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187B1 - 서랍형 무인 세탁물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서랍형 무인 세탁물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187B1
KR101793187B1 KR1020160104759A KR20160104759A KR101793187B1 KR 101793187 B1 KR101793187 B1 KR 101793187B1 KR 1020160104759 A KR1020160104759 A KR 1020160104759A KR 20160104759 A KR20160104759 A KR 20160104759A KR 101793187 B1 KR101793187 B1 KR 101793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housing
drawer box
inle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재
Original Assignee
임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재 filed Critical 임명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형 무인 세탁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그 목적으로는수거함(2)의 하우징(4) 상부 앞측에 형성된 투입구(6)를 통하여 세탁물이 서랍상자(22)로 투입되면, 서랍상자(22)를 전,후진시키는 과정에서 세탁물이 투입구(6)에서 투출구(10)로 이동한 후 저장공간(12)으로 낙하하여 저장되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세탁물의 도난 우려를 해소하는 동시에 사용상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투입구(6)를 형성한 직육면체의 중공형 하우징(4); 상기 하우징(4)의 투입구(6) 아래에 위치하여 수평으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저장공간(12)을 분리 구성하고, 후미에는 관통된 투출구(10)를 형성하는 받침판(8); 상기 받침판(8)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 되면서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세탁물을 투입구(6)에서 투출구(10)로 이동시키는 서랍상자(22); 상기 하우징(4)의 후미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탁물 인출용 도어(46);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랍형 무인 세탁물 수거장치{Drawer type laundry col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서랍형 무인 세탁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거함의 하우징 상부 앞측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하여 세탁물이 서랍상자로 투입되면, 서랍상자를 전,후진시키는 과정에서 세탁물이 투입구에서 투출구로 이동한 후 저장공간으로 낙하하여 저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관계로, 세탁물의 도난 우려를 해소하는 동시에 사용상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서랍형 무인 세탁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수거함은 주거 밀집지역인 아파트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수거함은 세탁물을 편리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도난의 우려로부터 안전해야 하는 요구사항 있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거함을 다양한 형태로 개선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KR 20-0189182 Y1 2000.5.3. "무인 세탁물 수거함"을 도 1 에서 살펴보면, 세탁물수거함(1)을 구성하는 본체(10)의 하부 전면에는 수거용도어(13)가 개,폐 가능하게 경첩으로 결합되고, 상기 본체(10)의 상부 전면에는 투입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투입구 안쪽으로는 샤프트(23)에 회전플레이트(2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 아래에는 회전플레이트(22)를 부딪친 후 낙하하는 세탁물에 의해 젖혀지면서 카운트 기능을 제공하는 지시대(31)가 위치하고, 상기 지시대(31)는 카운터(30)의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10)의 투입구를 통하여 세탁물이 투입되면, 세탁물은 회전플레이트(22)에 부딪치면서 샤프트(23)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후로 세탁물은 낙하하여 지시대(31)에 부딪친 후 본체(10)의 바닥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카운터(30)는 본체(10)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의 숫자를 나타나게 되며, 일정한 수량의 세탁물이 투입되면 사용자는 수거용도어(13)를 열어서 인출한 후 닫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세탁물을 본체(10)의 투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단순히 투입하여 저장하는 방식인 관계로,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세탁물을 제2자가 쉽게 인출할 수 있는 구조인데, 따라서 도난의 우려가 있으면서 사용상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수거함의 하우징 상부 앞측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하여 세탁물이 서랍상자로 투입되면, 서랍상자를 전,후진시키는 과정에서 세탁물이 투입구에서 투출구로 이동한 후 저장공간으로 낙하하여 저장되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세탁물의 도난 우려를 해소하는 동시에 사용상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첫째, 상기 받침판(8)의 상부 양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레일(20)이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랍상자(22)의 바닥은 세탁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관통된 투출공(30)이 형성되며, 상기 서랍상자(22)의 상부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서랍상자(22)의 양측 측면 벽(28)에는 지지바아(32)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아(32)의 앞,뒷측에는 레일(20)을 따라 굴러서 이동하는 바퀴(34)가 결합되며, 상기 받침판(8)의 양측에 위치한 하우징(4) 측벽에는 가이드바아(38)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아(38)는 지지바아(32) 및 서랍상자(22)가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하우징(4)의 후미에는 개, 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탁물 인출용 도어(46);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받침판(8)의 투출구(10)에는 푸쉬패널(40)이 배치되고, 상기 푸쉬패널(40)의 후미는 하우징(4)의 후미벽에 경첩(42)으로 결합 고정 되며, 상기 경첩(42)의 힌지축에는 스프링(44)이 결합되어서 푸쉬패널(40)이 탄력적으로 투출구(10)에서 닫힘 상태로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투입구(6)의 앞측에는 메모판(16)이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수거함(2)의 하우징(4) 상부 앞측에 형성된 투입구(6)를 통하여 세탁물이 서랍상자(22)로 투입되면, 서랍상자(22)를 전,후진시키는 과정에서 세탁물이 투입구(6)에서 투출구(10)로 이동한 후 저장공간(12)으로 낙하하여 저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관계로, 세탁물의 도난 우려를 해소하는 동시에 사용상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인 세탁물 수거함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세탁물 수거함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인 수거함의 투입구 부분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인 수거함의 투출구 부분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 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받침판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서랍상자의 단면도.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세탁물 수거함(2)은 주거 밀집지역인 아파트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고객이 세탁물을 필요할 때마다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이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거함(2)의 구조를 도 2 내지 도 4 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거함(2)에는 세탁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의 중공형으로 된 하우징(4)이 구성 되면서 상부 앞측에 투입구(6)를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6) 아래에는 받침판(8)이 수평으로 고정 설치 되면서 후미에 관통된 투출구(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받침판(8)에 의해 하우징(4)은 상,하부에 각각 세탁물 투입공간과 저장공간(12)으로 나누어져 구성되고, 상기 투출구(10)는 저장공간(12)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8)의 선단부에는 고객의 정보를 비닐팩(14)에 편리하게 기재할 수 있도록 한 용도의 메모판(16)이 수평으로 설치 되는데, 이때 상기 메모판(16)은 받침판(8) 및 레일(20)의 높이 보다는 약간 높은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메모판(16)은 하우징(4)의 전면에 브래킷(18)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받침판(8)의 양측에는 돌출된 레일(20)이 평행하게 배치 되면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8)에는 전,후진하면서 세탁물을 투입구(6)에서 투출구(10)로 이동시키는 상자형의 서랍상자(2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서랍상자(22)의 앞부분은 받침판(8) 및 레일(20)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는 메모판(16)에 의해 걸려지게 되는데, 따라서 상기 서랍상자(22)는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서랍상자(22)는 전면벽(24), 후면벽(26), 측면벽(28)이 사각형으로 배치된 상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랍상자(22)의 바닥은 세탁물이 빠져 나갈 수 있도록 관통된 투출공(30)이 형성되며, 서랍상자(22)의 상부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상자(22)의 양측 측면벽(28)에는 지지바아(32)가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바아(32) 앞,뒷측에는 레일(20)을 따라 굴러서 이동하는 바퀴(34)가 결합되며, 상기 서랍상자(22)의 전면벽에는 손잡이(36)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바퀴(34)는 레일(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원주를 따라 레일(20) 폭에 맞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서랍상자(22)는 전,후진하는 과정에서 들려질 수 있는데, 이러한 들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바아(38)가 하우징(4)의 내측 벽면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아(38)의 저면에는 서랍상자(22)에 설치된 지지바아(32)의 상단면 미끄럼 접촉하여 있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받침판(8)의 후미에 위치한 투출구(10)에는 푸쉬패널(push panel)(40)이 배치되고, 상기 푸쉬패널(40)의 후미는 경첩(42)으로 하우징(4)의 후미측 벽면에 결합되며, 상기 경첩(42)의 힌지축에는 스프링(44)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44)에 의해 푸쉬패널(40)은 탄력적으로 투출구(10)에서 닫힘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의 후미에는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된 도어(46)가 경첩(48)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46)에는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자물쇠로 된 잠금부재(50)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6 에서 살펴보면, 먼저 상기 받침판(8)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오목한 레일홈(52)이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서랍상자(22)에 설치된 바퀴(34)는 레일홈(52)에 일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상자(22)의 투출공(30) 아래에는 세탁물이 놓여지는 바닥판(54)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 되면서 분리 배치되고, 상기 바닥판(54)의 선단부는 서랍상자(22)의 전면벽(24)에 경첩(56)으로 결합되어 있게 되며, 상기 바닥판(54)은 받침판(8) 위에 면 접촉하여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객이 세탁물을 맡기기 위해 수거함(2)에 도달하면, 상기 수거함(2)의 주변에 비치된 비닐팩(14)에 세탁물을 넣은 다음, 상기 메모판(16) 위에서 비닐팩(14)에 고객의 정보를 기재한 후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의 투입구(6)를 통하여 서랍상자(22)에 투입하게 된다.
상기 이후로, 고객이 서랍상자(22)의 손잡이(36)를 잡고 밀면, 상기 서랍상자(22)의 양측에 위치한 바퀴(34)는 레일(20)을 따라 굴러가게 되고, 상기 지지바아(32)는 가이드바아(38)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랍상자(22) 및 지지바아(32)는 가이드바아(38)에 의해 전진하는 과정에서 들림현상이 방지되게 되고, 상기 비닐팩(14)은 서랍상자(22)에 투입된 상태에서 함께 이동하는 동시에 받침판(8) 위를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진한 서랍상자(22)는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하여 투출구(10)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출구(10)에 설치된 푸쉬패널(40)은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닫힘 상태로 있게 되고, 상기 세탁물은 서랍상자(22) 내부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상기 이후로, 비닐팩(14)에 담겨져 있는 세탁물의 하중으로 인하여,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팩(14)은 서랍상자(22)의 투출공(30)을 통하여 빠져 나오면서 푸쉬패널(40)을 하방으로 젖히게 되고, 동시에 상기 푸쉬패널(40)은 스프링(44)의 탄성력으로 반발하면서 비닐팩(14)을 앞으로 투척하면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투출구(10)를 닫힘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 푸쉬패널(40)에 의해 투척된 비닐팩(14)은 하우징(4)의 바닥으로 낙하하여 저장공간(12) 앞측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상기 이후로 고객은 서랍상자(22)를 당겨서 본래의 위치인 투입구(6)측으로 후진시키면, 최초와 같은 준비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세탁물이 담겨져 있는 비닐팩(14)이 하우징(4)의 저장공간(12)에 쌓이게 되면,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도 5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50)를 구성하는 자물쇠의 잠금상태를 해지한 다음, 상기 도어(46)를 열고 저장공간(12)에 쌓여 있는 비닐팩(14)을 인출하며, 이후로 상기 도어(46)를 닫은 다음 자물쇠를 잠금상태로 함으로써 세탁물 수거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 6 에서 서랍상자(22)가 전,후진하면, 상기 서랍상자(22)의 양측에 설치된 바퀴(34)는 레일홈(5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7 에 도시된 서랍상자(22)에 비닐팩(14)이 투입되면 바닥판(54) 위에 놓여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서랍상자(22)가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일(20)을 따라 전진하면, 상기 바닥판(54)은 받침판(8)에 면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바닥판(54) 위에는 비닐팩(14)이 놓여 있게 된다.
상기 이후로, 서랍상자(22)가 투출구(10)에 도달하면 비닐팩(14)에 담겨져 있는 세탁물의 하중에 의해 바닥판(54)은 하방으로 젖혀지면서 열림상태가 되고, 동시에 상기 세탁물은 투출공(30)과 투출구(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저장공간(12)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푸쉬패널(40)은 바닥판(54)과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음으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후로, 고객이 서랍상자(22)를 후진시키면, 상기 바닥판(54)은 서랍상자(22)와 함께 후진하게 됨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당겨짐으로써 닫힘상태가 되고, 상기 서랍상자(22)는 투입구(6)측으로 이동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2:수거함 4:하우징
6:투입구 8:받침판
10:투출구 12:저장공간
14:비닐팩 16:메모판
18:브래킷 20:레일
22:서랍상자 24:전면벽
26:후면벽 28:측면벽
30:투출공 32:지지바아
34:바퀴 36:손잡이
38:가이드바아 40:푸쉬패널
42,48,56:경첩 44:스프링
46:도어 50:잠금부재
52:레일홈 54:바닥판

Claims (6)

  1. 상부 앞 측에 투입구(6)를 형성한 직육면체의 중공형 하우징(4);
    상기 하우징(4)의 투입구(6) 아래에 위치하여 수평으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저장공간(12)을 분리 구성하고, 후미에는 관통된 투출구(10)를 형성하는 받침판(8);
    상기 받침판(8)에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앞 부분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받침판 및 레일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메모판(16)에 의해 걸려지게 되면서 세탁물을 투입구(6)에서 투출구(10)로 이동시키는 서랍상자(22);
    상기 받침판(8)의 상부 양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레일(20)이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랍상자(22)의 바닥은 세탁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관통된 투출공(30)이 형성되며, 상기 서랍상자(22)의 상부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서랍상자(22)의 양측 측면 벽(28)에는 지지바아(32)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아(32)의 앞,뒷측에는 레일(20)을 따라 굴러서 이동하는 바퀴(34)가 결합되며,
    상기 받침판(8)의 양측에 위치한 하우징(4) 측벽에는 가이드바아(38)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아(38)는 지지바아(32) 및 서랍상자(22)가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하우징(4)의 후미에는 개, 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탁물 인출용 도어(46);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무인 세탁물 수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8)의 투출구(10)에는 푸쉬패널(40)이 배치되고,
    상기 푸쉬패널(40)의 후미는 하우징(4)의 후미벽에 경첩(42)으로 결합 고정 되며,
    상기 경첩(42)의 힌지축에는 스프링(44)이 결합되어서 푸쉬패널(40)이 탄력적으로 투출구(10)에서 닫힘 상태로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무인 세탁물 수거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6)의 앞측에는 메모판(16)이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서랍형 무인 세탁물 수거장치.





KR1020160104759A 2016-08-02 2016-08-18 서랍형 무인 세탁물 수거장치 KR101793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378 2016-08-02
KR20160098378 2016-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187B1 true KR101793187B1 (ko) 2017-11-02

Family

ID=6038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759A KR101793187B1 (ko) 2016-08-02 2016-08-18 서랍형 무인 세탁물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357Y1 (ko) 2023-05-12 2023-10-17 박준순 세탁물 수거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7320A (ja) 1998-06-12 2000-03-03 Sanden Corp 洗濯物収納装置
JP2001148066A (ja) * 1999-11-18 2001-05-29 Sanden Corp 洗濯物収納装置
KR200447743Y1 (ko) * 2009-03-02 2010-02-12 서대정 도난방지용 헌옷수거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7320A (ja) 1998-06-12 2000-03-03 Sanden Corp 洗濯物収納装置
JP2001148066A (ja) * 1999-11-18 2001-05-29 Sanden Corp 洗濯物収納装置
KR200447743Y1 (ko) * 2009-03-02 2010-02-12 서대정 도난방지용 헌옷수거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357Y1 (ko) 2023-05-12 2023-10-17 박준순 세탁물 수거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102492A3 (en) Secured dispensing cabinet and methods
US20180213945A1 (en) Dispensing device
US5044483A (en) Coin box for a slot machine
KR101793187B1 (ko) 서랍형 무인 세탁물 수거장치
EP0658327B1 (en) Display cabinet or rack
US1564540A (en) Vending machine
US5447366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discrete articles
US20020140328A1 (en) Storage assembly for modules of varying sizes and improved shelving therefor
US3580439A (en) Vehicle luggage carrier
JP5282579B2 (ja) 自動販売機
DE4142206A1 (de) Eingabe kontrolleinrichtung fuer muellbehaelter
KR100748615B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200457209Y1 (ko) 서랍장
US2703664A (en) Magazine-type dispenser
CN210072749U (zh) 一种推钞板机构及循环钞箱
US3228554A (en) Vending machine for pads of paper or the like
US3860308A (en) Slide structure for refuse compactor
JPH0250519B2 (ko)
CN215400165U (zh) 一种便于整理的银行尾款存放库
US2868414A (en) Vending machine
US2934239A (en) Vending machine
KR100334646B1 (ko) 김치냉장고
CN218965358U (zh) 储料设备
KR200321921Y1 (ko) 서랍형 수납함
CN217906882U (zh) 一种防汛应急沙袋存放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