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697B1 -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697B1
KR101793697B1 KR1020170085044A KR20170085044A KR101793697B1 KR 101793697 B1 KR101793697 B1 KR 101793697B1 KR 1020170085044 A KR1020170085044 A KR 1020170085044A KR 20170085044 A KR20170085044 A KR 20170085044A KR 101793697 B1 KR101793697 B1 KR 101793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acket
inclination
fram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운
이길성
유병민
우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컴퍼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컴퍼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컴퍼지트
Priority to KR102017008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62D31/025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having modular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는, 사전에 제작된 다수 개의 바디가 하나의 차량용 차체를 이루도록 조립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벽을 구비하되, 상기 제1 경사벽에는 한 쌍의 제1 경사홀이 형성되는 제1 경사프레임;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상기 제1 경사벽에 밀착되는 제2 경사벽을 구비하되, 상기 제1 경사홀과 대응되는 부위에 제2 경사홀이 형성되는 제2 경사프레임; 상기 제1 경사벽과 제2 경사벽 사이에 압착되며, 상기 제1 경사홀과 대응되는 부위에 스페이서홀이 형성된 스페이서; 상기 제2 경사벽의 내측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2 경사홀과 대응되는 지점에 브라켓홀이 형성된 안착브라켓; 끝단이 상기 제1 경사홀과 스페이서홀과 제2 경사홀과 브라켓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제3 체결볼트; 상기 브라켓홀을 관통한 제3 체결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안착브라켓 상에 압착되는 제3 체결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경사홀은 상기 제1 경사홀보다 크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 {Assembly structure of chassis fram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사전에 제작된 다수 개의 바디가 입체적으로 결합되는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 바디 간에 약간의 조립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는 스틸로 제작하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차량의 경량화를 위해 복합재를 적용한 차량용 차체가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재 차체는 로어바디와 어퍼바디와 프론트바디 등 각각의 바디를 먼저 제작한 후, 각 바디들을 결합시켜 하나의 차체를 이루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복합재 차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복합재 차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복합재 차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종래의 복합재 차체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에 아우터스킨과 이너스킨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바디(10)와 어퍼바디(20)와 프론트바디(30)가 각각 사전에 제작된 이후 결합되는 공정을 통해 하나의 차량 섀시를 이루게 된다.
일반적으로 복합재 차체를 제작할 때에는, 아우터스킨과 프레임을 먼저 결합시킨 후 이너스킨을 내측에 씌우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어퍼바디(20)를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아우터스킨(22)과 프레임(24)을 먼저 제작하고,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스킨(22)과 프레임(24)을 결합시킨 후,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4)의 내측에 이너스킨(26)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프론트바디(30) 역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작되며, 로어바디(10)는 일반적으로 금속 구조물로만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로어바디(10)와 어퍼바디(20)와 프론트바디(30)는 볼팅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데, 각 바디들은 3차원으로 즉, 입체적으로 결합되므로 각각의 체결지점이 완벽하게 일치하지 아니하고 어느 정도의 조립공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각 바디들은 각각의 크기가 매우 크므로 상기와 같은 조립공차 역시 크게 발생되는데, 상기와 같은 조립공차가 과도하게 크게 발생되어 각 바디들의 볼팅 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물론,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크게 형성하면 조립공차가 어느 정도 발생하더라도 각 바디들을 원활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나, 체결볼트 삽입구멍의 크기가 증가하면 체결볼트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거나 체결볼트 체결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3-006753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차체를 구성하는 각 바디 간에 조립공차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고 안정적인 볼팅이 가능하고, 체결볼트의 흔들림이나 체결위치변경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구조적 강도가 우수한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는, 사전에 제작된 다수 개의 바디가 하나의 차량용 차체를 이루도록 조립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 평행프레임; 상기 제1 평행프레임에 나란하게 밀착되되 상기 제1 체결홀과 대응되는 측에 제2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2 평행프레임; 중공관 형상을 이루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 체결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평행프레임의 내벽에 밀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1 체결홀의 입구 외측면에 안착되는 부쉬;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부쉬의 내부 및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평행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길이방향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부쉬의 외측 끝단에 안착되는 헤드부로 구성되는 제1 체결볼트;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한 수나사부 끝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평행프레임의 내측면에 압착되는 제1 체결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부쉬의 내경은 상기 제2 체결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제1 관통홀이 둘 이상 형성된 제1 수평연장판을 구비하는 제1 거치프레임; 상기 제1 거치프레임 상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수평연장판 상에 적층되되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되는 부위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수평연장판을 구비하는 제2 거치프레임; 끝단이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제2 체결볼트; 상기 제1 관통홀을 관통한 제2 체결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수평연장판 상에 압착되는 제2 체결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두 개의 제2 관통홀 배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수평연장판의 폭방향 양측은 하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제2 수평연장판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제1 수평연장판의 폭방향 양측을 덮도록 하향으로 절곡 연장되되, 상기 제1 수평연장판의 폭방향 양측과 상기 제2 수평연장판의 폭방향 양측은 상호 이격된다.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벽을 구비하되, 상기 제1 경사벽에는 한 쌍의 제1 경사홀이 형성되는 제1 경사프레임;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상기 제1 경사벽에 밀착되는 제2 경사벽을 구비하되, 상기 제1 경사홀과 대응되는 부위에 제2 경사홀이 형성되는 제2 경사프레임; 상기 제1 경사벽과 제2 경사벽 사이에 압착되며, 상기 제1 경사홀과 대응되는 부위에 스페이서홀이 형성된 스페이서; 상기 제2 경사벽의 내측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2 경사홀과 대응되는 지점에 브라켓홀이 형성된 안착브라켓; 끝단이 상기 제1 경사홀과 스페이서홀과 제2 경사홀과 브라켓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제3 체결볼트; 상기 브라켓홀을 관통한 제3 체결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안착브라켓 상에 압착되는 제3 체결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경사홀은 상기 제1 경사홀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브라켓은 한 쌍의 브라켓홀이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중단이 잘록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브라켓의 중단을 덮도록 상기 제2 경사벽에 안착되는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브라켓은 제2 경사벽과는 고정결합되고 상기 안착브라켓과는 단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는, 차량의 차체를 구성하는 각 바디 간에 조립공차가 발생하더라도 각 바디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체결볼트가 흔들리거나 체결위치가 변경되지 아니하므로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가 우수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합재 차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복합재 차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제1 평행프레임과 제2 평행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1 거치프레임과 제2 거치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제1 경사프레임과 제2 경사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스페이서와 안착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는, 사전에 제작된 다수 개의 바디가 하나의 차량용 차체를 이루도록 조립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바디가 조립될 때 상호 결합되는 다수 개의 프레임을 구비한다. 이때 상호 결합되는 다수 개의 프레임은 상호 평행하게 병렬 배열되어 폭방향 일측이 맞닿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평행프레임이 될 수도 있고, 적층방식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거치프레임이 될 수도 있으며, 비스듬히 경사진 경사면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경사프레임이 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는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 간에 조립공차가 어느 정도 발생하더라도 체결볼트에 의해 정상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체결된 체결볼트가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아니하여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가 향상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각 프레임들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제1 평행프레임과 제2 평행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체결홀(112)이 형성되는 제1 평행프레임(110)과, 상기 제1 평행프레임(110)에 나란하게 밀착되되 상기 제1 체결홀(112)과 대응되는 측에 제2 체결홀(122)이 형성되는 제2 평행프레임(1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평행프레임(110)과 제2 평행프레임(120)은 제1 체결볼트(200a)와 제1 체결너트(300a)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데, 제1 평행프레임(110)과 제2 평행프레임(120) 간에 조립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제1 체결볼트(200a)와 제1 체결너트(300a)가 정상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중공관 형상을 이루되 길이방향 일단(도 4에서는 좌측단)이 상기 제1 체결홀(112)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평행프레임(110)의 내벽에 밀착되고 길이방향 타단(도 4에서는 우측단)이 상기 제1 체결홀(112)의 입구 외측면에 안착되는 부쉬(130)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체결볼트(200a)는 부쉬(130) 내부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제1 체결너트(300a)는 제2 평행프레임(120) 내부에서 제1 체결볼트(200a)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1 체결볼트(200a)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부쉬(130)의 내부 및 상기 제2 체결홀(122)을 관통하여 상기 제2 평행프레임(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나사부(210)와, 상기 수나사부(210)의 길이방향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부쉬(130)의 외측 끝단에 안착되는 헤드부(2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체결너트(300a)는 제2 체결홀(122)을 관통한 수나사부(210) 끝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평행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압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부쉬(130)의 내경은 상기 제2 체결홀(12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바, 수나사부(210)의 외경과 부쉬(130)의 내경 사이에는 일정 수준의 이격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제1 평행프레임(110)과 제2 평행프레임(120)의 장착위치가 약간 어긋나더라도 상기 제1 평행프레임(110)과 제2 평행프레임(120)은 제1 체결볼트(200a)와 제1 체결너트(300a)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체결홀(112)과 제2 체결홀(122)이 모두 수나사부(210)의 외경보다 현저히 크게 제작되면 제1 평행프레임(110)과 제2 평행프레임(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체결볼트(200a)가 움직일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제2 체결홀(122)은 수나사부(210)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나사결합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제1 거치프레임(410)과 제2 거치프레임(42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거치프레임(410)과, 상기 제1 거치프레임(410) 상에 안착되는 제2 거치프레임(420)과, 상기 제1 거치프레임(410)을 제2 거치프레임(420)에 결합시키는 제2 체결볼트(200b) 및 제2 체결너트(30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프레임(410)은 제1 관통홀(414)이 둘 이상 형성된 제1 수평연장판(412)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제2 거치프레임(420)은 상기 제1 수평연장판(412) 상에 적층되되 상기 제1 관통홀(414)과 대응되는 부위에 제2 관통홀(424)이 형성된 제2 수평연장판(422)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체결볼트(200b)는 끝단이 상기 제1 관통홀(414)과 상기 제2 관통홀(42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2 체결너트(300b)는 제1 관통홀(414)을 관통한 제2 체결볼트(200b)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수평연장판(422) 상에 압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거치되는 구조로 상호 결합되는 제1 거치프레임(410)과 제2 거치프레임(420)은, 상호 간의 결합위치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정상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관통홀(414)이 두 개의 제2 관통홀(424) 배열방향(도 5에서는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제2 관통홀(424)은 제2 체결볼트(200b)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나사결합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제작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414)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면, 제1 거치프레임(410)과 제2 거치프레임(420) 간의 결합위치가 제1 관통홀(414)의 장축방향으로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제2 체결볼트(200b)는 끝단이 제1 관통홀(414)과 제2 관통홀(42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바, 제1 거치프레임(410)과 제2 거치프레임(420)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평연장판(422)이 제1 수평연장판(412)에 안착된 상태에서 폭방향(도 5에서는 좌우방향)으로 과도하게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1 수평연장판(412)의 폭방향 양측은 하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제2 수평연장판(422)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제1 수평연장판(412)의 폭방향 양측을 덮도록 하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이때, 제2 수평연장판(422)의 폭방향 양측(하향으로 연장된 부위)이 제1 수평연장판(412)의 폭방향 양측(하향으로 연장된 부위)에 접촉되면, 제1 거치프레임(410)과 제2 거치프레임(42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제1 수평연장판(412)의 폭방향 양측과 상기 제2 수평연장판(422)의 폭방향 양측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수평연장판(412)의 폭방향 양측과 상기 제2 수평연장판(422)의 폭방향 양측이 상호 이격되면, 제2 수평연장판(422)의 폭방향 양측이 제1 수평연장판(412)의 폭방향 양측에 접촉될 때까지 제2 수평프레임의 거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제1 거치프레임(410)과 제2 거치프레임(420)을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제1 경사프레임(510)과 제2 경사프레임(52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스페이서(530)와 안착브라켓(54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벽(511)을 구비하는 제1 경사프레임(510)과,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상기 제1 경사벽(511)에 밀착되는 제2 경사벽(521)을 구비하는 제2 경사프레임(520)과, 상기 제1 경사프레임(510)과 제2 경사프레임(520)을 결합시키는 제3 체결볼트(200c) 및 제3 체결너트(300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벽(511)에는 한 쌍의 제1 경사홀(5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벽(521)에는 제1 경사홀(512)과 대응되는 부위에 제2 경사홀(522)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체결볼트(200c)는 끝단이 제1 경사홀(512)과 제2 경사홀(52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제3 체결너트(300c)는 제2 경사프레임(520) 내부로 돌출되는 제3 체결볼트(200c)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제1 경사프레임(510)과 제2 경사프레임(520)의 결합위치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제3 체결볼트(200c)가 제1 경사홀(512)과 제2 경사홀(5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경사홀(522)은 상기 제1 경사홀(512)보다 크게 형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제2 경사홀(522)이 크게 형성되면, 제1 경사홀(512)의 중심과 제2 경사홀(522)의 중심이 완벽하게 일치하지 아니하고 어느 정도 어긋나더라도 제3 체결볼트(200c)가 정상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경사프레임(510)과 제2 경사프레임(520)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경사프레임(510)과 제2 경사프레임(520)은 통상적으로 스틸과 같이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제작되는바, 제1 경사벽(511)과 제2 경사벽(521)이 직접 접촉되면 상호 간의 접촉면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제1 경사벽(511)과 제2 경사벽(521) 간의 압착력이 낮은 경우 제2 경사프레임(520)이 경사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 내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제3 체결볼트(200c)와 제3 체결너트(300c) 간의 나사결합력이 과도하게 높으면 제2 경사프레임(520)이 경사면을 타고 위로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는, 제1 경사프레임(510)이 제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경사면을 타고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1 경사벽(511)과 제2 경사벽(521) 사이에 압착되는 스페이서(530)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제3 체결너트(300c)가 비스듬히 경사진 제2 경사벽(521)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경사벽(521)의 내측면 중 제3 체결너트(300c)가 안착되는 부위에 안착되는 안착브라켓(540)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스페이서(530) 중 제1 경사홀(51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스페이서홀(532)이 형성되고, 안착브라켓(540) 중 제2 경사홀(522)과 대응되는 지점에는 브라켓홀(542)이 형성되는데, 상기 스페이서홀(532)이나 브라켓홀(542)이 제1 경사프레임(510)과 제2 경사프레임(520)의 위치 조정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스페이서홀(532)과 브라켓홀(542)은 제1 경사홀(512)이나 제2 경사홀(522)에 비해 크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브라켓(540)은 한 쌍의 브라켓홀(542)이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중단이 잘록한 평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550)은 안착브라켓(540)의 중단을 덮도록 제2 경사벽(521)에 안착되되 제2 경사벽(521)과는 고정결합되고 상기 안착브라켓(540)과는 단순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작자는 안착브라켓(540)을 상하 좌우로 움직여 제3 체결너트(300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3 체결볼트(200c)와 제3 체결너트(300c) 간에 조립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제3 체결볼트(200c)와 제3 체결너트(300c)를 정상적으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제1 평행프레임 112 : 제1 체결홀
120 : 제2 평행프레임 122 : 제2 체결홀
130 : 부쉬 200a : 제1 체결볼트
300a : 제1 체결너트 200b : 제2 체결볼트
300b : 제2 체결너트 200c : 제3 체결볼트
300c : 제3 체결너트 210 : 수나사부
220 : 헤드부 410 : 제1 거치프레임
412 : 제1 수평연장판 414 : 제1 관통홀
420 : 제2 거치프레임 422 : 제2 수평연장판
424 : 제2 관통홀 510 : 제1 경사프레임
511 : 제1 경사벽 512 : 제1 경사홀
520 : 제2 경사프레임 521 : 제2 경사벽
522 : 제2 경사홀 530 : 스페이서
532 : 스페이서홀 540 : 안착브라켓
542 : 브라켓홀 550 : 고정브라켓

Claims (2)

  1. 사전에 제작된 다수 개의 바디가 하나의 차량용 차체를 이루도록 조립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벽(511)을 구비하되, 상기 제1 경사벽(511)에는 한 쌍의 제1 경사홀(512)이 형성되는 제1 경사프레임(510);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상기 제1 경사벽(511)에 밀착되는 제2 경사벽(521)을 구비하되, 상기 제1 경사홀(512)과 대응되는 부위에 제2 경사홀(522)이 형성되는 제2 경사프레임(520);
    상기 제1 경사벽(511)과 제2 경사벽(521) 사이에 압착되며, 상기 제1 경사홀(512)과 대응되는 부위에 스페이서홀(532)이 형성된 스페이서(530);
    상기 제2 경사벽(521)의 내측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2 경사홀(522)과 대응되는 지점에 브라켓홀(542)이 형성된 안착브라켓(540);
    끝단이 상기 제1 경사홀(512)과 스페이서홀(532)과 제2 경사홀(522)과 브라켓홀(54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제3 체결볼트(200c);
    상기 브라켓홀(542)을 관통한 제3 체결볼트(200c)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안착브라켓(540) 상에 압착되는 제3 체결너트(300c);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경사홀(522)은 상기 제1 경사홀(512)보다 크게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브라켓(540)은, 한 쌍의 브라켓홀(542)이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중단이 잘록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브라켓(540)의 중단을 덮도록 상기 제2 경사벽(521)에 안착되는 고정브라켓(5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브라켓(550)은 제2 경사벽(512)과는 고정결합되고 상기 안착브라켓(540)과는 단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
KR1020170085044A 2017-07-04 2017-07-04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 KR101793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044A KR101793697B1 (ko) 2017-07-04 2017-07-04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044A KR101793697B1 (ko) 2017-07-04 2017-07-04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634A Division KR101793953B1 (ko) 2017-04-18 2017-04-18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697B1 true KR101793697B1 (ko) 2017-11-20

Family

ID=6080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044A KR101793697B1 (ko) 2017-07-04 2017-07-04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69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201B2 (en) Elastic tube alignment system for precisely locating components
JP4253350B1 (ja) 表示装置用スタンド
CN103358848A (zh) 稳定杆衬套附接组件
US9573542B2 (en) Bumper reinforcement
CN104981617A (zh) 补偿螺母
KR20150019047A (ko) 차량용 시트 크로스 멤버 유닛
RU14188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модуля фары
KR101137256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10150992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US20190016236A1 (en) Rail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 rail
WO2016004751A1 (zh) 前副车架及安装支架总成和具有它的车辆
JP6546487B2 (ja) ボルト締結部構造およびクロスメンバ締結部構造
CN203864472U (zh) 车辆用座椅滑动装置
KR101793697B1 (ko)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
EP3307578B1 (fr) Traverse en aluminium extrudé et à zones longitudinales pleines, pour la suspension d'une machine électrique motrice d'un véhicule
US9446794B2 (en) Fender panel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KR101335801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KR101793953B1 (ko) 차량용 차체 조립구조체
US10457347B2 (en) Embedded handle and handle structure for bicycle
US20070243039A1 (en) Cage nut assembly
EP2489581A1 (en) Screen attachment structure for saddle riding type vehicle
JP6481742B1 (ja) 天井下地構造
US20100038180A1 (en) Floor Conveyor With Wheel Arms
JP7045232B2 (ja) テーブル
JP6332754B2 (ja) ラックの連結部材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