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007B1 -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 - Google Patents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007B1
KR101794007B1 KR1020160042384A KR20160042384A KR101794007B1 KR 101794007 B1 KR101794007 B1 KR 101794007B1 KR 1020160042384 A KR1020160042384 A KR 1020160042384A KR 20160042384 A KR20160042384 A KR 20160042384A KR 101794007 B1 KR101794007 B1 KR 101794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dissipation
base
dissipation modu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816A (ko
Inventor
안재모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riority to KR102016004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007B1/ko
Priority to US15/474,925 priority patent/US9848507B2/en
Publication of KR20170114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007B1/ko
Priority to US15/811,529 priority patent/US2018008466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27Natural conv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01L23/3672Foil-like cooling fins or heat sin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54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05K7/20163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isolated from air flow, e.g. hollow heat sinks, wind tunnels or fun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6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 H01L23/467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by flowing gases,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과 같은 발열체로부터의 발열을 방열하는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는 발열체에 배치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 지지되고 양측에 각각 유입부 및 배출부와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통하는 중공의 유로가 형성된 복수 개의 방열핀을 가지며 복수 개의 상기 방열핀을 적층하여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흡수된 상기 발열체의 열을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는 방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유입부 및 배출부를 이용한 자연 대류 방식에 의해 발열체의 열을 방열하여 방열팬 없이 방열을 할 수 있으므로, 셋탑박스의 크기 및 부피 축소화에 대응과 함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ERADIATION MODULE ASSEMBLY AND SET TOP BOX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부품과 같은 발열체로부터의 발열을 방열하는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에 관한 것이다.
방송 및 통신 분야의 기술 발전은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청자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반을 형성했다. 이러한 다양한 콘텐츠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 및 네트워크와 같은 다양한 전송매체를 통해서 시청자에게 전달된다.
여기서, 시청자가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전송매체들을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해서는 셋탑박스(STB; Set Top Box)의 필요가 요구된다. 셋탑박스는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는 지상파용 셋탑박스, 위성 방송을 수신하는 위성용 셋탑박스,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케이블용 셋탑박스 및 네트워크, 즉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IPTV 방송을 수신하는 IPTV 셋탑박스 등이 사용된다.
한편, 셋탑박스는 전송매체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전자부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전자부품은 전송매체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모듈 및 RF 모듈레이터 등과 같이 다양한 전자부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셋탑박스의 작동은 필연적으로 복수 개의 전자부품으로부터의 발열을 수반하고, 이에 따라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셋탑박스는 복수 개의 전자부품으로부터의 발열을 방열할 수 있는 방열팬 등의 방열수단이 필요하다.
그런데, 최근에는 종래의 셋탑박스 대비 그 크기 및 부피가 지속적으로 축소됨에 따라 방열수단도 축소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즉, 셋탑박스의 크기 및 부피 축소는 방열팬과 같은 방열수단을 생략을 초래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방열수단의 필요성이 증대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7841호; 열 부하를 발산하는 셋탑 박스
본 발명의 목적은 셋탑박스의 크기 및 부피 축소에 대응하여 방열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방열수단의 구조가 개선된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발열체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양측에 각각 유입부 및 배출부와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통하는 중공의 유로가 형성된 복수 개의 방열핀을 가지며 복수 개의 상기 방열핀을 적층하여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흡수된 상기 발열체의 열을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는 방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모듈 조립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베이스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 대비 상향으로 높이 차이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의 높이 차이에 따른 배치는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와 상기 발열체의 열 교환에 따라 상승된 공기를 상기 배출부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방열핀의 내벽은 상기 배출부를 향해 구배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유동되는 상기 발열체와 열 교환된 공기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발열체와 열 교환된 공기가 상기 유입부로 역류되는 것을 저지하는 격벽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유입부의 단면적은 상기 배출부로 상기 발열체와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배출부의 단면적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모듈은 복수 개의 상기 방열핀이 상기 베이스의 판면에 평행하게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의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방열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돌기부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돌기부와 상기 결합부는 각각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모듈은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일정 회전 각도를 가지고 결합되어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의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에는 상기 베이스에 인접하여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유입부 및 한 쌍의 상기 유입부에 대해 상향으로 높이 차이를 두고 대응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가하는 전자부품과, 상기 전자부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양측에 각각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자부품과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방열핀이 결합되어 마련되는 방열모듈을 갖는 방열모듈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방열핀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를 연통하여 상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출부로 안내하는 중공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유입부의 단면적은 상기 배출부로 상기 전자부품과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배출부의 단면적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 대비 상향으로 높이 차이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의 높이 차이에 따른 배치는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와 상기 전자부품의 열 교환에 따라 상승된 공기를 상기 배출부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방열핀의 내벽은 상기 배출부를 향해 구배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유동되는 상기 전자부품과 열 교환된 공기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전자부품과 열 교환된 공기가 상기 유입부로 역류되는 것을 저지하는 격벽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모듈 조립체는 상기 전자부품과 상기 방열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방열모듈을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열모듈은 복수 개의 상기 방열핀이 상기 베이스의 판면에 대해 평행하게 상호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 조립체는 상기 방열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방열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돌기부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와 상기 결합부는 각각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방열모듈은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일정 회전 각도를 가지고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외부로 공기가 인출입 되는 인출입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의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에는 상기 베이스에 인접하여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유입부 및 한 쌍의 상기 유입부에 대해 상향으로 높이 차이를 두고 대응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입부 및 배출부를 이용한 자연 대류 방식에 의해 발열체로부터의 발열을 방열팬 없이 방열을 할 수 있으므로, 방열팬의 생략에 따라 셋탑박스의 크기 및 부피 축소화 실현과 함께 자연 대류 방식에 의한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복수 개의 방열핀을 상호 적층하여 방열모듈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발열체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도록 방열모듈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의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다.
셋째, 베이스와 방열모듈을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회전 각도를 가지고 배치하여 유입부 및 배출부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셋탑박스의 내외부로 공기를 인출입 시키는 인출입부의 위치에 대응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없이 다양한 셋탑박스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열모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열모듈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Ⅳ-Ⅳ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의 작동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방열모듈 조립체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Ⅹ-Ⅹ선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셋탑박스에는 1개의 방열모듈 조립체가 수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방열모듈 조립체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로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셋탑박스는 설치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치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도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더불어, 도 1에 도시된 셋탑박스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 이외에도 제 2 내지 4실시 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실시 예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하였음도 미리 밝혀둔다.
<제 1 및 2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열모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열모듈 조립체의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Ⅳ-Ⅳ선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STB; Set Top Box)(10)는 본체(100), 전자부품(300) 및 방열모듈 조립체(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10)는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IPTV 및/또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수신된 콘텐츠를 제공한다.
본체(100)는 셋탑박스(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한 전자부품(300) 및 방열모듈 조립체(500)를 수용한다. 본체(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전자부품(300) 및 방열모듈 조립체(500)를 수용하는 하우징(120) 및 하우징(120)의 벽면을 관통하여 하우징(120) 내외부로 공기가 인출입 되는 인출입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출입부(140)는 하우징(1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방열모듈 조립체(500)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출입부(140)는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된 방열모듈 조립체(500)의 후술할 유입부(535) 및 배출부(537)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부품(300)은 기판(S) 상에 배치되어 콘텐츠 제공 업체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수신 및 변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300)은 콘텐츠 수신 모듈, 변조 모듈 등의 다양한 부품이 사용된다. 전자부품(300)은 콘텐츠 제공 업체로부터의 콘텐츠 수신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콘텐츠 제공 작동에 따라 많은 양을 열을 발열한다.
다음으로 방열모듈 조립체(500)는 베이스(510) 및 방열모듈(530′)을 포함한다. 방열모듈 조립체(500)는 많은 양의 열을 발열하는 발열체인 전자부품(300)의 열을 방열한다. 방열모듈 조립체(500)는 열 전달률이 높은 알루미늄과 같은 다양한 금속 재질들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 재질이외에도 열 전달률이 높은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510)는 전자부품(300)과 방열모듈(530′)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510)는 전자부품(300)에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접촉 배치된다. 베이스(5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원형 형상을 가지고 방열모듈(530′)이 지지되는 중앙부(511)와, 중앙부(511)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연장된 지지다리(513)를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51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 변경 가능하다.
방열모듈(530′)은 베이스(510)의 판면, 즉 중앙부(511)에 결합되어 전자부품(300)으로부터의 열을 방열한다. 방열모듈(530′)은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전자부품(300)로부터의 열을 열 교환한 후 배출하여 전자부품(300)으로부터의 발열을 방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방열모듈(530′)은 방열핀(5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방열핀(530)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방열모듈(530′)을 형성한다.
방열핀(530)은 몸체(531), 몸체(53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유입부(535) 및 배출부(537)를 포함한다. 그리고, 방열핀(530)은 유입부(535)와 배출부(537)를 상호 연통하는 중공의 유로(533)를 포함한다. 방열핀(5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방열모듈(530′)을 형성한다. 상세하게 복수 개의 방열핀(530)은 상호 적층되어 방열모듈(530′)을 형성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방열핀(530)은 베이스(510)의 판면에 대해 평행하게 상호 적층하여 방열모듈(530′)을 형성한다.
유입부(535) 및 배출부(537)는 각각 하우징(120)에 형성된 인출입부(14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입부(535)는 하우징(120)의 외부로부터 인출입부(14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유입하고, 배출부(537)는 유로(533)를 통해서 유입된 공기와 전자부품(300)의 열 교환된 공기를 인출입부(140)로 배출하도록 하우징(120) 내부에 배치된다. 유입부(5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배출부(537)는 유입부(535)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유입부(535)와 배출부(537)의 개수는 설계 변경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방열핀(530)에 대해 1개의 유입부(535)와 2개의 배출부(537)가 형성되는 것과 같이, 유입부(535)와 배출부(537)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유입부(535)는 베이스(51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배출부(537)는 유입부(535) 대비 상향으로 높이 차이(H)를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유입부(535)와 배출부(537)의 높이 차이(H)에 따른 배치는 유입부(535)로 유입된 공기와 전자부품(300)의 열 교환에 따라 상승된 공기를 배출부(537)로 유도한다. 즉, 전자부품(300)과 열 교환된 공기는 유입부(535)로 유입되는 공기 대비 온도가 높음에 따라 자연적인 현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유입부(535) 대비 배출부(537)가 상향으로 높이 차이(H)가 있으면 보다 배출부(537)로 효율적인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유입부(535)와 배출부(537) 사이에서 유로(533)를 형성하는 방열핀(530)의 내벽은 배출부(537)를 향해 구배(G) 형성되어 유입부(535)로부터 배출부(537)로 유동되는 전자부품(300)과 열 교환된 공기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방열핀(530) 내벽의 구배(G)는 전자부품(300)의 배치면에 대해 가로 방향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부품(300)과 열 교환된 공기는 상승하기 때문에 방열핀(530) 내부의 구배(G)는 상승된 공기와 충돌하는 영역에 형성하여 유동 저항을 감소시킨다. 이렇게 방열핀(530) 내벽의 구배(G)는 상승 공기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출부(537)로의 배출 공기의 유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유입부(535)의 단면적(D1)과 배출부의 단면적(D2)은 유입부(535)의 단면적(D1) 대비 배출부(537)의 단면적(D2)이 더 크다. 상세하게 유입부(535)로 공기가 유입되는 단면적(D1)은 배출부(537)로 전자부품(300)과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단면적(D2)의 크기보다 작다. 이렇게 유입부(535)의 단면적(D1)이 배출부(537)의 단면적(D2)보다 작기 때문에 유입부(535)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은 배출부(537)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빠른 현상이 발생되어 방열핀(530)의 유로(533)에서 공기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10)의 방열모듈 조립체(500)는 제 1실시 예의 방열모듈 조립체(5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과 함께 격벽(539)을 더 포함한다.
격벽(539)은 유입부(535)의 일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전자부품(300)과 열 교환된 공기가 유입부(535)로 역류되는 것을 저지한다. 격벽(539)은 유입구(535)의 단면적(D1)의 최소 비율로 커버하는 크기로 배치되어, 유입 효율과 역류 저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의 작동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10)의 방열모듈 조립체(5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10), 방열모듈(530′), 플레이트(550), 돌기부(570) 및 결합부(590)를 포함한다. 베이스(510) 및 방열모듈(530′)은 제 1 및 2실시 예에서 설명한 베이스(510) 및 방열모듈(53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플레이트(550)는 방열모듈(530′)에 결합되고 베이스(510)와 방열모듈(530′) 사이에 배치된다. 플레이트(550)는 베이스(510)에 대해 방열모듈(530′)이 일정 각도를 가지고 회전되어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돌기부(570)는 베이스(510)와 플레이트(55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결합부(590)는 베이스(510)와 플레이트(550)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돌기부(570)와 맞물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돌기부(570)는 베이스(510)에 배치되고 결합부(590)는 플레이트(550)에 배치된다. 그러나, 돌기부(570)와 결합부(590)는 상호 치환되어 각각 플레이트(550) 및 베이스(510)에 배치될 수 있다.
돌기부(570)와 결합부(590)는 각각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다. 돌기부(570)와 결합부(590)는 각각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모듈(530′)은 원주 방향을 따라 베이스(510)에 대해 일정 회전 각도를 가지고 결합되어 유입부(535)와 배출부(537)의 방향이 조정된다. 이렇게, 돌기부(570)와 결합부(590)가 각각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어 베이스(510)에 대해 방열모듈(530′)을 일정 회전 각도로 회전시켜 유입부(535) 및 배출부(537)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본체(100)에 형성된 인출입부(140)에 대해 추가적인 구성없이 유입부(535) 및 배출부(537)의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제 4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방열모듈 조립체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Ⅹ-Ⅹ선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500)는 베이스(510) 및 방열모듈(5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500)는 제 1실시 예와 같이, 유입부(535), 배출부(537) 및 유로(533)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500)의 유입부(535) 및 배출부(537)는 제 1실시 예와 달리 1개의 방열핀(530)에 2개씩 형성된다. 즉,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535)는 베이스(510)에 인접하여 상호 대향되도록 2개가 형성되고, 배출부(537)는 상향으로 유입부(535)와 높이 차이(H)를 두고 상호 대향되도록 2개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방열모듈 조립체(5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격벽(539) 및 제 3실시 예의 플레이트(550), 돌기부(570) 및 결합부(590)도 함께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유입부 및 배출부를 이용한 자연 대류 방식에 의해 발열체로부터의 발열을 방열팬 없이 방열을 할 수 있으므로, 방열팬의 생략에 따라 셋탑박스의 크기 및 부피 축소화 실현과 함께 자연 대류 방식에 의한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방열핀을 상호 적층하여 방열모듈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발열체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도록 방열모듈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의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다.
더불어, 베이스와 방열모듈을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회전 각도를 가지고 배치하여 유입부 및 배출부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셋탑박스의 내외부로 공기를 인출입 시키는 인출입부의 위치에 대응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없이 다양한 셋탑박스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셋탑박스 100: 본체
140: 인출입부 300: 전자부품
500: 방열모듈 조립체 510: 베이스
530′: 방열모듈 530: 방열핀
533: 유로 535: 유입부
537: 배출부 539: 격벽
550: 플레이트 570: 돌기부
590: 결합부

Claims (19)

  1. 발열체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양측에 각각 유입부 및 배출부와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통하는 중공의 유로가 형성된 복수 개의 방열핀을 가지며 복수 개의 상기 방열핀을 적층하여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흡수된 상기 발열체의 열을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는 방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베이스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 대비 상향으로 높이 차이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의 높이 차이에 따른 배치는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와 상기 발열체의 열 교환에 따라 상승된 공기를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모듈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의 내벽은 상기 배출부를 향해 구배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유동되는 상기 발열체와 열 교환된 공기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모듈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모듈은 복수 개의 상기 방열핀이 상기 베이스의 판면에 평행하게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모듈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의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모듈 조립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가하는 전자부품과;
    상기 전자부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양측에 각각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자부품과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방열핀이 결합되어 마련되는 방열모듈을 갖는 방열모듈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핀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를 연통하여 상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출부로 안내하는 중공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 대비 상향으로 높이 차이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의 높이 차이에 따른 배치는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와 상기 전자부품의 열 교환에 따라 상승된 공기를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의 내벽은 상기 배출부를 향해 구배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유동되는 상기 전자부품과 열 교환된 공기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
  15. 삭제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모듈 조립체는 상기 전자부품과 상기 방열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방열모듈을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열모듈은 복수 개의 상기 방열핀이 상기 베이스의 판면에 대해 평행하게 상호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모듈 조립체는 상기 방열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방열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돌기부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결합부는 각각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방열모듈은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일정 회전 각도를 가지고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외부로 공기가 인출입 되는 인출입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의 방향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에는 상기 베이스에 인접하여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유입부 및 한 쌍의 상기 유입부에 대해 상향으로 높이 차이를 두고 대응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
KR1020160042384A 2016-04-06 2016-04-06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 KR101794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384A KR101794007B1 (ko) 2016-04-06 2016-04-06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
US15/474,925 US9848507B2 (en) 2016-04-06 2017-03-30 Heat dissipation module assembly and set-top box having the same
US15/811,529 US20180084668A1 (en) 2016-04-06 2017-11-13 Heat dissipation module assembly and set-top box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384A KR101794007B1 (ko) 2016-04-06 2016-04-06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568A Division KR101794008B1 (ko) 2017-03-24 2017-03-24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816A KR20170114816A (ko) 2017-10-16
KR101794007B1 true KR101794007B1 (ko) 2017-11-07

Family

ID=5999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384A KR101794007B1 (ko) 2016-04-06 2016-04-06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848507B2 (ko)
KR (1) KR101794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5443A (zh) * 2017-10-17 2018-03-23 安徽电信器材贸易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机顶盒
GB2581851B (en) * 2019-01-07 2023-03-15 Portable Multimedia Ltd Mount assembly
CN109768018A (zh) * 2019-02-28 2019-05-17 昆山新力精密五金有限公司 倾斜式散热片组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2260A (en) * 1969-12-05 1971-07-13 Espey Mfg & Electronics Corp Heat exchanger with inner guide strip
US4237521A (en) * 1979-02-05 1980-12-02 R. L. Drake Company Housing for electronic assembly including internally mounted heat sink
US5150278A (en) * 1991-04-16 1992-09-22 J. E. Thomas Specialties Limited Finned housing
US5513071A (en) * 1994-11-28 1996-04-3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Electronics housing with improved heat rejection
JP2002368468A (ja) * 2001-06-07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シンク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却装置
US6668910B2 (en) * 2002-04-09 2003-12-30 Delphi Technologies, Inc. Heat sink with multiple surface enhancements
KR100627260B1 (ko) 2003-10-29 2006-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TWM256970U (en) * 2004-04-27 2005-02-11 Via Tech Inc Fan-shaped heat dissipating device
US7180740B2 (en) * 2004-09-30 2007-02-20 Datech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type heat dissipation
KR100696494B1 (ko) * 2005-02-22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구동회로 칩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230118A1 (en) * 2006-03-31 2007-10-04 Javier Leija Circuit board including components aligned with a predominant air flow path through a chassis
US20090116186A1 (en) * 2006-07-04 2009-05-07 Fujitsu Limited Cooling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08035452A1 (en) * 2006-09-19 2008-03-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oling device for mobile body
US7535716B2 (en) * 2007-05-23 2009-05-19 Adc Telecommunications, Inc. Apparatus for enclosing electronic components used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CN101368713B (zh) * 2007-08-17 2010-11-10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散热器
US7946336B2 (en) * 2008-02-21 2011-05-24 Inventec Corporation Heat sink structure
KR20100037421A (ko) 2008-10-01 2010-04-09 주식회사 피플웍스 외기분리 다단형 구조를 가진 방열판, 함체 및 냉각기
EP2292472A1 (en) * 2009-09-04 2011-03-09 Delphi Technologies, Inc. Closed and internal cooling system for car radio
WO2011146302A1 (en) 2010-05-19 2011-11-24 Technicolor Usa Inc Set-top box having dissipating thermal loads
US9161478B2 (en) * 2012-02-24 2015-10-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ctive antenna heat sink
WO2013186587A1 (en) * 2012-06-12 2013-12-19 Fci Connector assembly
CN103857263B (zh) * 2012-12-07 2017-05-10 富瑞精密组件(昆山)有限公司 散热装置
KR20150052933A (ko) 2013-11-06 2015-05-15 주식회사 동양매직 열 역류 방지 히트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공냉식 냉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816A (ko) 2017-10-16
US20180084668A1 (en) 2018-03-22
US20170295666A1 (en) 2017-10-12
US9848507B2 (en)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007B1 (ko)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
CN110431925B (zh) 显示装置
US9952487B2 (en) Projector
US20070119566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US20080151500A1 (en) Thermal module and electronic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986632B2 (en) Water cooling system
US9888612B2 (en) Heat exchanger for power-electronic components
US8355253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heat dissipation device
US2010010361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entrifugal fan
KR101794008B1 (ko) 방열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셋탑박스
EP2706569A2 (en) Radiator, electronic apparatus and cooling apparatus
US10004159B2 (en) Water-cooling radiator unit and device thereof
US11646481B2 (e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antenna apparatus
JPWO2014147961A1 (ja) 電子機器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力変換装置
US20120043058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US9984955B1 (en) Lightweight liquid-cooling-plate assembly having plastic frame and heat dissipation system using same
US8448694B2 (en) Heat dissipation assembly
EP3196586B1 (en) Power-electronic module arrangement
US20100139888A1 (en) Heat spreader and heat dissipation device using same
CN110679207B (zh) 冷却装置
WO2022190960A1 (ja) ヒートシンク
US9103606B2 (en) Heat dissipating mechanism adapted to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EP3686535B1 (en) Condenser
JP2009130224A (ja) 電子機器用の冷却装置
US20110198061A1 (en) Heat exchange device for closed electrica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