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577B1 -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577B1
KR101793577B1 KR1020167036346A KR20167036346A KR101793577B1 KR 101793577 B1 KR101793577 B1 KR 101793577B1 KR 1020167036346 A KR1020167036346 A KR 1020167036346A KR 20167036346 A KR20167036346 A KR 20167036346A KR 101793577 B1 KR101793577 B1 KR 101793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information
network device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742A (ko
Inventor
샤오페이 자오
하이 리안
슈준 당
궈치옹 차오
센위엔 장
하이홍 린
샤오위엔 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어 방법은, 단말이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 및/또는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하도록, 단말이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쓰루풋이 향상되고, 단말 에너지 소모가 감소된다.

Description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SERVICE CONTROL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본 출원은 "SERVICE CONTROL METHOD, TERMINAL, AND METHOD SIDE DEVICE"을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2012년 8월 3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210275320.9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특허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멀티미디어 이동 전화의 폭넓은 응용으로, 단말 사용자는 이동 전화에 의해 제공된 모든 타입의 통신 및 멀티미디어 기능을 더더욱 빈번하게 이용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단말은 대개는 신호 강도의 파라미터와 같은 무선 주파수 모듈의 파라미터를 네트워크에 전송하며, 이로써 네트워크가 그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의 셀 핸드오버(cell handover) 또는 송신 스케줄링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네트워크 쓰루풋(network throughput)이 낮고, 단말 에너지 소모가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 쓰루풋을 향상시키고 단말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특징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이 서비스 상태 및/또는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하도록, 상기 단말이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단말의 이동 속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에 의해 보고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단말의 이동 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측정 모듈과 서비스 모듈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단말(terminal)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서비스 모듈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정 모듈은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에 의해 보고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단말의 이동 속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모듈; 및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단말은 자신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이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쓰루풋을 향상시키고, 단말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법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만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당업자는 창조적인 노력없이도 이들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듈들 간의 상호작용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듈들 간의 상호작용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법 및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법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라는 것은 명백하다. 창조적인 노력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당업자에 의해 유추되는 다른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carrier FDMA) 시스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이들 타입의 기타 통신 시스템과 같은 현재의 2G 및 3G 통신 시스템과 차세대 통신 시스템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의 단말, 즉 사용자 장비는 무선 단말 또는 유선 단말이어도 된다.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접속성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또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이동 전화("셀룰러" 전화로도 지칭되는) 및 이동 단말을 갖는 컴퓨터와 같은 이동 단말이어도 되며, 예컨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휴대 가능한 포켓 크기의 핸드헬드 컴퓨터가 내장되거나 차량에 탑재되는 이동 장치이어도 된다. 예컨대, 개인용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전화, 코드리스 텔레폰 세트,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또는 개인 디지털 보조장치(PDA)와 같은 디바이스이어도 된다. 무선 단말은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원격국(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컨대 기지국과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또는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adio Network Controller, RNC) 상에 독립적으로 채용되는 디바이스이거나,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상의 전술한 디바이스에서의 기능 모듈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과 같은 기지국일 수도 있다. 기지국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에어 인터페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오버-더-에어 프레임(over-the-air frame)과 IP 패킷을 상호 변환하고 무선 단말과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 간의 라우터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은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에어 인터페이스의 속성 관리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에서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한 WCDMA에서의 기지국(NodeB)일 수도 있으며, LTE에서의 진화된 NodeB(NodeB, eNB, 또는 e-NodeB, evolved Node B)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에서는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바꾸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및/또는"이라는 표현은 단지 연관된 대상물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를 기술하며, 3가지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컨대, A 및/또는 B는 A만이 존재하거나, A와 B 둘 모두가 존재하거나, B만이 존재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부가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라는 기호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대상물 간의 "또는"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101 : 단말이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 및/또는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S102 :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하도록, 단말이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는 단계.
가능한 구현 양상으로서, 단말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 및/또는 단말의 이동 속도를 능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능동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 양상으로서, 단말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되는 때에 서비스 상태 및/또는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보고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요청은 단말에게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단말은 보고 응답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응답은 단말이 보고 요청을 수신하였거나 및/또는 보고 요청에 의해 지시된 보고 동작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단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보고 요청을 수신한 후에 자신의 서비스 상태 및/또는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단말의 서비스 상태 정보는 이하의 정보 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개시 정보,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중지 정보, 및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데이터 볼륨 정보. 단말은 서비스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모든 타입의 서비스의 서비스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단말의 속도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및 카메라와 같은 단말의 속도 측정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상이한 타입의 단말은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상이한 모듈을 가지며, 이로써 단말에서의 속도 측정 기능을 갖는 모듈이 여기에서 하나 하나씩 나열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단말은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주기적으로 보고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단말은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이벤트 트리거링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할 수도 있다. 즉,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면, 단말은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할 수 있다. 트리거 조건은 이하의 것들 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개시됨,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닫히게 됨(closed), 및 단말의 레이트(rate)가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함. 단말은 실제 요건에 따라 트리거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단말에 의해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사이클 또는 트리거 조건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사이클 또는 트리거 조건의 정보를 보고 요청에 반송(carry)한다.
단말이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의 서비스 상태 정보에 따라 또는 서비스 상태 정보 및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CDRX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네트워크 쓰루풋을 향상시키고 단말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단말의 속도 정보에 따라, CDRX(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 사운딩 파라미터(sounding parameter), 채널 품질 표시기(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파라미터, 및 주파수 선택적 채널(frequency selective channel)과 같은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CDRX 파라미터는 CDRX 휴면 사이클(CDRX dormancy cycle)이어도 된다.
필요한 경우, 단말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보고 중지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보고 중지 요청은 단말에게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보고 중지 요청을 수신한 후, 단말은 또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는 것을 중지하기 위해 서비스 상태 및/또는 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중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따라, 단말은 자신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이러한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쓰루풋을 향상시키고, 단말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201 :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에 의해 보고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단말의 이동 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202 :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단계.
가능한 구현 양상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보고 요청을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요청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측정하고 보고하도록 단말을 트리거하기 위해 단말에게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필요한 경우, 보고 요청을 단말에게 전송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에 의해 전송된 보고 응답을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응답은 단말이 보고 요청을 수신하거나 및/또는 보고 요청에 의해 지시된 보고 동작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을 트리거하기 위해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사이클 또는 트리거 조건을 단말에 대해 결정하고, 이 사이클 또는 트리거 조건을 보고 요청에 반송할 수 있다.
단말에 의해 보고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에 의해 보고된 서비스 상태 정보, 또는 서비스 상태 정보와 속도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파라미터는 CDRX 파라미터일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에 의해 보고된 속도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파라미터는 이하의 것들 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CDRX 파라미터, 사운딩 파라미터, 채널 품질 표시기(CQI) 파라미터, 및 주파수 선택적 채널.
가능한 구현 양상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기 위해 단말에 의해 보고된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CDRX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또한 주파수 선택적 알고리즘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단말에 의해 보고된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에 대한 합리적인 주파수 선택적 채널 및 CQI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 양상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속도를 결정하고, 정지 상태에서의 단말의 사운딩 사이클을 증가시키고, 제1 설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속도를 갖는 단말의 사운딩 사이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기저대역 처리 자원으로 더 많은 빔 형성(Beam Forming, BF)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또는 사운딩 대역폭을 향상시키고 BF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휴지 단말(quiescent terminal)에 대해 긴 사운딩 사이클이 구성된다. 또한, 특정한 임계치(제1 설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속도를 갖는 단말에 대해, 이들 사용자에 대해서는 BF 이득이 없으며, 사운딩 자원 소비를 절감하기 위해 긴 사운딩 사이클 및 작은 사운딩 대역폭이 할당된다(단지 TA 측정을 지원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음).
또 다른 가능한 구현 양상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속도를 결정하고, 제2 설정 임계치보다 낮은 속도를 갖는 단말 또는 휴지 단말의 CDRX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고, 제2 설정 임계치보다 높은 속도를 갖는 단말의 CDRX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CDRX 파라미터를 0(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저속 또는 휴지 단말에 대해서는 기다란 CDRX 파라미터가 구성될 수 있으며, 고속 단말에 대해서는 짧은 CDRX 파라미터가 구성될 수 있고, 심지어는 단말이 CDRX 상태를 빠져나오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 양상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속도를 결정하고, 제3 설정 임계치보다 높은 속도를 갖는 단말에 대해 주파수 선택적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단말에 대한 주파수 선택적 채널을 구성하기 위해 저속 단말에 대해 주파수 선택적 알고리즘이 개시될 수 있으며, 고속 단말에 대해 공통 스케줄링 알고리즘(common scheduling algorithm)이 채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설정 임계치, 제2 설정 임계치, 및 제3 설정 임계치는 특정한 요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전술한 임계치들은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 양상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에 의해 보고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시나리오에서, 속도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단말의 CDRX 파라미터가 제1 파라미터이고, 서비스 상태 정보에 따라 결정된 단말의 CDRX 파라미터가 제2 파라미터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 간의 더 작은쪽 값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 양상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에 의해 보고된 상이한 서비스 상태 정보에 따라 상이한 CDRX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기 위하여,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IM) 서비스에 대해 160 ms CDRX 사이클이 구성될 수 있으며, Gmail 서비스와 같은 이메일에 대해 320 ms CDRX 사이클이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실제 요건에 따라 단말에게 보고 중지 요청을 전송하고, 보고 중지 요청을 사용함으로써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공된 서비스 제어 방법에 따라, 단말은 자신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이들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단말의 CDRX 파라미터, 사운딩 파라미터, 채널 품질 표시기(CQI) 파라미터, 및 주파수 선택적 채널과 같은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쓰루풋을 향상시키고, 단말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단말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어 방법을 구현하도록 상호작용하는 구현 시나리오를 제공하며, 본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301 :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에게 보고 요청을 전송하며, 여기서 보고 요청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구현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UE이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eNB이며, UE는 성공적으로 등록되고, UE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간의 디폴트 베어러(default bearer)가 성공적으로 구축된다.
구현 시나리오에서, UE와 eNB 간의 데이터 채널이 구축되고, eNB에 의해 UE에게 전송된 보고 요청이 네트워크 액세스 서버(Network Access Server, NAS) 메시지(허트비트 서비스-타입 쿼리 및 오픈 리퀘스트(UE apptype request) 메시지)일 수 있으며, 여기서 NAS 메시지는 단말에게 서비스 상태 정보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새로 정의된 메시지이어도 된다. NAS 메시지를 수신한 후,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Radio Resource Control, RRC) 게층이 NAS 메시지를 NAS 계층에게 전송하고, 그리고나서 NAS 메시지를 NAS 계층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APP)에게 전송한다.
또 다른 구현 시나리오에서, eNB에 의해 UE에게 전송된 보고 요청은 단말에게 속도 정보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단말 레이트 보고 요청(UE Rate Report Request)일 수도 있다. 유사하게, NAS 메시지를 수신한 후, RRC 계층은 NAS 메시지를 NAS 계층에게 전송하고, 그리고나서 NAS 메시지를 NAS 계층을 통해 APP 계층에게 전송한다.
S302 : 단말이 보고 응답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여기서 보고 응답은 단말이 보고 요청을 수신하거나 및/또는 보고 요청에 의해 지시된 보고 동작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단말이 UE apptype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단말이 UE apptype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고, 단말의 서비스 상태의 측정을 구성하고 구성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개시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서비스 타입 쿼리 및 오픈 응답(UE apptype Response) 메시지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단말이 UE 레이트 보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단말 레이트 보고 응답(UE Rate Report Response) 메시지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S303 : 단말이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 및/또는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S304 : 단말이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는 단계.
단말이 단말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수신한 후,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NAS 계층에서 개인 NAS 메시지 포맷(private NAS message format)이 형성될 수 있으며, UE apptype report NAS 메시지를 이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될 수 있다.
S305 :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단계.
S306 :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보고 중지 요청을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여기서 보고 중지 요청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S307 : 단말이 보고 중지 응답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여기서 보고 중지 응답은 단말이 보고 중지 요청을 수신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프로세스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관련 설명이 참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세부 내용이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서비스 제어 방법에 따라, 단말은 자신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이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축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단말의 CDRX 파라미터, 사운딩 파라미터, 채널 품질 표시기(CQI) 파라미터, 및 주파수 선택적 채널과 같은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쓰루풋을 향상시키고, 단말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인터페이스 모듈(11)을 포함하고, 또한 측정 모듈(12)과 서비스 모듈(13)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서비스 모듈(13)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측정 모듈(12)은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인터페이스 모듈(11)은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필요한 경우, 측정 모듈(12)은 GPS 모듈,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및 카메라 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서비스 모듈(12)에 의해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는,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개시 정보,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중지 정보, 및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데이터 볼륨 정보 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11)은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주기적으로 보고하거나, 또는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면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트리거 조건은 이하의 것 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개시됨,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닫히게 됨, 단말의 레이트가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함.
필요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11)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보고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요청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필요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11)은 또한 보고 응답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응답은 단말이 보고 요청을 수신하거나 및/또는 보고 요청에 의해 지식된 보고 동작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필요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11)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보고 중지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중지 요청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에 대응하여, 서비스 모듈(13)은 또한 단말의 서비스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측정 모듈(12)은 또한 단말의 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듈들 간의 상호작용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인터페이스 모듈이 측정 모듈을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501 : 인터페이스 모듈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인터페이스 모듈은 아이들 상태(idle status)의 초기 상태를 갖는 단말에서의 상주 덤프 모듈(resident Dump module)이어도 된다. 아이들 상태에서, 인터페이스 모듈은 eNB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보고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요청은 개인 NAS 메시지이어도 된다. NAS 메시지를 처리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은 아이들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S502 : 인터페이스 모듈이 측정 모듈에게 개시 및 측정 지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S503 : 측정 모듈이 개시되고, 단말의 이동 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측정 모듈은 측정 상태에 진입하고, 개인 NAS 시그널링 개시 및 측정 지시 메시지를 분석(resolve)할 수 있다. 개시 및 측정 지시 메시지는 주기적 측정의 사이클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S504 : 측정 모듈이 단말의 속도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에게 주기적으로 보고하는 단계.
S505 : 인터페이스 모듈이 주기적으로 또는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 때에 단말의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는 단계.
측정 모듈에 의해 보고된 단말의 속도 정보를 수신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은 보고 처리 상태(report processing state)에 진입할 수있고, 주기적으로 또는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 때에 개인 NAS 메시지를 이용함으로써 단말의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할 수 있다.
S506 : 인터페이스 모듈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보고 중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S507 : 인터페이스 모듈이 개시 및 측정 중지 지시 메시지를 측정 모듈에게 전달하는 단계.
S508 : 측정 모듈이 닫히게 되는 단계.
S509 : 측정 모듈이 성공적으로 닫히게 되었다는 것을 측정 모듈이 인터페이스 모듈에게 보고하는 단계.
S510 : 인터페이스 모듈이 보고 중지 응답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는 단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듈들 간의 상호작용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인터페이스 모듈이 서비스 모듈을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601 : 인터페이스 모듈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S602 : 인터페이스 모듈이 개시 및 측정 지시 메시지를 서비스 모듈에게 전달하는 단계.
S603 : 서비스 모듈이 개시되고,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S604 : 서비스 모듈이 단말의 서비스 상태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에게 주기적으로 보고하는 단계.
S605 : 인터페이스 모듈이 주기적으로 또는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 때에 단말의 서비스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는 단계.
S606 : 인터페이스 모듈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보고 중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S607 : 인터페이스 모듈이 개시 및 측정 중지 지시 메시지를 서비스 모듈에게 전달하는 단계.
S608 : 서비스 모듈이 단말의 서비스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
S609 : 측정 모듈이 성공적으로 닫히게 되었다는 것을 서비스 모듈이 인터페이스 모듈에게 보고하는 단계.
S610 : 인터페이스 모듈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 중지 응답을 보고하는 단계.
단계 S601 내지 S610의 프로세스는 단계 S501 내지 S510의 프로세스와 유사하고, 단계 S501 내지 S510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서비스 제어 방법에 대응하며, 서비스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단말이 서비스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단말은 자신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네트워크 쓰루풋을 향상시키고, 단말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인터페이스 모듈(21) 및 구성 모듈(22)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1)은 단말에 의해 보고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단말의 이동 속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구성 모듈(22)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필요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21)이 단말에 의해 보고된 서비스 상태 정보, 또는 서비스 상태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파라미터는 연결된 불연속적인 수신 CDRX 파라미터(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CDRX parameter)이며,
인터페이스 모듈(21)이 단말에 의해 보고된 속도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파라미터 정보는 CDRX 파라미터, 사운딩 파라미터(sounding parameter), 채널 품질 표시기(CQI) 파라미터, 및 주파수 선택적 채널 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구성 모듈(22)은 구체적으로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속도를 결정하고, 정지 상태에서의 단말의 사운딩 사이클을 증가시키고, 제1 설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속도를 갖는 단말의 사운딩 사이클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속도를 결정하고, 제2 설정 임계치보다 낮은 속도를 갖는 단말 또는 휴지 단말의 CDRX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고, 제2 설정 임계치보다 높은 속도를 갖는 단말의 CDRX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거나 CDRX 파라미터를 0(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속도를 결정하고, 제3 설정 임계치보다 높은 속도를 갖는 단말에 대해 주파수 선택적 채널을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구성 모듈(22)은 구체적으로 단말의 서비스 상태 정보에 따라 단말의 CDRX 파라미터를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구성 모듈(22)은, 속도 정보에 따라 결정된 단말의 CDRX 파라미터가 제1 파라미터이고, 서비스 상태 정보에 따라 결정된 단말의 CDRX 파라미터가 제2 파라미터이면,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 간의 낮은쪽 값으로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21)은 또한 보고 요청을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요청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필요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21)은 또한 단말에 의해 전송된 보고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응답은 단말이 보고 요청을 수신하거나 및/또는 보고 요청에 의해 지시된 보고 동작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필요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21)은 또한 보고 중지 요청을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중지 요청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서비스 제어 방법에 대응하며, 서비스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세부 사항이 여기에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따라, 단말은 자신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단말의 CDRX 파라미터, 사운딩 파라미터, 채널 품질 표시기(CQI) 파라미터, 및 주파수 선택적 채널과 같은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쓰루풋을 향상시키고, 단말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도 1 및 도 3에 제공된 서비스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단말은 측정기(31), 프로세서(32) 및 송수신기(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측정기(31)는 프로세서(32)의 제어 하에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 및/또는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프로세서(32)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32)는 측정기(31)를 서비스 상태 및/또는 속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송수신기(33)를 측정기(31)에 의해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송수신기(33)는 프로세서(32)의 제어 하에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필요한 경우, 측정기(31)는 GPS 모듈,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및 카메라 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이하의 정보 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개시 정보,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중지 정보, 및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데이터 볼륨 정보.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32)는 구체적으로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주기적으로 보고하도록 송수신기(33)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면 측정된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하도록 송수신기(33)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트리거 조건은 이하의 것들 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개시됨,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닫히게 됨, 및 단말의 레이트가 설정 임계치를 초과함.
필요한 경우, 송수신기(33)는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보고 요청을 수신하고, 이 보고 요청을 프로세서(32)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요청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에 대응하여, 프로세서(32)는 또한 보고 요청에 따라 서비스 상태 및/또는 속도를 측정하도록 측정기(31)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 응답을 전송하도록 송수신기(33)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응답은 단말이 보고 요청을 수신하거나 및/또는 보고 요청에 의해 지시된 보고 동작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송수신기(33)는 또한 프로세서(32)의 제어 하에서 보고 응답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송수신기(33)는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보고 중지 요청을 수신하고, 보고 중지 요청을 프로세서(32)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보고 중지 요청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에 대응하여, 프로세서(32)는 또한, 보고 중지 요청에 따라, 단말의 서비스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측정기(31)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측정기(31)는 또한 프로세서(32)의 제어 하에서 단말의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서비스 제어 방법에 대응하고, 서비스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단말이 서비스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세부 사항이 여기에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단말은 자신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이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쓰루풋을 향상시키고, 단말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송수신기(41) 및 프로세서(42)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송수신기(41)는 단말에 의해 보고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단말의 이동 속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42)는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필요한 경우, 송수신기(41)가 단말에 의해 보고된 서비스 상태 정보, 또는 서비스 상태 정보와 속도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파라미터는 연결된 불연속적 수신 CDRX 파라미터이어도 되며,
*송수신기(41)가 단말에 의해 보고된 속도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파라미터는 이하의 것들 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CDRX 파라미터, 사운딩 파라미터, 채널 품질 표시기(CQI) 파라미터, 및 주파수 선택적 채널.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42)는 구체적으로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속도를 결정하고, 정지 상태에서의 단말의 사운딩 사이클을 증가시키고, 제1 설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속도를 갖는 단말의 사운딩 사이클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속도를 결정하고, 제2 설정 임계치보다 낮은 속도를 갖는 단말 또는 휴지 단말의 CDRX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고, 제2 설정 임계치보다 높은 속도를 갖는 단말의 CDRX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거나 CDRX 파라미터를 0(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속도 정보에 따라 단말의 속도를 결정하고, 제3 설정 임계치보다 높은 속도를 갖는 단말에 대해 주파수 선택적 채널을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42)는 구체적으로 단말의 서비스 상태 정보에 따라 단말의 CDRX 파라미터를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42)는, 속도 정보에 따라 결정된 단말의 CDRX 파라미터가 제1 파라미터이고, 서비스 상태 정보에 따라 결정된 단말의 CDRX 파라미터가 제2 파라미터이면,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 간의 낮은쪽 값으로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송수신기(41)는 또한 보고 요청을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요청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필요한 경우, 송수신기(41)는 또한 단말에 의해 전송된 보고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응답은 단말이 보고 요청을 수신하였거나 및/또는 보고 요청에 의해 지시된 보고 동작이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필요한 경우, 송수신기(41)는 또한 보고 중지 요청을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보고 중지 요청은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서비스 제어 방법에 대응하며, 서비스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세부 사항이 여기에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따라, 단말은 자신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또는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보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이 정보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단말의 CDRX 파라미터, 사운딩 파라미터, 채널 품질 표시기(CQI) 파라미터, 및 주파수 선택적 채널과 같은 단말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쓰루풋을 향상시키고, 단말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킨다.
당업자는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상기한 기능 모듈이 분할된 것으로 예시되었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다. 실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한 기능들은 필요에 따라 구현을 위해 상이한 기능 모듈에 할당될 수 있다. 즉, 장치의 내부 구조는 전술한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기능 모듈로 분할된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참조될 수 있으며, 세부 내용이 여기에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양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전술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에 불과하다. 예컨대, 모듈 또는 유닛 분할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의 유닛 또는 부품이 다른 시스템에 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몇몇 특징부가 생략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소통 연결은 몇몇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간의 간접 결합 또는 소통 연결은 전자적 형태, 기계식 형태 또는 기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별도의 부분으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분들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하나의 위치에 위치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의 해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거나,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된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합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구현되고, 독립적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이용될 때, 통합된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적 해법은 근본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속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법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어도 됨) 또는 프로세서에게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여러 개의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 가능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떠한 매체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이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법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해법에 대한 수정을 행하거나 또는 이들의 몇몇 기술적 특징부에 대한 등가의 교체를 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5)

  1. 서비스 제어 방법으로서,
    단말이,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의 서비스 상태 또는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와 서비스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음 - ;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비스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와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CDRX(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을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개시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중지 정보, 또는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중지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 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보고 요청은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와 상기 속도 정보를 보고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단말이, 보고 응답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보고 응답은 상기 단말이 상기 보고 요청을 수신한 것 및/또는 상기 보고 요청에 의해 지시된 보고 동작이 실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중지 보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중지 보고 요청은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와 상기 속도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상태, 또는 상기 서비스 상태와 상기 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CDRX 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은,
    이메일 서비스에 대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보다 긴 CDRX 사이클을 구성하는 것
    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와 상기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CDRX 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은,
    상기 속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상기 단말의 CDRX 사이클이 제1 파라미터이고,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에 따라 결정된 상기 단말의 CDRX 사이클이 제2 파라미터이면, 상기 단말의 CDRX 사이클을 상기 제1 파라미터와 상기 제2 파라미터 중 더 작은 것으로 구성하는 것
    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어 방법.
KR1020167036346A 2012-08-03 2013-08-05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1793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275320.9A CN102802188B (zh) 2012-08-03 2012-08-03 业务控制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201210275320.9 2012-08-03
PCT/CN2013/080814 WO2014019552A1 (zh) 2012-08-03 2013-08-05 业务控制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7179A Division KR101693230B1 (ko) 2012-08-03 2013-08-05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42A KR20170001742A (ko) 2017-01-04
KR101793577B1 true KR101793577B1 (ko) 2017-11-03

Family

ID=472011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346A KR101793577B1 (ko) 2012-08-03 2013-08-05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0147037179A KR101693230B1 (ko) 2012-08-03 2013-08-05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7179A KR101693230B1 (ko) 2012-08-03 2013-08-05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08069B2 (ko)
EP (2) EP3220678B1 (ko)
JP (2) JP5969705B2 (ko)
KR (2) KR101793577B1 (ko)
CN (1) CN102802188B (ko)
WO (1) WO2014019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1512B2 (en) 2012-08-03 2019-06-11 Huawei Device Co., Ltd. Service control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02802188B (zh) 2012-08-03 2016-05-25 华为终端有限公司 业务控制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03906169A (zh) * 2012-12-27 2014-07-02 华为终端有限公司 控制终端接入的方法、装置及无线路由器
US9955525B2 (en) * 2013-09-03 2018-04-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in
RU2638570C1 (ru) 2014-03-21 2017-12-14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ы и сетевые узлы в сет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EP3267717B1 (en) * 2015-04-10 2019-06-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ter-system measurement method, related device and measurement system
US10102759B2 (en) * 2015-09-25 2018-10-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weather information for selected airspace regions
KR102338868B1 (ko) * 2015-10-28 2021-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3437344B1 (en) * 2016-04-01 2020-10-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configuring a periodic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21649B2 (en) 2016-04-29 2018-07-10 Apple Inc. C-DRX modification based on mobility and signal conditions
US11102686B2 (en) 2017-08-11 2021-08-24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a handover
CN109067663B (zh) * 2018-07-16 2022-06-24 广发证券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应用程序内控制请求响应速率的系统和方法
CN111491293B (zh) * 2019-01-25 2022-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运动状态的上报方法及装置
CN111698716B (zh) * 2019-03-14 2023-05-05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终端能量效率上报方法、上行发射功率控制方法及装置
CN112218308A (zh) * 2019-07-11 2021-0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测量信息配置方法及基站
KR102301523B1 (ko) * 2019-10-25 2021-09-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Drx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7383A (zh) 2010-01-22 2011-07-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获取mtc设备移动性相关信息及优化配置的方法和系统
CN102137430A (zh) 2011-04-02 2011-07-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报mbms业务状态的方法及装置
CN102802188A (zh) 2012-08-03 2012-11-28 华为终端有限公司 业务控制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4284B2 (ja) * 2002-10-03 2005-06-0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JP3701663B2 (ja) * 2003-09-30 2005-10-05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端末局、通信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929103B1 (ko) * 2004-08-17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다중분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주파수 할당 장치 및 방법
JP2007020074A (ja) * 2005-07-11 2007-01-25 Ntt Docomo Inc 移動無線局及びその通信パラメータ制御方法
GB2450167B (en) 2007-06-18 2009-07-29 Nec Corp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US8320271B2 (en) 2007-09-03 2012-11-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scontinu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8208950B2 (en) * 2007-11-13 2012-06-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tate/mode transitioning
WO2009119051A1 (ja) * 2008-03-26 2009-10-01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無線装置
CN101656978B (zh) 2008-08-22 2014-01-01 株式会社Ntt都科摩 动态指示用户设备改变非连续接收状态的方法及装置
CN101795468B (zh) * 2009-02-03 2014-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测量实现方法及系统
CN101909322B (zh) * 2009-06-03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上报移动状态的方法
CN101583178B (zh) * 2009-06-25 2012-10-10 北京邮电大学 动态控制用户设备非连续接收的方法和装置
CN102014103A (zh) * 2009-09-07 2011-04-13 华为技术有限公司 机器类型通讯方法及终端
US20110086635A1 (en) * 2009-10-09 2011-04-14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Mobility State Information
EP2369890A1 (en) * 2010-03-26 2011-09-28 Panasonic Corporation Connection peak avoidance for machine-type-communication (MTC) devices
JP5053408B2 (ja) * 2010-04-15 2012-10-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GB2487090A (en) * 2011-01-10 2012-07-11 Nec Corp Obtaining user consent for provision of location related data in association with measurement of communication conditions
CN102572989A (zh) * 2012-01-13 2012-07-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根据终端的移动速度调整参数的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7383A (zh) 2010-01-22 2011-07-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获取mtc设备移动性相关信息及优化配置的方法和系统
CN102137430A (zh) 2011-04-02 2011-07-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报mbms业务状态的方法及装置
CN102802188A (zh) 2012-08-03 2012-11-28 华为终端有限公司 业务控制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2243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89624A (ja) 2016-11-04
EP2854438A4 (en) 2015-07-15
US9408069B2 (en) 2016-08-02
JP5969705B2 (ja) 2016-08-17
EP2854438B1 (en) 2017-10-11
CN102802188A (zh) 2012-11-28
JP2015527837A (ja) 2015-09-17
KR20170001742A (ko) 2017-01-04
EP2854438A1 (en) 2015-04-01
US20150111563A1 (en) 2015-04-23
JP6312067B2 (ja) 2018-04-18
CN102802188B (zh) 2016-05-25
KR20150027177A (ko) 2015-03-11
WO2014019552A1 (zh) 2014-02-06
KR101693230B1 (ko) 2017-01-05
EP3220678A1 (en) 2017-09-20
EP3220678B1 (en)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577B1 (ko) 서비스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0070307B2 (en) Method for reporting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reporting,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190090173A1 (en) Service message send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00145921A1 (en) Wake up signals operation
EP328276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apparatus
WO2011116727A2 (zh) 上行链路发射分集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2019014176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20150156615A1 (en) Method for ue to report accessorial information
US20160242090A1 (en) Service handover method, network device and user equipment
US10178650B2 (en) Paging message sending method and device
KR101783274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9319992B2 (en) Measuring method and device before different-frequency handover of user terminal
CN110087269B (zh) 用户设备接入网络的方法和接入设备
US10321512B2 (en) Service control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09756935B (zh) 一种调整工作带宽的方法和装置
US10674482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CN108463008B (zh) Wlan状态上报方法、装置及系统
EP3657872B1 (en) Path switching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