는 코드워드 생성 수단과, 각 코드워드를,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하는 매핑 수단과,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부호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리소스 중 어느 것인가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워드가 배치되는 레이어마다, 참조 신호를 생성하는 참조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코드워드에 대한 재송 요구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참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단일(單一)의 상기 코드워드만의 재송을 요구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서 각각 생성되는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중, 동일한 상기 부호를 가지는 리소스를 각각 이용한다.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의 한 형태는,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코드워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상기 코드워드의 오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코드워드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신호 생성 수단과, 각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참조 신호이며, 상기 코드워드가 배치되는 레이어마다 생성되는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해서,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부호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리소스 중 어느 것인가의 리소스를 할당하는 스케줄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케줄링 수단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단일의 상기 코드워드에 대한 상기 오류 검출 결과만이 NACK인 경우, 상기 단일의 코드워드의 재송을 행하는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마다의 참조 신호에 이용되는 리소스가, 상기 복수의 리소스 중, 동일한 상기 부호를 가지는 리소스라고 특정함과 함께, 상기 재송을 행하는 단말 장치 이외의 다른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중, 상기 동일한 부호와 다른 부호를 가지는 리소스를 할당한다.
본 발명의 재송 방법의 한 형태는, 데이터열을 부호화함으로써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각 코드워드를,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하여,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부호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리소스 중 어느 것인가의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코드워드가 배치되는 레이어마다,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코드워드에 대한 재송 요구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단일의 상기 코드워드만의 재송을 요구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서 각각 생성되는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중, 동일한 상기 부호를 가지는 리소스를 각각 이용한다.
본 발명의 리소스 할당 방법의 한 형태는,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코드워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코드워드의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코드워드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각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참조 신호이며, 상기 코드워드가 배치되는 레이어마다 생성되는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해서,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부호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리소스 중 어느 것인가의 리소스를 할당하여,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단일의 상기 코드워드에 대한 상기 오류 검출 결과만이 NACK인 경우, 상기 단일 코드워드의 재송을 행하는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마다의 참조 신호에 이용되는 리소스가, 상기 복수의 리소스 중, 동일한 상기 부호를 가지는 리소스라고 특정함과 함께, 상기 재송을 행하는 단말 장치 이외의 다른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참조 신호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중, 상기 동일한 부호와 다른 부호를 가지는 리소스를 할당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PHICH를 이용해 논어댑티브 HARQ 제어를 적용할 경우에도, 신규 유저 할당에 대한 제약을 회피하여, 스케줄러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할당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논어댑티브 HARQ 방식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2는 참조 신호(DMRS)에서의 간섭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3은 비특허 문헌 1에 기재한 방식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송신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수신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확산 부호 할당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송신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송신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확산 부호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확산 부호 할당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의 송신 장치(100)는, 예를 들면, LTE-A의 단말에 적용된다. 또한, 설명이 번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4에서는, 본 발명과 밀접하게 관련하는 상향 회선 데이터의 송신 및, 그 상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하향 회선에서의 수신과 관계되는 구성부를 나타내고, 하향 회선 데이터의 수신과 관계되는 구성부의 도면 표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PDCCH 복조부(101)는, 기지국(후술하는 수신 장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PDCCH로부터, 기지국에 있어서 결정된 송신 파라미터(데이터 송신에 관한 파라미터)를 복조한다. 또한, 송신 파라미터에는, 할당 주파수 리소스(예를 들면, 할당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 RB)), 송신용 랭크수와 프리코더, 변조 방식ㆍ부호화율, 재송시에 이용하는 RV 파라미터, 또는, 0번째(k=0) 레이어(Layer0)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DMRS)의 확산 부호(예를 들면, 전술한 ncs ,0(또는 nDMRS ,0 (2)) 및 nocc,0)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PDCCH 복조부(101)는, 복조한 송신 파라미터를 레이트 매칭부(105), 변조부(107), 레이어 매핑부(108), DMRS 생성부(110) 및 SC-FDMA 신호 생성부(113)에 출력한다.
ACK/NACK 복조부(102)는, 기지국(후술하는 수신 장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PHICH로부터, 기지국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ACK/NACK 정보를 CW마다 복조한다. 그리고, ACK/NACK 복조부(102)는, 복조한 ACK/NACK 정보를 레이트 매칭부(105), 레이어 매핑부(108) 및 DMRS 생성부(110)에 출력한다.
코드워드 생성부(103)는, 코드워드(CW) 수에 대응해서 구비되고,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데이터열)를 부호화함으로써 CW를 생성한다. 또, 각 코드워드 생성부(103)는, 부호화부(104), 레이트 매칭부(105), 인터리브ㆍ스크램블링부(106) 및 변조부(107)를 가진다.
부호화부(104)는, 송신 데이터가 입력하면, 송신 데이터에 대해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를 부여한 뒤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부호화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부(105)에 출력한다.
레이트 매칭부(105)는, 버퍼를 가지며, 부호화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한다. 그리고, 레이트 매칭부(105)는, PDCCH 복조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레이트 매칭 처리를 행하여, 변조 다치수 혹은 부호화율을 적응적으로 조정한다. 그리고, 레이트 매칭부(105)는, 레이트 매칭 처리 후의 부호화 데이터를 인터리브ㆍ스크램블링부(106)에 출력한다. 또, 재송시(ACK/NACK 복조부(102)로부터의 ACK/NACK 정보가 NACK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레이트 매칭부(105)는, PDCCH 복조부(101)로부터 출력되는 RV 파라미터에 의해 지정되는 버퍼의 개시 위치로부터, 변조 다치수 및 부호화율에 따른 소정량의 부호화 데이터를 재송 데이터로서 판독한다. 그리고, 레이트 매칭부(105)는, 판독한 재송 데이터를 인터리브ㆍ스크램블링부(106)에 출력한다.
인터리브ㆍ스크램블링부(106)는, 레이트 매칭부(105)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인터리브ㆍ스크램블링 처리를 실시하고, 인터리브ㆍ스크램블링 처리 후의 부호화 데이터를, 변조부(107)에 출력한다.
변조부(107)는, PDCCH 복조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다치 변조해서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변조 신호를 레이어 매핑부(108)에 출력한다.
레이어 매핑부(108)는, PDCCH 복조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파라미터, 및, ACK/NACK 복조부(102)로부터 입력되는 ACK/NACK 정보에 기초하여 각 코드워드 생성부(103)의 변조부(107)로부터 입력되는 변조 신호를 CW마다 각 레이어에 매핑한다. 여기에서는, 레이어 매핑부(108)는, 전술한 것처럼,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송신 랭크수에 따라, 각 CW를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배치)한다. 그리고, 레이어 매핑부(108)는, 매핑 후의 CW를 프리코딩부(109)에 출력한다.
프리코딩부(109)는, DMRS 생성부(110)로부터 입력되는 DMRS 또는 레이어 매핑부(108)로부터 입력되는 CW에 대해서 프리코딩을 행하고, 각 CW 및 DMRS에 가중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프리코딩부(109)는, 프리코딩 후의 CW 및 DMRS를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신호 생성부(113)에 출력한다.
DMRS 생성부(110)는, PDCCH 복조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파라미터 및 ACK/NACK 복조부(102)로부터 입력되는 ACK/NACK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랭크수에 대응하는 각 레이어의 DMRS를 생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다른 순회 쉬프트량(예를 들면, ncs,k=0~11)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한 순회 쉬프트 계열과, 서로 직교하는 OCC(예를 들면, nocc ,k=0,1)에 의해 DMRS용의 복수의 확산 부호 리소스가 정의된다. 그리고, DMRS 생성부(110)는, DMRS용의 복수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에서 어느 것인가의 확산 부호 리소스를 이용하여, CW가 배치되는 레이어마다 DMRS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DMRS 생성부(110)는, 전술한 것처럼,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0번째(k=0) 레이어(Layer0)에 대응하는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예를 들면, ncs,0 및 nocc ,0)에 기초하여, 기타(k=1, 2 또는 3) 각 레이어(Layer1, 2 또는 3)에 대응하는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를 산출한다. 또, DMRS 생성부(110)는, PDCCH 복조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생성한 확산 부호(즉, 기지국으로부터 PDCCH를 이용해서 지시된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를,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111)에 출력한다. 또, DMRS 생성부(110)는, ACK/NACK 복조부(102)로부터 입력되는 ACK/NACK 정보가 NACK를 나타내는 경우(즉, 재송시)에는, NACK에 대응하는 CW와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확산 부호에 기초하여, CW 재송시의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를 설정한다. 또한, DMRS 생성부(110)에 있어서의 재송시의 DMRS 생성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111)는, DMRS 생성부(110)로부터 입력되는 확산 부호(즉, PDCCH를 이용해 지시되고, 첫회 송신시에 각 레이어에서 각각 생성된 DMRS에 이용된 확산 부호 리소스)를 저장한다. 또,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111)는, DMRS 생성부(1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저장하고 있는 확산 부호를 DMRS 생성부(110)에 출력한다.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생성부(112)는, 채널 품질 측정용 참조 신호(SRS)를 생성하고, 생성한 SRS를 SC-FDMA 신호 생성부(113)에 출력한다.
SC-FDMA 신호 생성부(113)는, SRS 생성부(112)로부터 입력되는 참조 신호(SRS), 또는, 프리코딩 후의 CW 및 DMRS에 대해서 SC-FDMA 변조하여, SC-FDMA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SC-FDMA 신호 생성부(113)는, 생성한 SC-FDMA 신호에 대해서 무선 송신 처리(S/P(Serial/Parallel) 변환, 역푸리에 변환, 업 컨버트, 증폭 등)를 행하고, 무선 송신 처리 후의 신호를 송신 안테나를 경유하여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첫회 송신 데이터 또는 재송 데이터가, 수신 장치에 전송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신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의 수신 장치(200)는, 예를 들면, LTE-A의 기지국에 적용된다. 또한, 설명이 번잡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5에서는, 본 발명과 밀접하게 관련하는 상향 회선 데이터의 수신 및, 그 상향 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의 하향 회선에서의 송신과 관련된 구성부를 나타내고, 하향 회선 데이터의 송신과 관련된 구성부의 도면 표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수신 RF부(201)는, 안테나수에 대응해서 구비된다. 각 수신 RF부(201)는, 단말(도 4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수신 신호에 대해서 무선 수신 처리(다운 컨버트, 푸리에 변환, P/S 변환 등)를 행하여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를, 채널 추정부(202) 및 공간 분리 동기 검파부(203)에 출력한다.
채널 추정부(202)~PDCCH 생성부(211)의 각 구성부는, 기지국(수신 장치(200))이 동시에 통신 가능한 단말수에 대응해서 구비된다.
채널 추정부(202)는,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참조 신호(DMRS)에 기초해서 채널 추정을 행하여, 채널 추정값을 산출한다. 이때, 채널 추정부(202)는, 스케줄링부(21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DMRS에 이용되고 있는 확산 부호를 특정한다. 그리고, 채널 추정부(202)는, 산출한 채널 추정값을 PDCCH 생성부(211) 및 공간 분리 동기 검파부(203)에 출력한다.
공간 분리 동기 검파부(203)는, 채널 추정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를 레이어 디매핑부(204)에 출력한다.
레이어 디매핑부(204)는, 분리 후의 베이스밴드 신호를 CW마다 합성하고, 합성 후의 CW를 우도 생성부(206)에 출력한다.
오류 검출부(205)는, CW수에 대응해서 구비된다. 또, 각 오류 검출부(205)는, 우도 생성부(206), 재송 합성부(207), 복호부(208) 및 CRC 검출부(209)를 가진다.
우도 생성부(206)는, CW마다 우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우도를 재송 합성부(207)에 출력한다.
재송 합성부(207)는, 과거의 우도를 CW마다 보존함과 함께, 재송 데이터에 대해서는, RV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재송 합성 처리를 행하고, 합성 처리 후의 우도를 복호부(208)에 출력한다.
복호부(208)는, 합성 처리 후의 우도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복호 데이터를 CRC 검출부(209)에 출력한다.
CRC 검출부(209)는, 복호부(208)로부터 출력되는 복호 데이터에 대해서 CRC 검사에 의한 오류 검출 처리를 행하고, 오류 검출 결과를 CW마다 PHICH 생성부(210) 및 스케줄링부(212)에 출력한다. 또, CRC 검출부(209)는, 복호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PHICH 생성부(210)는, 각 CW에 대응하는 CRC 검출부(209)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ACK/NACK 정보를 CW마다 PHICH에 배치한다. 또한, PHICH에는, CW마다 응답 리소스로서 ACK/NACK 리소스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PHICH 생성부(210)는, CW0에 대응하는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 CW0의 ACK/NACK 리소스에 ACK를 배치하고, CW0에 대응하는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CW0의 ACK/NACK 리소스에 NACK를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PHICH 생성부(210)는, CW1에 대응하는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 CW1의 ACK/NACK 리소스에 ACK를 배치하고, CW1에 대응하는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CW1의 ACK/NACK 리소스에 NACK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PHICH 생성부(210)는, 응답 신호 생성부로서 PHICH에 설치되어 있는 CW마다의 응답 리소스에 CW마다 ACK/NACK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CW마다의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ACK/NACK 정보가 PHICH에 배치되어 단말(송신 장치(100))에 송신된다(도면 표시 없음).
PDCCH 생성부(211)는, 채널 추정부(202)에 의해 산출된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전파로 상황을 추정한다. 그리고, PDCCH 생성부(211)는, 추정한 전파로 상황에 따라, 복수 단말의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이때, PDCCH 생성부(211)는, 스케줄링부(21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 단말에 할당하는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설정한다. 그리고, PDCCH 생성부(211)는, 설정한 송신 파라미터를 PDCCH에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마다의 송신 파라미터가 PDCCH에 배치되어 각 단말에 송신된다(도면 표시 없음).
스케줄링부(212)는, 각 CW에 대응하는 CRC 검출부(209)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오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각 단말이 송신하는 DMRS이며, 단말이 송신하는 CW가 배치되는 레이어마다 생성되는 DMRS에 대해서, 복수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 어느 것인가의 확산 부호 리소스를 할당한다. 그리고, 스케줄링부(212)는, 각 단말에 대응하는 PDCCH 생성부(211)에 대해서, 각 단말에 할당하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지시한다. 또, 스케줄링부(212)는, 각 단말에 대응하는 채널 추정부(202)에 대해서, 각 단말에 할당한 확산 부호 리소스를 지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송신 장치(100)(이하, 단말이라고 나타낸다) 및 수신 장치(200)(이하, 기지국이라고 나타낸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전파로 상황(채널 품질 측정)용 참조 신호(SRS :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송신한다.
기지국은, 해당 참조 신호(SRS)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를 관측한 결과에 기초하여, 할당 주파수 리소스(할당 RB), 송신 랭크수, 프리코더, 변조 방식ㆍ부호화율, 재송시에 이용하는 RV 파라미터, 또는, 0번째(k=0) 레이어(Layer0)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 등의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결정한 송신 파라미터를 PDCCH를 이용하여 단말에 통지한다. 또한, 예를 들면 LTE에서는, 송신 데이터의 형성에 단말은 4서브프레임 정도의 시간을 요한다. 그 때문에, 기지국은, 제 n서브프레임으로 송신하는 송신 데이터 형성을 위해서, 제 n-4 서브프레임으로 리소스 할당을 통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제 n-4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파로 상황에 기초하여, 송신 파라미터를 결정해서 통지한다.
그리고, 단말은, PDCCH로부터 송신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각 레이어의 DMRS 및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DMRS 및 데이터 신호에 대해서 프리코딩을 실시함으로써, 각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신호를 형성한다. 그리고, 단말은 형성한 송신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여기서, 각 레이어에 대응하는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는, 전술한대로,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0번째(k=0) 레이어(Layer0)와 각 Layer(k=1, 2 또는 3의 Layer1, 2 또는 3)의 상대값에 의해 결정된다. 즉, 각 Layer1, 2 또는 3에서의 확산 부호는, Layer0에서의 확산 부호(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확산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또, 단말은, PDCCH로 지시된 DMRS의 확산 부호를 보지(保持)한다.
기지국은, 제 n서브프레임으로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에 대해서 수신 처리를 행하고, CW마다의 오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PHICH를 생성한다. 또한, LTE에서는, 기지국은, PHICH에 한하지 않고, PDCCH를 이용해서 재송 지시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과 밀접하게 관련하지 않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오류 검출 결과가 통지되는 타이밍(LTE에서는 이 경우 제 n+4 서브프레임)으로 PDCCH를 참조함과 함께, PHICH를 참조한다. PHICH에는, HARQ의 지시가 포함되어 있다.
단말은, PHICH로부터 ACK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해당 CW를 기지국이 무사히 복조할 수 있었다고 하여, 해당 CW의 재송을 정지한다. 한편, 단말은, PHICH에서 ACK를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해당 CW를 기지국이 복조하지 못하고 재송을 지시했다고 판단하고, 소정 타이밍에 해당 CW를 재송한다.
전술의 예에서, 단말은, 제 n서브프레임으로 송신한 CW에 대한 ACK를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 제 n+8 서브프레임으로 해당 CW의 재송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단말은, 전술과 같이 재송 요구 횟수에 따른 기정치(旣定値)를 RV 파라미터에 이용하는 것 및,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값(확산 부호 리소스)과 ACK/NACK의 발생 상황에 따라 설정되는 설정값(확산 부호 리소스)을 DMRS의 확산 부호에 이용하는 것 외에는, 제 n-4 서브프레임으로 PDCCH를 이용해 지시된 송신 파라미터(예를 들면, 프리코더)를 그대로 이용한다. 또한, 재송시의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기지국은, CW의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의 경우에는, PHICH를 이용해 ACK를 단말에 통지하여, 해당 CW의 송신 정지를 지시한다. 이것에 비해, 기지국은, CW의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있음의 경우에는, PHICH를 이용해 NACK를 단말에 통지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재송 합성 처리를 행하여 복조 처리를 반복한다. 이때, 기지국은, 첫회 송신시에 단말에 지시한 확산 부호 리소스와 CW의 오류 검출 결과에 따라 설정되는 확산 부호 리소스에 기초하여, 재송 데이터의 복조 및, 다른 단말용의 리소스 할당을 행한다.
다음에, 재송시의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의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도 3과 마찬가지로, 첫회 송신이 3Layer 송신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첫회 송신시에는 CW0이 0번째(k=0) 레이어(Layer0)로 송신되고, CW1이 1번째(k=1) 및 2번째(k=2)의 2개 레이어(Layer1, 2)로 송신된다. 또, 첫회 송신시에 각 Layer0~2에서 이용되는 확산 부호는, ncs ,0=0, nocc ,0=0과, ncs ,1=6, nocc ,1=0과, ncs ,2=3, nocc ,2=1이 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기지국에서의 오류 검출의 결과, CW1만이 재송(reTX)된다고 한다(즉, CW0 : ACK, CW1 : NACK).
여기서, 도 6에 나타내는 CW1의 재송시에, 단말이 첫회 송신시에 이용한 DMRS의 확산 부호 리소스(즉,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111)에 저장된 설정값)를 그대로 이용하면, 도 3과 마찬가지로, CW1이 배치되는 2개의 Layer1, 2에서는 서로 다른 OCC(nocc ,2=0, 1)가 각각 적용된다.
그래서, DMRS 생성부(110)는,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단일 CW만의 재송을 요구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해당 복수 레이어에서 각각 생성되는 DMRS에 대해서, 복수의 OCC(여기에서는 nocc ,k=0, 1)로 정의된 복수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 동일한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각각 이용한다. 즉, 첫회 송신시에 이용한 DMRS의 확산 부호 리소스를 재송시에도 그대로 이용했을 경우에, 재송 대상의 CW가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어에서 서로 다른 OCC가 적용되는 상황에서는, 단말은, 재송 대상의 CW가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어에서 동일한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적용한 DMRS를 이용하도록, DMRS의 확산 부호 리소스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은, 첫회 송신시에 복수의 레이어에서 각각 생성된 DMRS에 이용된 확산 부호 리소스(즉,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111)에 저장된 설정값) 중, 동일한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재송 대상 CW가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어에서 각각 생성되는 DMRS에 대해서 이용한다. 예를 들면, 도 6에서는, 단말은, 첫회 송신시에 이용한 3개의 확산 부호의 리소스 중, 동일한 OCC(nocc ,k=0)를 가지는 2개의 확산 부호를 재송시에 이용한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재송되는 CW1이 배치되는 각 Layer1, 2에서 이용되는 확산 부호는, ncs ,1=0, nocc ,1=0과, ncs,2=6, nocc ,2=0의 2개가 되어, 한쪽 OCC(nocc ,k=0)만을 점유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재송되는 CW1이 배치되는 Layer1, 2가 점유하는 확산 부호 리소스 이외의 확산 부호 리소스이며, CW1에서 이용된 확산 부호 리소스와의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리소스로서는, 도 6에 나타내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nocc ,k=1의 OCC, 그리고 모든 순회 쉬프트 계열(ncs ,k=0~11))이 확보된다.
한편, 첫회 송신시에 단말에 할당한 DMRS의 확산 부호 리소스를 재송시에 그대로 이용했을 경우에, 재송 대상의 CW가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어에서 서로 다른 OCC가 적용되는 상황에서는, 기지국은, 첫회 송신시에 단말에 할당한 DMRS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 동일한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이용해서 CW(DMRS)가 재송된다고 인식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첫회 송신시에 단말에 할당한 DMRS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 상기 동일한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재송된 CW를 복조한다. 또, 기지국은, 첫회 송신시에 할당한 DMRS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 상기 동일한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가 재송시의 CW에 사용되는 것을 고려하여, 다른 단말(신규 유저)용의 리소스 할당을 행한다.
즉, 기지국은,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단일 CW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만이 NACK인 경우, 단일 코드워드의 재송을 행하는 단말이 송신하는 해당 복수의 레이어마다의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 리소스가, 복수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 동일한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라고 특정한다. 또, 기지국은, 재송을 행하는 단말 이외의 다른 단말 장치(신규 유저)가 송신하는 DMRS에 대해서, 복수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 재송을 행하는 단말이 이용하는 상기 동일한 OCC(특정한 OCC)와 다른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할당한다.
예를 들면, 도 6에서는, CRC 검출부(209)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가 (CW0 : 오류 없음, CW1 : 오류 있음)이다. 따라서, 스케줄링부(212)는, 단말에 있어서 다음번 재송되는 CW1이 첫회 송신시(도 6에 나타내는 nocc,1=0, nocc ,2=1)와 달리, 동일 OCC(도 6에 나타내는 nocc ,1=0, nocc ,2=0)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의 DMRS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정한다. 그리고, 스케줄링부(212)는, 채널 추정부(202)에 대해서, 도 6에 나타내는 ncs ,1=0, nocc ,1=0과, ncs,2=6, nocc ,2=0의 2개의 확산 부호 리소스가, 재송되는 CW1에 적용되는 확산 부호 리소스인 것을 채널 추정부(202)에 지시한다.
또, 스케줄링부(212)는, 도 6에 나타내는 CW1을 재송하는 단말 이외의 다른 단말(신규 유저)용의 DMRS의 리소스 할당으로서, 재송되는 CW1에서 이용된 확산 부호 리소스(도 6에 나타내는 nocc ,1=0) 이외의 확산 부호 리소스이며, CW1에서 이용된 확산 부호 리소스와의 사이에서 간섭이 생기지 않는 리소스를 이용한다. 즉, 스케줄링부(212)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nocc ,k=1의 OCC의 전부의 순회 쉬프트 계열(ncs ,k=0~11)로 되어있는 영역을, 다른 단말용의 DMRS에 대해서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스케줄러에 의해 멀티유저 MIMO의 동작으로서 2 Layer 송신을 행하는 신규 유저를 다중하고 싶은 경우(즉, 동일 OCC에서 ncs ,k를 6 정도 떼어놓은 확산 부호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도 6에 나타내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에서 ncs ,k를 6 정도 떼어 놓은 확산 부호의 리소스 할당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재송 데이터(CW1)의 DMRS와 다른 단말용의 DMRS가 다중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말(송신 장치(100))에 있어서, DMRS 생성부(110)는,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단일 코드워드만의 재송을 요구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재송되는 코드워드가 배치된 복수의 레이어에서 각각 생성되는 DMRS에 대해서, 복수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 동일한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각각 이용한다. 이것에 의해, 재송시의 확산 부호 리소스의 핍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PHICH를 이용하여 논어댑티브 HARQ 제어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재송시에는, 복수 레이어의 DMRS에 대해서, 첫회 송신시에 설정된, 서로 다른 OCC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계속 사용하는 것에 기인하는, 스케줄러에서의 신규 유저 할당에 대한 제약을 회피할 수 있다.
또, 기지국(수신 장치(200))에 있어서, 스케줄링부(212)는,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단일 코드워드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만이 NACK인 경우, 단일 코드워드의 재송을 행하는 단말이 송신하는 복수의 레이어마다의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 리소스가, 복수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에서 동일한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라고 특정한다. 또, 스케줄링부(212)는, 재송을 행하는 단말 이외의 다른 단말(신규 유저)이 송신하는 DMRS에 대해서, 복수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 재송을 행하는 단말이 이용하는 OCC(각 레이어에서 동일한 OCC)와 다른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할당한다. 이것에 의해, 멀티유저 MIMO 적용시에 있어서도, 각 단말에 적절한 리소스가 할당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PHICH를 이용해 논어댑티브 HARQ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신규 유저 할당에 대한 제약을 회피하고, 스케줄러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할당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재송되는 1개의 CW가 배치된 복수의 레이어에서 각각 생성되는 DMRS에 대해서, 동일한 OCC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각각 이용한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이 사용하는 OCC(각 레이어에서 동일한 OCC)를 재송 때마다 변경하는 점이 실시형태 1과 다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7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 장치(300)에 있어서, 도 4와 공통되는 구성 부분에는, 도 4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의 송신 장치(300)는, 도 4의 송신 장치(100)에 비해서, 재송 횟수 계상부(計上部)(301)를 새로이 추가하고,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111)를 대신하여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302)를 가지는 구성을 취한다.
재송 횟수 계상부(301)는, ACK/NACK 복조부(102)로부터 입력되는 CW마다의 ACK/NACK 정보가 NACK일 경우에, CW마다 재송 횟수를 인크리먼트(increment)하여 내부에 보존한다. 즉, 재송 횟수 계상부(301)는, 재송 횟수를 CW마다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재송 횟수를 CW마다 보존한다. 또, 재송 횟수 계상부(301)는, CW마다의 ACK/NACK 정보가 ACK일 경우에는 해당하는 CW의 재송 횟수를 리셋트한다. 그리고, 재송 횟수 계상부(301)는, 카운트한 각 CW의 재송 횟수를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302)에 출력한다.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302)는, 확산 부호 리소스에 포함되는 OCC에 관한 소정의 규칙에 따라, 재송 횟수 계상부(301)로부터 입력되는 재송 횟수에 따른 OCC의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302)는, 홀수 번째의 재송시에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저장하고 있는 확산 부호 리소스의 OCC를 그대로 DMRS 생성부(110)에 출력한다. 한편,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302)는, 짝수 번째의 재송시에는 저장하고 있는 확산 부호 리소스의 OCC를 반전시킨 확산 부호 리소스를 DMRS 생성부(110)에 출력한다. 또한,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302)에서는, 상기 처리에 한하지 않고, 홀수 번째의 동작과 짝수 번째의 동작을 바꿔 넣어도 좋다.
DMRS 생성부(110)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단일 CW만의 재송시에는, 재송되는 CW가 배치된 복수의 레이어에서 각각 생성되는 DMRS에 대해서, 동일한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각각 이용한다. 단, DMRS 생성부(110)는, 재송되는 단일 CW가 배치된 복수의 레이어에서 각각 생성되는 DMRS에 이용되는 OCC(각 레이어에서 동일한 OCC)를 재송마다 변경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첫회 송신이 3 Layer 송신이고, 각 레이어(k=0, 1, 2의 Layer1, 2)에서 이용되는 확산 부호를, ncs ,0=0, nocc ,0=0과, ncs,1=6, nocc ,1=0과, ncs ,2=3, nocc ,2=1라고 한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Layer1, 2(k=1, 2)에 배치된 CW1만이 재송된다고 한다. 이 경우, 홀수 번째(1회째, 3회째, 5회째, …)의 재송시에는, DMRS 생성부(110)는,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동일 OCC(nocc ,k=0)를 가지는 2개의 확산 부호(ncs ,1=0, nocc ,1=0과, ncs ,2=6, nocc ,2=0)를 그대로 이용한다.
한편, 짝수 번째(2회째, 4회째, 6회째, …)의 재송시에는, DMRS 생성부(110)는, 동일 OCC(nocc ,k=0)에 대응하는 2개의 확산 부호(ncs ,1=0, nocc ,1=0과, ncs ,2=6, nocc,2=0)의 OCC를 반전(즉, nocc ,k=1)시킨 확산 부호 리소스(ncs ,1=0, nocc ,1=1과, ncs,2=6, nocc ,2=1)를 이용한다(도시하지 않음).
이것에 의해, 재송되는 CW(도 6에서는 CW1)가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어에서 각각 생성되는 DMRS는, 재송 때마다 OCC가 다른 확산 부호 리소스를 점유한다. 예를 들면, 도 6에서는, 재송되는 CW1이 배치되는 각 Layer1, 2(k=1, 2)에서는, 홀수 번째의 재송시에는 한쪽 OCC(nocc ,k=0)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리소스만을 점유하고, 짝수 번째의 재송시에는 다른쪽 OCC(nocc ,k=1)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리소스만을 점유하게 된다.
한편, 기지국(수신 장치(200)(도 5))에 있어서, 스케줄링부(212)는, 단말의 재송 횟수 계상부(30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도시하지 않음), 단말(송신 장치(300))과 동일하게 하여, 카운트한 CW마다의 재송 횟수에 따라 변경되는 OCC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채널 추정부(202)에 출력한다. 또, 스케줄링부(212)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하여,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CW의 재송만을 지시된 단말 이외의 다른 단말(신규 유저)이 송신하는 DMRS에 대해서, 복수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에서, 재송을 행하는 단말이 이용하는 OCC(각 레이어에서 동일한 OCC)와 다른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할당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CW만을 재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이용되는 OCC가 특정한 값(예를 들면, nocc ,k=0 또는 1의 어느 것인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에 추가하여, CW의 재송마다 다른 확산 부호를 이용해서 다른 단말을 다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첫회 송신시에 이용한 확산 부호 리소스와 ACK/NACK의 발생 상황에 따라 CW의 재송시에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조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것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PDCCH로 통지된 확산 부호 리소스와 송신 레이어수(송신 랭크수)에 따라, CW 송신시(첫회 송신 및 재송)에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조정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8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 장치(400)에 있어서, 도 4와 공통되는 구성 부분에는, 도 4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송신 장치(400)는, 도 4의 송신 장치(100)에 비해서,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111)를 대신하여 확산 부호 조정부(401)를 가지는 구성을 취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송신 장치(400)(단말)에 있어서, DMRS 생성부(110)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PDCHH를 이용해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0번째(k=0) 레이어(Layer0)에 대응하는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예를 들면, ncs ,0 및 nocc ,0)에 기초하여, 다른(k=1, 2 또는 3) 각 레이어(Layer1, 2 또는 3)에 대응하는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를 산출한다. 그리고, DMRS 생성부(110)는, 산출한 확산 부호(k=0~3의 각 레이어에서 이용하는 확산 부호) 및,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송신 랭크수(즉, 송신 레이어수)를 확산 부호 조정부(401)에 출력한다.
확산 부호 조정부(401)는, DMRS 생성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랭크수에 기초하여, DMRS 생성부(110)로부터 입력되는 확산 부호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확산 부호 조정부(401)는, 송신 랭크수(송신 레이어수)의 값으로 구해지는 레이어와 CW의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동일한 CW가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어에서 생성되는 DMRS간에서 동일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가 할당되도록, 각 송신 레이어수에서 이용되는 확산 부호를 조정(재설정)한다.
그리고, DMRS 생성부(110)는, 확산 부호 조정부(401)로부터 입력되는 확산 부호(조정 후의 확산 부호)를 이용해 DMRS를 생성하고, 생성한 DMRS를 프리코딩부(109)에 출력한다. 또, DMRS 생성부(110)는, ACK/NACK 복조부(102)로부터 입력되는 ACK/NACK 정보가 NACK를 나타내는 경우(즉, 재송시)에는, 첫회 송신시에 이용한 확산 부호(조정 후의 확산 부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다음에, 확산 부호 조정부(401)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 조정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확산 부호 조정부(401)에는, DMRS 생성부(110)로부터, 각 레이어(Layer0~3)에 대응하는 DMRS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 리소스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 좌측에 나타내는 것처럼, Layer0(k=0)은 (ncs ,0=0, nocc ,0=0), Layer1(k=1)은 (ncs ,1=6, nocc,1=0), Layer2(k=2)는 (ncs ,2=3, nocc ,2=1), Layer3(k=3)은 (ncs ,3=9, nocc ,3=1)이 된다.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레이어와 CW의 대응 관계로서, 3 Layer 송신시에는, CW0이 Layer0(k=0)에 배치되고, CW1이 Layer1, 2(k=1, 2)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9 좌측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이 PDCCH로 지시된 DMRS의 확산 부호 리소스(즉, 확산 부호 조정부(401)에 입력된 설정값)를 그대로 이용하면, 도 3과 마찬가지로, CW1이 배치되는 2개의 Layer1, 2에는 서로 다른 OCC(nocc ,2=0, 1)가 각각 적용된다. 즉, 동일 CW가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어에서 생성되는 DMRS간에서 다른 OCC가 사용된다.
그래서, 확산 부호 조정부(401)는, 동일 CW가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어에서 생성되는 DMRS간에서는 동일 OCC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리소스가 이용되도록, 각 송신 레이어수에 있어서 각 레이어에서 이용되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재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 우측에 나타내는 것처럼, 확산 부호 조정부(401)는, 3 Layer 송신시(도 9에 나타내는 3 Layer)에 이용하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k=0에 대응하는 (ncs ,0=0, nocc ,0=0), k=2에 대응하는 (ncs ,2=3, nocc ,2=1), 및, k=3에 대응하는 (ncs,3=9, nocc ,3=1)으로 재설정한다. 즉, 확산 부호 조정부(401)는, 3 Layer 송신시에 본래 사용해야 할 k=1에 대응하는 (ncs ,1=6, nocc ,1=0) 대신에, 4 Layer 송신시에 사용되는 k=3에 대응하는 (ncs ,3=9, nocc ,3=1)를 유용한다.
따라서, 도 10 좌측에 나타내는 것처럼, DMRS 생성부(110)는, 3 Layer 송신의 첫회 송신시에는, CW0가 배치되는 Layer0(k=0)에서는 (ncs ,0=0, nocc ,0=0)을 이용해서 DMRS를 생성하고, CW1이 배치되는 Layer1, 2(k=1, 2)에서는 (ncs ,1=3, nocc ,1=1) 및 (ncs,2=9, nocc ,2=1)을 각각 이용해서 DMRS를 생성한다.
즉, CW1이 배치되는 2개의 Layer1, 2에서 생성되는 DMRS간에서는, 동일 OCC(nocc,k=1)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리소스가 각각 이용된다.
또, 단말(송신 장치(400))은, 송신한 CW에 대한 ACK를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CW의 재송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DMRS 생성부(110)는, 첫회 송신시의 DMRS에 적용한 확산 부호 리소스(즉, 도 9 우측의 조정 후의 확산 부호 리소스)를 재송시에도 그대로 이용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 있어서, CW1에서만 재송이 발생한 경우에는, DMRS 생성부(110)는, CW1이 배치되는 2개의 Layer1, 2에서 생성되는 DMRS에 대해서, 첫회 송신시에 이용한 확산 부호 리소스 ((ncs ,1=3, nocc,1=1) 및 (ncs ,2=9, nocc ,2=1))를 각각 이용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 우측에 나타내는 것처럼,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CW1만을 재송하는 경우에도, 동일 리소스에 다중할 수 있는 다른 단말(신규 유저)용으로 할당 가능한 확산 부호 리소스로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즉, nocc ,k=0의 OCC의 모든 순회 쉬프트 계열(ncs ,k=0~11)로 되어있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수신 장치(200)(도 5))에 있어서, 스케줄링부(212)는, 단말의 확산 부호 조정부(40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도시하지 않음), 단말(송신 장치(400))과 동일하게 하여, 조정(재설정) 후의 확산 부호 리소스를 채널 추정부(202)에 출력한다. 또, 스케줄링부(212)는, 복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CW의 재송만을 지시된 단말 이외의 다른 단말(신규 유저)이 송신하는 DMRS에 대해서, 복수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 재송을 행하는 단말이 이용하는 OCC(각 레이어에서 동일한 OCC)와 다른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할당한다. 이것에 의해, 멀티유저 MIMO 적용시에 있어서도, 각 단말에 적절한 리소스가 할당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스케줄러에 의해 멀티유저 MIMO의 동작으로서 nocc ,k=0의 OCC에 밖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LTE의 단말(신규 유저)을 다중하고 싶은 경우에도, 그 LTE의 단말에 대해서 충분한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송신 장치(400))은, 재송의 발생에 대비하여 재송 단위인 동일 CW가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어에서 생성되는 DMRS에 대해서, 복수의 확산 부호 리소스 중에서 동일한 OCC를 가지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첫회 송신시부터 각각 이용한다. 이것에 의해, 재송시의 확산 부호 리소스의 핍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PHICH를 이용해서 논어댑티브 HARQ 제어가 적용되는 경우(PHICH를 이용해서 DMRS의 확산 부호를 통지할 수 없는 경우)에도, 재송시에 서로 다른 OCC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에 기인하는, 스케줄러에서의 신규 유저 할당에 대한 제약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PHICH를 이용해 논어댑티브 HARQ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신규 유저 할당에 대한 제약을 회피하여, 스케줄러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할당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안테나 포트(antenna port)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란, 1개 또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 논리적인 안테나를 가리킨다. 즉, 안테나 포토는 반드시 1개의 물리 안테나를 가리킨다고는 할 수 없고,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어레이 안테나 등을 가리키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3GPP LTE에 있어서는, 안테나 포트가 몇 개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지는 규정되지 않고, 기지국이 다른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수 있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어 있다.
또, 안테나 포트는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의 가중치를 곱셈하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는 일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의 제휴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에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것은 개별적으로 1 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라고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개의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해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2010년 8월 13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0-181344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MIMO 통신 기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논어댑티브 HARQ를 이용한 재송 제어 방법을 행하는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재송 방법 및 리소스 할당 방법 등으로서 유용하다.
100, 300, 400 : 송신 장치
101 : PDCCH 복조부
102 : ACK/NACK 복조부
103 : 코드워드 생성부
104 : 부호화부
105 : 레이트 매칭부
106 : 인터리브ㆍ스크램블링부
107 : 변조부
108 : 레이어 매핑부
109 : 프리코딩부
110 : DMRS 생성부
111, 302 : 재송용 확산 부호 보존부
112 : SRS 생성부
113 : SC-FDMA 신호 생성부
200 : 수신 장치
201 : 수신 RF부
202 : 채널 추정부
203 : 공간 분리 동기 검파부
204 : 레이어 디매핑부
205 : 오류 검출부
206 : 우도 생성부
207 : 재송 합성부
208 : 복호부
209 : CRC 검출부
210 : PHICH 생성부
211 : PDCCH 생성부
212 : 스케줄링부
301 : 재송 횟수 계상부
401 : 확산 부호 조정부

Claims (20)

  1. 복수의 코드워드의 각각을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하고,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되는, 레이어 매핑부와,
    상기 매핑된 복수의 코드워드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된 복수의 코드워드의 각각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ACK/NACK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순회 쉬프트량 중 1개의 순회 쉬프트량과,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직교 계열 중 1개의 직교 계열을 이용하여 복조용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1개의 순회 쉬프트량을 특정하기 위한 인덱스와 상기 1개의 직교 계열의 조합으로서 복수의 조합이 준비되어 있고, 상기 수신한 ACK/NACK 정보가,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된 1개의 코드워드의 재송 요구를 나타내는 경우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하여, 첫회 송신시에 있어서 공통의 직교 계열이 이용되었는지 상이한 직교 계열이 이용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복조용 참조 신호를 생성하는데 상기 복수의 레이어 사이에서 공통의 직교 계열이 이용되는, 참조 신호 생성부
    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생성된 복조용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이 요구된 1개의 코드워드를 재송하는데 이용되는 레이어의 수는,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총 레이어의 수보다 적은 단말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CK/NACK 정보는, HARQ 통지 채널(PHICH)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단말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는, 제 1 코드워드와 제 2 코드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드워드는 제 1 레이어에 매핑되고, 상기 제 2 코드워드는 제 2 레이어 및 제 3 레이어에 매핑되고,
    상기 ACK/NACK 정보는, 상기 제 1 코드워드에 대해서는 오류가 검출되지 않은 것 및 상기 제 2 코드워드에 대해서는 오류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단말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코드워드의 재송이 복수회 행해지는 경우, 상기 참조 신호 생성부는, 상기 공통의 직교 계열을 상기 재송이 행해질 때마다 변경하는 단말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생성부는, 상기 공통의 직교 계열을, 상기 1개의 코드워드의 홀수회째의 재송과 짝수회째의 재송에서 상이한 직교 계열이 되도록 설정하는 단말 장치.
  7. 복수의 코드워드의 각각을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하고,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되고,
    상기 매핑된 복수의 코드워드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복수의 코드워드의 각각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ACK/NACK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순회 쉬프트량 중 1개의 순회 쉬프트량과,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직교 계열 중 1개의 직교 계열을 이용하여 복조용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1개의 순회 쉬프트량을 특정하기 위한 인덱스와 상기 1개의 직교 계열의 조합으로서 복수의 조합이 준비되어 있고, 상기 수신한 ACK/NACK 정보가,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된 1개의 코드워드의 재송 요구를 나타내는 경우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하여, 첫회 송신시에 있어서 공통의 직교 계열이 이용되었는지 상이한 직교 계열이 이용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복수의 레이어 사이에서 공통의 직교 계열을 이용하여 상기 복조용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조용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이 요구된 1개의 코드워드를 재송하는데 이용되는 레이어의 수는,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총 레이어의 수보다 적은 통신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CK/NACK 정보는, HARQ 통지 채널(PHICH)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통신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는, 제 1 코드워드와 제 2 코드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드워드는 제 1 레이어에 매핑되고, 상기 제 2 코드워드는 제 2 레이어 및 제 3 레이어에 매핑되고,
    상기 ACK/NACK 정보는, 상기 제 1 코드워드에 대해서는 오류가 검출되지 않은 것 및 상기 제 2 코드워드에 대해서는 오류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통신 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코드워드의 재송이 복수회 행해지는 경우, 상기 공통의 직교 계열을 상기 재송이 행해질 때마다 변경하는 통신 방법.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직교 계열은, 상기 1개의 코드워드의 홀수회째의 재송과 짝수회째의 재송에서 상이한 직교 계열이 되도록 설정되는 통신 방법.
  13. 각각이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된 복수의 코드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되어 있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의 각각에, 복조용 참조 신호가 배치되어 있고, 통신 상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조용 참조 신호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순회 쉬프트량 중 1개의 순회 쉬프트량과,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직교 계열 중 1개의 직교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1개의 순회 쉬프트량을 특정하기 위한 인덱스와 상기 1개의 직교 계열의 조합으로서 복수의 조합이 준비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된 1개의 코드워드에 오류가 검출되고, 상기 1개의 코드워드가 재송되는 경우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하여, 첫회 송신시에 있어서 공통의 직교 계열이 이용되었는지 상이한 직교 계열이 이용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복조용 참조 신호를 생성하는데 상기 복수의 레이어 사이에서 공통의 직교 계열이 이용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복수의 코드워드의 각각에 대하여, 오류 검출을 행하는 오류 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의 각각에 대한 상기 오류 검출의 결과를 나타내는 ACK/NACK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코드워드를 재송하는데 이용되는 레이어의 수는,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총 레이어의 수보다 적은 기지국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ACK/NACK 정보를, HARQ 통지 채널(PHICH)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
  16. 각각이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된 복수의 코드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되어 있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의 각각에, 복조용 참조 신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조용 참조 신호는, 통신 상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순회 쉬프트량 중 1개의 순회 쉬프트량과,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직교 계열 중 1개의 직교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1개의 순회 쉬프트량을 특정하기 위한 인덱스와 상기 1개의 직교 계열의 조합으로서 복수의 조합이 준비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된 1개의 코드워드에 오류가 검출되고, 상기 1개의 코드워드가 재송되는 경우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하여, 첫회 송신시에 있어서 공통의 직교 계열이 이용되었는지 상이한 직교 계열이 이용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복조용 참조 신호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사이에서 공통의 직교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되어 있고,
    상기 수신한 복수의 코드워드의 각각에 대하여, 오류 검출을 행하고,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의 각각에 대한 상기 오류 검출의 결과를 나타내는 ACK/NACK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코드워드를 재송하는데 이용되는 레이어의 수는,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총 레이어의 수보다 적은 통신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ACK/NACK 정보는, HARQ 통지 채널(PHICH)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통신 방법.
  19. 복수의 코드워드의 각각을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하고,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되어 있는 처리와,
    상기 매핑된 복수의 코드워드를 송신하는 처리와,
    상기 송신된 복수의 코드워드의 각각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ACK/NACK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와,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순회 쉬프트량 중 1개의 순회 쉬프트량과,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직교 계열 중 1개의 직교 계열을 이용하여 복조용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1개의 순회 쉬프트량을 특정하기 위한 인덱스와 상기 1개의 직교 계열의 조합으로서 복수의 조합이 준비되어 있고, 상기 수신한 ACK/NACK 정보가,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된 1개의 코드워드의 재송 요구를 나타내는 경우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하여, 첫회 송신시에 있어서 공통의 직교 계열이 이용되었는지 상이한 직교 계열이 이용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복수의 레이어 사이에서 공통의 직교 계열을 이용하여 상기 복조용 참조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와,
    상기 생성된 복조용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
    를 제어하는 집적 회로.
  20. 각각이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된 복수의 코드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되어 있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의 각각에, 복조용 참조 신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조용 참조 신호는, 통신 상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순회 쉬프트량 중 1개의 순회 쉬프트량과,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직교 계열 중 1개의 직교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1개의 순회 쉬프트량을 특정하기 위한 인덱스와 상기 1개의 직교 계열의 조합으로서 복수의 조합이 준비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된 1개의 코드워드에 오류가 검출되고, 상기 1개의 코드워드가 재송되는 경우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하여, 첫회 송신시에 있어서 공통의 직교 계열이 이용되었는지 상이한 직교 계열이 이용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복조용 참조 신호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사이에서 공통의 직교 계열을 이용하여 생성되어 있는 처리와,
    상기 수신한 복수의 코드워드의 각각에 대하여, 오류 검출을 행하는 처리와,
    상기 복수의 코드워드의 각각에 대한 상기 오류 검출의 결과를 나타내는 ACK/NACK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
    를 제어하는 집적 회로.
KR1020137003251A 2010-08-13 2011-07-29 단말 장치,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집적 회로 KR101795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81344 2010-08-13
JP2010181344 2010-08-13
PCT/JP2011/004322 WO2012020552A1 (ja) 2010-08-13 2011-07-29 端末装置、基地局装置、再送方法及びリソース割当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898A Division KR101821947B1 (ko) 2010-08-13 2011-07-29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770A KR20130100770A (ko) 2013-09-11
KR101795108B1 true KR101795108B1 (ko) 2017-11-15

Family

ID=455675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898A KR101821947B1 (ko) 2010-08-13 2011-07-29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0137003251A KR101795108B1 (ko) 2010-08-13 2011-07-29 단말 장치,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집적 회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898A KR101821947B1 (ko) 2010-08-13 2011-07-29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6) US9730188B2 (ko)
EP (3) EP3525378B1 (ko)
JP (2) JP5698749B2 (ko)
KR (2) KR101821947B1 (ko)
CN (2) CN103069734B (ko)
BR (1) BR112013003381B1 (ko)
DK (1) DK2605434T3 (ko)
ES (1) ES2729939T3 (ko)
MX (1) MX2013001707A (ko)
RU (1) RU2564449C2 (ko)
TR (1) TR201907929T4 (ko)
TW (1) TWI520648B (ko)
WO (1) WO2012020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8749B2 (ja) * 2010-08-13 2015-04-0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装置、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JP6044901B2 (ja) 2012-05-11 2016-12-14 サン パテント トラスト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US8885590B2 (en) * 2012-05-18 2014-11-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pilot channels
EP2931237B1 (en) * 2012-12-17 2018-04-04 Unilever PLC, a company registered in England and Wales under company no. 41424 of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20140269409A1 (en) * 2013-03-14 2014-09-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xplicit signaling of number of receiver antennas
PL3637920T3 (pl) * 2014-06-24 2022-06-20 Sun Patent Trust Terminal, stacja bazowa, sposób transmisji i sposób odbioru
CN106301662A (zh) * 2015-05-14 2017-01-04 株式会社Ntt都科摩 数据发送和接收方法以及数据发送和接收设备
WO2017069798A1 (en) * 2015-10-20 2017-04-27 Intel IP Corporation Contention window size adaptation
US10448285B2 (en) * 2015-12-22 2019-10-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ity handling in ultra dense networks
US10652759B2 (en) * 2016-04-26 2020-05-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high reliability and low latency traffic
JP2019153823A (ja) * 2016-07-15 2019-09-1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7708209B (zh) * 2016-08-09 2023-10-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非正交多址接入的重传数据接收、发送方法及装置
JP2018117274A (ja) 2017-01-19 2018-07-2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端末
US10454644B2 (en) * 2017-03-24 2019-10-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ulti-cluster uplink transmissions
US10419181B2 (en) * 2017-03-31 2019-09-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overhead reduction
WO2019031854A1 (ko) * 2017-08-08 2019-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2532560B (zh) * 2020-12-01 2023-01-31 四川灵通电讯有限公司 在铜线传输中自适应调制qam调制方式的系统及应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3229A1 (en) * 2002-12-24 2004-06-24 Jung-Im Kim Encoding/decoding apparatus using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
US20080311942A1 (en) * 2007-06-15 200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nd acquiring ack/nack resour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96229A1 (en) * 2008-01-29 2009-08-06 Zukang Shen ACKNAK and CQI Channel Mapping Schemes in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8717B2 (en) * 2002-02-15 2007-11-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t diversity with adaptive basis
US7693110B2 (en) * 2004-09-16 2010-04-06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signaling for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CN1790976A (zh) * 2004-12-17 2006-06-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多天线传输中的重传方法
RU2396714C1 (ru) * 2006-04-12 2010-08-1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опорных сигналов в системе с многими входами и многими выходами (mimo)
ES2922751T3 (es) * 2007-02-14 2022-09-20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Mapeo entre palabras codificadas y capas en un sistema que implementa HARQ
US8379738B2 (en) 2007-03-16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performance and enable fast decoding of transmissions with multiple code blocks
EP3432504B1 (en) * 2007-10-30 2021-06-2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pparatuses, system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source allocation
JP5296801B2 (ja) * 2007-12-03 2013-09-2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空間多重化のためのプリコーダ、多重アンテナ送信機
KR101430470B1 (ko) * 2008-01-04 201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Harq 방식을 이용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신호재전송 방법
US8699426B2 (en) 2008-03-26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591086B1 (ko) * 2008-05-21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CN101309134B (zh) * 2008-06-23 2013-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数据接收状态的通知方法
US8611261B2 (en) * 2008-06-24 2013-12-17 Nokia Siemens Networks Oy Control channel signaling for multiple ACK/NACK assignments
US8503425B2 (en) * 2008-07-22 2013-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phich and generating reference signal in system using single-user MIMO based on multiple codewords when transmitting uplink
TWI416977B (zh) 2008-08-19 2013-11-21 Korea Electronics Telecomm 傳送確認/負面確認的方法及裝置
AU2009294302A1 (en) * 2008-09-18 2010-03-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patial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with enhanced codeword mapping with flexible rate selection on each spatial layer and with single HARQ process
US8245092B2 (en) * 2008-11-03 2012-08-14 Apple Inc. Method for efficient control signaling of two codeword to one codeword transmission
CN101465720B (zh) * 2009-01-23 2013-08-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发送上行harq反馈信息的方法和装置
JP5546138B2 (ja) 2009-02-06 2014-07-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廃棄物容器および廃棄物収納方法
KR101649458B1 (ko) * 2009-03-16 2016-08-19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반송파 집적 및 클러스터된 dft를 갖는 업링크 mimo용 데이터 및 제어 다중화
US9319183B2 (en) * 2009-07-30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and decoding status signaling for uplink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JP5087061B2 (ja) * 2009-10-30 2012-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2055559A (zh) * 2009-10-30 201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与装置
KR101787097B1 (ko) * 2009-11-18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CN101741462B (zh) 2009-12-14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解调参考信号动态循环移位参数的处理方法
US9148261B2 (en) * 2009-12-17 2015-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HARQ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801097B (zh) * 2010-01-08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物理上行共享信道调度信息的指示方法
CN101800622B (zh) * 2010-01-08 2015-10-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物理上行共享信道的信令配置方法及系统
US9258160B2 (en) * 2010-01-11 2016-02-09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02687438B (zh) * 2010-01-18 2016-03-30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提供信道质量信息的方法和设备
US9130719B2 (en) * 2010-02-11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indicating a DM-RS antenna 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567084T3 (es) * 2010-03-29 2016-04-19 Lg Electronics Inc. Método y dispositivo eficaces para transmitir información de control destinados a dar apoyo a la transmisión multiantena en el enlace ascendente
US8848600B2 (en) * 2010-03-29 2014-09-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support uplink multiple antenna transmission
US9473270B2 (en) * 2010-03-29 2016-10-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support uplink multiple antenna transmission
US20120327880A1 (en) * 2010-04-28 2012-12-27 Joon Kui Ah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extended uplink acknowledgemen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707398B2 (ja) * 2010-06-21 2015-04-3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装置、基地局装置、再送方法及び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EP2590338B1 (en) * 2010-07-02 2020-03-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using codebook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multiple antennas
KR101227520B1 (ko) * 2010-07-09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698749B2 (ja) * 2010-08-13 2015-04-0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装置、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CN102377549A (zh) * 2010-08-17 2012-03-14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非自适应重传的方法和装置
EP2696521B1 (en) * 2011-04-04 2019-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3229A1 (en) * 2002-12-24 2004-06-24 Jung-Im Kim Encoding/decoding apparatus using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
US20080311942A1 (en) * 2007-06-15 200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nd acquiring ack/nack resour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96229A1 (en) * 2008-01-29 2009-08-06 Zukang Shen ACKNAK and CQI Channel Mapping Schemes in Wirel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770A (ko) 2013-09-11
EP3525378B1 (en) 2020-12-09
EP3525378A1 (en) 2019-08-14
EP2605434A4 (en) 2017-09-06
EP2680482B1 (en) 2019-04-24
US11949626B2 (en) 2024-04-02
US20200153595A1 (en) 2020-05-14
MX2013001707A (es) 2013-02-26
RU2564449C2 (ru) 2015-10-10
US9730188B2 (en) 2017-08-08
KR20170122852A (ko) 2017-11-06
BR112013003381A2 (pt) 2017-10-24
TR201907929T4 (tr) 2019-06-21
US20130142160A1 (en) 2013-06-06
EP2605434B1 (en) 2019-03-13
JPWO2012020552A1 (ja) 2013-10-28
US20210226758A1 (en) 2021-07-22
US20190158254A1 (en) 2019-05-23
JP5872080B2 (ja) 2016-03-01
EP2680482A3 (en) 2017-12-20
ES2729939T3 (es) 2019-11-07
US10237043B2 (en) 2019-03-19
WO2012020552A1 (ja) 2012-02-16
CN105207702B (zh) 2018-06-08
US10999040B2 (en) 2021-05-04
RU2013105781A (ru) 2014-09-20
US11569965B2 (en) 2023-01-31
EP2680482A2 (en) 2014-01-01
JP5698749B2 (ja) 2015-04-08
KR101821947B1 (ko) 2018-01-24
TW201215203A (en) 2012-04-01
EP2605434A1 (en) 2013-06-19
US20170302423A1 (en) 2017-10-19
JP2015122790A (ja) 2015-07-02
BR112013003381B1 (pt) 2021-09-21
US20230142975A1 (en) 2023-05-11
CN103069734B (zh) 2015-09-30
US10567138B2 (en) 2020-02-18
DK2605434T3 (da) 2019-05-27
CN103069734A (zh) 2013-04-24
TWI520648B (zh) 2016-02-01
CN105207702A (zh)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108B1 (ko) 단말 장치,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집적 회로
KR101688546B1 (ko) Lte시스템에서 phich에 의한 역방향 mimo 재전송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124325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retransmission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ES2483790T3 (es) Método y aparato para el control de retransmisión en enlace ascendente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que soporta MIMO
KR101526023B1 (ko) Ofdm 시스템들에서 채널 인터리빙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100518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in a multiple antenna system
TWI517616B (zh) 在多重輸入多重輸出系統用於改善無線電資源分配之配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