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609B1 - 다중 광학 융합영상 기반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광학 융합영상 기반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609B1
KR101793609B1 KR1020150128726A KR20150128726A KR101793609B1 KR 101793609 B1 KR101793609 B1 KR 101793609B1 KR 1020150128726 A KR1020150128726 A KR 1020150128726A KR 20150128726 A KR20150128726 A KR 20150128726A KR 101793609 B1 KR101793609 B1 KR 10179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rain tumor
image
signals
input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813A (ko
Inventor
지영빈
주철민
오승재
서진석
허용민
장종희
강석구
김세훈
김상훈
허정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609B1/ko
Priority to JP2018513334A priority patent/JP6550532B6/ja
Priority to PCT/KR2016/009972 priority patent/WO2017043839A2/ko
Priority to US15/759,451 priority patent/US10820826B2/en
Publication of KR20170031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07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using microwaves or terahertz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4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image acquisition of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 A61B5/0042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image acquisition of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for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6Devices, other than using radiation,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determining position of probes within or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64Evaluating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76/00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 A61B2576/02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 A61B2576/026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for the brai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Abstract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실시간 뇌종양 검출 방법은 프로브가 복수의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뇌종양의 위치로 추정되는 타겟 검출 영역으로 전달하는 단계, 프로브가 복수의 입력 신호에 기반한 복수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프로브가 수신된 복수의 반사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복수의 입력 신호는 테라헤르츠 신호,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신호, 라만 신호를 포함하고, 복수의 반사 신호는 뇌종양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정보의 생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를 통해 뇌로부터 적출된 뇌종양 검체의 실시간 진단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광학 융합영상 기반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The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brain tumor in real time based on convergence of multiple optical images}
본 발명은 뇌종양 진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광학 융합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탐지/진단하고 뇌종양 수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종양은 국제 인구 통계 자료에 의하면 매년 인구 10만 명당 10명 정도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는데, 국내에서는 매년 2,500~4,500명이 발생하며 현재 뇌종양으로 고통을 받는 환자는 약 2만 여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두개강 내 조직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뇌 종양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악성 뇌종양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중 뇌교종의 한 종류인 교모세포종은 수술 및 방사선 치료를 동반한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정중 생존률이 14.6개월로 알려진 매우 예후가 좋지 않은 질병이다.
악성 뇌종양의 좋은 예후를 위해서는 수술을 통한 뇌종양의 완전 절제가 현재까지 알려진 제일 좋은 방법이며 양성 뇌종양도 제한된 두개강에서 커질 경우 뇌압을 높이고 악성 뇌종양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현재 수술 전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은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장치를 이용한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수술 중에는 전통적인 MRI 장치를 사용할 수 없고 또한 뇌종양은 사람 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으므로 뇌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사람의 뇌는 사고하는 능력 및 시각, 촉각 등의 각종 신경계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능한 한 최대한의 정상 뇌조직을 보존하며 뇌종양 조직만을 제거해야 하며 따라서 수술 중 뇌종양 조직의 경계를 확인하는 기술이 매주 중요하다.
현재 수술 중 뇌종양 경계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수술 현미경과 뇌 항법 장치(neuro-navigation)를 이용한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미리 촬영한 MRI 영상을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실제 수술 중에 뇌조직이 이동하는 뇌 이동(brain-shift)에 의한 문제로 뇌종양 완전 제거에 어려움이 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술 중 사용 가능한 MRI(intraoperative MRI, iMRI)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장치가 매우 고가인 점과 추가적인 수술 지연 시간의 단점 때문에 실제 임상 전문의의 사용이 어려운 점이 많다. 수술 중 뇌종양 조직의 경계를 검출하는 기술 중 극 최신 기술에 속하는 5-ALA(aminolevulinic acid)라는 특수 조영제를 이용한 형광 영상 기술이 있으며 이 기술은 세계 보건 기구(WHO) 분류 기준으로 고등급(WHO grade III, IV)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의 경계 검출에는 뛰어난 검출 능력을 나타내지만 혈뇌 장벽에 의한 저등급(WHO grade II) 뇌종양 검출은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한편, 테라헤르츠(terahertz, THz)파는 적외선과 마이크로파 사이의 일반적으로 50GHz에서 10THz 범위의 주파수를 가진 전자기파로서, 최근 첨단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미래의 전파자원으로 인정되면서 세계적으로 점점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IT(Information Technology), BT(Bio Technology) 등과의 융합을 통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KR 10-2000-0061358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검출 방법은 프로브가 복수의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뇌종양의 위치로 추정되는 타겟 검출 영역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프로브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에 기반한 복수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브가 수신된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는 테라헤르츠 신호,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신호, 라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는 상기 뇌종양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정보의 생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는 형광 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는 0.05내지 30THz 주파수 대역의 펄스파 또는 연속파 형태의 전자기파이고, 상기 OCT 신호는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해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된 600 nm 내지 1400 nm 파장의 신호이고, 상기 라만 신호는 라만 분광 및 영상 촬영을 위한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된 200 nm 내지 1400 nm 파장의 신호이고, 상기 형광 신호는 조영제를 기반으로 발생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반사 신호는 ITO(Indium Tim Oxide) 글래스에 의해 전반사 또는 투과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 중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는 상기 ITO 글래스에 의해 전반사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 중 상기 OCT 신호, 상기 라만 신호 및 상기 형광 신호는 상기 ITO 글래스에 의해 투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상은 제1 영상, 제2 영상 및 제3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OCT 신호, 상기 라만 신호 및 상기 형광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고, 상기 제3 영상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융합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뇌종양 검출 방법은 체외(ex-vivo)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가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뇌종양 검체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가 상기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에 기반한 복수의 다른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가 상기 복수의 다른 반사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뇌종양 검체에 대한 복수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는 다른 테라헤르츠 신호, 다른 OCT 신호, 다른 라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 각각과 동일한 신호원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검출 장치는 프로브가 복수의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뇌종양의 위치로 추정되는 타겟 검출 영역으로 전달하도록 구현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프로브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에 기반한 복수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현되는 신호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는 테라헤르츠 신호,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신호, 라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는 상기 뇌종양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정보의 생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는 형광 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는 0.05내지 30THz 주파수 대역의 펄스파 또는 연속파 형태의 전자기파이고, 상기 OCT 신호는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해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된 600 nm 내지 1400 nm 파장의 신호이고, 상기 라만 신호는 라만 분광 및 영상 촬영을 위한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된 200 nm 내지 1400 nm 파장의 신호이고, 상기 형광 신호는 조영제를 기반으로 발생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반사 신호는 ITO(Indium Tim Oxide) 글래스에 의해 전반사 또는 투과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 중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는 상기 ITO 글래스에 의해 전반사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 중 상기 OCT 신호, 상기 라만 신호 및 상기 형광 신호는 상기 ITO 글래스에 의해 투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상은 제1 영상, 제2 영상 및 제3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OCT 신호, 상기 라만 신호 및 상기 형광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고, 상기 제3 영상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융합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가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뇌종양 검체로 전달하도록 구현되는 다른 신호 출력부, 상기 비접촉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가 상기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에 기반한 복수의 다른 반사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현되는 다른 신호 검출부, 상기 복수의 다른 반사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뇌종양 검체에 대한 복수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는 다른 테라헤르츠 신호, 다른 OCT 신호, 다른 라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 각각과 동일한 신호원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뇌종양 수술 장치는 뇌종양과 관련된 복수의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뇌종양의 위치를 분석하도록 구현되는 영상 수신 및 분석부, 상기 뇌종양 수술 장치에 포함되는 뇌종양 제거부의 상기 뇌종양의 제거를 위한 초기 위치인 제1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현되는 1차 위치 결정부, 상기 뇌종양 수술 장치, 상기 뇌종양 제거부 또는 환자의 뇌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뇌종양 제거부의 상기 뇌종양의 제거를 위한 변화된 위치인 제2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현되는 2차 위치 결정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기반으로 뇌종양 절삭면을 결정하는 뇌종양 절삭면 결정부와 상기 뇌종양 절삭면에 따라 상기 뇌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구현된 상기 뇌종양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뇌종양 절삭면은 상기 뇌종양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뇌종양의 제거를 위해 절삭되는 면의 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상은 프로브를 기반으로 획득되고, 상기 프로브는 복수의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뇌종양의 위치로 추정되는 타겟 검출 영역으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에 기반한 복수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되,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는 테라헤르츠 신호,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신호, 라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는 상기 복수의 영상의 생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는 형광 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는 0.05내지 30THz 주파수 대역의 펄스파 또는 연속파 형태의 전자기파이고, 상기 OCT 신호는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해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된 600 nm 내지 1400 nm 파장의 신호이고, 상기 라만 신호는 라만 분광 및 영상 촬영을 위한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된 200 nm 내지 1400 nm 파장의 신호이고, 상기 형광 신호는 조영제를 기반으로 발생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상은 제1 영상, 제2 영상 및 제3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OCT 신호, 상기 라만 신호 및 상기 형광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고, 상기 제3 영상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융합한 영상일 수 있다.
수술의 추가 지연 시간이 없으며 거대한 장비나 환자의 이동이 필요 없고 한 손에 휴대할 수 있는 소형의 프로브로써 뇌종양 경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악성 뇌교종을 포함한 뇌종양의 경계가 수술 중 실시간으로 검출 및 묘사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뇌종양 검출이 가능하므로 조영제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없고, 저비용으로 수술 중 뇌종양의 검출이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등급 악성 뇌종양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로 검출이 어려운 저등급 뇌종양이 검출 가능하다. 또한,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고 매우 짧은 시간 내(1분 이내)에 뇌종양 조직을 검출 및 진단할 수 있고, 종래의 조영제를 이용한 형광 기술과 융합하여 더 높은 정확도로 고등급의 뇌종양 조직을 진단 및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을 위한 프로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포함하는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종양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제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종양 부위에 대한 제거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종양 제거 수술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테라헤르츠(THz) 파는 가시광선처럼 직진하면서 라디오 파처럼 다양한 물질을 잘 투과하므로, 물리, 화학, 생물학, 의학 등의 기초 과학뿐만 아니라, 위조 지폐, 마약, 폭발물, 생화학 무기 등의 감지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물 및 지방질의 함유량을 민감히 측정할 수 있어 생체 의료 응용에 매우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광 간섭 단층 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기술은 높은 해상도 및 구조적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기술이며 약 2~3mm 깊이의 생체 조직의 단층 정보를 제공하므로 생체 의료 응용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안구 검사 등에 이미 상용화되어 사용되는 기술이다.
라만 분광 및 영상 촬영(Raman spectroscopy and imaging) 기술은 생체 조직의 고유한 진동수 등에 의한 입사광의 산란의 차이를 검출하여 지방, 단백질, DNA(deoxyribonucleic acid)의 분자 구조를 특질적으로 구분을 해낼 수 있어 최근 생체 의료 응용에 활발히 사용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는 THz파, 광 간섭 단층 촬영 기술 및 라만 분광 및 영상 촬영 및 형광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뇌종양 경계 검출 및 묘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테라헤르츠파 기술, 광 간섭 단층 촬영기술, 라만 분광 및 영상, 형광 기술을 융합하여 악성 뇌교종을 포함한 뇌종양의 경계가 수술 중 실시간으로 검출 및 묘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고가의 조영제 없이 실시간으로 뇌종양 진단이 가능하므로 조영제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없고, 저비용으로 수술 중 뇌종양의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기존의 고등급 악성 뇌종양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로 검출이 어려운 저등급 뇌종양이 검출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수술의 추가 지연 시간이 없으며 거대한 장비나 환자의 이동이 필요없고 한 손에 휴대할 수 있는 소형의 프로브를 사용하여 뇌종양 경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고 매우 짧은 시간(예를 들어, 1분 이내) 내에 뇌종양 조직을 검출 및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종래의 조영제를 이용한 형광 기술과 융합하여 더 높은 정확도로 고등급의 뇌종양 조직을 진단 및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뇌종양 수술 시간을 감소시키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를 나타내지만 넓은 부위를 고속으로 진단할 수 있는 테라헤르츠 기술이 우선적으로 적용되고 테라헤르츠 영상의 뇌종양의 경계 부분을 높은 해상도의 라만 기술이 다음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간 뇌종양 진단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을 위한 프로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에 포함되는 프로브가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로브는 뇌종양 검출을 위한 파장을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및 검출부(100), 스캐닝부(120) 및 ITO(indium Tim Oxide) 글래스(glass)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발생 및 검출부(100)는 테라헤르츠 신호를 발생시키고 검출하는 테라헤르츠파 발생부/테라헤르츠 검출부,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신호를 발생시키고 검출하기 위한 OCT 발생부/OCT 검출부, 라만 분광 및 영상 촬영을 위한 라만 신호를 발생 및 검출하는 라만 발생부/라만 검출부 및 조영제를 기반으로 형광 신호를 발현시키는 형광 발생부/형광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발생 및 검출부(100)는 신호 발생부, 신호 검출부로 표현될 수도 있다.
스캐닝부(또는 스캔부)(120)는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스캐닝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닝부(120)는 래스터 스캔(raster scan)을 기반으로 신호를 합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갈바노미터(galvanometer)등의 광학기기가 될 수 있다. 스캐닝부(120)는 영상의 생성을 위해 포커싱된 여러 신호(테라헤르츠 신호, OCT 신호, 라만 신호, 형광 신호 등)를 기반으로 2차원 영상 및/또는 3차원 영상의 생성을 위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래스터 스캔 방식이 아니라 사진 방식과 같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형식의 어레이 개념의 검출기가 사용될 경우, 스캐닝부(120)는 프로브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ITO 글래스(140)는 테라헤르츠(THz) 신호를 전반사하고 라만 신호, OCT 신호, 형광 신호에 대응되는 파장의 신호는 투과시켜 테라헤르츠 신호와 라만 신호, OCT 신호, 형광 신호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신호 발생 및 검출부(100)에 포함되는 각 모듈의 구체적인 동작은 아래와 같다.
테라헤르츠파 발생부/테라헤르츠 검출부는 테라헤르츠 신호를 발생하고 검출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테라헤르츠파 발생부/테라헤르츠 검출부에서 발생 및 검출되는 테라헤르츠 신호는 0.05내지 30THz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일 수 있다. 또한, 테라헤르츠 신호는 펄스파(pulse wave), 연속파(continuous wave) 형태의 테라헤르츠파일 수 있다. 테라헤르츠 발생부/테라헤르츠 검출부는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발생부/OCT 검출부는 OCT 신호를 발생 및 검출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OCT 신호는 600 nm 내지 1400 nm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대역 파장 광원은 파장 스윕 레이저(swept-source laser), 초발광 레이저 다이오드 (super-continuum laser), 초연속체 레이저(super-continuum)일 수 있다. OCT검출부는 간섭계(interferometry)를 사용하여 샘플부(sample arm)와 기준부(reference arm) 각각에서 돌아온 광 신호를 간섭시켜 그 간섭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OCT 검출부는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라만 발생부/라만 검출부는 라만 신호를 발생 및 검출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라만 신호는 200 nm 내지 1400 nm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대역 파장 광원은 파장 스윕 레이저(swept-source laser), 초발광 레이저 다이오드 (super-continuum laser), 초연속체 레이저(super-continuum)일 수 있다. 라만 검출부는 입사 광에 의한 산란된 라만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라만 산란 분광기, CCD 카메라, 광 검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형광 발생부/형광 검출부는 레이저, 레이저 다이오드, LED(light-emitting diode) 등 조영제의 형광 발현 파장을 포함하는 모든 광원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조영제를 통해 발현될 수 있는 형광을 검출할 수 있는 형광 검출부는 CCD 카메라, 광 검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형광 검출부는 발현 형광의 파장만 검출하기 위하여 발현된 형광의 파장을 그 이외의 파장의 빛에서 분리하기 위한 광 여과기(filter), 빔 분리기(beam splitte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신호 발생 및 검출부 및 스캐닝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프로브는 프로브의 현재 3차원 상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고 수집하기 위한 위치 정보와 관련된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는 프로브와 함께 광원을 공유하는 추가적인 영상 발생 및 검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포함하는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뇌종양 진단 장치는 프로브(280)와 광원(또는 레이저)(270)을 공유하는 체외 실시간 뇌종양 검출 장치(29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280)는 제1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 체외 실시간 뇌종양 검출 장치(290)는 제2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또는 제2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290)는 전원부(200), 프로세서(또는 계산부)(210), 저장부(220), 입출력부(230), 제2 신호 발생 및 검출부(240), 제2 스캐닝부(250), 제2 ITO 글래스(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00)는 프로브(제1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280)의 각 구성부 및/또는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예를 들어, 제2 실시간 뇌종양 검출 장치)(290)의 각 구성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제1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280) 및/또는 제2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290) 각각에 포함되는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제1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280) 및/또는 제2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290)에 의해 생성된 신호 및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프로브(280)의 영상 데이터의 획득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부(230)는 제1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280) 및/또는 제2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29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터치 스크린) 및 영상 정보와 계산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신호 발생 및 검출부(240)는 제2 테라헤르츠 신호를 발생시키고 검출하는 제2 테라헤르츠파 발생부/제2 테라헤르츠 검출부,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한 제2 OCT 신호를 발생시키고 검출하기 위한 제2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발생부/제2 OCT 검출부, 라만 분광 및 영상 촬영을 위한 제2 라만 신호를 발생 및 검출하는 제2 라만 발생부/제2 라만 검출부 및 조영제를 기반으로 제2 형광 신호를 발현시키는 제2 형광 발생부/제2 형광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캐닝부(250)는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스캐닝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제2 스캐닝부(250)는 영상의 생성을 위해 포커싱된 여러 신호(제2 테라헤르츠 신호, 제2 OCT 신호, 제2 라만 신호, 제2 형광 신호 등)를 기반으로 영상 생성을 위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래스터 스캔 방식이 아니라 사진 방식과 같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형식의 어레이 개념의 검출기가 사용될 경우, 제2 스캐닝부(250)는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ITO 글래스(260)는 제2 테라헤르츠(THz) 신호를 전반사하고 제2 라만 신호, 제2 OCT 신호, 제2 형광 신호에 대응되는 파장의 신호는 투과시켜 제2 테라헤르츠 신호와 제2 라만 신호, 제2 OCT 신호, 제2 형광 신호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예를 들어, 프로브)(280)의 제1 신호 발생 및 검출부와 제2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예를 들어,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290)는 제2 신호 발생 및 검출부는 광원(또는 레이저, 신호원)(270)을 공유할 수 있다. 즉, 테라헤르츠 신호, OCT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원(또는 레이저)(270)가 제1 신호 발생 및 검출부와 제2 신호 발생 및 검출부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O 글래스(260)는 테라헤르츠 신호를 제외한 OCT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는 투과시키고, 테라헤르츠 신호는 반사시키기 위한 전도성 투명 기판 등의 재료로 구현되어, 테라헤르츠 신호, OCT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의 경로를 일치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캐닝부(250)는 일치된 경로 상의 테라헤르츠 신호, OCT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를 동시에 스캐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O 글래스(260)는 테라헤르츠 신호를 제외한 OCT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는 반사시키고, 테라헤르츠 신호는 투과시키기 위한 폴리머 등의 재료로 구현되어 테라헤르츠 신호, OCT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의 경로를 일치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캐닝부(250)는 일치된 경로 상의 테라헤르츠 신호, OCT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를 동시에 스캐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O 글래스(260)는 테라헤르츠 신호와 테라헤르츠 신호를 제외한 OCT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의 경로를 일치시키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스캐닝부(250)는 일치되지 않은 경로 상의 테라헤르츠 신호, OCT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를 동시에 스캐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라헤르츠 신호를 발생시키는 테라헤르츠 발생부의 신호원과 OCT 신호를 발생시키는 OCT 발생부의 신호원은 동일한 광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형광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고 형광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테라헤르츠 신호, OCT 신호 및 라만 신호를 기반으로 저등급 및 고등급 뇌종양 조직의 신호, 영상을 측정하여 진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형광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조영제와 함께 사용하여 뇌종양 조직의 검출 및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라헤르츠 신호, OCT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를 기반으로 뇌종양 외 다양한 생체 조직의 진단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뇌종양 외 중추신경계 종양 조직(예를 들어, 척수암 등)의 영상, 신호 검출, 진단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도 2에서 전술한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를 활용한 뇌종양 진단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는 환자의 머리에 프로브(300)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뇌종양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브(300)의 신호 입출력단을 통해 제1 테라헤르츠 신호, 제1 OCT 신호, 제1 라만 신호 및 제1 형광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된 제1 테라헤르츠 신호, 제1 OCT 신호, 제1 라만 신호 및 제1 형광 신호는 환자의 머리 내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다시 프로브(300)로 입력될 수 있다.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350)는 뇌종양 검체에 대한 별도의 진단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350)의 상단에 위치한 뇌종양 검체 위치부 상에 뇌종양 검체를 위치시킬 수 있다.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350)의 신호 입출력단을 통해 제2 테라헤르츠 신호, 제2 OCT 신호, 제2 라만 신호 및 제2 형광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된 제2 테라헤르츠 신호, 제2 OCT 신호, 제2 라만 신호 및 제2 형광 신호는 뇌종양 검체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다시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350)로 입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종양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서는 뇌종양 진단 방법은 복수의 분석 단계를 기반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검체는 프로브 또는 체외 실시간 뇌종양 분석 장치를 기반으로 분석되는 환자 머리 내부의 타겟 검체, 또는 신체에서 추출된 타겟 검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는 테라헤르츠 신호, OCT 신호 및 라만 신호, 형광 신호(선택적)을 기반으로 타겟 검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획득한다(단계 S400).
전술한 바와 같이 테라헤르츠 신호, OCT 신호 및 라만 신호, 형광 신호(선택적)가 프로브 및/또는 체외 실시간 뇌종양 분석 장치를 통해 출력 및 입력되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는 1차 영상을 생성하여 타겟 검체에 대한 1차 진단을 수행한다(단계 S410).
1차 영상은 테라헤르츠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일 수 있다. 즉, OCT 신호 및 라만 신호, 형광 신호(선택적)를 제외한 테라헤르츠 신호만을 기반으로 1차 영상이 생성되고 1차 영상을 기반으로 타겟 검체에 대한 1차 진단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는 2차 영상을 생성하여 타겟 검체에 대한 2차 진단을 수행한다(단계 S420).
2차 영상은 테라헤르츠 신호를 제외한 OCT 신호 및 라만 신호, 형광 신호(선택적)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2차 영상을 기반으로 타겟 검체에 대한 2차 진단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는 1차 영상과 2차 영상의 융합하여 융합 영상을 생성하여 3차 진단을 수행한다(단계 S430).
1차 영상 및 2차 영상을 융합하여 3차 영상을 생성하여 교차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1차 영상 및 2차 영상의 융합을 위해 1차 영상 및 2차 영상 내의 뇌종양의 특징점이 분석될 수 있다. 특징점은 영상 분석을 통해 복수의 에지가 만나는 부분 등과 같이 영상을 특징시킬 수 있는 점일 수 있다. 1차 영상의 특징점과 2차 영상의 특징점의 매칭을 기반으로 3차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저등급/고등급 악성 뇌종양 영역을 검출하고 출력한다(단계 S440).
1차 영상, 2차 영상 및 3차 영상을 기반으로 타겟 검체에서 저등급/고등급 악성 뇌종양 영역을 검출하고 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뇌종양 제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를 사용하여 획득된 영상을 기반으로 한 수술 장치의 실시간 뇌종양 제거 절차가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신호를 기반으로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500)에서 획득된 복수의 영상 각각을 통해 뇌종양의 위치가 분석될 수 있다.
뇌종양의 위치는 뇌종양의 제거를 위한 수술 장비(550)의 접근 위치를 중심으로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머리의 형태가 분석되고, 사람의 머리 중 특정 면적 상으로 수술 장비가 삽입되어, 뇌종양이 제거될 수 있다. 수술 장비(550)가 삽입되는 특정 면적은 뇌종양 제거 타겟 면적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프로브(500)는 뇌종양 제거 타겟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에 대한 스캐닝을 통해 복수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브(500)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는 뇌종양 제거 타겟 면적 중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프로브(500)의 3차원 상의 위치 및 해당 프로브(500)의 3차원 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정보는 해당 영상 정보가 획득된 프로브(500)의 3차원 상의 위치를 메타 데이터로서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프로브(500)의 3차원 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는 수술 장비(뇌종양 수술 장치)(550)로 입력될 수 있다. 수술 장비(550)가 뇌종양에 대한 적출 또는 제거 절차를 진행하는 경우, 수술 장비(550)의 3차원 상의 위치 정보와 프로브(500)의 3차원 상의 위치 정보가 대응될 수 있다. 수술 장비(550)의 접근 위치에 따라 수술 장비(550)의 3차원 위치는 변화될 수 있고, 변화되는 수술 장비(550)의 3차원 위치에 따라 프로브(500)의 3차원 상의 위치 정보가 대응될 수 있고, 수술 장비(550)의 3차원 위치에 따른 영상 정보가 수술 장비(550)로 제공될 수 있다.
수술 장비(550)는 제공 받은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수술 장비(55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뇌종양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뇌종양의 위치에 따라 뇌종양 제거부를 이용하여 뇌종양의 제거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수술 장비(550)의 위치와 프로브(500)의 위치 각각이 실시간으로 대응되어, 정확하게 뇌종양 부위에 대한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종양 부위에 대한 제거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서는 뇌종양 절삭을 위한 수술 장비를 사용한 구체적인 뇌종양 부위에 대한 절삭 절차가 개시된다. 도 6에서는 수술 장비가 뇌종양 제거 수술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수술 장비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뇌종양에 대한 영상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하여 뇌종양 제거 수술을 진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술 장비는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절삭 타겟 면적 중 뇌종양 제거 수술을 시작할 제1 위치를 결정한다(단계 S600).
구체적으로 수술 장비는 제1 위치에서 뇌종양에 대한 제거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제1 위치는 수술 장비에 의해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뇌종양의 제거가 가장 용이한 위치 또는 뇌종양의 제거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제1 위치는 다양한 방법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 장비는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수술 장비의 삽입시 가장 뇌종양의 제거로 인한 가장 부작용이 없을 위치를 제1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뇌에서 제거될 경우, 치명적일 수 있는 부위를 제외하고 나머지 위치 중 주변부의 손궤가 가장 적게 이루어지는 위치가 제1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위치가 결정된 이후, 수술 장비는 제1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된 제1 뇌종양 절삭면을 기반으로 뇌종양 제거 수술을 진행한다(단계 S610).
제1 위치 및 뇌종양의 위치를 기반으로 결정된 제1 뇌종양 절삭 면에 대한 뇌종양 제거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뇌종양 절삭 면은 추가적인 뇌종양의 확산을 막기 위해 뇌종양을 감싸는 면일 수 있다. 뇌종양 절삭면은 다양한 방법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뇌종양 절삭면은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한 뇌종양의 3차원 상의 위치를 고려하여 절삭면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수술 장비의 위치 변화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뇌종양 제거 수술을 진행할 제2 위치를 결정한다(단계 S620).
수술 장비(또는 수술 장비에 포함되는 뇌종양 제거부)의 위치는 뇌종양의 절삭 절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수술 장비의 외부 힘에 의한 이동, 수술 중 뇌의 이동으로 인해 수술 장비의 이동, 제1 뇌종양 절삭면의 절삭을 위한 수술 장비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수술 장비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수술 장비의 위치의 변화에 따른 제2 위치가 결정되고, 변화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뇌종양 절삭 면이 결정되거나 이미 결정된 뇌종양 절삭면에 대한 절삭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제2 위치가 결정된 이후, 수술 장비는 제2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된 뇌종양 절삭면을 기반으로 뇌종양 제거 수술을 진행한다(단계 S630).
제2 위치 및 뇌종양의 위치를 기반으로 결정된 제2 뇌종양 절삭면에 대한 뇌종양 제거 절차가 진행되거나, 제2 위치를 기반으로 기존의 제1 뇌종양 절삭면에 대한 추가적인 절삭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제2 뇌종양 절삭면은 현재까지 절삭이 진행된 절삭면을 제외한 나머지 절삭면이 최소가 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순히 수술 장비의 외부 힘에 의한 이동, 수술 중 뇌의 이동으로 인해 수술 장비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제2 뇌종양 절삭면이 다시 결정될 수 있다. 제1 뇌종양 절삭면의 절삭을 위한 수술 장비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 기존의 제1 뇌종양 걸삭면에 대한 추가적인 절삭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뇌종양 제거 수술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뇌종양 제거 수술 장치는 영상 수신 및 분석부(700), 1차 위치 결정부(710), 2차 위치 결정부(720), 뇌종양 절삭면 결정부(730), 뇌종양 제거부(740), 프로세서(75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 및 분석부(700)는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1차 위치 결정부(710)는 뇌종양 제거 수술을 진행할 제1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1차 위치 결정부(710)는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뇌의 각 부분의 위치를 분석하여 뇌종양 제거부가 뇌종양 제거 절차를 위해 뇌종양으로 접근하기 위한 제1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2차 위치 결정부(720)는 뇌종양 제거 수술을 진행할 제2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수술 장치의 위치가 변화되거나, 뇌의 위치가 변경되었거나 뇌종양 제거를 위해 뇌종양 제거부가 뇌종양 제거를 위한 경로를 변경하였을 경우, 2차 위치 결정부(720)는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뇌의 각 부분의 위치를 분석하여 뇌종양 제거부가 뇌종양 제거 절차를 위해 뇌종양으로 접근하기 위한 제2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뇌종양 절삭면 결정부(730)는 뇌종양의 제거를 위해 뇌종양 제거부에 의한 제거 절차가 수행될 뇌종양 절삭면을 결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뇌종양 절삭면 결정부(730)는 제1 위치 및/또는 제2 위치를 기준으로 뇌종양을 둘러싼 다각형의 뇌종향 절삭면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위치 및/또는 제2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된 뇌종양을 둘러싼 다각형의 뇌종향 절삭면은 절삭면이 최소가 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뇌종양 제거부(740)는 뇌종양 절삭면에 대한 절삭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다양한 절삭 장치 및/절삭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50)는 영상 수신 및 분석부(700), 1차 위치 결정부(710), 2차 위치 결정부(720), 뇌종양 절삭면 결정부(730) 및 뇌종양 제거부(7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실시간 뇌종양 검출 방법에 있어서,
    프로브가 복수의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뇌종양의 위치로 추정되는 타겟 검출 영역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프로브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에 기반한 복수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가 수신된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는 테라헤르츠 신호,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는 상기 뇌종양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정보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며,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는 0.05내지 30THz 주파수 대역의 펄스파 또는 연속파 형태의 전자기파이고,
    상기 OCT 신호는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해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된 600 nm 내지 1400 nm 파장의 신호이고,
    상기 라만 신호는 라만 분광 및 영상 촬영을 위한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된 200 nm 내지 1400 nm 파장의 신호이고,
    상기 형광 신호는 조영제를 기반으로 발생된 신호이며,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는 ITO(Indium Tim Oxide) 글래스에 의해 전반사 또는 투과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 중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는 상기 ITO 글래스에 의해 전반사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 중 상기 OCT 신호, 상기 라만 신호 및 상기 형광 신호는 상기 ITO 글래스에 의해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뇌종양 검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은 제1 영상, 제2 영상 및 제3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OCT 신호, 상기 라만 신호 및 상기 형광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고,
    상기 제3 영상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융합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뇌종양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가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뇌종양 검체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가 상기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에 기반한 복수의 다른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가 상기 복수의 다른 반사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뇌종양 검체에 대한 복수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는 다른 테라헤르츠 신호, 다른 OCT 신호, 다른 라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 각각과 동일한 신호원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뇌종양 검출 방법.
  6. 실시간 뇌종양 검출 장치에 있어서,
    프로브가 복수의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뇌종양의 위치로 추정되는 타겟 검출 영역으로 전달하도록 구현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프로브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에 기반한 복수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현되는 신호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는 테라헤르츠 신호,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는 상기 뇌종양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정보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며,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는 0.05내지 30THz 주파수 대역의 펄스파 또는 연속파 형태의 전자기파이고,
    상기 OCT 신호는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해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된 600 nm 내지 1400 nm 파장의 신호이고,
    상기 라만 신호는 라만 분광 및 영상 촬영을 위한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된 200 nm 내지 1400 nm 파장의 신호이고,
    상기 형광 신호는 조영제를 기반으로 발생된 신호이며,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는 ITO(Indium Tim Oxide) 글래스에 의해 전반사 또는 투과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 중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는 상기 ITO 글래스에 의해 전반사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 중 상기 OCT 신호, 상기 라만 신호 및 상기 형광 신호는 상기 ITO 글래스에 의해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뇌종양 검출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은 제1 영상, 제2 영상 및 제3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OCT 신호, 상기 라만 신호 및 상기 형광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고,
    상기 제3 영상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융합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뇌종양 검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가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뇌종양 검체로 전달하도록 구현되는 다른 신호 출력부;
    상기 체외 실시간 뇌종양 진단 장치가 상기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에 기반한 복수의 다른 반사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현되는 다른 신호 검출부;
    상기 복수의 다른 반사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뇌종양 검체에 대한 복수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는 다른 테라헤르츠 신호, 다른 OCT 신호, 다른 라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른 입력 신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 각각과 동일한 신호원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뇌종양 검출 장치.
  11. 뇌종양 수술 장치에 있어서,
    뇌종양과 관련된 복수의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뇌종양의 위치를 분석하도록 구현되는 영상 수신 및 분석부로서,
    프로브가 복수의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뇌종양의 위치로 추정되는 타겟 검출 영역으로 전달하도록 구현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프로브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에 기반한 복수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현되는 신호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는 테라헤르츠 신호,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신호, 라만 신호 및 형광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는 상기 뇌종양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정보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며,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는 0.05내지 30THz 주파수 대역의 펄스파 또는 연속파 형태의 전자기파이고,
    상기 OCT 신호는 광 간섭 단층 촬영을 위해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된 600 nm 내지 1400 nm 파장의 신호이고,
    상기 라만 신호는 라만 분광 및 영상 촬영을 위한 광대역 파장 광원에 의해 발생된 200 nm 내지 1400 nm 파장의 신호이고,
    상기 형광 신호는 조영제를 기반으로 발생된 신호이며,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는 ITO(Indium Tim Oxide) 글래스에 의해 전반사 또는 투과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 중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는 상기 ITO 글래스에 의해 전반사되고,
    상기 복수의 반사 신호 중 상기 OCT 신호, 상기 라만 신호 및 상기 형광 신호는 상기 ITO 글래스에 의해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수신 및 분석부;
    상기 뇌종양 수술 장치에 포함되는 뇌종양 제거부의 상기 뇌종양의 제거를 위한 초기 위치인 제1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현되는 1차 위치 결정부;
    상기 뇌종양 수술 장치, 상기 뇌종양 제거부 또는 환자의 뇌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뇌종양 제거부의 상기 뇌종양의 제거를 위한 변화된 위치인 제2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현되는 2차 위치 결정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기반으로 뇌종양 절삭면을 결정하는 뇌종양 절삭면 결정부; 및
    상기 뇌종양 절삭면에 따라 상기 뇌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구현된 상기 뇌종양 제거부를 포함하는 뇌종양 수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뇌종양 절삭면은 상기 뇌종양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뇌종양의 제거를 위해 절삭되는 면의 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종양 수술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은 제1 영상, 제2 영상 및 제3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테라헤르츠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OCT 신호, 상기 라만 신호 및 상기 형광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이고,
    상기 제3 영상은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융합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종양 수술 장치.
KR1020150128726A 2015-09-11 2015-09-11 다중 광학 융합영상 기반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93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726A KR101793609B1 (ko) 2015-09-11 2015-09-11 다중 광학 융합영상 기반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8513334A JP6550532B6 (ja) 2015-09-11 2016-09-06 実時間脳腫瘍検出装置、及び脳腫瘍手術装置
PCT/KR2016/009972 WO2017043839A2 (ko) 2015-09-11 2016-09-06 다중 광학 융합영상 기반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
US15/759,451 US10820826B2 (en) 2015-09-11 2016-09-06 Multiple optical fusion-image 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brain tumor in real-ti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726A KR101793609B1 (ko) 2015-09-11 2015-09-11 다중 광학 융합영상 기반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813A KR20170031813A (ko) 2017-03-22
KR101793609B1 true KR101793609B1 (ko) 2017-11-06

Family

ID=5824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726A KR101793609B1 (ko) 2015-09-11 2015-09-11 다중 광학 융합영상 기반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20826B2 (ko)
JP (1) JP6550532B6 (ko)
KR (1) KR101793609B1 (ko)
WO (1) WO2017043839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487B1 (ko) 2021-04-16 2021-11-04 주식회사 휴런 인공지능 기반 검출된 종양의 형태 및 특성 진단 장치
KR102331922B1 (ko) * 2020-09-18 2021-12-01 재단법인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의료용 필름의 가교 상태 모니터링 장치
US11454496B2 (en) 2020-01-21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040B1 (ko) * 2017-07-03 2019-10-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암 수술용 테라헤르츠 프로브 도파로
KR102028041B1 (ko) * 2017-10-24 2019-10-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광학 융합영상 기반 광학영상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JP6754492B2 (ja) * 2018-01-18 2020-09-09 小出 珠貴 生体組織分析装置および生体組織分析方法
CN109691977B (zh) * 2018-12-29 2023-11-28 佛山科学技术学院 非共聚焦自适应光学成像系统
EP3686547B1 (en) * 2019-01-23 2023-08-02 Helmut Fischer GmbH Institut für Elektronik und Messtechnik.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ayer thickness of a plurality of layers arranged on a body
CN109900646A (zh) * 2019-04-04 2019-06-18 深圳市太赫兹科技创新研究院有限公司 光纤式双模态成像系统及光纤式双模态成像方法
CN110251844B (zh) * 2019-05-15 2021-06-15 深圳市太赫兹科技创新研究院有限公司 基于太赫兹成像的光热治疗方法、系统及工控机
US20220276161A1 (en) * 2019-08-28 2022-09-01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A method of imaging a sample material
CN113812929B (zh) * 2021-11-22 2022-05-13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多模态成像装置
KR20240039441A (ko) 2022-09-19 2024-03-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적외선 광원을 이용한 뇌종양의 병변 분석이 가능한 광단층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5639186A (zh) * 2022-12-23 2023-01-24 南京诺源医疗器械有限公司 基于拉曼光谱的图像分析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851B1 (ko) 1999-03-25 2001-04-16 조장연 델타도핑을 이용한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작방법
US6986739B2 (en) * 2001-08-23 2006-01-17 Sciperio, Inc. Architecture tool and methods of use
JP2004290548A (ja) * 2003-03-28 2004-10-21 Toshiba Corp 画像診断装置、診断・治療装置及び診断・治療方法
JP4970201B2 (ja) * 2007-09-05 2012-07-04 株式会社東芝 医用画像診断装置
KR20090104224A (ko) * 2008-03-31 2009-10-06 한국전기연구원 다파장 형광분광 및 간섭영상을 융합한 다중모드 조기 암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US8070765B2 (en) * 2009-01-28 2011-12-06 Medtronic Xome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rgical removal of brain tumors
AU2011270731A1 (en) * 2010-06-25 2013-02-07 Cireca Theranostics, Llc Method for analyzing biological specimens by spectral imaging
JP5609696B2 (ja) * 2010-11-15 2014-10-22 富士通株式会社 電磁波イメージング装置
JP2013170899A (ja) * 2012-02-20 2013-09-02 Canon Inc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トモグラフィー装置
JP2014112078A (ja) * 2012-11-04 2014-06-19 Canon Inc 被検体情報取得装置及び方法
JP2014212876A (ja) * 2013-04-24 2014-11-17 国立大学法人金沢大学 腫瘍領域判別装置及び腫瘍領域判別方法
US20140358447A1 (en) * 2013-05-03 2014-12-04 Timothy Edwin Doyle Instant, in-situ, nondestructive material differenti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5016300A (ja) * 2013-06-13 2015-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生検支援装置及び生検支援方法
US20160178439A1 (en) * 2013-06-17 2016-06-23 Invenio Imaging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herent raman scatter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4496B2 (en) 2020-01-21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331922B1 (ko) * 2020-09-18 2021-12-01 재단법인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의료용 필름의 가교 상태 모니터링 장치
KR102321487B1 (ko) 2021-04-16 2021-11-04 주식회사 휴런 인공지능 기반 검출된 종양의 형태 및 특성 진단 장치
KR102320431B1 (ko) 2021-04-16 2021-11-08 주식회사 휴런 의료 영상 기반 종양 검출 및 진단 장치
KR102328229B1 (ko) 2021-04-16 2021-11-19 주식회사 휴런 인공지능 기반의 3차원 의료 영상을 이용한 종양 검출 및 진단 방법
KR102328228B1 (ko) 2021-04-16 2021-11-19 주식회사 휴런 의료 영상 기반 종양 검출 및 진단 방법
EP4075380A1 (en) 2021-04-16 2022-10-19 Heuron Co., Ltd. Medical image-based tumor detection and diagnostic device
US11568538B2 (en) 2021-04-16 2023-01-31 Heuron Co., Ltd. Medical image-based tumor detection and diagnost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4002A (ja) 2018-11-22
JP6550532B2 (ja) 2019-07-24
WO2017043839A2 (ko) 2017-03-16
KR20170031813A (ko) 2017-03-22
US20180256065A1 (en) 2018-09-13
US10820826B2 (en) 2020-11-03
WO2017043839A3 (ko) 2017-04-27
JP6550532B6 (ja)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609B1 (ko) 다중 광학 융합영상 기반 실시간으로 뇌종양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19499B2 (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cancer screening and triage
Dogra et al. Multispectral photoacoustic imaging of prostate cancer: preliminary ex-vivo results
JP6198783B2 (ja) 低コヒーレンス干渉計を用いて組織を識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700204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 cancer status of biological tissue
Terry et al. Detection of dysplasia in Barrett's esophagus with in vivo depth-resolved nuclear morphology measurements
US10362983B2 (en) Near infrared photonic prostatoscopy analyzer
US20190261913A1 (en) Hyperspectral imaging for passive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s
JP2009133876A (ja) 光学コントラスト因子を使用して生体内の内部の現場を検出し、位置測定し、及び目標定めする方法及び装置
EP2016891A1 (en) Medical apparatus for obtaining information indicative of internal state of an object based on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ultrasound wave and light
EP2805304B1 (en) Imaging apparatus
Savastru et al. Detection of breast surgical margins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ing: a concept evaluation study
CN108523849A (zh) 基于自发荧光技术和光学相干层析术的甲状腺颈部组织分类和识别系统及方法
EP3282928B1 (en) Detection of anisotropic biological tissue
EP2866654B1 (en) Real-time tumor perfusion imaging during radiation therapy delivery
US9498136B2 (en) Classification of tumor tissue with a personalized threshold
US939293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ual vitreous and retina imaging
Shams et al. Pre-clinical evaluation of an image-guided in-situ Raman spectroscopy navigation system for targeted prostate cancer interventions
US11850022B2 (en) NIR image-guided targeting
CN208973833U (zh) 基于自发荧光技术和光学相干层析术的甲状腺颈部组织分类和识别系统
JP7470761B2 (ja) 手動管腔検出に基づく蛍光較正
US20140350378A1 (en) Method for Classifying Tissue Response to Cancer Treatment Using Photoacoustics Signal Analysis
Dauscher et al.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An Introduction
JP2023054764A5 (ko)
KR20240039441A (ko) 근적외선 광원을 이용한 뇌종양의 병변 분석이 가능한 광단층 영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