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647B1 - 컨베이어용 롤러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647B1
KR101792647B1 KR1020150153519A KR20150153519A KR101792647B1 KR 101792647 B1 KR101792647 B1 KR 101792647B1 KR 1020150153519 A KR1020150153519 A KR 1020150153519A KR 20150153519 A KR20150153519 A KR 20150153519A KR 101792647 B1 KR101792647 B1 KR 101792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xial direction
seal member
sea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881A (ko
Inventor
이영수
손재익
이복열
나복남
김태형
나동원
Original Assignee
대양롤랜트(주)
한국남동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롤랜트(주), 한국남동발전(주) filed Critical 대양롤랜트(주)
Priority to KR1020150153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6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7Labyrinth pa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는 축 방향으로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양단이 본체부보다 돌출된 샤프트와,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와 샤프트 사이에 삽입되어 샤프트에 대하여 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반경 방향으로 본체부와 샤프트 사이에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베어링의 외측에 위치하는 씰로 이루어지며;
상기 씰은 반경 방향 외측에 환형의 판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판상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홀을 덮도록 판상부에 부착되는 온도스티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베이어용 롤러{Roller for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 씰 조립과 제조가 용이하며, 미로를 더 형성하여 이물질 유입을 예방하고, 작동중 롤러의 온도 상승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컨베이어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일정한 거리를 자동 및 연속적으로 재료나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의 이송작업을 규칙적으로 할 수 있고, 공정간의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물품 이송장치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컨베이어용 롤러(100)는 지지요크(도시생략)에 양측단부가 삽입고정되는 샤프트(30)와, 양측면에 캡부재(11)가 용접결합되고 베어링(20)에 의해 샤프트(3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본체(10)와, 베어링(20)과 상기 캡부재(11)의 안쪽 둘레에 억지끼움되어 본체(10)와 함께 회전가능한 씰로 이루어진다.
상기 씰은 인너씰링부재(40)와, 아우터씰링부재(50)와, 접촉씰(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너씰링부재(40)는 원통형의 몸체 중앙 바깥둘레면에 날개판(41)이 형성되고, 날개판(41) 일측에는 외향리브(42)가 캡부재(11)의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며, 날개판(41) 타측에는 아우터리브(43)가 캡부재(11) 안쪽을 향하여 돌출형성된다. 상기 인너씰링부재(40)는 상기 지지축(30)의 양측 바깥둘레에 억지끼움되어 샤프트(30)와 함께 고정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씰링부재(50)는 원통형의 몸체 일측 바깥둘레면에 캡부재(11)의 원호형 모서리부와 밀착되는 제1차단테(52)가 형성되고, 몸체타측 안쪽둘레면에는 제2 날개판(51)이 형성되며, 제2 날개판(51) 일측에는 아우터리브(43)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인너리브(53)가 돌출형성되고, 아우터리브(43)와 인너씰링부재(40)의 몸체바깥둘레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인너리브(53)가 돌출형성된 아우터씰링부재(50)는 캡부재(11)의 안쪽둘레에 억지끼움되어 본체(10)와 함께 회전가능토록 결합된다.
상기 접촉씰(60)은 안쪽둘레에 끝부분이 인너씰링부재(40)의 몸체 바깥둘레면과 맞닿이는 제1접촉테(62)가 형성되며, 제1접촉테(62)와 직각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끝부분이 외향리브(42)와 맞닿이는 제2접촉테(63)가 돌출형성된다. 내측으로 단턱부(64)를 가지는 지지부재(6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씰(60)이 아우터씰링부재(50)의 내측둘레면에 억지끼움되어 본체(10) 및 아우터씰링부재(50)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종래의 컨베이어용 롤러의 씰은 베어링(20)과 아우터씰링부재(50) 및 인너씰링부재(40)와 접촉씰(60)을 순차적으로 샤프트(30)에 삽입한 후 스냅링(31)을 샤프트(30)의 요홈에 결합하여 캡부재(11) 내측에 장착 조립된다.
종래의 컨베이어용 롤러는 접촉씰(60)의 제2접촉테(63)가 외향리브(42)에 맞닿아 마찰이 일어나 토오크가 증가하며, 베어링 고장시 회전이 원활히 일어나지 않아 발생되는 마찰로 인한 온도 상승을 확인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4319호(2004.02.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4179호(2008.06.30)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축방향 외측에 미로를 더 형성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씰의 조립과 제조가 용이하며, 온도스티커를 구비하여 롤러의 온도 상승이 용이하게 확인되는 컨베이어 롤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는 축 방향으로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양단이 본체부보다 돌출된 샤프트와,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와 샤프트 사이에 삽입되어 샤프트에 대하여 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반경 방향으로 본체부와 샤프트 사이에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베어링의 외측에 위치하는 씰로 이루어지며;
상기 씰은 반경 방향 외측에 환형의 판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판상부에 축 방향으로 오목한 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홈에 부착되는 온도스티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는 축 방향으로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양단이 본체부보다 돌출된 샤프트와,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와 샤프트 사이에 삽입되어 샤프트에 대하여 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반경 방향으로 본체부와 샤프트 사이에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베어링의 외측에 위치하는 씰로 이루어지며;
상기 씰은 반경 방향 외측에 환형의 판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판상부에는 축방향 외측에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는 축 방향으로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양단이 본체부보다 돌출된 샤프트와,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와 샤프트 사이에 삽입되어 샤프트에 대하여 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반경 방향으로 본체부와 샤프트 사이에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베어링의 외측에 위치하는 씰로 이루어지며;
상기 씰은 축 방향 내향하여 베어링을 향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아우터리브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제2 씰부재와,
축 방향으로 제3 씰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3 씰부재를 향하여 외향 돌출되어 상기 아우터리브와 미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너리브를 가지며 반경 방향으로 본체부와 샤프트 사이에 위치하여 구비되는 제1 씰부재와,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본체부와 샤프트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제1 씰부재의 외측으로 위치하며 제2 씰부재와 미로를 형성하는 제3 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부에는 축 방향 양단부에 환형상의 캡부와, 상기 캡부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원통형의 설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은 샤프트와 설치부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씰은 축 방향으로 베어링 외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와 설치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판상부는 캡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도록 캡부의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홈은 축 방향으로 천공되어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하여 캡부는 축방향으로 노출되며, 판상부를 사이에 두고 캡부와 온도스티커는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부에는 축 방향 양단부에 환형상의 캡부와, 상기 캡부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원통형의 설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은 샤프트와 설치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씰은 축 방향으로 베어링 외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와 설치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씰은 설치부로 삽입되어 설치부 내면에 접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상부는 캡부의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2 지지부의 축방향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향 절곡 연결되어 구비되며, 제2 지지부에는 축 방향 외향 돌출된 제2 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돌기와 제2 돌기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부에는 축 방향 양단부에 환형상의 캡부와, 상기 캡부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원통형의 설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은 샤프트와 설치부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씰은 축 방향으로 베어링 외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와 설치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판상부는 캡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도록 캡부의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 구비되며, 방사상으로 길이를 가지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돌기는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에 반경 방향 외향하도록 형성된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부에는 축 방향 양단부에 환형상의 캡부와, 상기 캡부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원통형의 설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은 샤프트와 설치부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씰은 축 방향으로 베어링 외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와 설치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씰은 설치부로 삽입되어 설치부 내면에 접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상부는 캡부의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2 지지부의 축방향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향 절곡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판상부의 축 방향 내측면과 제2 지지부의 외면이 이루는 각은 90°보다 2°내지 6°작게 형성되어, 제2 지지부가 설치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판상부는 캡부에 밀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부에는 축 방향 양단부에 환형상의 캡부와, 상기 캡부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원통형의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은 샤프트와 설치부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씰은 축 방향으로 베어링 외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와 설치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씰 부재는 설치부의 내면에 접하여 구비되며, 축 방향 외향 개구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씰부재는 축 방향 외측에서 상기 홈부로 삽입되어 홈부와의 사이에 미로를 형성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아우터리브가 축 방향 외향하도록 설치부와 샤프트 사이로 제1 씰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인너리브가 축 내향하도록 설치부에 제2 씰부재가 삽입되고, 제2 돌출부가 축 방향 외측에 홈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접하도록 샤프트가 제3 씰부재 삽입되고, 상기 제3 씰부재에는 축 방향 내향하는 턱부가 구비되어, 제1 씰부재를 축 방향 내향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3 씰부재는 샤프트의 외면에 접하는 원통형의 제3 지지부와, 반경 방향 외측에 내향하는 턱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축방향 내향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제3 지지부의 축 방향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제2 연장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는 제1 씰부재와 샤프트 사이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2 씰부재의 축 방향으로 제4 씰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4 씰부재는 환 형상으로 구비되며,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샤프트에 접하여 구비되며, 반경 방향 외측 단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간극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4 씰부재에는 상기 제1 돌기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향 이격된 형통형의 제2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 사이에는 돌기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삽입홈에는 상기 제2 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는 축방향 외측에 미로를 더 형성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씰의 조립이 용이하며, 온도스티커를 구비하여 롤러의 온도 상승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베이어용 롤러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컨베이어용 롤러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제2 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제2 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제3 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제2 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제2 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제3 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의 가로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고, 세로 방향을 "반경 방향"으로 하며, 축방향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이라 하고, 중심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내측"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용 롤러(200)는 본체부와, 샤프트(230)와, 베어링(240)과, 씰(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는 축방향으로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는 본체(210)와 엔드캡(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10)는 축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210)의 양단부는 축방향 내측으로 컬링되어 형성된다.
상기 엔드캡(220)은 상기 본체(210)의 양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엔드캡(220)은 축방향 양측으로 개구된 원통형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엔드캡(220)은 캡부(221)와, 설치부(223)와, 엔드부(2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부(221)는 환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캡부(221)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210)의 단부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223)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223)는 상기 캡부(22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223)는 샤프트(23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이격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223)는 상기 샤프트(230)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엔드부(225)는 환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엔드부(225)는 상기 설치부(223)의 축방향 내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향 연장 구비된다. 상기 엔드부(225)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샤프트(23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이격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230)는 단면이 원형인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230)는 상기 엔드캡(220)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10)로 삽입된다. 상기 샤프트(230)는 양단이 상기 본체부보다 돌출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230)는 롤러가 회전운동하는 중심축이 된다. 상기 샤프트(230)는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상기 샤프트(230)에는 길이 방향 양측에 단부로부터 내향 이격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230)에 형성된 홈에는 오링인 제1 링부재(201)가 결합 구비된다. 상기 제1 링부재(201)는 베어링(240)과 씰(250) 사이의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240)은 반경 방햐으로 상기 설치부(223)와 샤프트(230) 사이에 삽입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240)은 축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엔드캡(220)의 엔드부(225)와 설치부(223) 및 샤프트(230)와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240)은 상기 샤프트(230)에 대하여 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씰(250)은 반경 방향으로 설치부(223)와 샤프트(230) 사이에 삽입 구비된다. 상기 씰(250)은 축 방향으로 베어링(240)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씰(250)은 제1 씰부재(253)와, 제2 씰부재(251)와, 제3 씰부재(255)와, 제4 씰부재(257)로 이루어진다. 상기 씰(250)을 이루는 제1 씰부재(253)와, 상기 제1 씰부재(253)의 축 방향 외측으로 구비된 제2 씰부재(251)와, 제3 씰부재(255)에 의하여 미로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씰부재(253)는 환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씰부재(253)는 반경 방향으로 엔드캡(220)과 샤프트(230) 사이에 위치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 씰부재(253)는 상기 베어링(240)의 축방향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씰부재(253)는 베어링(240)의 내륜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 씰부재(253)는 축 방향으로 제3 씰부재(255)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씰부재(253)는 제1 씰부재 본체부(2533)과, 이너리브(2531)와, 제1 지지부(25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씰부재 본체부(2533)은 환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씰부재 본체부(2533)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씰부재 본체부(2533)은 상기 베어링(240)으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이너리브(2531)는 상기 제1 씰부재 본체부(2533)의 축방향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이너리브(2531)는 상기 제1 씰부재 본체부(2533)으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이너리브(253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너리브(2531)는 제3 씰부재(255)를 향하여 외향 돌출된다. 상기 이너리브(2531)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된 이너리브(2531)는 제3 씰부재(255)의 제3 지지부(2551)의 외경면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된 이너리브(2531)는 샤프트(230)의 외경면에 접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지지부(2535)는 상기 제1 씰부재 본체부(2533)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된 제1 씰부재 본체부(2533)로부터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부(2535)의 축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베어링(240)의 내륜의 측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씰부재(251)는 상기 설치부(223)로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씰부재(251)는 상기 설치부(223)의 내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씰부재(251)는 상기 제1 씰부재(253)의 축 방향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씰부재(251)는 제2 씰부재 본체부(2518)와, 복수의 아우터리브(2515)와, 판상부(251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씰부재 본체부(2581)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씰부재 본체부(2581)는 상기 제2 씰부재 본체부(258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샤프트(230)와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 씰부재 본체부(258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제3 씰부재(255)의 제3 지지부(2551)와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 씰부재 본체부(258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경사부(2513)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513)는 축방향 외향 및 반경 방향 내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513)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는 제2 지지부(251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2511)는 축방향 내향하여 베어링(240)을 향하여 돌출된다. 상기 제2 지지부(2511)는 상기 설치부(223)의 내측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2511)의 축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베어링(240)의 외륜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2511)는 아우터리브(2515)와 제1 씰부재(253)의 이너리브(2531)에 의해 미로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씰부재 본체부(258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는 돌출부(2517)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2517)는 상기 제2 씰부재 본체부(2518)으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2517)와 제2 씰부재 본체부(2518)과 경사부(2513)는 홈부(2516)를 형성한다. 상기 홈부(2516)에는 제3 씰부재(255)의 제2 돌출부(2555)가 위치된다. 상기 홈부(2516)에 제2 돌출부(2555)가 축방향 외측에서 삽입되어 미로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리브(2515)는 상기 제2 씰부재 본체부(2518)의 축방향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아우터리브(2515)는 축 방향 내향하여 베어링(240)을 향하여 돌출된다. 상기 아우터리브(2515)는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아우터리브(2515)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아우터리브(2515)는 상기 제1 씰부재(253)의 이너리브(2531)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아우터리브(2515)는 상기 이너리브(2531) 사이에 위치되어 미로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판상부(2519)는 상기 제2 지지부(2511)의 축방향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향으로 절곡되어 연결 구비된다. 상기 판상부(2519)는 환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판상부(2519)는 상기 캡부(221)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도록 캡부(221)의 축 방향 외측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판상부(2519)는 축 방향 내측면과 제2 지지부(2511)의 외면이 이루는 각(θ)은 90°보다 2°내지 6°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판상부(2519)는 상기 제2 지지부(2511)가 설치부(223)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판상부(2519)는 캡부(221)에 밀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돌기(2512)는 상기 판상부(2519)의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2512)는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돌기(2512)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돌기(2512)는 방사상으로 길이를 가지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돌기(2512)는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에 반경 방향 외향하는 성분을 가지는 면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2512)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기(2512)와 반경 방향 내향 이격되어 제2 돌기(25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2514)는 상기 제2 지지부(2511)에서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판상부(2519)의 축 방향 내측면과 제2 지지부(2511)의 외면이 이루는 각(θ)이 90°보다 2°내지 6°작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돌기(2512)와 제2 돌기(2514) 사이에는 간극(2512a)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2512a)은 앤드캡(220)의 캡부(221)와 설치부(223)가 연결되어 절곡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간극(2512a)이 형성됨으로써 엔드캡(220)에 삽입될 때 돌기(2512)와 제2 돌기(2514)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간극(2512a)이 형성된 위치에 엔드캡(220)과 제2 씰부재(251) 사이에는 오링인 제1 링부재(201)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2512)와 제2 돌기(2514)가 구비됨으로써 회전시 외부로부터 유입될 이물(먼지, 모래 등)이 돌기(2512)와 제2 돌기(2514)에 부딪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튕겨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판상부(2519)에는 축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홈(2519a)이 형성된다. 상기 홈(2519a)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홈(2519a)은 상기 돌기(251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홈(2519a)은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홈(2519a)이 홀로 형성된 경우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캡부(221)가 축 방향으로 노출된다. 상기 홈(2519a)에는 온도스티커가 부착된다. 상기 온도스티커는 기존에 나와있는 온도스티커가 이용된다. 상기 온도스티커로는 일본 브라이트공업주식회사의 온도관리시온라벨 THERMODEMAND 제품이 이용된다. 상기 온도스티커는 상기 홈(2519a)을 덮도록 부착된다. 상기 홈(2519a)이 홀로 형성된 경우, 상기 온도스티커는 상기 판상부(2519)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캡부(221)와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온도스티커가 구비됨에 따라 캡부(221)의 온도가 올라가면 온도스티커의 색이 변화되어 온도 상승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롤러(200)에 발생된 문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홈(2519a)에는 온도스티커 대신 온도 변화시 색이 변화되는 온도 변화 페인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온도 변화 페인트로는 kolortek의 온도 변화 페인트 등이 있다.
상기 홈(2519a)이 2개로 형성되면 2개 중 1개에는 온도스티커가 부착되거나 온도 변화 페인트가 칠해진다. 나머지 1개의 홈(2519a)에는 흰색 등의 스티커 또는 페인트로 칠해져 롤러(200) 회전시 롤러의 회전이 육안으로 확인된다.
상기 제3 씰부재(255)는 제3 지지부(2551)와, 제2 연장부(2553)와, 제2 돌출부(25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지지부(2551)는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3 지지부(2551)는 상기 샤프트(230)의 외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3 지지부(2551)는 반경 방향 외측에 내향하는 턱부(2557)를 형성하며 내향 연장된 연장부(2552)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552)의 축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외향 이격되어 제2 경사부(2559)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경사부(2559)는 반경 방향 외향하며 축방향 내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552)는 상기 제1 씰부재(253)와 샤프트(230) 사이로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연장부(2553)는 상기 제3 지지부(2551)의 축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연장부(2553)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는 제2 돌출부(2555)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돌출부(2555)는 축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돌출부(2555)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돌출부(2555)는 상기 제2 씰부재(251)의 홈부(2516)에 삽입 구비된다. 상기 제2 돌출부(2555)는 상기 홈부(2516)에 구비됨으로써 미로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제4 씰부재(257)는 환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4 씰부재(257)는 상기 제2 씰부재(251)와 제3 씰부재(257)의 축 방향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4 씰부재(257)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4 씰부재(257)는 제4 씰부재 본체부(2579)와, 제1 돌기부(2571)와, 제2 돌기부(25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 씰부재 본체부(2579)는 환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4 씰부재 본체부(2579)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4 씰부재 본체부(2579)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립부(2577)가 형성된다. 상기 립부(2577)는 상기 샤프트(230)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 돌기부(2571)는 상기 제4 씰부재 본체부(2579)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돌기부(2571)는 상기 제4 씰부재 본체부(2579)의 축 방향 내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돌기부(2571)는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돌기부(2571)는 상기 제2 씰부재(251)에 형성된 간극(2512a)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제2 돌기부(2573)는 상기 제1 돌기부(2571)로부터 반경 방향 내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돌기부(2573)는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돌기부(2571)의 반경 방향 외측면은 상기 제2 돌기(2514)의 반경 방향 내측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 돌기부(2571)와 제2 돌기부(2573) 사이에는 돌기삽입홈(2575)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삽입홈(2575)에는 상기 제2 씰부재(251)의 제2 돌기(2514)가 억지 끼움으로 삽입 결합된다.
상기 제4 씰부재(257)가 상기 제2 씰부재(251)의 간극(2512a)에 삽입 결합되므로써 더욱 복잡한 미로구조가 형성되어 베어링으로 외부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200)의 씰(250)은 제1 씰부재(253)의 상기 아우터리브(2515)가 축 방향 외향하도록 설치부(223)와 샤프트(230)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제2 씰부재(251)가 상기 인너리브(2531)가 축방향 내향하도록 설치부(223)에 삽입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3 씰부재(255)가 제2 돌출부(2555)가 축 방향 외측에서 홈부(2516)로 삽입되도록 상기 샤프트(230)의 외면에 접하여 삽입된다. 상기 제3 씰부재(255)에는 축 방향 내향하는 턱부(2557)가 상기 제1 씰부재(253)를 축 방향 내향 가압하며 구비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 컨베이어용 롤러
210 : 본체 220 : 엔드캡
221 : 원형부 223 : 설치부
225 : 엔드부 230 : 샤프트
240 : 베어링 250 : 씰
251 : 제2 씰부재 253 : 제1 씰부재
255 : 제3 씰부재 257 : 제4 씰부재

Claims (13)

  1. 축 방향으로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양단이 본체부보다 돌출된 샤프트(230)와,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와 샤프트(230) 사이에 삽입되어 샤프트(230)에 대하여 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40)과, 반경 방향으로 본체부와 샤프트(230) 사이에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베어링(240)의 외측에 위치하는 씰(25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에는 축 방향 양단부에 환형상의 캡부(221)와, 상기 캡부(22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23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원통형의 설치부(223)가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240)은 샤프트(230)와 설치부(22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씰(250)은 축 방향으로 베어링(240) 외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230)와 설치부(223)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씰(250)은 반경 방향 외측에 환형의 판상부(2519)를 구비하며, 상기 판상부(2519)는 캡부(221)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도록 캡부(221)의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판상부(2519)에 축 방향으로 오목한 홈(2519a)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홈(2519a)에는 축 방향으로 천공되어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하여 캡부(221)는 축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홈(2519a)에는 온도스티커가 더 구비되며, 상기 온도스티커는 판상부(2519)를 사이에 두고 캡부(221)와 온도스티커는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
  2. 축 방향으로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양단이 본체부보다 돌출된 샤프트(230)와,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와 샤프트(230) 사이에 삽입되어 샤프트(230)에 대하여 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40)과, 반경 방향으로 본체부와 샤프트(230) 사이에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베어링(240)의 외측에 위치하는 씰(2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씰(250)은 반경 방향 외측에 환형의 판상부(2519)를 구비하며, 상기 판상부(2519)에는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2512)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에는 축 방향 양단부에 환형상의 캡부(221)와, 상기 캡부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23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원통형의 설치부(223)가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240)은 샤프트(230)와 설치부(22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씰(250)은 축 방향으로 베어링(240) 외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230)와 설치부(223)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씰(250)은 설치부(223)로 삽입되어 설치부(223) 내면에 접하는 제2 지지부(2511)를 구비하고, 상기 판상부(2519)는 캡부(221)의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2 지지부(2511)의 축방향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향 절곡 연결되어 구비되며, 제2 지지부(2511)에는 축 방향 외향 돌출된 제2 돌기(2514)가 더 구비되며;
    상기 돌기(2512)와 제2 돌기(2514) 사이에는 간극(25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
  3. 축 방향으로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양단이 본체부보다 돌출된 샤프트(230)와, 반경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와 샤프트(230) 사이에 삽입되어 샤프트(230)에 대하여 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40)과, 반경 방향으로 본체부와 샤프트(230) 사이에 삽입되며 축 방향으로 베어링(240)의 외측에 위치하는 씰(25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에는 축 방향 양단부에 환형상의 캡부(221)와, 상기 캡부(22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23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원통형의 설치부(223)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240)은 샤프트(230)와 설치부(223)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씰(250)은 축 방향으로 베어링(240) 외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230)와 설치부(223)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씰(250)은 축 방향 내향하여 베어링(240)을 향하여 돌출된 하나 이상의 아우터리브(2515)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설치부(223)의 내면에 접하여 구비되고 축 방향 외향 개구된 홈부(2516)가 형성되는 제2 씰부재(251)와,
    축 방향으로 제3 씰부재(255)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3 씰부재(255)를 향하여 외향 돌출되어 상기 아우터리브(2515)와 미로구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너리브(2531)를 가지며 반경 방향으로 본체부와 샤프트(230) 사이에 위치하여 구비되는 제1 씰부재(253)와,
    상기 샤프트(230)가 삽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본체부와 샤프트(230)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제1 씰부재(253)의 외측으로 위치하며 축 방향 외측에서 상기 홈부(2516)로 삽입되어 홈부(2516)와의 사이에 미로구조를 형성하는 제2 돌출부(2555)를 구비하여 제2 씰부재(251)와 미로구조를 형성하는 제3 씰부재(255)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우터리브(2515)가 축 방향 외향하도록 설치부(223)와 샤프트(230) 사이로 제1 씰부재(253)가 삽입되고, 상기 인너리브(2531)가 축 내향하도록 설치부(223)에 제2 씰부재(251)가 삽입되고, 제2 돌출부(2555)가 축 방향 외측에 홈부(2516)로 삽입되도록 상기 샤프트(230)의 외면에 접하도록 샤프트(230)가 제3 씰부재(255) 삽입되고, 상기 제3 씰부재(255)에는 축 방향 내향하는 턱부(2557)가 구비되어, 제1 씰부재(253)를 축 방향 내향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
  4. 삭제
  5. 삭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축 방향 양단부에 환형상의 캡부(221)와, 상기 캡부(22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23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원통형의 설치부(223)가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240)은 샤프트(230)와 설치부(22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씰(250)은 축 방향으로 베어링(240) 외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230)와 설치부(223)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판상부(2519)는 캡부(221)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도록 캡부(221)의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2512)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 구비되며, 방사상으로 길이를 가지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512)는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에 반경 방향 외향하도록 형성된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
  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축 방향 양단부에 환형상의 캡부(221)와, 상기 캡부(22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23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원통형의 설치부(223)가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240)은 샤프트(230)와 설치부(223)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씰(250)은 축 방향으로 베어링(240) 외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230)와 설치부(223)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씰(250)은 설치부(223)로 삽입되어 설치부(223) 내면에 접하는 제2 지지부(2511)를 구비하고, 상기 판상부(2519)는 캡부(221)의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2 지지부(2511)의 축방향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향 절곡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판상부(2519)의 축 방향 내측면과 제2 지지부(2511)의 외면이 이루는 각은 90°보다 2°내지 6°작게 형성되어, 제2 지지부(2511)가 설치부(223)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판상부(2519)는 캡부(221)에 밀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
  9. 삭제
  10. 삭제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씰부재(255)는 샤프트(230)의 외면에 접하는 원통형의 제3 지지부(2551)와, 반경 방향 외측에 내향하는 턱부(2557)를 형성하며 상기 제3 지지부(2551)로부터 축방향 내향 연장된 연장부(2552)와, 상기 제3 지지부(2551)의 축 방향 외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25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돌출부(2555)는 제2 연장부(2553)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2552)는 제1 씰부재(253)와 샤프트(230) 사이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
  12.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씰부재(251)의 축 방향으로 제4 씰부재(257)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4 씰부재(257)는 환 형상으로 구비되며,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샤프트(230)에 접하여 구비되며,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는 원통형의 제1 돌기부(257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돌기부(2571)는 상기 간극(2512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씰부재(257)에는 상기 제1 돌기부(2571)로부터 반경 방향 내향 이격된 형통형의 제2 돌기부(2573)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돌기부(2571)와 제2 돌기부(2573) 사이에는 돌기삽입홈(2575)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삽입홈(2575)에는 상기 제2 돌기(2514)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
KR1020150153519A 2015-11-03 2015-11-03 컨베이어용 롤러 KR101792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519A KR101792647B1 (ko) 2015-11-03 2015-11-03 컨베이어용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519A KR101792647B1 (ko) 2015-11-03 2015-11-03 컨베이어용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881A KR20170051881A (ko) 2017-05-12
KR101792647B1 true KR101792647B1 (ko) 2017-11-20

Family

ID=5874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519A KR101792647B1 (ko) 2015-11-03 2015-11-03 컨베이어용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9914A (zh) * 2018-10-31 2019-01-04 长沙万荣粉体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蜂巢磨
KR102103773B1 (ko) * 2019-08-13 2020-04-23 박경숙 컨베이어용 롤러의 래버린스씰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114B2 (ja) * 1996-09-10 2001-02-13 鹿島建設株式会社 橋脚基部の補強工法
JP2009208944A (ja) * 2008-03-06 2009-09-17 Naoe Tekko:Kk コンベヤローラ
KR101406430B1 (ko) * 2012-08-17 2014-06-13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114B2 (ja) * 1996-09-10 2001-02-13 鹿島建設株式会社 橋脚基部の補強工法
JP2009208944A (ja) * 2008-03-06 2009-09-17 Naoe Tekko:Kk コンベヤローラ
KR101406430B1 (ko) * 2012-08-17 2014-06-13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881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4248A (en) Unitized seal with unitizing joint remote from seal lip
JP2014511470A5 (ko)
CA2759014C (en) A sealed hub-bearing assembly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KR101411615B1 (ko) 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RU2015136082A (ru) Динамическое уплотнение с низким коэффициентом трения
JP2015178881A5 (ko)
KR101792647B1 (ko) 컨베이어용 롤러
JP2004537699A5 (ko)
JP2017180599A5 (ko)
KR20120010786A (ko) 컨베이어용 롤러
JP2007064459A (ja) 密封装置
JP2009041708A (ja) 密封装置
US9662937B2 (en) Vehicle hub bearing unit provided with a protective ring
US9657785B2 (en) Rolling bearing, notably for clutch release bearing device
RU2017101676A (ru) Узел поворот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JP6399471B2 (ja) 密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917328A (en) Bearing seals
CN107975533B (zh) 车轮用的轮毂轴承组件
GB2313417A (en) Cover for bearings
KR20190098210A (ko) 원뿔형의 테이퍼링된 구성요소를 갖는 컨베이어 롤러
KR101174563B1 (ko) 컨베이어용 롤러
KR101740492B1 (ko) 컨베이어용 롤러
KR101537711B1 (ko) 컨베이어용 롤러 및 그 제조방법
JP5531651B2 (ja) 針状ころ軸受
KR20110095900A (ko) 링 세그먼트내의 다공 요소를 갖은 베어링 요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