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912B1 -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 Google Patents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912B1
KR101793912B1 KR1020160056098A KR20160056098A KR101793912B1 KR 101793912 B1 KR101793912 B1 KR 101793912B1 KR 1020160056098 A KR1020160056098 A KR 1020160056098A KR 20160056098 A KR20160056098 A KR 20160056098A KR 101793912 B1 KR101793912 B1 KR 101793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ain
support frame
nut
bevel gea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준
Original Assignee
유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용준 filed Critical 유용준
Priority to KR102016005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물막이 장치는 하수박스의 상부를 철거하여야만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및 해체작업이 번거롭고,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기간도 긴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수문 가이드(100), 적층형 수문(200), 수평장력 구동장치(300), 수직장력 구동장치(400)로 구성됨으로서, 기존하수박스의 상부를 철거하지 않고 기존의 맨홀을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수밀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 소요시간이 적게 걸리고, 초보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하수의 높이에 따라 하수 차단 높이를 가변할 수 있어 하수를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하수박스 물막이장치{THE APPARATUS OF FLOWRATE PREVENT STRUCTURE OF SEWER PIPE}
본 발명은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져, 하수박스의 상부를 철거하지 않고 기존의 맨홀을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수밀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 소요시간이 적게 걸리고, 초보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하수의 높이에 따라 하수 차단 높이를 가변할 수 있어 하수를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오수, 공장 및 산업에서 발생하는 폐수 등의 오염된 하수는 하수도관이나 하수박스를 통해 하수종말 처리장으로 보내지게 되는데 하수의 배수가 불량할 경우 물이 특정 장소에 고여 주변 환경 및 미관을 해치고 주변 동식물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며 악취가 발생하는 등 각종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통로로 하수박스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오수와 같이 쓸려 내려온 흙이나 불순물이 서서히 퇴적되어 쌓이며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원활한 배수가 어려워 준설이 필요한 경우나, 하수박스가 노후화되어 개보수가 필요한 경우 흐르는 하수를 막아야 준설 및 개보수가 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초기의 하수박스 개보수는 다수개의 마대자루를 쌓아 물길을 막아 수로를 차단하였지만, 이는 특별한 장비없이 수작업으로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자의 체력소모가 크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특히 수위가 매우 낮은 구간에서만 활용할 수 있고, 수위가 높은 하수박스는 오랜 시간동안 개보수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수위가 높은 하수박스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물막이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하수박스 상부를 철거하여야만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및 해체작업이 번거롭고,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기간도 긴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04535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존하수박스의 상부를 철거하지 않고 기존의 맨홀을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수밀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 소요시간이 적게 걸리고, 초보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하수의 높이에 따라 하수 차단 높이를 가변할 수 있어 하수를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수박스 물막이장치는
하수박스 내벽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직사각 틀 형상으로 수평·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수박스의 내벽 상·하·좌·우면에 밀착되면서, 내벽 둘레의 수밀성을 확보하고, 이와 동시에 적층형 수문의 수밀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수문 가이드(100)와,
수문 가이드의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적층식 삽입되어 수문 가이드 내측의 수밀성을 갖는 적층형 수문(200)과,
수문 가이드(100)의 외측 상단과 외측하단, 그리고, 수문 가이드(100)의 내측 상단과 내측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수평방향 길이가변 원형 봉 형상으로 길이가변을 통해 하수박스와 접촉되는 수문가이드쪽으로 수평지지장력을 증가시켜 수문가이드에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수평장력 구동장치(300)와
적층형수문 상단 일측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적층형수문 상단방향에서 적층형수문쪽으로 수직장력을 증가시켜 적층형 수문에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수직장력 구동장치(400)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하수박스의 상부를 철거하지 않고 기존의 맨홀을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수밀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 소요시간이 적게 걸리고, 초보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하수의 높이에 따라 하수 차단 높이를 가변할 수 있고, 2중 개스킷 구조로 수밀성이 우수하여 하수 차단상태에서 틈새로 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최소화하고, 단단히 고정되며 하수를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박스 물막이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박스 물막이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가이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 프레임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잭스크류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수문의 구성요소 중,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상단면에 길이방향으로 2중 구조의 단턱형 끼움홈(212)이 형성되고,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는 개스킷 삽입 안내레일홈(211)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개스킷(211a)이 2중 삽입된 수문 프레임에 수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장력 구동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수평 장력조절 핸들의 회전방향에 따른 수평 베벨기어부의 회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수평방향 길이조절부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장력 구동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적층형 수문 삽입홈(110a)의 전·후면에 수직방향 끝단까지 2중 구조의 개스킷(110a-1)이 삽입결합되어 형성된 것과, 우측지지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적층형 수문 삽입홈(120a)의 전·후면에 수직방향 끝단까지 2중 구조의 개스킷(120a-1)이 삽입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잭스크류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링크프레임이 펼침형상 또는 접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가이드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 발판을 하수박스의 중앙지점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가이드를 하강시켜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하단면이 하수박스 내측 하단면에 닿도록 위치시킨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잭스크류구동부의 구성요소 중 수동핸들을 구성하여, 수문 가이드를 펼침형상으로 전개시킨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장력 구동장치가 수문 가이드의 외측 상단과 외측하단, 그리고, 수문 가이드의 내측 상단과 내측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수평방향의 길이가변을 통해 하수박스와 접촉되는 수문가이드쪽으로 수평지지장력을 증가시켜 수문가이드에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장력 구동장치가 수문 가이드의 좌측 지지 프레임 상단 헤드부 일측과, 우측 지지 프레임 상단 헤드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적층형 수문 삽입홈에 적층형 수문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삽입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수문 상단 헤드부 일측에 수직장력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수밀성을 증가시킨 것을 도시한 ?癬享첼뭇?,
도 18은 본 발명에 하수박스 물막이장치가 하수관로를 준설 및 보수하기 위해 하수박스에 설치되어 물을 막은 최종상태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박스 물막이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박스 물막이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수문 가이드(100), 적층형 수문(200), 수평장력 구동장치(300), 수직장력 구동장치(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가이드(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수문 가이드(100)는 하수박스 내벽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직사각 틀 형상으로 수평·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수박스의 내벽 상·하·좌·우면에 밀착되면서, 내벽 둘레의 수밀성을 확보하고, 이와 동시에 적층형 수문의 수밀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지지 프레임(110), 우측 지지 프레임(120), 링크 프레임(130), 잭스크류구동부(14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지지 프레임(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좌측 지지 프레임(110)은 수문 가이드의 좌측에 직립되어 좌측면을 지지하며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며 하수박스 내부 좌측벽과 밀착된다.
이는 잭스크류구동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 하수박스접촉부위에 하수박스의 바닥모서리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모서리맞춤형부재(150)가 탈부착식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바닥모서리맞춤형부재(150)는 하수박스의 바닥모서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수박스의 박스모서리와 맞춤형으로 결합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 바닥모서리맞춤형부재는 하수박스의 바닥모서리형상에 따라, 사다리꼴형상,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 지지 프레임(110)은 전·후면 상단 일측과 하단 일측에 수평 장력 구동장치의 좌측이 각각 결합되고, 상단 헤드부 일측에 수직 장력 구동장치가 결합되며, 내측면 전면과 후면에 링크 프레임의 좌측이 축 결합된다.
여기서 좌측 지지 프레임은 수평 장력 구동장치의 좌산 너트에 볼트결합된 좌산 볼트가 인출되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며, 내측 전·후면에 축 결합된 링크 프레임이 좌측방향으로 펼쳐지고, 좌산 볼트가 인입되면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며, 내측 전·후면에 축 결합된 링크 프레임이 우측방향으로 접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지지 프레임은 하수박스와 직접 접촉되는 좌측면 상단 끝단부터 하단방향으로 모따기된 하단면 우측 끝단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형성된 적층형 수문 삽입홈(110a)의 전·후면에 수직방향 끝단까지 2중 구조의 개스킷(110a-1)이 삽입결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개스킷은 2중 고무구조로 좌측 지지 프레임이 하수박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었을 때 수밀성을 확보하여 좌측면으로 하수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지지 프레임(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우측 지지 프레임(120)은 수문 가이드의 우측에 직립되어 우측면을 지지하며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며 하수박스 내부 우측벽과 밀착된다.
이는 잭스크류구동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면 하수박스접촉부위에 하수박스의 바닥모서리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모서리맞춤형부재(150)가 탈부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우측 지지 프레임(120)은 전·후면 상단 일측과 하단 일측에 수평 장력 구동장치의 우측이 각각 결합되고, 상단 헤드부 일측에 수직 장력 구동장치가 결합되며, 내측면 전면과 후면에 링크 프레임의 우측이 축 결합된다.
여기서 우측 지지 프레임은 수평 장력 구동장치의 우산 너트에 볼트결합된 우산 볼트가 인출되면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며, 내측 전·후면에 축 결합된 링크 프레임이 우측방향으로 펼쳐지고, 우산 볼트가 인입되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며, 내측 전·후면에 축 결합된 링크 프레임이 좌측방향으로 접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지지 프레임은 하수박스와 직접 접촉되는 우측면 상단 끝단부터 하단방향으로 모따기된 하단면 좌측 끝단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형성된 적층형 수문 삽입홈(120a)의 전·후면에 수직방향 끝단까지 2중 구조의 개스킷(120a-1)이 삽입결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개스킷은 2중 고무구조로 우측 지지 프레임이 하수박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었을 때 수밀성을 확보하여 우측면으로 하수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링크 프레임(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링크 프레임(130)은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외측 상·하단과 내측 상·하단에 가위접이식 링크구조로 결합되어, 잭스크류구동부의 힘을 전달받아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이 좌·우방향으로 펼침형상 또는 접힘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상단 가위접이식 링크부(131), 외측하단 가위접이식 링크부(132), 내측상단 가위접이식 링크부(133), 내측하단 가위접이식 링크부(134)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상단 가위접이식 링크부(131)는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외측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잭스크류 구동부의 너트 일측에 연결되어,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외측 상단이 좌·우방향으로 펼침형상 또는 접힘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측하단 가위접이식 링크부(132)는 외측상단 가위접이식 링크부와 수직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위치되고,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외측 하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잭스크류 구동부의 너트 일측에 연결되어,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외측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펼침형상 또는 접힘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상단 가위접이식 링크부(133)는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잭스크류구동부의 너트 일측에 연결되어,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 상단이 좌·우방향으로 펼침형상 또는 접힘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4)는 내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와 수직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위치되고,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 하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잭스크류구동부의 너트 일측에 연결되어,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펼침형상 또는 접힘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링크프레임은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좌우방향 이동시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균형을 잡아주어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잭스크류구동부(140)에 관해 설명하다.
상기 잭스크류구동부(140)는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수직길이방향으로 위치되고, 링크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잭스크류의 회전력을 통해 승하강되는 너트의 힘을 링크프레임에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에 형성되어, 한번의 회전으로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외측 상·하단과 내측 상·하단에 형성된 링크프레임을 동시에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형성시킨다.
상기 잭스크류구동부(1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모터(141), 제1 베벨기어박스(142), 제1 샤프트(143), 제1 우(右)산볼트봉(144), 제1 우(右)산 너트(145), 제1 좌(左)산볼트봉(146), 제1 좌(左)산 너트(147), 제2베벨기어박스(148), 제2 샤프트(149), 제2 우(右)산볼트봉(149a), 제2 우(右)산 너트(149b), 제2 좌(左)산볼트봉(149c), 제2 좌(左)산 너트(149d)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모터(141)는 제1 베벨기어박스쪽으로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베벨기어박스(142)는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모터로부터 생성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90°방향으로 회전력을 변환시켜 제1 샤프트에 전달시키고, 제1 샤프트에 전달된 회전력과 90°방향으로 회전력을 변환시켜 제2 베벨기어박스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샤프트(143)는 제1 베벨기어박스의 하단방향 일측에 연결되어, 제1 베벨기어박스로부터 회전모터에서 생성된 회전력과 90°방향으로 변환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우(右)산볼트봉과 제1 좌(左)산볼트봉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우(右)산볼트봉(144)은 제1 샤프트와 하단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표면상에 오른쪽나사산(우(右)산)이 형성되어, 제1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서 제1 우(右)산 너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우(右)산 너트(145)는 제1 우(右)산볼트봉의 오른쪽나사산(우(右)산)이 내부면에 형성된 오른쪽나사산(우(右)산)과 연결되어, 제1 우(右)산볼트봉을 포함하면서 형성되고, 타측에 외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1) 일측이 연결되어, 제1 우(右)산볼트봉의 회전력에 따라, 승강되면서 외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1)에 접히는 힘을 전달시키고, 하강되면서 외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1)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좌(左)산볼트봉(146)은 제1 우(右)산볼트봉과 하단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표면상에 왼쪽나사산(좌(左)산)이 형성되어, 제1 우(右)산볼트봉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서 제1 좌(左)산 너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좌(左)산 너트(147)는 제1 좌(左)산볼트봉의 왼쪽나사산(좌(左)산)이 내부면에 형성된 오른쪽나사산(우(右)산)과 연결되어, 제1 좌(左)산볼트봉을 포함하면서 형성되고, 타측에 외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2) 일측이 연결되어, 제1 좌(左)산볼트봉의 회전력에 따라, 승강되면서 외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2)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키고, 하강되면서 외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2)에 접히는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베벨기어박스(148)는 제1 베벨기어박스 후단방향에 동일선상으로 형성되어, 제1 베벨기어박스로부터 전달된 회전력과 90°방향으로 회전력을 변환시켜 제2 샤프트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샤프트(149)는 제2 베벨기어박스의 하단방향 일측에 연결되어, 제2 베벨기어박스로부터 회전모터에서 생성된 회전력과 90°방향으로 변환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우(右)산볼트봉과 제2 좌(左)산볼트봉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우(右)산볼트봉(149a)은 제2 샤프트와 하단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표면상에 오른쪽나사산(우(右)산)이 형성되어, 제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서 제2 우(右)산 너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우(右)산 너트(149b)는 제2 우(右)산볼트봉의 오른쪽나사산(우(右)산)이 내부면에 형성된 오른쪽나사산(우(右)산)과 연결되어, 제2 우(右)산볼트봉을 포함하면서 형성되고, 타측에 내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3) 일측이 연결되어, 제2 우(右)산볼트봉의 회전력에 따라, 승강되면서 내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3)에 접히는 힘을 전달시키고, 하강되면서 내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3)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좌(左)산볼트봉(149c)은 제2 우(右)산볼트봉과 하단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표면상에 왼쪽나사산(좌(左)산)이 형성되어, 제2 우(右)산볼트봉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서 제2 좌(左)산 너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좌(左)산 너트(149d)는 제2 좌(左)산볼트봉의 왼쪽나사산(좌(左)산)이 내부면에 형성된 오른쪽나사산(우(右)산)과 연결되어, 제2 좌(左)산볼트봉을 포함하면서 형성되고, 타측에 내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4) 일측이 연결되어, 제2 좌(左)산볼트봉의 회전력에 따라, 승강되면서 내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4)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키고, 하강되면서 내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4)에 접히는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잭스크류구동부(140)는 회전모터(141)를 대신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핸들(140a)이 구성된다.
여기서, 수동핸들은 제1 베벨기어박스쪽으로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수동핸들(140a)이 구성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중 수문가이드를 반자동으로 구동시키고, 회전모터(141)가 구성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중 수문가이드를 자동을 구동시킨다.
이처럼, 회전모터(141), 제1 베벨기어박스(142), 제1 샤프트(143), 제1 우(右)산볼트봉(144), 제1 우(右)산 너트(145), 제1 좌(左)산볼트봉(146), 제1 좌(左)산 너트(147), 제2베벨기어박스(148), 제2 샤프트(149), 제2 우(右)산볼트봉(149a), 제2 우(右)산 너트(149b), 제2 좌(左)산볼트봉(149c), 제2 좌(左)산 너트(149d)로 이루어진 잭스크류구동부(140)는 다음과 같이 구동된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모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베벨기어박스를 통해 제1 샤프트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제1 베벨기어박스를 통해 제2 베벨기어박스쪽으로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며, 제2 베벨기어박스를 통해 제2 샤프트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제1 샤프트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1 우(右)산볼트봉(144)에서 제1 샤프트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 접촉된 제1 우(右)산 너트를 승강시킨다.
이어서, 제1 우(右)산 너트가 승강되면서 외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1)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킨다.
상기 제1 샤프트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1 좌(左)산볼트봉에서 제1 샤프트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왼쪽나사산(좌(左)산)에 접촉된 제1 좌(左)산 너트를 하강시킨다.
이어서, 제1 좌(左)산 너트가 하강되면서 외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2)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킨다.
상기 제2 샤프트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2 우(右)산볼트봉에서 제2 샤프트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 접촉된 제2 우(右)산 너트를 승강시킨다.
이어서, 제2 우(右)산 너트가 승강되면서 내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3)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킨다.
상기 제2 샤프트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2 좌(左)산볼트봉에서 제2 샤프트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왼쪽나사산(좌(左)산)에 접촉된 제2 좌(左)산 너트를 하강시킨다.
이어서, 제2 좌(左)산 너트가 하강되면서 내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4)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모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베벨기어박스를 통해 제1 샤프트에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제1 베벨기어박스를 통해 제2 베벨기어박스쪽으로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며, 제2 베벨기어박스를 통해 제2 샤프트에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제1 샤프트에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1 우(右)산볼트봉(144)에서 제1 샤프트의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 접촉된 제1 우(右)산 너트를 하강시킨다.
이어서, 제1 우(右)산 너트가 하강되면서 외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1)에 접히는 힘을 전달시킨다.
상기 제1 샤프트에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1 좌(左)산볼트봉에서 제1 샤프트의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왼쪽나사산(좌(左)산)에 접촉된 제1 좌(左)산 너트를 승강시킨다.
이어서, 제1 좌(左)산 너트가 승강되면서 외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2)에 접히는 힘을 전달시킨다.
상기 제2 샤프트에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2 우(右)산볼트봉에서 제2 샤프트의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 접촉된 제2 우(右)산 너트를 하강시킨다.
이어서, 제2 우(右)산 너트가 하강되면서 내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3)에 접히는 힘을 전달시킨다.
상기 제2 샤프트에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2 좌(左)산볼트봉에서 제2 샤프트의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왼쪽나사산(좌(左)산)에 접촉된 제2 좌(左)산 너트를 승강시킨다.
이어서, 제2 좌(左)산 너트가 승강되면서 내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4)에 접히는 힘을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수문(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적층형 수문(200)은 수문 가이드의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적층식 삽입되어 수문 가이드 내측의 수밀성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상단면에 길이방향으로 2중 구조의 단턱형 끼움홈(212)이 형성되고,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는 개스킷 삽입 안내레일홈(211)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개스킷(211a)이 2중 삽입된 수문 프레임에 수직으로 적층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여기서 수문 프레임은 하수박스의 수위에 따라 필요한 차단 수위까지 복수개로 수직 결합하여 설치한다.
이때 최하단 수문 프레임의 하단에 삽입된 2중 개스킷은 하수박스 내측 하단면과 밀착되어 하단으로 하수가 새어나오는 것을 차단하고, 최하단 수문 프레임의 상단면에 형성된 2중구조로 이루어진 단턱형 끼움홈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수문 프레임의 하단 2중 개스킷이 삽입되어 2중 밀폐구조로 결합부분의 누수를 차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평장력 구동장치(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수평장력 구동장치(300)는 수문 가이드(100)의 외측 상단과 외측하단, 그리고, 수문 가이드(100)의 내측 상단과 내측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수평방향 길이가변 원형 봉 형상으로 길이가변을 통해 하수박스와 접촉되는 수문가이드쪽으로 수평지지장력을 증가시켜 수문가이드에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장력조절 핸들(310), 수평 베벨기어부(320), 수평방향 길이조절부(33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장력조절 핸들(3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수평 장력조절 핸들(310)은 정면 중앙에 형성되어 수동방식으로 수평 베벨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베벨기어부(3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수평 베벨기어부(320)는 수평 장력조절 핸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좌측에 맞물린 좌측 베벨기어와 우측에 맞물린 우측 베벨기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박스 몸체(321), 감속기(322), 수평 구동기어(323), 좌측 피동기어(324), 우측 피동기어(325)로 구성된다.
상기 기어박스 몸체(321)는 내부에 형성된 베벨 기어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외력으로부터 기어 이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속기(322)는 기어박스 몸체의 내부 정면에 위치하여 수평 장력조절 핸들과 연결되어 회전속도의 감소와 반비례하여 수평 구동기어의 구동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 구동기어(323)는 장력조절 핸들과 전후방향으로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피동기어의 회전방향을 가변시키고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수평장력 구동장치의 장력조절 핸들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측 피동기어는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좌산 나사가 풀어지고, 우측 피동기어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우산 나사가 풀어진다.
반대로, 수평장력 구동장치의 장력조절 핸들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측 피동기어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좌산 나사가 감겨지고, 우측 피동기어는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우산 나사가 감겨진다.
즉, 좌측 피동기어와 우측 피동기어는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며 서로 반대방향인 대칭으로 회전되며 좌산 너트와 우산 너트가 동일하게 풀어지거나 감겨지며 좌우방향 대칭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 피동기어(324)는 수평 구동기어의 좌측 기어 이와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좌산 너트를 회전시켜 좌측 수평방향의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측 피동기어(325)는 수평 구동기어의 우측 기어 이와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우산 너트를 회전시켜 우측 수평방향의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수평방향 길이조절부(3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수평방향 길이조절부(330)는 수평 베벨기어부의 좌우측에 결합되어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좌우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산 볼트(331), 좌산 너트(332), 우산 볼트(333), 우산 너트(334)로 구성된다.
상기 좌산 볼트(331)는 좌측 지지 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내측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원형 볼트 형상으로 내부 나사산이 좌산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좌측 지지 프레임의 전·후면 상단과 하단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고, 우측방향의 나사산이 좌산 너트(332)에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좌산 너트(332)는 원형 관 형태의 너트형상으로 좌측 피동기어의 좌측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좌측방향으로 좌산 볼트의 우측과 볼트 결합된다.
이는 좌측 피동기어의 좌측면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내부 나사산에 볼트 결합된 좌산 볼트를 인출 및 인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좌산 볼트를 최대로 인출시키면 수평방향 길이조절부의 좌측 간격이 최대로 이격되며 좌측 지지 프레임의 설치상태가 되고, 좌산 볼트를 최소로 인입시키면 수평방향 길이조절부의 좌측 간격이 최소로 밀착되며 좌측 지지 프레임의 접이식 상태가 된다.
상기 우산 볼트(333)는 우측 지지 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내측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원형 볼트 형상으로 나사산이 우산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우측 지지 프레임의 전·후면 상단과 하단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고, 좌측방향의 나사산이 우산 너트(334)에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우산 너트(334)는 원형 관 형태의 너트형상으로 우측 피동기어의 우측에 결합되어 좌산 볼트와 대칭으로 회전되고, 우측방향으로 우산 볼트의 좌측과 볼트 결합된다.
이는 우측 피동기어의 좌측면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내부 나사산에 볼트 결합된 좌산 볼트를 인출 및 인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우산 볼트를 최대로 인출시키면 수평방향 길이조절부의 우측 간격이 최대로 이격되며 우측 지지 프레임의 설치상태가 되고, 우산 볼트를 최소로 인입시키면 수평방향 길이조절부의 우측 간격이 최소로 밀착되며 우측 지지 프레임의 접이식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직장력 구동장치(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수직장력 구동장치(400)는 적층형수문 상단 일측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적층형수문 상단방향에서 적층형수문쪽으로 수직장력을 증가시켜 적층형 수문에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410), 트윈너트봉(420), 상단용 좌(左)산 인장볼트부(430), 하단용 우(右)산 인장볼트부(44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410)는 "I"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트윈너트봉(420)은 몸체 중앙부위에 위치되어, 내부공간의 내벽중앙을 기준으로 내벽상단방향으로 왼쪽나사산(좌(左)산)이 형성되어, 상단용 좌(左)산 인장볼트부의 길이를 가변시키면서 지지하고, 내벽하단방향으로 오른쪽나사산(우(右)산)이 형성되어, 하단용 우(右)산 인장볼트부의 길이를 가변시키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단용 좌(左)산인장볼트부(430)는 트윈너트봉의 내벽상단방향에 위치되고, 상단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면서, 하수박스의 상단내벽과 접촉되어 적층형수문쪽으로 수직장력을 증가시켜 적층형 수문에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단용 우(右)산인장볼트부(440)는 트윈너트봉의 내벽하단방향에 위치되고, 하단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면서, 적층형 수문의 상단과 접촉되어 트윈너트봉, 좌(左)산 인장볼트부를 하단방향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수박스 물막이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하수박스 내부에 퇴적물이 쌓여 하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지점으로 이동하여 퇴적물을 걷어낼 부분의 하수가 흘러오는 방향쪽의 하수구를 개방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 가이드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 발판을 하수박스의 중앙지점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 가이드를 하강시켜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하단면이 하수박스 내측 하단면에 닿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 가이드를 전개시킨다.
이때, 수문가이드의 잭스크류구동부(140)는 회전모터(141)를 대신하여, 수동핸들(140a)이 구성된다.
즉, 수동핸들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제1 베벨기어박스를 통해 제1 샤프트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제1 베벨기어박스를 통해 제2 베벨기어박스쪽으로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며, 제2 베벨기어박스를 통해 제2 샤프트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제1 샤프트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1 우(右)산볼트봉(144)에서 제1 샤프트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 접촉된 제1 우(右)산 너트를 승강시킨다.
이어서, 제1 우(右)산 너트가 승강되면서 외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1)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킨다.
상기 제1 샤프트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1 좌(左)산볼트봉에서 제1 샤프트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왼쪽나사산(좌(左)산)에 접촉된 제1 좌(左)산 너트를 하강시킨다.
이어서, 제1 좌(左)산 너트가 하강되면서 외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2)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킨다.
상기 제2 샤프트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2 우(右)산볼트봉에서 제2 샤프트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 접촉된 제2 우(右)산 너트를 승강시킨다.
이어서, 제2 우(右)산 너트가 승강되면서 내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3)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킨다.
상기 제2 샤프트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2 좌(左)산볼트봉에서 제2 샤프트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왼쪽나사산(좌(左)산)에 접촉된 제2 좌(左)산 너트를 하강시킨다.
이어서, 제2 좌(左)산 너트가 하강되면서 내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4)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장력 구동장치가 수문 가이드의 외측 상단과 외측하단, 그리고, 수문 가이드의 내측 상단과 내측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수평방향 길이가변 원형 봉 형상으로 길이가변을 통해 하수박스와 접촉되는 수문가이드쪽으로 수평지지장력을 증가시켜 수문가이드에 수밀성을 증가시킨다.
즉, 수평 장력조절 핸들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맞물려 있는 좌측 피동기어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우측 피동기어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좌측 피동기어에 결합된 좌산 너트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좌산 볼트가 인출되고, 대칭으로 우측 피동기어에 결합된 우산 너트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우산 볼트가 인출된다.
즉, 수평장력 구동장치가 좌우측 대칭으로 길이가 길어지며 좌측에 결합된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에 결합된 우측 지지 프레임을 하수박스의 좌우측면에 밀착시킨다.
이때, 좌측면 지지 프레임과 우측면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2중으로 결합된 개스킷이 하수박스의 좌우측면과 이격공간 없이 밀착되어 측면방향으로 새어나오는 하수를 차단한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장력 구동장치가 수문 가이드의 좌측 지지 프레임 상단 헤드부 일측과, 우측 지지 프레임 상단 헤드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밀성을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적층형 수문 삽입홈에 적층형 수문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삽입한다.
이때 최하단 수문 프레임의 하단면에 결합된 개스킷은 하수박스 내측 하단면에 밀착되어 하단으로 새어나오는 하수를 차단한다.
또한, 최하단 수문 프레임의 상단에 적층되는 적층형 수문은 각각의 하단면에 형성된 2중 개스킷이 2중 단턱홈에 밀착 삽입되어 적층된 사이로 새어나오는 하수를 차단한다.
이는 하수의 수위보다 50cm 이상 높게 설치하여 작업중 하수가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형 수문 상단 헤드부 일측에 수직장력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수밀성을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하수를 완벽히 차단한 상태에서 퇴적물을 깨끗이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설치방법의 반대로 적층된 적층형 수문을 제거하고, 수직 장력 구동장치를 최소로 인입시키고, 수평 장력 구동장치를 최소로 인입시켜 부피를 축소시킨 후, 수문가이드를 접어서 하수박스에서 수문 가이드를 꺼낸다.
도 18은 본 발명에 하수박스 물막이장치가 하수관로를 준설 및 보수하기 위해 하수박스에 설치되어 물을 막은 최종상태를 도시한 일실시예도에 관한 것이다.
1 :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100 : 수문 가이드
200 : 적층형 수문 300 : 수평장력 구동장치
400 : 수직장력 구동장치

Claims (10)

  1. 하수관로나 차집 관로를 준설 및 보수하기 위해 하수박스의 물을 막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1)는
    하수박스 내벽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직사각 틀 형상으로 수평·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수박스의 내벽 상·하·좌·우면에 밀착되면서, 내벽 둘레의 수밀성을 확보하고, 이와 동시에 적층형 수문의 수밀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수문 가이드(100)와,
    수문 가이드의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적층식 삽입되어 수문 가이드 내측의 수밀성을 갖는 적층형 수문(200)과,
    수문 가이드(100)의 외측 상단과 외측하단, 그리고, 수문 가이드(100)의 내측 상단과 내측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수평방향 길이가변 원형 봉 형상으로 길이가변을 통해 하수박스와 접촉되는 수문가이드쪽으로 수평지지장력을 증가시켜 수문가이드에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수평장력 구동장치(300)와
    적층형수문 상단 일측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적층형수문 상단방향에서 적층형수문쪽으로 수직장력을 증가시켜 적층형 수문에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수직장력 구동장치(4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1)에 있어서,
    상기 수문 가이드(100)는
    수문 가이드의 좌측에 직립되어 좌측면을 지지하며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며 하수박스 내부 좌측벽과 밀착되는 좌측 지지 프레임(110)과,
    수문 가이드의 우측에 직립되어 우측면을 지지하며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며 하수박스 내부 우측벽과 밀착되는 우측 지지 프레임(120)과,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외측 상·하단과 내측 상·하단에 가위접이식 링크구조로 결합되어, 잭스크류구동부의 힘을 전달받아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이 좌·우방향으로 펼침형상 또는 접힘형상으로 형성시키는 링크 프레임(130)과,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수직길이방향으로 위치되고, 링크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잭스크류의 회전력을 통해 승하강되는 너트의 힘을 링크프레임에 전달시키는 잭스크류구동부(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수문 가이드(100)는
    좌측 지지 프레임(110)과 우측지지프레임(120)의 바닥면 하수박스접촉부위 에 하수박스의 바닥모서리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모서리맞춤형부재가 탈부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프레임(130)은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외측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잭스크류구동부의 너트 일측에 연결되어,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외측 상단이 좌·우방향으로 펼침형상 또는 접힘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외측상단 가위접이식 링크부(131)와,
    외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와 수직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위치되고,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외측 하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잭스크류구동부의 너트 일측에 연결되어,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외측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펼침형상 또는 접힘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외측하단 가위접이식 링크부(132)와,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잭스크류구동부의 너트 일측에 연결되어,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 상단이 좌·우방향으로 펼침형상 또는 접힘형상으로 형성시키는 내측상단 가위접이식 링크부(133)와,
    내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와 수직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위치되고,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 하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잭스크류구동부의 너트 일측에 연결되어, 좌측 지지 프레임과 우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펼침형상 또는 접힘형상으로 형성시키는 내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잭스크류구동부(140)는
    제1 베벨기어박스쪽으로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회전모터(141)와,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모터로부터 생성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90°방향으로 회전력을 변환시켜 제1 샤프트에 전달시키고, 제1 샤프트에 전달된 회전력과 90°방향으로 회전력을 변환시켜 제2 베벨기어박스쪽으로 전달시키는 제1 베벨기어박스(142)와,
    제1 베벨기어박스의 하단방향 일측에 연결되어, 제1 베벨기어박스로부터 회전모터에서 생성된 회전력과 90°방향으로 변환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우(右)산볼트봉과 제1 좌(左)산볼트봉으로 전달시키는 제1 샤프트(143)와,
    제1 샤프트와 하단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표면상에 오른쪽나사산(우(右)산)이 형성되어, 제1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서 제1 우(右)산 너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제1 우(右)산볼트봉(144)과,
    제1 우(右)산볼트봉의 오른쪽나사산(우(右)산)이 내부면에 형성된 오른쪽나사산(우(右)산)과 연결되어, 제1 우(右)산볼트봉을 포함하면서 형성되고, 타측에 외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1) 일측이 연결되어, 제1 우(右)산볼트봉의 회전력에 따라, 하강되면서 외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1)에 접히는 힘을 전달시키고, 승강되면서 외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1)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키는 제1 우(右)산 너트(145)와,
    제1 우(右)산볼트봉과 하단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표면상에 왼쪽나사산(좌(左)산)이 형성되어, 제1 우(右)산볼트봉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서 제1 좌(左)산 너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제1 좌(左)산볼트봉(146)과,
    제1 좌(左)산볼트봉의 왼쪽나사산(좌(左)산)이 내부면에 형성된 오른쪽나사산(우(右)산)과 연결되어, 제1 좌(左)산볼트봉을 포함하면서 형성되고, 타측에 외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2) 일측이 연결되어, 제1 좌(左)산볼트봉의 회전력에 따라, 하강되면서 외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2)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키고, 승강되면서 외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2)에 접히는 힘을 전달시키는 제1 좌(左)산 너트(147)와,
    제1 베벨기어박스 후단방향에 동일선상으로 형성되어, 제1 베벨기어박스로부터 전달된 회전력과 90°방향으로 회전력을 변환시켜 제2 샤프트로 전달시키는 제2베벨기어박스(148)와,
    제2 베벨기어박스의 하단방향 일측에 연결되어, 제2 베벨기어박스로부터 회전모터에서 생성된 회전력과 90°방향으로 변환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우(右)산볼트봉과 제2 좌(左)산볼트봉으로 전달시키는 제2 샤프트(149)와,
    제2 샤프트와 하단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표면상에 오른쪽나사산(우(右)산)이 형성되어, 제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서 제2 우(右)산 너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제2 우(右)산볼트봉(149a)과,
    제2 우(右)산볼트봉의 오른쪽나사산(우(右)산)이 내부면에 형성된 오른쪽나사산(우(右)산)과 연결되어, 제2 우(右)산볼트봉을 포함하면서 형성되고, 타측에 내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3) 일측이 연결되어, 제2 우(右)산볼트봉의 회전력에 따라, 하강되면서 내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3)에 접히는 힘을 전달시키고, 승강되면서 내측상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3)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키는 제2 우(右)산 너트(149b)와,
    제2 우(右)산볼트봉과 하단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표면상에 왼쪽나사산(좌(左)산)이 형성되어, 제2 우(右)산볼트봉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른쪽나사산(우(右)산)에서 제2 좌(左)산 너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제2 좌(左)산볼트봉(149c)과,
    제2 좌(左)산볼트봉의 왼쪽나사산(좌(左)산)이 내부면에 형성된 오른쪽나사산(우(右)산)과 연결되어, 제2 좌(左)산볼트봉을 포함하면서 형성되고, 타측에 내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4) 일측이 연결되어, 제2 좌(左)산볼트봉의 회전력에 따라, 하강되면서 내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4)에 펼치는 힘을 전달시키고, 승강되면서 내측하단 가위접이식링크부(134)에 접히는 힘을 전달시키는 제2 좌(左)산 너트(149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수문(200)은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상단면에 길이방향으로 2중 구조의 단턱형 끼움홈(212)이 형성되고,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는 개스킷 삽입 안내레일홈(211)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개스킷(211a)이 2중 삽입된 수문 프레임에 수직으로 적층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장력 구동장치(300)는
    정면 중앙에 형성되어 수동방식으로 수평 베벨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수평 장력조절 핸들(310)과,
    수평 장력조절 핸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좌측에 맞물린 좌측 베벨기어와 우측에 맞물린 우측 베벨기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수평 베벨기어부(320)와,
    수평 베벨기어부의 좌우측에 결합되어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좌우간격을 조절하는 수평방향 길이조절부(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베벨기어부(320)는
    내부에 형성된 베벨 기어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외력으로부터 기어 이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어박스 몸체(321)와,
    기어박스 몸체의 내부 정면에 위치하여 수평 장력조절 핸들과 연결되어 회전속도의 감소와 반비례하여 수평 구동기어의 구동력을 상승시키는 감속기(322)와,
    장력조절 핸들과 전후방향으로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피동기어의 회전방향을 가변시키고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평 구동기어(323)와,
    수평 구동기어의 좌측 기어 이와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좌산 너트를 회전시켜 좌측 수평방향의 길이를 조절하는 좌측 피동기어(324)와,
    수평 구동기어의 우측 기어 이와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우산 너트를 회전시켜 우측 수평방향의 길이를 조절하는 우측 피동기어(3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 길이조절부(330)는
    좌측 지지 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내측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원형 볼트 형상으로 내부 나사산이 좌산방향으로 형성되는 좌산 볼트(331)와,
    원형 관 형태의 너트형상으로 좌측 피동기어의 좌측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좌측방향으로 좌산 볼트의 우측과 볼트 결합되는 좌산 너트(332)와,
    우측 지지 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내측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원형 볼트 형상으로 나사산이 우산방향으로 형성되는 우산 볼트(333)와,
    원형 관 형태의 너트형상으로 우측 피동기어의 우측에 결합되어 좌산 볼트와 대칭으로 회전되고, 우측방향으로 우산 볼트의 좌측과 볼트 결합되는 우산 너트(3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장력 구동장치(400)는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410)와,
    몸체 중앙부위에 위치되어, 내부공간의 내벽중앙을 기준으로 내벽상단방향으로 왼쪽나사산(좌(左)산)이 형성되어, 상단용 좌(左)산인장볼트부의 길이를 가변시키면서 지지하고, 내벽하단방향으로 오른쪽나사산(우(右)산)이 형성되어, 하단용 우(右)산인장볼트부의 길이를 가변시키면서 지지하는 트윈너트봉(420)과,
    트윈너트봉의 내벽상단방향에 위치되고, 상단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면서, 하수박스의 상단내벽과 접촉되어 적층형수문쪽으로 수직장력을 증가시켜 적층형 수문에 수밀성을 증가시키는 상단용 좌(左)산인장볼트부(430)와,
    트윈너트봉의 내벽하단방향에 위치되고, 하단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면서, 적층형 수문의 상단과 접촉되어 트윈너트봉, 좌(左)산인장볼트부를 하단방향에서 지지하는 하단용 우(右)산인장볼트부(4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KR1020160056098A 2016-05-09 2016-05-09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KR101793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098A KR101793912B1 (ko) 2016-05-09 2016-05-09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098A KR101793912B1 (ko) 2016-05-09 2016-05-09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912B1 true KR101793912B1 (ko) 2017-12-01

Family

ID=6092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098A KR101793912B1 (ko) 2016-05-09 2016-05-09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3218A (zh) * 2019-09-18 2019-12-20 中铁第五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双向挡水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24B1 (ko) * 2009-07-23 2012-04-20 (주)종근하우징시스템 흙막이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24B1 (ko) * 2009-07-23 2012-04-20 (주)종근하우징시스템 흙막이용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3218A (zh) * 2019-09-18 2019-12-20 中铁第五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双向挡水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37085U (zh) 拦渣防倒灌截流井
CN105756181A (zh) 拦渣防倒灌截流井
KR101324671B1 (ko) 설치구조를 개선시킨 수문용 게이트 펌프
CN204225213U (zh) 楼宇雨污分流装置
KR100886461B1 (ko) 하수관거 차수로봇용 가물막이 수밀패널
KR101370040B1 (ko) 복식 문비
KR101793912B1 (ko) 하수박스 물막이장치
CN202440933U (zh) 排水管防倒灌拍门
KR20100010477U (ko) 수문
CN214573084U (zh) 一种海绵城市道路
CN216108368U (zh) 一种水利工程闸门净水装置
CN214574442U (zh) 一种基于暴雨天气的快速排水系统
CN212641385U (zh) 用于城市市政排水的灵活启闭双向控制闸门
EP2283188B1 (de) Verfahren zum spülen eines unterhalb eines hindernisses verlegten abwasserkanals und hierbei verwendete spülanlage
CN220978078U (zh) 一种建筑基坑排水系统
CN105756177B (zh) 水力浮动式止回截流井
KR20100099837A (ko) 수문
CN214738116U (zh) 一种桥梁临水基坑开挖支护墙装置
CN216276050U (zh) 一种地铁建筑给排水管道防堵塞结构
CN220725332U (zh) 一种水利工程排水机构
CN218264245U (zh) 一种安全防倒灌式井盖
CN217276307U (zh) 一种边坡养护检测监测预警装置
CN220644137U (zh) 一种淤地坝放水结构
CN220767956U (zh) 一种升降式水利闸门
CN216892789U (zh) 一种在线管道冲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