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425B1 - 내부튜브 - Google Patents

내부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425B1
KR101793425B1 KR1020160058684A KR20160058684A KR101793425B1 KR 101793425 B1 KR101793425 B1 KR 101793425B1 KR 1020160058684 A KR1020160058684 A KR 1020160058684A KR 20160058684 A KR20160058684 A KR 20160058684A KR 101793425 B1 KR101793425 B1 KR 101793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recovery
section
loading
organ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425B9 (ko
Inventor
현서용
윤용호
정원상
Original Assignee
(주)피엔에이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엔에이치테크 filed Critical (주)피엔에이치테크
Priority to KR102016005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425B1/ko
Publication of KR10179342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42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51/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11Heating features
    • B01D1/0017Use of electrical or wave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00Sublimation
    • B01D7/02Crystallisation directly from the vapour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coating;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the vacuum, e.g. vacuum locks
    • C23C14/564Means for minimising impurities in the coating chamber such as dust, moisture, residual gases
    • H01L51/002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311Purifying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튜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100)는 불순물(3)을 함유한 유기물 재료(1)의 물성 변화 온도차이를 이용하여 불순물(3)을 승화 정제하는 유기물 정제장치에 사용되는 내부튜브(100)에 있어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측에 배치되며, 전단이 폐쇄되고, 내부에 불순물(3)을 함유한 유기물 재료(1)를 수용하는 로딩부(10), 로딩부(10)의 후방측으로 연결되어 로딩부(10)와 소통되며, 내부에 불순물(3)이 정제된 정제품(2)이 석출되는 회수부(20), 및 회수부(20)의 후방측으로 연결되어 회수부(20)와 소통되며, 내부에 불순물(3)이 석출되는 분리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부튜브{INNER TUBE}
본 발명은 내부튜브에 관한 것이다.
OLED는 유기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발광소자로서, LCD와 달리 별도의 백라이트 없이도 그 자체로 빛을 낼 수 있다. 여기서, 빛을 낼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이 유기발광 소재이다. 유기발광 소재에 있어서 고순도 소재를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소재의 순도는 패널의 특성인 수명, 효율, 전압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OLED 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99.95 % 이상의 고순도를 요구한다.
이러한 고순도 유기발광 소재를 얻기 위해서, 하기 선행기술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기물 정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유기물 정제장치는 종래 의약품, 정밀재료 부문에서 이용되던 장치였으나, OLED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대형화되어 OLED 부분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물 정제장치는 통상적으로 승화정제법을 적용하여 불순물을 정제하는데, 승화정제법은 유기발광 소재가 기체화되었다가, 고체로 변하는 승화점 차이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방식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기물 정제장치는 챔버(4), 히터(5), 내부튜브(6)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진공으로 유지되는 챔버(4)의 외측 둘레에 챔버(4)의 길이방향을 따라 히터(5)들이 배열되고, 챔버(4) 내부에 유기물 재료(1)를 담은 내부튜브(6)가 위치한다. 이때, 챔버(4)를 진공 배기하고, 히터(5)가 소정의 구간별로 온도 구배를 형성하도록 챔버(4) 내부를 가열하면, 내부튜브(6) 내의 유기물 재료(1)가 승화되어 정제품(2)과 불순물(3)로 각각 분리 정제된다. 이러한 공정을 반복 실시함으로써, 고순도의 유기물 재료(1)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유기물 정제장치의 내부튜브(6)는 횡단면이 반원형이므로, 많은 양의 유기물 재료(1)를 단시간에 정제시키기 곤란하고, 내부튜브(6)에 수용되는 유기물 재료(1)의 위치에 따른 국소적인 온도차로 인해 재료의 변질 내지 열손상이 불가피하다. 또한, 외부에서 내부튜브(6) 내부로의 접근이 어려울 정도로 지나치게 폐쇄적이어서, 유기물 재료(1)를 담거나, 정제 후 세척이 매우 힘들다. 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공간의 구획 없이 온도 구배에 따라 챔버(4) 내부에서 정제품(2)과 불순물(3)이 분리되므로, 정제품(2)의 수거가 어렵고, 정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유기물 정제장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KR 10-2016-0000561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기물 재료를 정제하는 장치에 사용되고,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유기물 재료를 수용하는 로딩부, 정제품이 석출되는 회수부, 및 불순물이 석출되는 분리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됨으로써, 열효율 및 정제효율이 향상된 내부튜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로딩부 상면에 캡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회수부 및 분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분리부의 후방측 개방부가 차단벽에 의해 일정 부분 폐쇄되어, 세척이 용이하고 불순물 수거량이 증가하는 내부튜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회수부 및 분리부의 내부에 격막이 배치됨으로써, 수율이 향상되는 내부튜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는 불순물을 함유한 유기물 재료의 물성 변화 온도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불순물을 승화 정제하는 유기물 정제장치에 사용되는 내부튜브에 있어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측에 배치되며, 전단이 폐쇄되고, 내부에 상기 불순물을 함유한 유기물 재료를 수용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의 후방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딩부와 소통되며, 내부에 상기 불순물이 정제된 정제품이 석출되는 회수부; 및 상기 회수부의 후방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수부와 소통되며, 내부에 상기 불순물이 석출되는 분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횡단면은 폭이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사각형 횡단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의 후면으로부터 중공관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수부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딩부와 상기 회수부를 소통시키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회수부의 후면으로부터 중공관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분리부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수부와 상기 분리부를 소통시키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전방측 또는 후방측 하부에, 하면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진 회수부 경사면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전방측 하부에, 하면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진 분리부 경사면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의 후방측 개방부 중 소정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개방부 면적의 25 ~ 35 %을 폐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상기 회수부의 내상면, 내하면, 및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상기 내상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회수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수부 격막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상기 분리부의 내상면, 내하면, 및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상기 내상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분리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부 격막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1 ~ 3 ㎝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 격막은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메쉬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튜브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개수는 30 ~ 150 개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물 정제장치에 사용되는 내부튜브가 유기물 재료를 수용하는 로딩부, 정제품이 석출되는 회수부, 및 불순물이 석출되는 분리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각각의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유기물 재료 내의 국소적 온도차의 발생을 방지하고, 유기물 재료의 승화 표면적을 확대하여, 열효율 및 정제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딩부 상면에 캡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회수부 및 분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분리부의 후방측 개방부가 차단벽에 의해 일정 부분 폐쇄됨으로써, 정제 후 내부튜브의 세척이 용이하고, 재활용되는 불순물 수거량도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수부 및 분리부의 내부에 격막이 배치됨으로써, 수율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유기물 정제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가 배치된 유기물 정제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라인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의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의 B-B' 라인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회수부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분리부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가 배치된 유기물 정제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라인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100)는 불순물(3)을 함유한 유기물 재료(1)의 물성 변화 온도차이를 이용하여 불순물(3)을 승화 정제하는 유기물 정제장치에 사용되는 내부튜브(100)에 있어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측에 배치되며, 전단이 폐쇄되고, 내부에 불순물(3)을 함유한 유기물 재료(1)를 수용하는 로딩부(10), 로딩부(10)의 후방측으로 연결되어 로딩부(10)와 소통되며, 내부에 불순물(3)이 정제된 정제품(2)이 석출되는 회수부(20), 및 회수부(20)의 후방측으로 연결되어 회수부(20)와 소통되며, 내부에 불순물(3)이 석출되는 분리부(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100)는 유기물 정제장치 내부에 배치되어 불순물(3)을 함유한 유기물 재료(1)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로딩부(10), 회수부(20), 및 분리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기물 정제장치는 불순물(3)을 함유하는 유기물 재료(1)의 물성 변화 온도차이를 이용하여 불순물(3)을 승화하는 정제장치이다. 유기물 정제장치는 내부가 진공으로 유지되는 챔버(4)의 외측 둘레에 다수의 히터(5)가 배열되고, 챔버(4) 내부에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100)가 삽입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챔버(4)의 둘레를 감싸는 히터(5)는 챔버(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소정의 구간별로 온도 구배가 형성되도록, 각각 서로 다른 온도로 챔버(4) 내부를 가열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100)에 불순물(3)을 함유한 유기물 재료(1)를 담아, 챔버(4) 내부에 삽입 배치하고, 히터(5)를 이용해 가열하면, 유기물 재료(1)가 승화되어 정제품(2)과 불순물(3)로 분리 정제되고, 이러한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유기물 재료(1)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100)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횡단면은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각형 횡단면은 폭(w)이 높이(h)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사각형 횡단면일 수 있다(도 4 참조). 이러한 경우, 내부튜브(100) 내의 중심부과 그 가장자리부에서의 온도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서, 국소적 온도 편차로 인한 유기물 재료(1)의 변질 내지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유기물 재료(1)가 승화되는 표면적이 확대되어 열효율 및 정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사각형 횡단면이 반드시 폭(w)이 더 긴 직사각형 횡단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사각형 또는 높이(h)가 폭(w)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사각형 횡단면일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100)는 예를 들어, 석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그 소재가 반드시 석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각형 단면의 중공관 형상인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100)는 로딩부(10), 회수부(20), 및 분리부(30)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로딩부(10), 회수부(20), 및 분리부(30) 각각은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로딩부(10)는 내부튜브(100)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용기로서, 내부에 불순물(3)을 함유한 유기물 재료(1)를 수용한다. 이때, 로딩부(10)의 전면은 폐쇄되고, 후방측에 회수부(20)가 연결된다.
회수부(20)는 불순물(3)을 함유한 유기물 재료(1) 중에 불순물(3)이 정제된 정제품(2)이 석출되는 용기로서, 그 전면이 로딩부(10)의 후면에 연결되어 로딩부(10)와 소통한다. 로딩부(10)가 배치되는 구간과 회수부(20)가 배치되는 구간 사이에 온도 구배가 형성되므로, 로딩부(10) 내의 유기물 재료(1)가 승화되어, 회수부(20) 내부에서 정제품(2)이 석출된다. 회수부(20)의 후방측에는 분리부(30)가 연결된다.
분리부(30)는 내부튜브(10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용기로서, 그 내부에 불순물(3)이 석출된다. 분리부(30)의 전면이 회수부(20)의 후면에 연결되어 회수부(20)와 소통되고, 회수부(20)와 분리부(30) 구간에서도 온도 구배가 형성되므로, 불순물(3)이 분리부(30)에서 석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100)는 로딩부(10), 회수부(20), 및 분리부(30)가 서로 연결되어 소통되도록, 제1 연결부(40), 및 제2 연결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40)는 로딩부(10)와 회수부(20)를 연결하여 서로 소통시키는 부재로서, 로딩부(10)의 후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로딩부(10)의 후면에는 개구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그 개구부를 중심으로 중공관 형상으로 돌출되어 제1 연결부(40)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1 연결부(40)가 회수부(20)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로딩부(10)와 회수부(20)가 서로 연결되고 소통한다.
제2 연결부(50)는 회수부(20)의 후면으로부터, 그 후면의 개구부를 중심으로 중공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연결부(50)가 분리부(30)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회수부(20)와 분리부(30)가 서로 연결되고 소통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100)는 로딩부(10)의 상면에 개구부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그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화공정이 종료되면, 유기물 재료(1)를 수용했던 로딩부(10) 내부에 레진 같은 점액성 이물질이 잔존하는데, 그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유기 용매를 사용하더라도 이물질이 쉽게 녹지 않고, 용접결합된 모서리 부위의 표면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도구를 이용해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해야 한다. 이때, 캡(70)을 열고 로딩부(10)의 개구부를 통해 도구를 삽입할 수 있어서, 용이하게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를 통해서 유기물 재료(1) 또는 세척용액을 쉽게 주입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회수부(20) 및 분리부(30)의 세척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의 측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의 B-B' 라인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의 회수부(20)는 회수부 경사면(2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수부 경사면(21)은 회수부(2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 하부에 배치되는 일면으로서, 하면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수부(20) 전방측 하부에 배치되는 회수부 경사면(21)은 회수부(20) 하면의 전단 모서리로부터, 그 하면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회수부(20) 정면의 하부 모서리에 연결되는 경사면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하게, 회수부(20) 후방측 하부에 배치되는 회수부 경사면(21)은 회수부(20) 하면의 후단 모서리로부터, 하면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회수부(20) 후면 하부 모서리에 연결되는 경사면을 의미한다. 이때, 기울기는 30° ~ 45°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회수부(20)는 전방측 및 후방측 중 한 곳에 하나의 회수부 경사면(21)만을 구비하거나, 또는 양측에 각각 회수부 경사면(2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두 개의 회수부 경사면(21)을 구비하는 경우에, 기울어진 각도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회수부 경사면(21)이 구비된 경우에, 전면(또는 후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용접부위 표면이 매끄러워져서, 그 부위에 묻어있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회수부(20)에서 정제품(2)을 수거할 때에, 전면(또는 후면)과 하면이 수직으로 결합된 경우에는 정제품(2)을 밀어서 수거하는 작업이 어려워 정제품(2)에 타격을 가해 분쇄하는 방식으로 수거하였으나, 회수부 경사면(21)이 형성된 경우에는 주걱 형태의 도구를 사용해서 정제품(2)을 밀어서 쉽게 수거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회수부 경사면(21)을 통해, 회수부(20)를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고, 정제품(2) 분쇄시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한 회수부(20)의 파손을 방지하며, 정제품(2)을 간단하게 수거할 수 있다.
한편,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의 분리부(30)는 분리부 경사면(31)을 구비할 수 있다. 분리부 경사면(31)은 분리부(30)의 전방측의 하부에, 하면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서, 상술한 회수부(20)의 전방측 회수부 경사면(21)에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른 내부튜브는 차단벽(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벽(60)은 분리부(30)의 후방측 개방부 중 소정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부재이다. 개방된 분리부(30)의 후방측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차단벽(60)이 형성되므로, 차단벽(60)에 의해 개방부의 면적(a x b의 값) 중 일부 면적이 폐쇄된다. 이때, 차단벽(60)은 분리부(30)의 후방측 내하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도 6a 참조), 내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도 6b), 또는 내하면과 내상면 각각으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도 6c). 또한, 선택적으로,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
승화정제 과정에서 정제품(2)이나 불순물(3)로 석출되어 회수부(20) 및 분리부(30)에 수용되지 않고, 회수부(20)와 분리부(30)를 통과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물질이 발생하는데, 차단벽(60)이 이러한 물질의 유출을 방지한다. 따라서, 분리부(30)에서의 수거량이 증가하고, 물질 유출에 따른 유기물 정제장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벽(60)에 의해 폐쇄되는 면적은 개방부 면적의 25 ~ 35 %일 수 있는데, 30 % 정도가 폐쇄되면 약 2 ~ 3 % 정도 수거량이 증가한다
이하에서는,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회수부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분리부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는 회수부 격막(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부 격막(80)은 회수부(20)의 내부에, 내상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막이다. 이때, 회수부 격막(80)은 모든 가장자리가 회수부(20) 내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회수부(20) 내부의 내상면, 내하면, 및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소정의 간격(α, β)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예를 들어, 회수부 격막(80)의 하단은 내하면에 접하고, 상단은 내상면으로부터 α만큼 이격되며, 양측단은 내측면으로부터 β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수부 격막(80)의 배치가 반드시 상술한 일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수부 격막(80)의 가장자리 중 일부가 소정의 간격(α, β)을 두고 회수부(2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한, 모든 종류의 배치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수부 격막(80)이 회수부(20) 내부에 배치된 경우, 정제품(2)을 효과적으로 포획하고, 회수부(20) 내벽과의 틈새를 통해 물질의 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적으로, 3 ~ 5 % 이상의 수율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이격되는 소정의 간격(α, β)은 1 ~ 3 ㎝일 수 있다. 이보다 간격이 좁으면, 정제품(2)이 쌓이면서 그 틈을 폐쇄하게 되고, 지나지게 넓으면 정제품(2)을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없다. 다만, 그 간격(α, β)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질의 종류를 고려하여 다양한 간격 크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회수부 격막(80)은 일면 및 타면의 하단에 각각 돌출부가 형성된 "역 T" 자 형상, 또는 일면 또는 타단 중 어느 하나의 하단에 돌출부가 형성된 "L"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회수부 격막(80)이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회수부 격막(80)은 스테인레스 또는 석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소재도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튜브는 분리부 격막(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 격막(90)은 상술한 회수부 격막(80)에 대응되는 부재로서, 내용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분리부 격막(90)은 다수의 관통홀(91)을 구비하는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91)의 개수는 30 ~ 150 개일 수 있는데, 그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쉬 형태의 분리부 격막(90)을 통해 어떤 물질은 거르고 다른 물질은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재활용 여부 등 공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장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세척이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유기물 재료 2: 정제품
3: 불순물 4: 챔버
5: 히터 10: 로딩부
20: 회수부 21: 회수부 경사면
30: 분리부 31: 분리부 경사면
40: 제1 연결부 50: 제2 연결부
60: 차단벽 70: 캡
80: 회수부 격막 90: 분리부 격막
91: 관통홀 100: 내부튜브

Claims (13)

  1. 불순물을 함유한 유기물 재료의 물성 변화 온도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불순물을 승화 정제하는 유기물 정제장치에 사용되는 내부튜브에 있어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측에 배치되며, 전단이 폐쇄되고, 내부에 상기 불순물을 함유한 유기물 재료를 수용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의 후방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딩부와 소통되며, 내부에 상기 불순물이 정제된 정제품이 석출되는 회수부; 및
    상기 회수부의 후방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수부와 소통되며, 내부에 상기 불순물이 석출되는 분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는
    전방측 또는 후방측 하부에, 하면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진 회수부 경사면을 구비하는 내부튜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횡단면은 폭이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사각형 횡단면인 내부튜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의 후면으로부터 중공관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수부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딩부와 상기 회수부를 소통시키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회수부의 후면으로부터 중공관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분리부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수부와 상기 분리부를 소통시키는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는 내부튜브.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전방측 하부에, 하면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진 분리부 경사면을 구비하는 내부튜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의 후방측 개방부 중 소정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차단벽;
    을 더 포함하는 내부튜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개방부 면적의 25 ~ 35 %을 폐쇄하는 내부튜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
    을 더 포함하는 내부튜브.
  9.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상기 회수부의 내상면, 내하면, 및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상기 내상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회수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수부 격막;
    을 더 포함하는 내부튜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상기 분리부의 내상면, 내하면, 및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상기 내상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분리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부 격막;
    을 더 포함하는 내부튜브.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1 ~ 3 ㎝인 내부튜브.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 격막은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내부튜브.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개수는 30 ~ 150 개인 내부튜브.
KR1020160058684A 2016-05-13 2016-05-13 내부튜브 KR101793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684A KR101793425B1 (ko) 2016-05-13 2016-05-13 내부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684A KR101793425B1 (ko) 2016-05-13 2016-05-13 내부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425B1 true KR101793425B1 (ko) 2017-11-03
KR101793425B9 KR101793425B9 (ko) 2022-04-11

Family

ID=6038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684A KR101793425B1 (ko) 2016-05-13 2016-05-13 내부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687A (ko) * 2018-09-10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687A (ko) * 2018-09-10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576431B1 (ko) * 2018-09-10 2023-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US11930691B2 (en) 2018-09-10 2024-03-12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ganic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material using th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425B9 (ko)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824B1 (ko) 유기 전계 발광 재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Mehrabi et al. The HARE chip for efficient time-resolved serial synchrotron crystallography
KR101793425B1 (ko) 내부튜브
US20050006299A1 (en) Device for performing the purifying separation of crystals out of their suspension in a contaminated crystal melt
ES2362129T3 (es) Dispositivo de filtración de múltiples pozos.
EP21396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fluid from a fluid absorbing element
CN106474760B (zh) 有机物升华提纯装置
KR20130096370A (ko) 유기물 정제장치
CN101323554B (zh) 固液分离方法
JPS59501002A (ja) 精製装置
KR20180114688A (ko) 유기물질 승화정제용 내부튜브
US3575842A (en) Recovering tar from tar sand
CN106573187A (zh) 用于具有带式过滤系统的流体处理系统的支撑结构
JP7431809B2 (ja) 濾過装置
KR20140146385A (ko) 승화 정제 장치
EP1854542B1 (en) Multi-well filtration device
KR101025046B1 (ko) 승화 정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승화 정제 방법
KR102576431B1 (ko) 유기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117976B1 (ko) 생물학적 시료로부터의 생화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US20140251132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inning oil from a vapor gas mixture
KR20090129387A (ko) 생물학적 시료로부터의 생화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US20060153743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performing parallel chemical experiments, in particular crystallisation experiments
KR20140101621A (ko) 승화정제 장치의 유기물질 연속 수집장치
CN205473754U (zh) 一种细胞过滤器
US20240100459A1 (en) Filter element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and g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