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502B1 - 작업용 장갑 - Google Patents
작업용 장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3502B1 KR101793502B1 KR1020170026614A KR20170026614A KR101793502B1 KR 101793502 B1 KR101793502 B1 KR 101793502B1 KR 1020170026614 A KR1020170026614 A KR 1020170026614A KR 20170026614 A KR20170026614 A KR 20170026614A KR 101793502 B1 KR101793502 B1 KR 101793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ove
- transfer
- fibers
- work
- glov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41D19/01558—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using a layer of grip improving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1—Deco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시 손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작업용 장갑을 개량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장갑의 손바닥쪽 표면에 형성되는 마찰돌기를 탄성이 양호하고, 인체에 무한조성물을 형성하여 장갑을 착용할 때 손이 아프지 않고, 사물을 잡을 때 쉽게 미끄러지지 않아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한 장갑에 더하여, 해당 장갑의 표면에 승화성 전사잉크로 된 전사문양부를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 전사문양조성물에 의한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장갑의 보온성을 높이고 섬유보풀을 방지하여 위생적이고 내구적인 기능을 갖게 하며, 동시에 손가락 삽입부 끝에 금속섬유로 직조한 구성으로 스마트폰 터치부를 형성하여 장갑을 벗지 않고 스마트폰 화면을 터치할 수 있게 하여 종래보다 사용하기 좋은 제품이 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시 손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작업용 장갑을 개량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장갑의 손바닥쪽 표면에 형성되는 마찰돌기를 탄성이 양호하고, 인체에 무해한 조성물로 형성하여 장갑을 착용할 때 손이 아프지 않고, 사물을 잡을 때 쉽게 미끄러지지 않아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만든 장갑에 더하여 해당장갑의 표면에 승화성 전사잉크로 된 전사문양부를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 전사문양조성물에 의한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장갑의 보온성을 높이고 섬유보풀을 방지하여 위생적이고 내구적인 기능을 갖게 하고, 동시에 손가락 삽입부 끝에 금속섬유로 직조한 구성으로 스마트폰 터치부를 형성하여 장갑을 벗지 않고 스마트폰 화면을 터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의 장갑 보다 사용이 더 편리한 제품이 되게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작업용 장갑은 폴리에스텔사와 면사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TC섬유, 나일론사, 폴리에스터사 중에서 선택한 섬유로 제직하여 표면처리 없이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불편이 있고, 장갑 표면에 보호피막이 없어 사용중에 섬유가 마찰되면 쉽게 보풀이 생겨 먼지나 이물질이 부착되어 오염되기 쉽고, 보온력이 취약할 뿐 아니라 내구성이 부족한 결점이 있고,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 화면을 터치할 수 없어 장갑을 벗고 터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장갑에 형성한 마찰돌기가 합성수지 종류로 성형되기 때문에 유연성이 부족하고, 탄력성이 적어 표면이 딱딱하므로 오래 착용하고 작업을 하면, 마찰돌기의 압박 저항 때문에 손이 아픈 결점이 있고, 마찰돌기 자체의 유연성 부족으로 사물을 잡을 때, 밀착력이 부족하여 사물이 쉽게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일이 잦아 안전성이 부족한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용 장갑의 손바닥측 표면에 PVC, 비스(2-에틸헥실)-1, 4-벤젠디카톡실레이트, 에어로실(AEROSIL), 탄산칼슘분말(제품명 Omyacarb 5T-HB), 실리콘오일, 발포제, 안료의 조성물로 되어 직경 1-5mm 되는반구형 돌기를 형성하고, 열처리한 미끄럼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쿠션과 유연성이 좋은 미끄럼방지부를 형성하여 작업시 사물을 잡을 때 안전한 파악이 가능하고, 장갑을 착용하고 오래 작업하여도 손이 아프지 않도록 한 작업용 장갑에 더하여, 해당 장갑의 표면에 승화성 전사잉크로 된 전사문양부를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전사문양 조성물에 의한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장갑의 보온성을 높이고, 사용시에 섬유보풀이 쉽게 일지 않아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지 않고, 오염을 타지 않아 위생적이고 내구적이 되도록 하며, 또한, 장갑의 손가락 삽입부끝에 미세금속분말을 결합시킨 금속섬유를 사용하여 직조한 구성의 스마트폰터치부를 형성함으로써, 장갑을 벗지 않고 스마트폰 액정을 터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전사문양부와 스마트폰터치부가 미끄럼방지부와 공존하게 되어 작업용 장갑의 상품성과 사용 편의성이 더 좋아지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작업용 장갑의 표면에 승화성 전사 잉크 조성물로 된 전사문양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장갑의 표면이 미려하게 되고, 전사문양을 형성하는 승화성 전사 잉크 조성물로 보호피막이 형성되어 보온층을 형성하므로 장갑의 보온기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고, 장갑의 표면에 피복된 승화성 전사 잉크의 조성물이 장갑의 표면을 보호하여 장갑을 사용할 때 표면에서 섬유 보풀이 일어나는 것을 막아주므로 먼지나 이물질이 표면에 쉽게 부착되지 않아 오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위생적이고, 보호피막으로 인해 내구적인 작업용 장갑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장갑의 손바닥쪽 표면에 형성되는 마찰돌기는 PVC, 비스(2-에틸헥실)-1, 4-벤젠디카톡실레이트, 에어로실(AEROSIL), 탄산칼슘분말(제품명 Omyacarb 5T-HB), 실리콘오일, 발포제, 안료의 조성물로 되어 직경 1-5mm 되는 반구형 돌기를 형성하여 열처리로 응고시켰기 때문에 피부에 무해하면서 쿠션과 유연성이 좋은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작업용 장갑을 장시간 착용해도 손이 아프지 않아 작업시 부담이 적고 물건을 잡을 때도 마찰돌기의 접촉성이 좋아 미끌림이 일어나지 않아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장갑의 손가락 삽입부 끝에는 미세분말로 된 동과 크롬성분 중에서 선택한 금속 물질을 혼합된 금속 섬유를 사용하여 직조한 구성의 스마트폰터치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장갑을 착용하고, 스마트폰 액정을 터치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스마트폰 터치부의 촉감이 부드러워 스마트폰의 액정을 보호하면서 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부만 있는 작업용 장갑에 더하여 해당 장갑의 표면에 전사문양부를 형성하여 승화성 전사 잉크조성물에 의한 보호피막을 형성하고, 손가락삽입부 끝에 형성되는 스마트 터치부를 금속섬유로 된 직조한 구성으로 형성함으로써, 작업용 장갑의 상품성과 기능성을 대폭 향상시켜 보다 더 증진된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작업용 장갑의 기본적인 구성 예시도.
도 2는 작업용 장갑의 손바닥쪽 표면에 미끄럼방지부를 형성한 예시도.
도 3은 작업용 장갑의 손바닥쪽 표면에 미끄럼방지부와 스마트폰터치부를 같이 형성한 예시도.
도 4는 작업용 장갑의 표면에 전사문양부 형성하기 위한 전사문양지 예시도
도 5는 작업용 장갑의 표면에 전사문양부를 형성한 예시도
도 6(a)(b)(c)(d)(e)(f)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장갑의 실물 예시도이다.
도 2는 작업용 장갑의 손바닥쪽 표면에 미끄럼방지부를 형성한 예시도.
도 3은 작업용 장갑의 손바닥쪽 표면에 미끄럼방지부와 스마트폰터치부를 같이 형성한 예시도.
도 4는 작업용 장갑의 표면에 전사문양부 형성하기 위한 전사문양지 예시도
도 5는 작업용 장갑의 표면에 전사문양부를 형성한 예시도
도 6(a)(b)(c)(d)(e)(f)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장갑의 실물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텔사와 면사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T/C 섬유, 나일론사, 폴리에스텔 섬유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및 천연섬유 중에서 선택한 섬유로 작업용 장갑을 제조하여 손바닥쪽에 해당하는 내측 표면(1a)에는 PVC, 비스(2-에틸헥실)-1, 4-벤젠디카톡실레이트, 에어로실(AEROSIL), 탄산칼슘분말(제품명 Omyacarb 5T-HB), 실리콘오일, 발포제, 안료의 조성물로 직경 1~5mm 되는 반구형 돌기를 형성하고, 150~200℃로 열처리하여 미끄럼방지부(2)를 형성한 작업용 장갑(1)에 더하여 해당 장갑의 표면에 승화성 전사잉크를 사용하여 대지(40) 표면에 일정의 전사문양을 형성하고, 건조시킨 전사문양지(40a)를 밀착시키고, 180~250℃로 가열 압착하여 전사시킨 전사문양이 장갑 표면에 형성되어 장갑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 전사문양조성물에 의하여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전사문양부(4)와,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 끝에 미세 금속분말로 된 동, 크롬 중에서 선택한 금속분말을 혼합한 금속섬유를 직조하여 구성한 스마트폰터치부(3)를 더 형성하여서 미끄럼방지부와 전사문양부와 스마트폰 터치부가 공존하는 장갑을 구성한다.
이때 미끄럼방지부(2)는 총량을 100중량%로 했을 때, PVC28~33중량%, 비스(2-에틸헥실)-1, 4-벤젠디카톡실레이트 30~35중량%, 에어로실(AEROSIL)10~13중량%, 탄산칼슘분말(제품명 Omyacarb 5T-HB)18~25중량%, 실리콘오일 1~2중량%, 발포제 1~1.5중량%, 안료1~1.5중량%로 조성되어 PVC가 완전히 녹을때 까지 교반하여 조성물을 얻고, 제조된 조성물을 스크린 인쇄공법으로 장갑 표면에 부착하여 직경 1~5mm 되는 반구형 볼록돌기를 형성하여 150~200℃로 35~50초 동안 열처리하여 반구형마찰돌기로 된 미끄럼방지부(2)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부(2)는 조성물이 속건성이라 생산성이 양호한 이점이 있으며, 성형된 마찰돌기는 PVC를 비스(2-에틸헥실)-1, 4-벤젠디카톡실레이트로 녹이기 때문에 피부에 무해하고, 소각시 다이옥신이 발생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이점이 있고, 조성물에 에어로실(AEROSIL)이 11.5중량% 혼합되므로 돌기형성 기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탄산칼슘분말을 20중량% 혼합하므로 돌기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실리콘오일 0.15중량%과, 발포제 0.10중량%가 혼합되므로 성형된 볼록돌기의 쿠션이 좋고, 유연성이 양호하여 접촉시 밀착력이 좋으므로 장갑을 착용하고 물건을 잡을 때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효과를 낼 수 있고, 또한 오래 착용하고 작업을 해도 손이 아프지 않는 이점이 있으며, 마찰돌기의 수명도 오래가는 이점을 얻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폰터치부(3)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 끝에 구리나 크롬 중에서 선택한 미세금속분말을 혼합한 금속섬유를 사용하여 직조하는 구성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장갑조직과 이질감 없는 스마트폰터치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로인해 장갑을 벗지 않고 스마트폰 액정을 터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면서 세탁해도 기능이 떨어지지 않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 전사문양부(4)는 대지(40)에 승화성 전사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필요한 문양을 형성하고 건조시킨 전사문양지(40a)를 만들어 색상이 없는 장갑의 표면에 밀착시키고 180-250℃로 가열압착하여 전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장갑의 표면에 전사문양을 형성할 수 있고, 전사문양으로 인해 장갑 표면에 승화성 전사잉크 조성물에 의한 보호피막을 형성하게 되므로 장갑의 보온성이 향상되고, 섬유표면이 보호되어 쉽게 보풀이 일어나지 않아 먼지나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지 않으므로 오염률이 낮아 위생적이고, 내구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전사문양에 의한 문양부는 색채와 모양을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어서 여러가지 패턴의 모양과 색상을 표현할 수 있어서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 전사문양지는 전문 제조회사에 주문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갑 제조자의 공장에서 문양지를 일일이 제조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까지 얻을 수 있다.
1 : 작업용 장갑 1a : 표면
2 : 미끄럼방지부 3 : 스마트폰터치부
4 : 전사문양부 40 : 대지
40a : 전사문양지
2 : 미끄럼방지부 3 : 스마트폰터치부
4 : 전사문양부 40 : 대지
40a : 전사문양지
Claims (2)
- 폴리에스텔사와 면사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T/C 섬유, 나일론사, 폴리에스텔 섬유를 포함하는 합성섬유와 천연섬유 중에서 선택한 섬유로 제조한 작업용 장갑(1)의 손바닥쪽 표면(1a)에 PVC, 비스(2-에틸헥실)-1, 4-벤젠디카톡실레이트, 에어로실(AEROSIL), 탄산칼슘분말, 실리콘오일, 발포제, 안료의 조성물로 되어 직경 1~5mm 되는 반구형 돌기를 형성하고, 150~200℃로 열처리하여 미끄럼방지부(2)를 형성한 작업용 장갑에 더하여,
해당 장갑의 표면에 승화성 전사 잉크를 사용하여 대지(40) 표면에 전사용 문양을 형성하고, 건조시킨 전사문양지(40a)를 밀착하고, 180~250℃로 가열압착하여 전사시킨 전사문양에 의하여 장갑표면이 미려하게 되면서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전사문양부(4)와,
장갑의 손가락 삽입부 끝에 미세 금속분말로로 된 동 또는 크롬 중에서 선택한 금속분말을 혼합한 금속섬유로 직조한 구성의 스마트폰터치부(3)를 더 형성하여 미끄럼방지부와 공존되게 한 작업용 장갑.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614A KR101793502B1 (ko) | 2017-02-28 | 2017-02-28 | 작업용 장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614A KR101793502B1 (ko) | 2017-02-28 | 2017-02-28 | 작업용 장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3502B1 true KR101793502B1 (ko) | 2017-11-20 |
Family
ID=6080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6614A KR101793502B1 (ko) | 2017-02-28 | 2017-02-28 | 작업용 장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350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654A (ko) | 2020-06-30 | 2022-01-06 |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 작업용 장갑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10319U (ja) | 2004-06-15 | 2005-06-23 | 曜子 山上 | 色及び絵柄付ゴム手袋 |
KR101145539B1 (ko) | 2011-11-01 | 2012-05-15 | 노계자 | 스마트폰용 장갑 |
KR101468988B1 (ko) * | 2014-04-08 | 2014-12-15 | 영진글러브 주식회사 | 터치패널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
KR101680594B1 (ko) * | 2016-04-05 | 2016-12-12 | 박영호 | 안경닦이, 장갑 및 양말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조성물 |
-
2017
- 2017-02-28 KR KR1020170026614A patent/KR1017935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10319U (ja) | 2004-06-15 | 2005-06-23 | 曜子 山上 | 色及び絵柄付ゴム手袋 |
KR101145539B1 (ko) | 2011-11-01 | 2012-05-15 | 노계자 | 스마트폰용 장갑 |
KR101468988B1 (ko) * | 2014-04-08 | 2014-12-15 | 영진글러브 주식회사 | 터치패널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
KR101680594B1 (ko) * | 2016-04-05 | 2016-12-12 | 박영호 | 안경닦이, 장갑 및 양말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조성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654A (ko) | 2020-06-30 | 2022-01-06 |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 작업용 장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3502B1 (ko) | 작업용 장갑 | |
US20080155726A1 (en) | Fingernail protection work gloves | |
JP3164008U (ja) | 作業用手袋 | |
KR20120102884A (ko) | 미끄럼방지 장갑 | |
KR101468988B1 (ko) | 터치패널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91465B1 (ko) | 손목밴드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86366B1 (ko) | 방한 및 방수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 |
CN210901523U (zh) | 一种具有防水透气保温功能的手套 | |
CN215649418U (zh) | 一种多点位防护用手套 | |
JP3192665U (ja) | 作業用手袋 | |
CN208192265U (zh) | 一种烹调用隔热手套 | |
KR102728634B1 (ko) | 다기능 장갑 | |
KR102602080B1 (ko) | 가정용 고무장갑 제조방법 | |
JP3179955U (ja) | 手袋 | |
CN209915089U (zh) | 防针刺伤保护手套 | |
ITTO20040137U1 (it) | Indumento multifunzione perfezionato | |
CN214258095U (zh) | 一种具有舒适度高的手套 | |
KR20220144437A (ko) | 다기능 장갑 | |
US20180235287A1 (en) | Clothing | |
CN207969664U (zh) | 一种舒适吸汗不脱跟的袜子 | |
JP2007063720A (ja) | 手袋及びその製造方法 | |
TWM616214U (zh) | 風洞手外套 | |
JP3002769U (ja) | 洗顔用具 | |
JP2008063702A (ja) | 手袋 | |
KR20210009792A (ko) | 땀복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