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172B1 -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및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및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172B1
KR101794172B1 KR1020170067112A KR20170067112A KR101794172B1 KR 101794172 B1 KR101794172 B1 KR 101794172B1 KR 1020170067112 A KR1020170067112 A KR 1020170067112A KR 20170067112 A KR20170067112 A KR 20170067112A KR 101794172 B1 KR101794172 B1 KR 101794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rol unit
boiler
treatmen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성완
김선각
이경미
장선희
서인호
최연규
윤인준
박규성
지은정
김권석
Original Assignee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22D11/006Arrangements of feedwater cleaning with a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0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for draining or expelling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추출수 - 상기 추출수는 보일러의 임의의 지점에서 추출된 물임 - 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전처리수로 변환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수의 일부인 제1 전처리수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항목을 측정하는 계측 과정을 수행하는 전처리측정장치; 및 상기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및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 {Boiler water integrated management uint and Boiler wate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및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보일러수의 전처리 과정 및 계측 과정이 수행되고 상기 과정을 제어 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및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발전설비는 출력에 따라 다르지만, 1호기 내지 8호기로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호기별 발전용수 공급 라인의 최대 14 라인의 샘플 렉(Sample Rack)에는 전처리 설비 및 수질측정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호기에는 전처리 설비 및 수질측정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기도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설비는 발전에 사용되는 물이 발전용수로 사용 가능한지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설비이다.
종래에는 전처리 설비 및 수질측정기기와 제어기기가 거리상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전처리 설비 및 수질측정기기와 제어기기는 적게는 1km에서 많게는 5km 떨어져서 배치되었다.
여기서, 전처리 설비 및 수질측정기기와 제어기기가 멀리 떨어져서 배치됨으로서, 사용 및 보수 측면에서 큰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제어기기를 통한 제어와 전처리 설비 및 수질측정기의 동작이 일치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처리 설비, 수질측정기기 및 제어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으면서, 제어기기를 통해 오류 없이 전처리 설비 및 수질측정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및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추출수 - 상기 추출수는 보일러의 임의의 지점에서 추출된 물임 - 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전처리수로 변환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수의 일부인 제1 전처리수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항목을 측정하는 계측 과정을 수행하는 전처리측정장치; 및 상기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전처리측정장치 및 상기 제어부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배치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측정장치 및 상기 제어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와 연동되어 이동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처리측정장치가 배치되는 제1 배치공간 및 상기 제어부가 배치되는 제2 배치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전처리수는, 상기 계측 과정이 진행되는 상기 제1 전처리수 및 상기 계측 과정이 진행되지 않는 제2 전처리수를 구비하고, 상기 보일러수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계측 과정이 진행된 상기 제1 전처리수 및 상기 제2 전처리수를 저장하는 저장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저장수조는,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가 상기 보일러로 안내될지 또는 외부로 배출될지 여부를 제어하는 안내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처리 과정 또는 상기 계측 과정 중에 누수된 물이 감지되도록 상기 누수된 물이 유입되는 홈부; 및 상기 누수된 물이 상기 제2 배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누수된 물이 상기 홈부로 유입되도록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추출수 - 상기 추출수는 보일러의 임의의 지점에서 추출된 물임 - 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전처리수로 변환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수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항목을 측정하는 계측 과정을 수행하는 전처리측정장치 - 여기서, 상기 전처리수는 상기 계측 과정이 진행되는 제1 전처리수 및 상기 계측 과정이 진행되지 않는 제2 전처리수를 구비함 -; 상기 계측 과정이 진행된 상기 제1 전처리수와 상기 제2 전처리수를 저정하는 저장수조; 및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의 오염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조센싱부를 포함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장치를 제어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센싱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를 상기 보일러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가 상기 보일러에서 다시 사용되지 못하도록,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의 상기 오염 정보가 소정의 기준 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전처리측정장치는, 상기 제1 전처리수의 오염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측정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센싱부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와 상기 수조센싱부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조센싱부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수조센싱부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가 상기 측정센싱부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기초로 산출된 오염 정보보다 작은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조센싱부가 고장 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가 상기 보일러로 안내되지 않도록 상기 저장수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추출수 - 상기 추출수는 보일러의 임의의 지점에서 추출된 물임 - 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전처리수로 변환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수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항목을 측정하는 계측 과정을 수행하며, 복수개의 상기 보일러에 각각 배치된 복수개의 전처리측정장치 - 여기서, 전처리측정장치는 복수개의 상기 보일러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1 전처리측정장치 및 복수의 상기 보일러 중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가 배치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보일러에 배치된 제2 전처리측정장치를 포함함 -;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2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 및 상기 제2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 를 포함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장치를 제어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가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한 제1 신호와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한 제2 신호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선정 기준에 의해 선정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가 서로 상이한 조건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선정 기준은,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선정 기준은, 상기 통합제어부에 상기 제2 신호가 전송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통합제어부에 상기 제1 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선정 기준은, 상기 통합제어부에 상기 제2 신호가 전송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통합제어부에 상기 제1 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및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 및 보수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처리 설비 및 수질측정기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하부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는 케이스(100), 전처리측정장치(200), 제어부(300), 중앙제어부(400) 및 저장수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측정장치(200) 및 제어부(3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처리측정장치(200)는 보일러(1)의 임의의 지점에서 추출된 물인 추출수(w10)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전처리수(w20)로 변환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전처리 장치(202), 상기 전처리수(w20)의 일부인 제1 전처리수(w21)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항목을 측정하는 계측 과정을 수행하는 계측 장치(203) 및 전처리수(w20)의 오염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측정센싱부(201)를 구비할 수 있다.
추출수(w10)는 보일러(1)의 복수의 지점에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추출수(w10)는 고온, 고압의 증기일 수도 있고, 고온의 물일 수도 있고, 저온의 물일 수도 있다.
전처리 장치(202)에서 진행되는 전처리 과정은 상기 추출수(w10)의 상태에 따라 다른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처리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추출수(w10)의 온도 및 압력은 계측 목표, 장비의 사용 용도 등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전처리 과정은 후술하는 계측 과정이 이루어지기 적절한 온도 및 압력으로 추출수(w10)를 변환하는 과정일 수 있다. 고온 또는 고압의 물에 대해서 계측을 하면 계측 장비에 손상을 가할 수 있고, 또한 계측하려는 항목이 정확하게 측정이 안될 수도 있다. 보일러수를 계측하기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전처리수(w20)는 전처리 과정이 진행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추출수(w10)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수(w20)는 일부를 제1 전처리수(w21)라고 할 수 있고, 그 나머지 일부를 제2 전처리수(w22)라고 할 수 있다.
즉, 전처리수(w20)는 계측 과정이 진행되는 제1 전처리수(w21) 및 계측 과정이 진행되지 않는 제2 전처리수(w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처리수(w21)만 계측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계측 장치(203)는 제1 전처리수(w21)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온도측정센싱부, 제1 전처리수(w21)의 수소 이온량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소이온측정센싱부, 제1 전처리수(w21)의 화학적 산소 요구량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화학적산소요구량측정센싱부, 제1 전처리수(w21)의 부유물의 질량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부유물질량측정센싱부, 제1 전처리수(w21)의 질소량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체질소량측정센싱부, 제1 전처리수(w21)의 인(P)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체인량측정센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측정센싱부(201)는 상기 제1 전처리수(w21)의 오염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오염 정보는 상기 전처리수(w20)의 부유 물질, 색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수소이온농도, 중금속의 양, 전기전도도, 탁도 등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전처리수(w20)의 수질을 확인 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케이스(100)에 배치되어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중앙제어부(40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상기 중앙제어부(400)를 제어할 수도 있고, 상기 중앙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전처리 과정 및 상기 계측 과정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에서 발생되는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중앙제어부(400), 별도의 저장 매체 또는 외부의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수조센싱부(520)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염정보를 산출할 수 있거나, 산출된 오염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저장수조(510)에 저장된 전처리수(w20)를 상기 보일러(1)로 유동시킬지, 외부로 배출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전처리수(w20)는 상기 제1 전처리수(w21)와 상기 제2 전처리수(w22)를 포함하는 전처리수일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수조(500)는 상기 제1 전처리수(w21)와 상기 제2 전처리수(w22)를 포함하는 전처리수(w20)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저장수조(500)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전처리수(w20)를 상기 보일러(1)로 유동시키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저장수조(500)를 제어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400)는 복수개의 보일러(1)에 각각 배치된 복수개의 전처리측정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400)는 복수개의 보일러(1)에 각각 배치된 제어부(300)와 병렬적으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상기 중앙제어부(400)는 복수의 상기 제어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중앙제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400)는 복수개의 보일러(1)에 각각 배치된 제어부(300)와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어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수조(500)는 저장부(510), 수조센싱부(520) 및 안내밸브(530)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510)에는 계측 과정이 진행된 상기 제1 전처리수(w21)와 계측 과정이 진행되지 않는 제2 전처리수(w22)가 저장될 수 있다.
수조센싱부(520)는 상기 저장부(510)에 저장된 물(전처리수(w20))의 오염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밸브(530)는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w20)가 상기 보일러(1)로 안내될지 또는 외부로 배출될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밸브(530)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00)는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가 배치되는 제1 배치공간(S110) 및 상기 제어부(300)가 배치되는 제2 배치공간(S120)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배치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제1 배치공간(S110)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110) 및 상기 제2 배치공간(S120)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120)를 구비할 수 있다.
구획부(1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 배치되어 있는 전처리측정장치(200)와 상기 제어부(300)를 물리적으로 구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30)는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에서 누수될 수 있는 물 또는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에서 증발되어 형성되는 습한 공기가 상기 제어부(300)에 유입되어 상기 제어부(300)에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배치공간(S110)에는 전처리측정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치공간(S120)에는 제어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 및 상기 제어부(300)는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100)와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 및 상기 제어부(300)는 하나의 외력에 의해 함께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에 편리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 및 상기 제어부(300)가 하나의 케이스(100)에 배치됨으로서, 제어부(300)에 의한 작동에 따라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 및 상기 제어부(300)를 하나의 케이스(100) 내에 배치시킴으로서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20)의 전방 방향(X)의 면에는 전처리디스플레이부(121), 계측디스플레이부(122) 및 일반디스플레이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전처리디스플레이부(121)는 상기 전처리 과정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전처리디스플레이부(121)는 전처리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추출수(w10)에 대해서 각종 센서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기초로 유량, 온도, 압력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디스플레이부(121)는 상기 전처리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입력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계측디스플레이부(122)는 상기 계측 과정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계측디스플레이부(122)는 제1 전처리수(w21)의 미리 정해진 항목에 대한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항목은 상기 제1 전처리수(w21)의 온도, 수소 이온량, 화학적 산소 요구량, 부유물 질량, 전체 질소량, 전체 인(P)의 양일 수 있다.
또한, 계측디스플레이부(122)는 상기 계측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반디스플레이부(123)는 상기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반디스플레이부(123)는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전처리수(w20)의 오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디스플레이부(123)는 상기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반디스플레이부(123)는 상기 저장수조(5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일러(1)에서 추출된 추출수(w10)는 전처리측정장치(200)의 전처리 장치(202)로 안내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추출수(w10)는 한 개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추출수(w10)는 상기 보일러(1)의 복수의 임의의 지점에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추출수(w10)는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전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전처리 과정이 진행되어 상기 전처리 장치(202)에서 배출된 추출수(w10)는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전처리수(w20)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수(w20)의 일부인 제1 전처리수(w21)는 계측 장치(203)로 안내되어 계측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계측 과정이 진행된 상기 제1 전처리수(w21)는 상기 계측 장치(203)에서 배출되어 상기 저장수조(500)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수(w20)에서 상기 제1 전처리수(w21)를 제외한 상기 제2 전처리수(w22)는 상기 계측 장치(203)로 안내되지 않고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에서 상기 저장수조(500)로 안내될 수 있다.
계측 과정이 진행된 상기 제1 전처리수(w21)와 상기 계측 과정이 진행되지 않는 제2 전처리수(w22)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합쳐서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계측 과정이 진행된 상기 제1 전처리수(w21)와 상기 계측 과정이 진행되지 않는 제2 전처리수(w22)는 개별적으로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되어, 각각 상기 저장수조(500)에 안내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 외부에서 합쳐서 상기 저장수조(500)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전처리수(w20)는 상기 안내밸브(530)에 의해서 상기 보일러(1)로 안내될 수도 있고,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하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100)는 상기 전처리 과정 또는 상기 계측 과정 중에 누수된 물이 감지되도록 상기 누수된 물이 유입되는 홈부(113), 상기 누수된 물이 상기 홈부(113)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사부(114), 상기 홈부(113)에 유입된 물을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누수센싱부(111) 및 상기 홈부(113)에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누수배출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의 하면부에 상기 홈부(113) 및 상기 경사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14)는 상기 누수된 물이 상기 제2 배치공간(S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는 전방 방향(X)으로 상기 구획부(130)와 반대 방향인 제1 모서리(115), 전방 방향(X)으로 상기 구획부(130)와 인접한 제2 모서리(116), 후방 방향(Y)으로 상기 구회부와 반대 방향인 제2 모서리(116), 후방 방향(Y)으로 상기 구획부(130)와 인접한 제4 모서리(11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누수센싱부(111)는 상기 홈부(113)에 유입된 물을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누수센싱부(111)에 의해 전처리측정장치(200)의 누수를 확인하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상기 일반 디스플레이부에 누수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일반디스플레이부(12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누수센싱부(111)에 의해 전처리측정장치(200)의 누수를 확인하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경보 알람(미도시)을 작동시킬 수 있다.
누수센싱부(111)는 상기 홈부(113)에 있는 누수된 물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누수센싱부(111)의 위치는 상기 누수센싱부(111)의 센서의 종류에 따라 상기 케이스(1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수센싱부(111)는 상기 케이스(100) 외부에 위치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14-1)는 상기 제1 모서리(115)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14-1)는 상기 제4 모서리(118)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부(114-1)의 높이가 가장 높고, 상기 제1 모서리(115)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부(114-1)의 높이가 가장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114-1)는 제2 모서리(116) 및 제3 모서리(117)에 형성되는 경사부(114-1)의 높이가 같을 수 있다.
홈부(113-1)는 상기 제1 모서리(115)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누수배출부(112-1)는 상기 홈부(113-1)에 의해 형성된 경사부단(114a)과 같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수배출부(112)는 상기 홈부(113-1)에 수용되는 물의 높이가 상기 경사부단(114a-1)의 높이보다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단(114a-1)의 높이보다 높은 상기 홈부(113-1)에 존재하는 물은 상기 누수배출부(112-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14-2)는 상기 제1 모서리(115) 및 상기 제3 모서리(117)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14-2)는 상기 제2 모서리(116) 및 상기 제4 모서리(118)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부(114-2)의 높이가 가장 높고, 상기 제1 모서리(115) 및 상기 제3 모서리(117)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부(114-2)의 높이가 가장 낮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모서리(115) 및 상기 제3 모서리(117)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의 높이가 서로 같을 수 있고, 상기 제2 모서리(116) 및 상기 제4 모서리(118)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의 높이가 서로 같을 수 있다.
홈부(113-2)는 상기 제1 모서리(115) 및 상기 제3 모서리(117)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누수배출부(112-2)는 상기 홈부(113-2)에 의해 형성된 경사부단(114a-2)과 같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수배출부(112-2)는 상기 홈부(113-2)에 수용되는 물의 높이가 상기 경사부단(114a-2)의 높이보다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단(114a-2)의 높이보다 높은 상기 홈부(113-2)에 존재하는 물은 상기 누수배출부(112-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14-3)는 상기 제1 케이스(110)의 회전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14-3)는 상기 제1 모서리(115), 상기 제2 모서리(116), 상기 제3 모서리(117) 및 상기 제 4모서리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부(114-3)의 높이가 가장 높으면서 서로 같을 수 있다.
홈부(113-3)는 상기 제1 케이스(110)의 회전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처리된 물은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있다. 상기 전처리수(w20)를 외부로 배출하면, 상기 배출된 물만큼 다른 물을 보일러(1)로 충당해야 하기 때문에, 보일러(1)의 에너지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처리과정이 수행된 전처리수(w20)를 보일러(1)로 재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일러(1)의 에너지 효율을 상승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수(w20)를 재사용하는 시스템 대해서 설명한다.
계측과정이 진행된 제1 전처리수(w21)와 계측 과정이 진행되지 않은 제2 전처리수(w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수조(500)에 저장된다.
제어부(300)는 수조센싱부(52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w20)를 상기 보일러(1)로 안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처리수(w20)는 상기 보일러(1)에서 추출된 것이기에 오염이 크지 않아 보일러(1)에서 재사용 될 수 있다. 하지만, 전처리수(w20)가 상기 보일러(1)에 반복적으로 지속하여 재사용 되는 경우 이물질 유입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수조(500)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전처리수(w20)는 상기 저장수조(500)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오염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전처리수(w20)가 오염 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전처리수(w20)가 오염되지 않았다면 안내밸브(530)를 제어하여, 상기 전처리수(w20)가 상기 보일러(1)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w20)의 상기 오염 정보가 소정의 기준 값 이하일 수 있다.
소정의 기준 값은, 상기 전처리수(w20)가 상기 보일러(1)에서 다시 사용되어도, 상기 보일러(1)가 고장이 나지 않을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일례로, 소정의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질 수도 있고, 상기 전처리수(w20)의 오염에 의해 상기 보일러(1)가 고장이 난 경우의 상기 전처리수(w20)의 상기 오염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오염 정보는 전기전도도일 수 있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w20)의 전기전도도가 소정의 값 이하 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w20)가 상기 보일러(1)에서 다시 사용되지 못하도록,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w20)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수(w20) 재사용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300)는 미리 저장된 저장수조(500)의 용량과 상기 전처리과정이 수행되는 추출수(w10)의 유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w20)의 배출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시기는 임의의 시점부터 상기 전처리과정이 수행된 추출수(w10)의 유량의 누적 값과 상기 저장수조(500)의 물의 저장 용량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하인 일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시점은 상기 저장수조(500)에서 상기 전처리수(w20)가 배출을 완료한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값은 각종 연구 데이터 및 작업 환경 등을 기초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값은 상기 제어부(300)에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고, 연산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전처리수(w20)가 상기 저장수조(500)에서 배출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수조센싱부(520)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w20)를 상기 보일러(1)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수(w20) 재사용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300)는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전처리수(w20)가 보일러(1)로 재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상기 전처리수(w20)가 상기 보일러(1)로 안내되고 있을 때, 수조센싱부(52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하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전처리수(w20)가 상기 보일러(1)로 계속 안내되도록 상기 안내밸브(5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전처리수(w20)가 상기 보일러(1)로 계속 안내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안내밸브(530)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수조(500)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전처리수(w20)를 보일러(1)로 안내하는 도중에 이물질 및 전처리수(w20)를 제외한 다른 물이 유입되어 상기 전처리수(w20)가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면,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전처리수(w20)가 보일러(1)로 안내되는 도중에,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전처리수(w20)가 오염되었을 경우, 오염된 물이 보일러(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염된 전처리수(w20)가 보일러(1)로 다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중요하다. 다만, 상기 전처리수(w20)의 오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각종 센싱부가 고장이 난다면, 제어부(300)는 잘못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처리수(w20)의 오염 정보를 판단하여 오염된 전처리수(w20)를 보일러(1)로 안내하도록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은 수조센싱부(520) 또는 측정센싱부(201)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센싱부(520) 및 측정센싱부(201) 고장판단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처리측정장치(200)는 상기 제1 전처리수(w21)의 오염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측정센싱부(201)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정센싱부(201)는 상기 계측 장치(203)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정센싱부(201)는 상기 전처리 장치(202)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정센싱부(201)는 상기 전처리 장치(202)와 상기 계측 장치(2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정센싱부(201)는 상기 계측 장치(203)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전처리수(w21)의 오염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계측장치와 상기 저장수조(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측정센싱부(201)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와 상기 수조센싱부(520)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측정센싱부(201) 또는 상기 수조센싱부(520)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수조센싱부(520)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가 상기 측정센싱부(201)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기초로 산출된 오염 정보보다 작은 조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측정센싱부(201)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와 상기 수조센싱부(520)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측정센싱부(201) 또는 상기 수조센싱부(520)가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수조센싱부(520) 또는 측정센싱부(201)가 고장 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w20)가 상기 보일러(1)로 안내되지 않도록 상기 저장수조(5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측정센싱부(201) 또는 상기 수조센싱부(520)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고장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전처리디스플레이부(121), 상기 계측디스플레이부(122) 또는 상기 일반디스플레이부(123)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센싱부(520) 및 측정센싱부(201) 고장판단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저장수조(500)는 외부에 노출된 환경에 있기 때문에, 상기 저장수조(500)에 배치되는 측정센싱부(201)는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에 배치되는 상기 측정센싱부(201)와 비교하여 더 쉽게 고장이 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상기 측정센싱부(201)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와 상기 수조센싱부(520)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조센싱부(520)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센싱부(520) 및 측정센싱부(201) 고장판단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300)는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전처리수(w20)가 보일러(1)로 안내되고 있는 도중에 상기 측정센싱부(201) 또는 상기 수조센싱부(520)가 고장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500)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w20)가 상기 보일러(1)로 안내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밸브(5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개의 보일러(1)에는 복수개의 전처리측정장치(200) 및 제어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일러(1)는 제1 보일러, 제2 보일러 내지 제N 보일러 (여기서, N은 자연수)를 구비할 수 있다.
전처리측정장치(200)는 제1 보일러(1)에 배치되는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 제2 전처리측정장치(200b), 제 3전처리측정장치(200c) 내지 제N 전처리측정장치(여기서, N은 자연수)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보일러(1)에 배치되는 제1 제어부(300a), 제2 제어부(300b), 제3 제어부(300c) 내지 제N 제어부(여기서, N은 자연수)를 구비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600)는 제1 통합제어부(600a), 제2 통합제어부(600b), 제3 통합제어부(600c) 내지 제N 통합제어부(여기서, N은 자연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중앙제어부(400)는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1 제어부(300a)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전처리측정장치(200b)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제어부(300b)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300a)는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300b)는 상기 제2 전처리측정장치(200b)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중앙제어부(400)는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바로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제2 전처리측정장치(200b)를 바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300a)는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300b)는 상기 제2 전처리측정장치(200b)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중앙제어부(400)는 중앙제어부(400)는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바로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제2 전처리측정장치(200b)를 바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300a)는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제어하기 위하여 중앙제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300b)는 상기 제2 전처리 측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중앙제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삭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은, 통합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600)는, 중앙제어부(400)가 전처리측정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한 제1 신호와 제어부(300)가 전처리측정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한 제2 신호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선정 기준에 의해 선정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전처리측정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추출수(w10) - 상기 추출수(w10)는 보일러(1)의 임의의 지점에서 추출된 물임 - 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전처리수(w20)로 변환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수(w20)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항목을 측정하는 계측 과정을 수행하며, 복수개의 상기 보일러(1)에 각각 배치된 복수개의 전처리측정장치(200) - 여기서, 전처리측정장치(200)는 복수개의 상기 보일러(1)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 및 복수의 상기 보일러(1) 중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가 배치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보일러(1)에 배치된 제2 전처리측정장치(200b)를 포함함 -;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300a); 상기 제2 전처리측정장치(200b)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300b); 및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 및 상기 제2 전처리측정장치(200b)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400); 를 포함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장치를 제어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400)가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한 제1 신호와 상기 제1 제어부(300a)가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한 제2 신호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선정 기준에 의해 선정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의 (a)의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도 6의 (a)를 참조하면, 통합제어부(600)는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 및 제1 제어부(300a)가 배치되는 케이스(100)의 제2 배치공간(S120)에 배치되는 제1 통합제어부(600a) 및 제2 전처리측정장치(200b) 및 제2 제어부(300b)가 배치되는 케이스(100)의 제2 배치공간(S120)에 배치되는 제2 통합제어부(600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합제어부(600a)는 상기 제1 제어부(300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통합제어부(600b)는 상기 제2 제어부(30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합제어부(600a)는 상기 제1 제어부(300a)의 일 부분의 제어 영역일 수 있고, 제2 통합제어부(600b)는 상기 제2 제어부(300b)의 일 부분의 제어 영역일 수 있다.
일례로, 도 5의 (b)의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도 6의 (b)를 참조하면, 통합제어부(600)는 중앙제어부(400)가 배치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통합제어부(600)는 상기 중앙제어부(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합제어부(600)는 상기 중앙제어부(400)의 일 부분의 제어 영역일 수 있다.
일례로, 도 5의 (c)의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도 6의 (c)를 참조하면, 통합제어부(600)는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 및 제1 제어부(300a)가 배치되는 케이스(100)의 제1 배치공간(S110)에 배치되는 제1 통합제어부(600a) 및 제2 전처리측정장치(200b) 및 제2 제어부(300b)가 배치되는 케이스(100)의 제1 배치공간(S110)에 배치되는 제2 통합제어부(60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중앙제어부(400),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 제1 제어부(300a) 및 제1 통합제어부(600a)(도 5의 (b)의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통합제어부(600))를 기초로, 전처리측정장치(200)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다만, 상기 제어 방법은 중앙제어부(400),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 제1 제어부(300a) 및 제1 통합제어부(600a)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제어방법은 복수의 보일러(1)에 배치되는 모든 전처리측정장치(200), 제어부(300) 및 통합제어부(600)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통합제어부(600a)는 중앙제어부(400)가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한 제1 신호와 제1 제어부(300a)가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한 제2 신호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선정 기준에 의해 선정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의 전원의 on/off 제어 신호, 추출수를 전처리수로 변환하기 위해서 설정되는 압력 또는 온도 제어 신호, 추출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 전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급수의 출입 제어 신호, 계측 과정에서 필요한 제어 신호, 전처리수를 제1 전처리수 및 제2 전처리수로 구분하는 제어 신호 등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상기 제1 전처리장치(200a)를 가동하는데 필요한 모든 제어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가 서로 상이한 조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일례로,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가 상기 추출수(w10)를 20°C의 전처리수(w20)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중앙제어부(400)는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가 상기 추출수(w10)를 30°C의 전처리수(w20)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제1 제어부(300a)는 제 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통합제어부(600a)에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가 동시에 전송된 제1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통합제어부(600a)에 상기 제1 신호가 전송된 후에 상기 제2 신호가 전송된 제2 경우 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통합제어부(600a)에 상기 제2 신호가 전송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제1 통합제어부(600a)에 상기 제1 신호가 전송된 제3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통합제어부(600a)에 상기 제2 신호가 전송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제1 통합제어부(600a)에 상기 제1 신호가 전송된 제4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간일 수도 있고, 미리 저장된 시간일 수 있다.
일례로, 소정의 시간은 상기 제2 신호와 상이한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통합제어부(600a)에 전송되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보일러(1)의 각종 장비를 보수하고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일 수 있다.
일례로, 소정의 시간은 10초 내지 48시간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경우 및 상기 제2 경우에 미리 선정된 선정 기준은 상기 제2 신호를 제어신호로 선정하는 것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앙제어부(400)와 제1 제어부(300a)가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시킨다면, 현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합제어부(600a)는 현장에 있는 제1 제어부(300a)에서 발생되는 상기 제2 신호를 제어신호로 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경우에 미리 선정된 기준은, 상기 제1 통합제어부(600a)가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선정하는 것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고 나서, 사용자는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를 제어하려고 상기 제1 제어부(300a)를 조작할 수 있고, 상기 조작이 있은 뒤로부터 소정의 시간, 즉 짧은 시간 내에 상기 중앙제어부(400)에서 상기 제1 제어부(300a)와 배치되게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를 제어하려고 하는 경우, 현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합제어부(600a)는 상기 제1 제어부(300a)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는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경우에 미리 선정된 기준은,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선정하는 것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고 나서, 사용자는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를 제어하려고 상기 제1 제어부(300a)를 조작할 수 있고, 상기 조작이 있은 뒤로부터 소정의 시간, 즉 현장의 상황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시간이 흐른 후에, 중앙제어부(400)에서 상기 제1 제어부(300a)와 배치되게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를 제어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400)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통합제어부(600a)는 상기 전처리측정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통합제어부(600)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선정하여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제어함으로서, 사용자가 의도한 대로 제1 전처리측정장치(200a)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 보일러 200 : 전처리측정장치
300 : 제어부 400 : 중앙제어부

Claims (15)

  1. 추출수 - 상기 추출수는 보일러의 임의의 지점에서 추출된 물임 - 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전처리수- 상기 전처리수는 제1 전처리수와 상기 전처리수 중에서 상기 제1 전처리수를 제외한 나머지 전처리수인 제2 전처리수를 구비함 -로 변환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전처리 장치;
    상기 전처리 장치에서 배출된 상기 전처리수에서 일부 추출한 상기 제1 전처리수가 유입되어, 상기 제1 전처리수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항목을 측정하는 계측 과정을 수행하는 계측 장치; 및
    상기 전처리 장치 및 상기 계측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계측 장치에서 배출된 상기 제1 전처리수와 상기 전처리 장치에서 배출되어 상기 계측 장치를 경유하지 않은 상기 제2 전처리수가 저장되는 저장수조;를 포함하는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 상기 계측 장치 및 상기 제어부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배치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 장치, 상기 계측 장치 및 상기 제어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와 연동되어 이동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처리 장치 및 상기 계측 장치가 배치되는 제1 배치공간 및 상기 제어부가 배치되는 제2 배치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조는,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가 상기 보일러로 안내될지 또는 외부로 배출될지 여부를 제어하는 안내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처리 과정 또는 상기 계측 과정 중에 누수된 물이 감지되도록 상기 누수된 물이 유입되는 홈부; 및
    상기 누수된 물이 상기 제2 배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누수된 물이 상기 홈부로 유입되도록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장치.
  6. 추출수 - 상기 추출수는 보일러의 임의의 지점에서 추출된 물임 - 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전처리수- 상기 전처리수는 제1 전처리수와 상기 전처리수 중에서 상기 제1 전처리수를 제외한 나머지 전처리수인 제2 전처리수를 구비함 -로 변환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전처리 장치;
    상기 전처리 장치에서 배출된 상기 전처리수에서 일부 추출한 상기 제1 전처리수가 유입되어, 상기 제1 전처리수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항목을 측정하는 계측 과정을 수행하는 계측 장치;
    상기 계측 장치에서 배출된 상기 제1 전처리수와 상기 전처리 장치에서 배출되어 상기 계측 장치를 경유하지 않은 상기 제2 전처리수가 저장되는 저장수조; 및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의 오염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조센싱부를 포함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장치를 제어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센싱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를 상기 보일러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가 상기 보일러에서 다시 사용되지 못하도록,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의 상기 오염 정보가 소정의 기준 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시스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장치는,
    상기 제1 전처리수의 오염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측정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센싱부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와 상기 수조센싱부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조센싱부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수조센싱부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오염 정보가 상기 측정센싱부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기초로 산출된 오염 정보보다 작은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조센싱부가 고장 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저장수조에 저장된 상기 전처리수가 상기 보일러로 안내되지 않도록 상기 저장수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시스템.
  12. 추출수 - 상기 추출수는 보일러의 임의의 지점에서 추출된 물임 - 가 미리 정해진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전처리수로 변환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수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항목을 측정하는 계측 과정을 수행하며, 복수개의 상기 보일러에 각각 배치된 복수개의 전처리측정장치 - 여기서, 전처리측정장치는 복수개의 상기 보일러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1 전처리측정장치 및 복수의 상기 보일러 중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가 배치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보일러에 배치된 제2 전처리측정장치를 포함함 -;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2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 및 상기 제2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 를 포함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장치를 제어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가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한 제1 신호와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한 제2 신호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선정 기준에 의해 선정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전처리측정장치를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가 서로 상이한 조건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선정 기준은,
    상기 통합제어부에 상기 제2 신호가 전송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통합제어부에 상기 제1 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선정하고,
    상기 통합제어부에 상기 제2 신호가 전송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통합제어부에 상기 제1 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수 통합 관리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67112A 2017-05-30 2017-05-30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및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794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12A KR101794172B1 (ko) 2017-05-30 2017-05-30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및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12A KR101794172B1 (ko) 2017-05-30 2017-05-30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및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172B1 true KR101794172B1 (ko) 2017-11-06

Family

ID=6038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112A KR101794172B1 (ko) 2017-05-30 2017-05-30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및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1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546A (ko) *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다함 스팀 보일러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5623A (ja) * 2006-05-23 2007-12-06 Oshima Shipbuilding Co Ltd 漏水検出器およびボイラ
JP2012072984A (ja) * 2010-09-29 2012-04-12 Miura Co Ltd 蒸気温水生成システム
JP2014061494A (ja) * 2012-09-21 2014-04-10 Miura Co Ltd 水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5623A (ja) * 2006-05-23 2007-12-06 Oshima Shipbuilding Co Ltd 漏水検出器およびボイラ
JP2012072984A (ja) * 2010-09-29 2012-04-12 Miura Co Ltd 蒸気温水生成システム
JP2014061494A (ja) * 2012-09-21 2014-04-10 Miura Co Ltd 水処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546A (ko) *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다함 스팀 보일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3783B1 (ko) * 2020-07-21 2022-05-30 주식회사 다함 스팀 보일러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0004A1 (en) Measurement-while-drilling method and device for assessing outburst risk of coal seam
US6212948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obtain representative samples of oil well production
KR101154275B1 (ko) 유량계 검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펌프 테스트 시스템
KR100313741B1 (ko) 가스누설감지시스템
KR101794172B1 (ko) 보일러수 통합관리 장치 및 보일러수 통합관리 시스템.
CN207843935U (zh) 一种煤仓清仓机器人
CN1882834B (zh) 流体监测设备及方法
KR101783136B1 (ko) 균열 콘크리트의 자기치유 성능평가를 위한 투수시험장치
CN107893792A (zh) 缸操作条件监控装置
CN105091973A (zh) 水箱水位检测装置和检测方法
CN105823421B (zh) 一种汽车仪表板横梁自动检测装置
WO2012047135A1 (en) Method for automated fuel leakage detection during reloading of reactor fuel assembly and system therefor
CN1906474B (zh) 用于测试流体的至少一种质量参数的设备
KR102501286B1 (ko) 기체 센서의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5509997A (zh) 手机的屏幕水波纹测试方法
KR102271644B1 (ko) 수도미터 지침값 영상인식 자동 수도미터 시험장치
CN204064695U (zh) 高压清洗机检测平台
CN110780644B (zh) 存储验证程序的存储介质、验证装置及验证方法
JP2005075400A (ja) 燃料供給システム
JPH07174593A (ja) タンク内水位による給水量測定方法
CN207602476U (zh) 基于动态液位的液位报警开关检测装置及其报警线的标定装置
KR100748833B1 (ko) 가스홀더의 피스톤 경사도 측정장치
CN114253305B (zh) 基于光电检测的水位监控系统
CN117192064B (zh) 基于环境污染源检测方法和系统
CN101376081B (zh) 一种鼓泡式烟气脱硫装置隔板冲洗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