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247B1 -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247B1
KR101794247B1 KR1020160039027A KR20160039027A KR101794247B1 KR 101794247 B1 KR101794247 B1 KR 101794247B1 KR 1020160039027 A KR1020160039027 A KR 1020160039027A KR 20160039027 A KR20160039027 A KR 20160039027A KR 101794247 B1 KR101794247 B1 KR 101794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ormation area
scroll
us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240A (ko
Inventor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24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이어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조작의 세기의 정도에 관한 조작 량 정보를 파악하는 조작량 정보 파악부 및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정보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도달 시에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부가 파악한 조작량 정보를 설정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조작량 정보를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전달하여 제2 정보 영역의 순차적 이동하는데 사용할지를 판단하는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아이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Information area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rea}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자들은 다양한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로 취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들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는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근래에는 사용자들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종전보다 증가된 많은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있다.
또한, 전자 상거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온라인 쇼핑몰, 온라인 경매, 오픈 마켓 또는 소셜 커머스 기타 다양한 형태의 구매 사이트가 온라인상에서 구현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이러한 전자 상거래를 위한 구매 사이트에는 다른 사이트보다 많은 종류의 정보, 많은 개수의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종류 또는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정보 영역을 나열 또는 디스플레이하는데 한계가 있고, 특히 사용자의 인식력 및 편의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정보 영역을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이어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조작의 세기의 정도에 관한 조작 량 정보를 파악하는 조작량 정보 파악부 및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정보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도달 시에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부가 파악한 조작량 정보를 설정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조작량 정보를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전달하여 제2 정보 영역의 순차적 이동하는데 사용할지를 판단하는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아이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제1 스크롤을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제1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스크롤의 형태를 제어하는 제1 스크롤 형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제2 스크롤을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제2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스크롤의 형태를 제어하는 제2 스크롤 형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부는 사용자의 조작의 속도를 인식하는 조작 속도 조사부, 사용자의 조작의 길이를 인식하는 조작 길이 조사부 또는 사용자의 조작의 압력을 인식하는 조작 압력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시에, 상기 제1 정보 영역의 전체가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완료된 경우, 최종 이동을 의도한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의 조작에 대응한 조작량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를 파악하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파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량의 크기를 설정 조건으로 정하고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부가 파악한 조작량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설정 조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이어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조작의 세기의 정도에 관한 조작 량 정보를 파악하는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 및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에 의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정보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도달 시에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에서 파악한 조작량 정보를 설정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조작량 정보를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에 전달하여 제2 정보 영역의 순차적 이동하는데 사용할지를 판단하는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템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제1 스크롤을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제1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제1 스크롤의 형태를 제어하는 제1 스크롤 형태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제2 스크롤을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제2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제2 스크롤의 형태를 제어하는 제2 스크롤 형태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의 속도를 인식하는 조작 속도 조사 단계, 사용자의 조작의 길이를 인식하는 조작 길이 조사 단계 또는 사용자의 조작의 압력을 인식하는 조작 압력 조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시에, 상기 제1 정보 영역의 전체가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완료된 경우, 최종 이동을 의도한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의 조작에 대응한 조작량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를 파악하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파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량의 크기를 설정 조건으로 정하고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에서 파악한 조작량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설정 조건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에게 정보 영역을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조작량 정보 파악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계(S10)의 기능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단계(S20)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단계(S30)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단계(S40)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10),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 조작량 정보 파악부(130) 및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10)는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제1 스크롤을 화면의 일 영역, 예를들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스크롤은 제1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스크롤의 길이는 제1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에 반비례할 수 있다. 즉, 제1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수록 제1 스크롤의 길이는 짧을 수 있다. 이는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모두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하려면 제1 스크롤이 여러 번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 번 조작, 예를들면 제1 방향으로의 의도를 포함한 마우스 스크롤링, 터치를 통한 스크롤링 또는 드래깅을 여러 번 하여야 제1 정보 영역의 전체가 제1 방향으로 모두 이동하여 디스플레이가 완료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을 때, 또는 복수 개의 제1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이동할 제1 정보 영역이 없을 때 상기 제1 스크롤도 더 이상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때 추가적인 예로서 제1 스크롤이 단말기의 화면의 영역 중 제1 방향으로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은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스크롤링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은 제1 방향으로의 터치 플릭킹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은 제1 방향으로의 마우스 스크롤링일 수 있다.
기타, 다양한 조작의 종류가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이어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과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과 제1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의 세로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가장 상단의 제1 정보 영역에 인접하도록 가장 상단의 제1 정보 영역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제2 스크롤을 화면의 일 영역, 예를들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러한 제2 스크롤은 제2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스크롤의 길이는 제2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에 반비례할 수 있다. 즉, 제2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수록 제2 스크롤의 길이는 짧을 수 있다. 이는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모두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하려면 제2 스크롤이 여러 번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 번 조작, 예를들면 제1 방향으로의 의도를 포함한 스크롤 또는 터치 등을 여러 번 하여야 제2 정보 영역의 전체가 제1 방향으로 모두 이동하여 디스플레이가 완료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정보 영역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을 때, 또는 복수 개의 제2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이동할 제2 정보 영역이 없을 때 상기 제2 스크롤도 더 이상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때 추가적인 예로서 제2 스크롤이 단말기의 화면의 영역 중 제1 방향으로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은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스크롤링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은 제1 방향으로의 터치 플릭킹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은 제1 방향으로의 마우스 스크롤링일 수 있다.
기타, 다양한 조작의 종류가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할 수 있다.
조작량 정보 파악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조작의 세기의 정도에 관한 조작 량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시, 조작량 정보 파악부(130)는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제1 정보 영역의 이동을 위한 조작, 예를들면 스크롤링, 터칭 또는 드래깅을 인식하고, 특히 조작의 세기의 정도에 관한 조작량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면 조작량 정보 파악부(130)는 사용자의 터치 스크롤링 또는 터치 플릭킹이 있을 경우 터치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서 터치의 길이 터치의 제1 방향으로의 속도, 터치의 압력을 파악하고, 이를 조작량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조작량 정보 파악부(130)는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제2 정보 영역의 이동을 위한 조작, 예를들면 터치 스크롤링, 터치 플릭킹, 마우스 스크롤링 또는 드래깅을 인식하고, 특히 조작의 세기의 정도에 관한 조작량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10)에 의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정보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도달 시에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부가 파악한 조작량 정보를 설정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조작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전달하여 제2 정보 영역의 순차적 이동을 진행하게 할지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시에, 상기 제1 정보 영역의 전체가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완료된 경우, 최종 이동을 의도한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의 조작에 대응한 조작량 정보(이를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라고 지칭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라고 한다)를 조작량 정보 파악부(130)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 중 제1 정보 영역의 최종 이동에 사용된 정보를 뺀 값을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라고 지칭한다(물론, 이에 대응되는 제2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도 존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터치 플릭킹을 통하여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가 100이고, 이를 통하여 제1 정보 영역이 최후로 이동하는데 사용된 정보가 40인 경우,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는 60이다.
이러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미리 정해진 설정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140)는 판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설정 조건은 조작량 정보의 크기에 대응하는 값이고,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140)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의 예에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60이고, 설정 조건이 50인 경우 설정 조건을 초과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그리고,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140)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할 경우,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의 전체를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예에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60이고, 설정 조건이 50인 경우 설정 조건을 초과하므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60을 모두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설정 조건은 제1 정보 영역에서 제2 정보 영역으로 넘어가기 위한 조작량의 문턱 조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140)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할 경우,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의 일부, 즉 미리 정해진 제한 수치를 뺀 나머지의 정보만을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예에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60이고, 설정 조건이 50이고, 제한 수치가 30인 경우 일단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하므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인 60 중 제한 수치인 30을 제외한 30을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를 통한 제2 정보 영역의 디스플레이는 제1 정보 영역의 최종 디스플레이 시의 이동 속도보다 느려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정보 영역에서 제2 정보 영역으로 넘어갈 때의 변화를 줄 수 있다.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전달받은 조작량 정보의 크기만큼을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140)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과 같거나 설정 조건보다 작을 경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10)를 통한 제1 정보 영역의 최종적 디스플레이가 완료된 후 제2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새로운 조작이 인식될 경우에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제2 정보 영역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시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140)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할 경우, 초과된 크기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에 전달되어 제2 정보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제2 정보 영역이 제1 정보 영역에 이어 바로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약간의 정지 시간을 가진 후 제2 정보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제1 정보 영역이 설정 시간 동안 이동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되어, 제1 정보 영역에서 제2 정보 영역으로 넘어갈 때 약간의 걸림 현상이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정보 영역으로부터 제1 정보 영역으로의 이동, 즉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디스플레이 시에도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140)는 상기의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10')는 제1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부(112') 및 제1 스크롤 형태 제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부(112')는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제1 스크롤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1 정보 영역의 이동에 따라 제1 스크롤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스크롤 형태 제어부(114')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스크롤의 형태를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제1 스크롤의 길이를 정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서 제1 스크롤의 길이는 제1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에 반비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이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제1 정보 영역의 전체의 제1 방향의 길이의 합에 반비례하도록 제1 스크롤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스크롤 형태 제어부(114')는 제1 정보 영역의 전체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되고 이어서 인접한 제2 정보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기 시작할 때 제1 스크롤을 후술할 제2 스크롤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정보 영역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 더 많이 증가하면, 예를들면 제2 정보 영역만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면 제1 스크롤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제2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부(122') 및 제2 스크롤 형태 제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부(122')는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제2 스크롤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2 정보 영역의 이동에 따라 제2 스크롤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스크롤 형태 제어부(124')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2 스크롤의 형태를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제2 스크롤의 길이를 정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서 제2 스크롤의 길이는 제2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에 반비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2 정보 영역이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제2 정보 영역의 전체의 제1 방향의 길이의 합에 반비례하도록 제2 스크롤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스크롤 형태 제어부(124')는 제2 정보 영역의 전체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되고 이어서 인접한 제1 정보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기 시작할 때 제2 스크롤을 제1 스크롤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정보 영역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 더 많이 증가하면, 예를들면 제1 정보 영역만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면 제2 스크롤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조작량 정보 파악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작량 정보 파악부(130')는 조작 방향 조사부(132'), 조작 속도 조사부(134') 및 조작 길이 조사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조작량 정보 파악부(130')가 조작 방향 조사부(132'), 조작 속도 조사부(134') 및 조작 길이 조사부(136')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조작량 정보 파악부(130')는 조작 방향 조사부(132'), 조작 속도 조사부(134') 및 조작 길이 조사부(13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방향 조사부(132')는 사용자의 조작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제1 정보 영역 또는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 또는 이와 반대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조작 시 이러한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 인식은 다양한 조작의 종류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스크롤링, 터치 플릭킹, 마우스 스크롤링 또는 드래깅을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속도 조사부(134')는 사용자의 조작 시 조작의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제1 정보 영역 또는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 또는 이와 반대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조작 시 이러한 조작의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터치 스크롤링 또는 터치 플릭킹 시의 제1 방향으로의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조작 길이 조사부(136')는 사용자의 조작 시 조작의 길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제1 정보 영역 또는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 또는 이와 반대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조작 시 이러한 조작의 길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터치 스크롤링 또는 터치 플릭킹 시의 제1 방향으로의 조작 길이를 인식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조작량 정보 파악부(130')는 조작 시 터치 스크롤링 또는 터치 플릭킹 시의 터치 압력의 크기를 파악할 수도 있다.
조작량 정보 파악부(130')는 이러한 조작의 길이, 조작의 속도, 방향을 고려하여 조작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조작량 정보는 조작의 속도, 조작의 길이 또는 조작의 압력이 클수록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플릭킹을 제1 방향으로 빠르게 할 경우 느리게 한 경우보다 조작량 정보가 클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140')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파악부(142'), 설정 조건 제어부(144') 및 정지 처리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파악부(142')는 조작량 정보 파악부가 파악한 조작량 정보를 통하여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시에, 상기 제1 정보 영역의 전체가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완료된 경우, 최종 이동을 의도한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의 조작에 대응한 조작량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에서 제1 정보 영역의 최종 이동에 사용된 정보를 뺀 값을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로 파악할 수 있다.
설정 조건 제어부(144')는 조작량 정보의 크기를 설정 조건으로 정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조건 제어부(144')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를 설정 조건과 비교하여 설정 조건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지 처리부(146')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과 같거나 설정 조건보다 작을 경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한 제1 정보 영역의 최종적 디스플레이가 완료된 후 제2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정지 처리부(146')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할 경우에도, 초과된 정보가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전달되어 제2 정보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기 전에 제1 정보 영역의 이동이 멈추고 제2 정보 영역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정해진 정지 시간을 유지한 후에 제2 정보 영역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하여 제1 정보 영역에서 제2 정보 영역으로 넘어가면서 약간의 걸림 현상이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에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제1 정보 영역에 인접한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에 이어어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조작량 정보 파악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고, 조작량을 파악하여,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제1 정보 영역에서 제2 정보 영역으로의 조작량 정보를 설정 조건에 대응하여 전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 조건보다 초과할 경우에만 일부 또는 전체를 인접한 제2 정보 영역의 이동을 통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의 순차적 이동의 디스플레이를 구별할 수 있다. 즉, 선택적 실시예로 디스플레이하는 제1 스크롤 및 제2 스크롤을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1 정보 영역에서 제2 정보 영역으로의 넘어갈 때 구별을 주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제1 스크롤의 길이 및 제2 스크롤의 길이를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이러한 구별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길이 또는 상이한 내용을 갖는 제1 정보 영역과 제2 정보 영역의 디스플레이 처리를 구별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간적 휴지 또는 시각적 휴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생소함을 통한 정보 영역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정보 영역과 제2 정보 영역에 대한 정지 처리를 선택적으로 할 경우 정보 가독력을 높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설정 조건초과 시 제2 정보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전달하므로 제1 정보 영역과 제2 정보 영역이 전체적으로 볼 때 통일성을 갖는 범위를 줄 수 있어 정보 영역의 통합 및 분류에 대하여 직관적인 느낌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0),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S30) 및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40)를 포함한다.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0)는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제1 스크롤을 화면의 일 영역, 예를들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스크롤은 제1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스크롤의 길이는 제1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에 반비례할 수 있다. 즉, 제1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수록 제1 스크롤의 길이는 짧을 수 있다. 이는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모두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하려면 제1 스크롤이 여러 번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 번 조작, 예를들면 제1 방향으로의 의도를 포함한 마우스 스크롤링, 터치를 통한 스크롤링 또는 드래깅을 여러 번 하여야 제1 정보 영역의 전체가 제1 방향으로 모두 이동하여 디스플레이가 완료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을 때, 또는 복수 개의 제1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이동할 제1 정보 영역이 없을 때 상기 제1 스크롤도 더 이상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때 추가적인 예로서 제1 스크롤이 단말기의 화면의 영역 중 제1 방향으로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은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스크롤링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은 제1 방향으로의 터치 플릭킹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은 제1 방향으로의 마우스 스크롤링일 수 있다.
기타, 다양한 조작의 종류가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이어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과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과 제1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의 세로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가장 상단의 제1 정보 영역에 인접하도록 가장 상단의 제1 정보 영역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는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제2 스크롤을 화면의 일 영역, 예를들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러한 제2 스크롤은 제2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스크롤의 길이는 제2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에 반비례할 수 있다. 즉, 제2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수록 제2 스크롤의 길이는 짧을 수 있다. 이는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모두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하려면 제2 스크롤이 여러 번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 번 조작, 예를들면 제1 방향으로의 의도를 포함한 스크롤 또는 터치 등을 여러 번 하여야 제2 정보 영역의 전체가 제1 방향으로 모두 이동하여 디스플레이가 완료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정보 영역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을 때, 또는 복수 개의 제2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이동할 제2 정보 영역이 없을 때 상기 제2 스크롤도 더 이상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때 추가적인 예로서 제2 스크롤이 단말기의 화면의 영역 중 제1 방향으로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은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스크롤링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은 제1 방향으로의 터치 플릭킹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은 제1 방향으로의 마우스 스크롤링일 수 있다.
기타, 다양한 조작의 종류가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할 수 있다.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S30)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조작의 세기의 정도에 관한 조작 량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시,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S30)는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제1 정보 영역의 이동을 위한 조작, 예를들면 스크롤링, 터칭 또는 드래깅을 인식하고, 특히 조작의 세기의 정도에 관한 조작량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면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S30)는 사용자의 터치 스크롤링 또는 터치 플릭킹이 있을 경우 터치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서 터치의 길이 터치의 제1 방향으로의 속도, 터치의 압력을 파악하고, 이를 조작량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S30)는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제2 정보 영역의 이동을 위한 조작, 예를들면 터치 스크롤링, 터치 플릭킹, 마우스 스크롤링 또는 드래깅을 인식하고, 특히 조작의 세기의 정도에 관한 조작량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40)는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0)에 의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정보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도달 시에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부가 파악한 조작량 정보를 설정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조작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전달하여 제2 정보 영역의 순차적 이동을 진행하게 할지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시에, 상기 제1 정보 영역의 전체가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완료된 경우, 최종 이동을 의도한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의 조작에 대응한 조작량 정보(이를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라고 지칭함)를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S30)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 중 제1 정보 영역의 최종 이동에 사용된 정보를 뺀 값을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라고 지칭한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터치 플릭킹을 통하여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가 100이고, 이를 통하여 제1 정보 영역이 최후로 이동하는데 사용된 정보가 40인 경우,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는 60이다.
이러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미리 정해진 설정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40)는 판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설정 조건은 조작량 정보의 크기에 대응하는 값이고,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40)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의 예에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60이고, 설정 조건이 50인 경우 설정 조건을 초과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그리고,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40)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할 경우,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의 전체를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예에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60이고, 설정 조건이 50인 경우 설정 조건을 초과하므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60을 모두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에 전달할 수 있다.
설정 조건은 제1 정보 영역에서 제2 정보 영역으로 넘어가기 위한 조작량의 문턱 조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40)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할 경우,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의 일부, 즉 미리 정해진 제한 수치를 뺀 나머지의 정보만을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예에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60이고, 설정 조건이 50이고, 제한 수치가 30인 경우 일단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하므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인 60 중 제한 수치인 30을 제외한 30을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정보 영역의 디스플레이는 제1 정보 영역의 최종 디스플레이 시의 이동 속도보다 느려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정보 영역에서 제2 정보 영역으로 넘어갈 때의 변화를 줄 수 있다.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는 전달받은 조작량 정보의 크기만큼을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40)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과 같거나 설정 조건보다 작을 경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0)를 통한 제1 정보 영역의 최종적 디스플레이가 완료된 후 제2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새로운 조작이 인식될 경우에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는 제2 정보 영역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시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40)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할 경우, 초과된 크기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에 전달되어 제2 정보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제2 정보 영역이 제1 정보 영역에 이어 바로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약간의 정지 시간을 가진 후 제2 정보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제1 정보 영역이 설정 시간 동안 이동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되어, 제1 정보 영역에서 제2 정보 영역으로 넘어갈 때 약간의 걸림 현상이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정보 영역으로부터 제1 정보 영역으로의 이동, 즉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디스플레이 시에도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40)는 상기의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단계(S10)의 기능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0')는 제1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 단계(S12') 및 제1 스크롤 형태 제어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 단계(S12')는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제1 스크롤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1 정보 영역의 이동에 따라 제1 스크롤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스크롤 형태 제어 단계(S14')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스크롤의 형태를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제1 스크롤의 길이를 정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서 제1 스크롤의 길이는 제1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에 반비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이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제1 정보 영역의 전체의 제1 방향의 길이의 합에 반비례하도록 제1 스크롤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스크롤 형태 제어 단계(S14')는 제1 정보 영역의 전체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되고 이어서 인접한 제2 정보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기 시작할 때 제1 스크롤을 후술할 제2 스크롤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정보 영역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 더 많이 증가하면, 예를들면 제2 정보 영역만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면 제1 스크롤을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단계(S20)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는 제2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 단계(S22') 및 제2 스크롤 형태 제어 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 단계(S22')는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제2 스크롤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2 정보 영역의 이동에 따라 제2 스크롤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스크롤 형태 제어 단계(S24')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2 스크롤의 형태를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제2 스크롤의 길이를 정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서 제2 스크롤의 길이는 제2 정보 영역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에 반비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2 정보 영역이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제2 정보 영역의 전체의 제1 방향의 길이의 합에 반비례하도록 제2 스크롤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스크롤 형태 제어 단계(S24')는 제2 정보 영역의 전체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되고 이어서 인접한 제1 정보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기 시작할 때 제2 스크롤을 제1 스크롤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정보 영역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 더 많이 증가하면, 예를들면 제1 정보 영역만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면 제2 스크롤을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단계(S30)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S30')는 조작 방향 조사 단계(S32'), 조작 속도 조사 단계(S34') 및 조작 길이 조사 단계(S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는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S30')가 조작 방향 조사 단계(S32'), 조작 속도 조사 단계(S34') 및 조작 길이 조사 단계(S36')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S30')는 조작 방향 조사 단계(S32'), 조작 속도 조사 단계(S34') 및 조작 길이 조사 단계(S3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방향 조사 단계(S32')는 사용자의 조작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제1 정보 영역 또는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 또는 이와 반대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조작 시 이러한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 인식은 다양한 조작의 종류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스크롤링, 터치 플릭킹, 마우스 스크롤링 또는 드래깅을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속도 조사 단계(S34')는 사용자의 조작 시 조작의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제1 정보 영역 또는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 또는 이와 반대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조작 시 이러한 조작의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터치 스크롤링 또는 터치 플릭킹 시의 제1 방향으로의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조작 길이 조사 단계(S36')는 사용자의 조작 시 조작의 길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제1 정보 영역 또는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 또는 이와 반대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조작 시 이러한 조작의 길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터치 스크롤링 또는 터치 플릭킹 시의 제1 방향으로의 조작 길이를 인식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S30')는 조작 시 터치 스크롤링 또는 터치 플릭킹 시의 터치 압력의 크기를 파악할 수도 있다.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S30')는 이러한 조작의 길이, 조작의 속도, 방향을 고려하여 조작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조작량 정보는 조작의 속도, 조작의 길이 또는 조작의 압력이 클수록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플릭킹을 제1 방향으로 빠르게 할 경우 느리게 한 경우보다 조작량 정보가 클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단계(S40)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40')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파악 단계(S42'), 설정 조건 제어 단계(S44') 및 정지 처리 단계(S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파악 단계(S42')는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에서 파악한 조작량 정보를 통하여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시에, 상기 제1 정보 영역의 전체가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완료된 경우, 최종 이동을 의도한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의 조작에 대응한 조작량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 정보 영역의 최종 이동에 사용된 정보를 뺀 값을 파악할 수 있다.
설정 조건 제어 단계(S44')는 조작량 정보의 크기를 설정 조건으로 정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조건 제어 단계(S44')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를 설정 조건과 비교하여 설정 조건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지 처리 단계(S46')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과 같거나 설정 조건보다 작을 경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한 제1 정보 영역의 최종적 디스플레이가 완료된 후 제2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정지 처리 단계(S46')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할 경우에도, 초과된 정보가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전달되어 제2 정보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기 전에 제1 정보 영역의 이동이 멈추고 제2 정보 영역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정해진 정지 시간을 유지한 후에 제2 정보 영역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하여 제1 정보 영역에서 제2 정보 영역으로 넘어가면서 약간의 걸림 현상이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1a를 참조하면 정보 영역의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을 참조하면 제1 정보 영역(A) 및 제2 정보 영역(B)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a은 미도시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제1 정보 영역(A) 및 제2 정보 영역(B)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서는 제1 정보 영역(A) 및 제2 정보 영역(B)이 인접하므로 제1 방향, 즉 세로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A)에서 제2 정보 영역(B)순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되거나, 그 반대 방향인 제2 정보 영역(B)에서 제1 정보 영역(A) 순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정보 영역(A)은 2개의 정보 영역, 즉 2개의 영역(A11, A12)을 포함하고, 제2 정보 영역(B)은 이보다 많은 9개의 정보 영역으로서 9개의 영역(B11, B12, B13, B14,…,B18, B1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정보 영역의 순서는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되는 순서와 동일하다.
도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TD)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TD)은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TD)은 모니터, 휴대 단말기의 화면, 태블릿 PC의 화면 등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의 화면일 수 있고,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TD)은 사용자의 터치 기능을 구현하는 터치 스크린 형태일 수 있다.
화면(TD)에는 먼저 제2 정보 영역(B)의 영역(B19)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영역(B19)에는 예를들면 아이템의 세부 옵션 정보 중 한 개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화면(TD)의 우측에는 제2 스크롤(SB)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제2 정보 영역(B)은 제1 방향(DS)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스크롤(SB)도 제1 방향(DS)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스크롤(SB)은 제2 정보 영역(B)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제2 정보 영역(B)의 제1 방향(DS)로의 길이 또는 제2 정보 영역(B)에 포함되는 9개의 영역(B11, B12, B13, B14,…,B18, B19)의 제1 방향(DS)로의 길이의 전체의 합에 반비례하는 것으로서 영역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제2 스크롤(SB)의 길이는 줄어든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제2 정보 영역(B)은 제1 방향(DS)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제2 정보 영역(B)의 영역(B11)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전술한 도 11a를 참조하면 제2 정보 영역(B)의 영역(B11)은 제2 정보 영역(B)의 제1 방향(DS)으로의 최후의 영역에 대응한다.
즉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제2 정보 영역(B)의 영역(B11)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이 때 사용자의 조작을 제2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라고 할 수 있고, 이 중 제2 정보 영역(B)의 영역(B11)으로의 화면 이동에 사용된 정보를 뺀 값을 제2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정보 영역(B)을 제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시에, 상기 제2 정보 영역의 전체가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완료된 경우, 즉 제2 정보 영역(B)의 영역(B11)의 이동이 완료된 경우 최종 이동을 의도한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의 조작에 대응한 조작량 정보가 제2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 중 제2 정보 영역의 최종 이동, 즉 도 11c에 도시된 제2 정보 영역(B)의 영역(B11)의 순차적 이동이 완료되도록 사용된 정보를 뺀 값을 제2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도 11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정보 영역(B)의 영역(B11)에 이어서 영역(B11)과 인접한 제1 정보 영역(A)의 영역(A12, A11)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것과 같이 제2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설정 조건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정지 처리를 통하여 제2 정보 영역(B)의 영역(B11)에 이어서 영역(B11)과 인접한 제1 정보 영역(A)의 영역(A12, A11)이 바로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약간의 걸림 효과 또는 지연 효과를 주도록 정지 처리를 줄 수 있다.
화면(TD)에는 제1 정보 영역(A)의 영역(A12, A11)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예를들면 제1 정보 영역(A)의 영역(A12, A11)에는 제2 정보 영역(B)의 세부 아이템을 포괄하는 요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TD)의 우측에는 제1 스크롤(SA)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제1 정보 영역(A)은 제1 방향(DS)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스크롤(SA)도 제1 방향(DS)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스크롤(SA)은 제1 정보 영역(A)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제1 정보 영역(A)의 제1 방향(DS)로의 길이 또는 제1 정보 영역(A)에 포함되는 2개의 영역(A11, A12)의 제1 방향(DS)로의 길이의 전체의 합에 반비례하는 것으로서 영역의 전체의 개수가 많아지거나 또는 길이가 길어질수록 제1 스크롤(SA)의 길이는 줄어든다.
상기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방향(DS)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에도 상기의 예는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정보 영역(A)에서 제2 정보 영역(B)으로의 순차적 이동을 통한 디스플레이 시에도 상기의 내용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에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단계를 통하여 제1 정보 영역에 인접한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에 이어어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조작량 정보 파악을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고, 조작량을 파악하여,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에서는 제1 정보 영역에서 제2 정보 영역으로의 조작량 정보를 설정 조건에 대응하여 전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 조건보다 초과할 경우에만 일부 또는 전체를 인접한 제2 정보 영역의 이동을 통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의 순차적 이동의 디스플레이를 구별할 수 있다. 즉, 선택적 실시예로 디스플레이하는 제1 스크롤 및 제2 스크롤을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제1 정보 영역에서 제2 정보 영역으로의 넘어갈 때 구별을 주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제1 스크롤의 길이 및 제2 스크롤의 길이를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이러한 구별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길이 또는 상이한 내용을 갖는 제1 정보 영역과 제2 정보 영역의 디스플레이 처리를 구별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간적 휴지 또는 시각적 휴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생소함을 통한 정보 영역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정보 영역과 제2 정보 영역에 대한 정지 처리를 선택적으로 할 경우 정보 가독력을 높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설정 조건초과 시 제2 정보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전달하므로 제1 정보 영역과 제2 정보 영역이 전체적으로 볼 때 통일성을 갖는 범위를 줄 수 있어 정보 영역의 통합 및 분류에 대하여 직관적인 느낌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110: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
120: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
130: 조작량 정보 파악부
140, 140':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

Claims (13)

  1.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이어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조작의 세기의 정도에 관한 조작 량 정보를 파악하는 조작량 정보 파악부; 및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정보 영역의 이동이 제한되는 시점에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부가 파악한 조작량 정보를 설정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조작량 정보를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전달하여 제2 정보 영역의 순차적 이동하는데 사용할지를 판단하는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시에, 상기 제1 정보 영역의 전체에 대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의 마지막 조작의 조작량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를 파악하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파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 중 상기 제1 정보 영역의 이동에 사용된 정보를 뺀 값을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라고 지칭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상기 제2 정보 영역의 최초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사용하는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제1 스크롤을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제1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스크롤의 형태를 제어하는 제1 스크롤 형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제2 스크롤을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제2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 스크롤의 형태를 제어하는 제2 스크롤 형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부는 사용자의 조작의 속도를 인식하는 조작 속도 조사부, 사용자의 조작의 길이를 인식하는 조작 길이 조사부 또는 사용자의 조작의 압력을 인식하는 조작 압력 조사부를 포함하는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량의 크기를 설정 조건으로 정하고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부가 파악한 조작량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설정 조건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이어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조작의 세기의 정도에 관한 조작 량 정보를 파악하는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 및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에 의하여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정보 영역의 이동이 제한되는 시점에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에서 파악한 조작량 정보를 설정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조작량 정보를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에 전달하여 제2 정보 영역의 순차적 이동하는데 사용할지를 판단하는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시에, 상기 제1 정보 영역의 전체에 대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의 마지막 조작의 조작량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를 파악하는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파악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정보 중 상기 제1 정보 영역의 이동에 사용된 정보를 뺀 값을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라고 지칭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정보 영역 최후 조작량 잔여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상기 제2 정보 영역의 최초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사용하는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제1 스크롤을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제1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제1 스크롤의 형태를 제어하는 제1 스크롤 형태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롤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제2 스크롤을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제2 스크롤 이동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제2 스크롤의 형태를 제어하는 제2 스크롤 형태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의 속도를 인식하는 조작 속도 조사 단계, 사용자의 조작의 길이를 인식하는 조작 길이 조사 단계 또는 사용자의 조작의 압력을 인식하는 조작 압력 조사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
  11. 삭제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량의 크기를 설정 조건으로 정하고 상기 조작량 정보 파악 단계에서 파악한 조작량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설정 조건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0항 및 제12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039027A 2016-03-31 2016-03-3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9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027A KR101794247B1 (ko) 2016-03-31 2016-03-3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027A KR101794247B1 (ko) 2016-03-31 2016-03-3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240A KR20170112240A (ko) 2017-10-12
KR101794247B1 true KR101794247B1 (ko) 2017-12-01

Family

ID=6014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027A KR101794247B1 (ko) 2016-03-31 2016-03-3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2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7190A (ja) 2009-01-05 2010-07-15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74980A (ja) 2012-10-03 2014-04-24 Konica Minolta Inc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6035776A (ja) 2015-11-11 2016-03-17 ヤフー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7190A (ja) 2009-01-05 2010-07-15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74980A (ja) 2012-10-03 2014-04-24 Konica Minolta Inc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6035776A (ja) 2015-11-11 2016-03-17 ヤフー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240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9734B (zh) 3d視覺化技術
CN104516675B (zh) 一种可折叠屏幕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MacKenzie et al. FittsTilt: The application of Fitts' law to tilt-based interaction
CN104571918A (zh) 终端单手操作界面触发方法和装置
TWI584164B (zh) 在多點觸控裝置上模擬壓感
CN105474158B (zh) 滑动工具条以切换标签
CN102736844B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CN107547738B (zh) 一种提示方法及移动终端
US20190079663A1 (en) Screenshot method and screenshot apparatus for an electronic terminal
US10649555B2 (en) Input interface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2019061504A5 (ja) 表示制御方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632760B (zh) 书写笔迹圈选方法及装置、触摸设备、可读存储介质
KR101794247B1 (ko)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방법
CN106933462A (zh) 一种移动终端的操作栏排布方法和装置
JP2019051297A5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CN107273374B (zh) 一种下拉窗口的显示方法及装置
CN104951135B (zh) 一种信息处理装置及方法
CN104699393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US201601321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User Input on Basis of Visual Information on User's Fingernails or Toenails
CN104346094A (zh) 显示处理方法和显示处理设备
US10338806B2 (en) Reaching any touch screen portion with one hand
US20150063662A1 (en) Function execution method based on a user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60147364A1 (en) Electronic device, input receiv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WI664997B (zh) 電子設備及玩具控制方法
CN108132721A (zh) 生成拖动手势的方法、触控装置以及便携式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