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611B1 - 오니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오니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611B1
KR101792611B1 KR1020170001196A KR20170001196A KR101792611B1 KR 101792611 B1 KR101792611 B1 KR 101792611B1 KR 1020170001196 A KR1020170001196 A KR 1020170001196A KR 20170001196 A KR20170001196 A KR 20170001196A KR 101792611 B1 KR101792611 B1 KR 101792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haft
housing
gas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식
홍기호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에코매니지먼트코리아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매니지먼트코리아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매니지먼트코리아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26B5/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the process involving free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니 건조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니 건조 장치는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니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오니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오니 또는 가스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통과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를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디스크 플레이트; 및 상기 샤프트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샤프트 냉각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니 건조 장치{SLUDGE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오니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니 상태의 처리물은 공업이 발달함에 따라 수분이 많은 식물류, 식품원료의 찌꺼기, 배수처리장, 화학공장, 하천등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특히 많은 수분을 함유한 페이스트 상태로 있거나 점착성이 강한 물질을 포함한 상태로 방치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오니 상태의 물질들이 지하에 묻히거나 하천으로 흘러 지하수 및 하천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니를 처리하기 위하여 미생물 분해 또는 건조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니를 건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커다란 드럼내부에 오니를 투입하고 그 본체자체를 회전시키거나 본체 내부에 교반 회전축을 축설하여 이를 장시간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 한국등록특허 제 10-1046492호(발명의 명칭: 오니 건조 장치)는 오니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오니 건조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오니 건조 장치는 커다란 드럼내부에 오니를 투입하고 그 본체자체를 회전시키거나 본체 내부에 교반 샤프트를 축설하여 이를 장시간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켜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때, 오니 건조 장치는 오니를 건조시키기 위한 고열의 가스에 의해 샤프트가 열적 팽창되어, 디스크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게 되고, 디스크 플레이트와 오니를 긁어내는 스크래퍼가 접촉되어, 스크래퍼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샤프트에 냉각장치를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여, 샤프트의 열적 팽창을 방지할 수 있는 오니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니 건조 장치는,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니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오니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오니 또는 가스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통과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를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디스크 플레이트; 및 상기 샤프트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샤프트 냉각 장치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샤프트에 냉각장치를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여, 샤프트의 열적 팽창으로 인한 건조효율 감소 및 스크래퍼와 디스크 플레이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니 건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냉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니 공급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니 공급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C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오니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니 건조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냉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니 공급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니 공급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B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C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니 건조 장치(10)(이하, '오니 건조 장치(1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오니 건조 장치(10)는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니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오니 배출구(112)가 형성된 하우징(110);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샤프트(120); 샤프트(1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0); 샤프트(12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오니 또는 가스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통과구가 각각 형성되고, 샤프트(120)를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디스크 플레이트(140); 및 샤프트(12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샤프트 냉각 장치(20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오니 건조 장치(1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된 오니 유입구(111)로 오니가 유입되어, 복수의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통과구를 통과한 후, 하우징(110)의 하부에 형성되 오니 배출구(112)로 건조된 오니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덕트(400)가 연결되어, 고온의 가스가 디스크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통과구를 따라 상승하면서, 오니를 건조할 수 있다.
샤프트(120)는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회전을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110)의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2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샤프트 냉각 장치(200)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샤프트(120)의 중공부를 통해 통과될 수 있다.
구동모터(130)는 샤프트(120)의 회전을 위한 구성으로, 샤프트(120)와 팬 벨트 또는 기어에 의해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디스크 플레이트(140)는 가스와 오니의 흐름을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110)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원판형으로 제작되어, 샤프트(120)를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복수가 배치된다.
또한, 구동모터(130)는 디스크 플레이트(140)를 종래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건 오니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니 건조 장치(10)는 샤프트(120)의 하부를 하우징(1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고, 샤프트(120)의 상부는 고온의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고려하여, 하우징(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한다. 하지만, 샤프트(120)의 팽창에 의해, 디스크 플레이트(140) 간의 거리가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오니 건조량이 감소되어, 오니의 함수율이 높아질뿐만 아니라,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크래퍼(150) 또는 에어 퍼지부(160)와 디스크 플레이트(140)가 접촉되어, 스크래퍼(150) 또는 에어 퍼지부(16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오니 건조 장치(10)는 샤프트(120)를 냉각하기 위해, 샤프트(12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샤프트 냉각 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냉각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샤프트 냉각 장치(200)는 샤프트(120)에 공급되는 냉각수가 저장된 급수탱크(210); 샤프트(120)의 하부에 연결되고, 급수탱크(210)로부터 냉각수를 샤프트(120)에 공급되는 냉각수 공급 라인(230); 냉각수 공급 라인(230)에 위치하여, 냉각수를 순환하는 순환펌프(220); 및 샤프트(1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샤프트(120)에서 출수되는 냉각수가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 라인(2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샤프트 냉각 장치(200)는 샤프트(120)의 하부로 냉각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냉각수는 샤프트(120)를 냉각한 후, 샤프트(120)의 상부로 배출되어, 급수탱크(210)로 재공급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니 건조 장치(10) 작동 시, 하우징(110)의 내부는 100도 이상으로 가열되고, 샤프트(120)가 100도 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는 일정 온도 이상 가열되지 않는 액체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냉각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일 수 있다. 즉, 물은 100도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냉각수로 물이 적합하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냉각수 공급 라인(230) 및 냉각수 배출 라인(240)에는 밸브가 위치하여, 샤프트(12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샤프트 냉각 장치(200)는 급수탱크(21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보충수 공급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는 샤프트(120)를 통과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기화될 수 있기 때문에, 보충수 공급부(250)를 통해 기화된 냉각수를 보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니 건조 장치(10)는 하우징(110)의 내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각각의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래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스크래퍼(150)는 하우징(110)의 내측벽으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스크래퍼(150)는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래퍼(150)는 디스크 플레이트(140) 상에 점성을 가지고 벌크 형태로 뭉쳐져 있는 오니를 건조에 적합하게 얇게 펼칠 수 있다.
스크래퍼(150)는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상부에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크래퍼(150)와 디스크 플레이트(140) 사이의 간격이 너무 크면 오니가 그대로 통과하고, 너무 작으면 마찰이 발생하여 마모되기 때문에, 오니의 크기 및 양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스크래퍼(150)는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상부면과 1cm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스크래퍼(150)는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외주연으로부터 중심부까지 연장형성되며, 하나의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상부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복수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오니 공급관(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오니 공급관(300)은 하우징(110)의 오니 유입구(111)에 연결되어, 하우징(110) 내부로 오니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압축공기 공급관(34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고, 일정한 시간 간격 또는 사용자에 의해 압축공기 공급관(340)이 열리도록 제어하여, 하우징(110)으로 투입되는 오니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니 공급관(300)은 오니가 유입되어, 2개의 지관으로 나누어 배출되는 ‘Y’자형 제1 분기관(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니 유입구(111)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되고, 2개의 오니 유입구(111)에 제1 분기관(310)이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니 유입구(111)는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중심부와 인접한 부분과 중심부에서 외주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된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기관(310)이 ‘Y’자형으로 형성되어, 제1 분기관(310)의 본관에서 유입된 오니는 2개의 제1 분기관(310)의 지관으로 고르게 분산되어 하우징(1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만약, 제1 분기관(310)이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본관이 하나의 지관으로 치우쳐 위치하면, 2개의 지관으로 오니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고, 하나의 지관으로만 투입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니 공급관(300)은 제1 분기관(310)의 오니가 배출되는 지관에 연결되는 ‘Y’자형 제2 분기관(320); 및 제1 분기관(310)의 오니가 배출되는 다른 지관에 연결되는 ‘Y’자형 제3 분기관(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니 유입구(111)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되고, 4개의 오니 유입구(111)에 제2 분기관(320) 및 제3 분기관(330)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분기관(310)으로 유입된 오니는 제1 분기관(310)의 지관으로 분산되어 제2 분기관(320)과 제3 분기관(3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분기관(320)의 본관으로부터 유입된 오니는 제2 분기관(320)의 지관으로 분산되어 하우징(110)의 내부로 투입되고, 제3 분기관(330)의 본관으로 유입된 오니는 제3 분기관(330)의 지관으로 분산되어 하우징(1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분기관(320)과 연결된 오니 유입구(111)는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중심부와 인접한 부분과 중심부와 외주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된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분기관(330)과 연결된 오니 유입구(111)는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2 분기관(320)과 연결된 오니 유입구(111)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니 유입구(111)를 4개 지점으로 분산시켜, 오니를 투입함으로써, 디스크 플레이트(140) 상에 오니가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니의 건조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오니 건조 장치(10)는 제1 분기관(310)의 지관에 각각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관(3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니 공급관(300)의 내부온도가 90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오니 공급관(300)의 내부에 위치한 오니가 고체로 굳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오니 공급관(300)이 막혀 오니가 정상적으로 투입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오니 공급관(300)에 압축공기공급관(340)을 연결하고, 솔레노이드 밸브(341)를 설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341)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열리도록 제어하여, 오니 공급관(300)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굳어진 오니가 분기관을 통과하도록 하여, 오니 공급관(30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오니 건조 장치(10)는 각각의 디스크 플레이트(140)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퍼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퍼지부(160)는 각각의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상부에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둘레부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위치하며, 복수의 공기 분사구(161a)가 형성된 복수의 압축 공기 분사 노즐(161); 압축 공기 분사 노즐(161)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62); 및 복수의 압축 공기 분사 노즐(16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16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압축 공기 분사 노즐(161)은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상에 설치되고, 직경이 10mm인 공기 분사구(161a)가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둘레부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플레이트(140) 상에 깔려 있는 오니는 공기 분사구(161a)로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해 뒤집어지며, 스크래퍼(150)에 의해 부서지면서, 아래방향로 강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통과구를 막고 있는 오니는 하부로 이동하며, 고온의 가스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오니와 고온의 가스의 접촉이 원활하게 되어,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공급덕트(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스공급덕트(400)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오니 건조를 위한 고온의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우징(110)에 공급되는 고온의 가스는 소각로의 가동시 발생하는 폐열가스를 외부로 방출하지 않고, 하우징(110)으로 공급하여 오니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열원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가스배출덕트(50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스배출덕트(500)에는 가스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가 위치할 수 있으며, 가스배출덕트(500)를 통해 배출된 가스는 외부 또는 소각로에 공급되어 재활용할 수 있다.
가스공급덕트(400)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공급덕트(410); 및 제1 가스공급덕트(410)가 연결된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 연결되어,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제2 가스공급덕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하우징(110)의 하부에 하나의 가스공급덕트(400)가 연결될 경우, 가스공급덕트(400)에서 가스배출덕트(500)로 가스 흐름이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하부 중 가스공급덕트(400)가 연결되지 않는 부분에는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가스공급덕트(400)를 하우징(110) 하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연결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온의 가스를 고르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가스공급덕트(400)는 하우징(110)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제3 가스공급덕트(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니의 수분함량이 높을 경우, 오니가 하부로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하우징(110)의 하단부에서 다량의 수분이 증발하므로, 하우징(110)의 중간부터 온도가 낮아져 건조효율이 급격히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중앙부에 제3 가스공급덕트(430)를 통해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온도를 상승시켜, 오니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스공급덕트(410)와 제2 가스공급덕트(420)는 가스공급덕트(400)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가스 공급덕트는 일단이 제1 또는 제2 가스공급덕트(410, 420)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110)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스공급덕트(400)는 가스배출덕트(500)에 고온가스를 공급하는 서브 가스 공급 덕트(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브 가스 공급 덕트(440)는 일단이 제2 가스공급덕트(420)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스배출덕트(500)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하우징(110)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온도가 120도 이하로 낮은 경우, 가스배출덕트(500)의 내부에 응축수가 생겨, 가스배출덕트(500)가 부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서브 가스 공급 덕트(440)를 통해, 고온의 가스를 가스배출덕트(500)로 공급하여, 가스배출덕트(500) 내부의 온도를 120도이상 유지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배출덕트(500)에는 섬유질이 함유된 분진이 다량으로 이송하면서, 바닥에 다량의 분진이 쌓여 과열시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오니 건조 장치(10)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소화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오니 건조 장치(10)는 가스배출덕트(500) 또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화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소화장치(600)는 소방수가 공급되고, 단부가 가스배출덕트(500) 또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T’자형의 소방노즐(610); 소방노즐(610)의 분기관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고,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 레듀사부(620); 및 소방노즐(610)의 분기관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양단부가 소방노즐(610)의 외부에 위치하며, 양단부에 너트(631)가 이중체결된 막힘방지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소화장치(600)는, 후술되는 화재센서부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가 감지될 경우, 가스배출덕트(500) 또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소방수를 공급하여,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이때, 소방노즐(610)을 통해 공급된 소방수는 소방노즐(610)의 분기관의 양단부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막힘방지부(630)의 양단부에 이중체결된 너트(631)를 통해 분진으로 인해, 소방노즐(61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니 건조 장치(10)는 하우징(110) 내부 또는 가스배출덕트(500)에 위치하여, 화재발생여부를 측정하는 화재 센서부(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센서는 하우징(110) 내부 또는 가스배출덕트(5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하우징(1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 또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신호음을 발생하는 화재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온도센서는 하우징(110)의 하부, 중간, 상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는, 운전 시, 120도 내지 350도일 수 있으며, 화재 알림부는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가 350도 이상일 경우, 화재로 의심되어, 신호음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화재 여부를 알릴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 내부의 압력은, 운전시, 음압상태이며, 화재 발생 시, 가스량 증가로 압력이 증가되어 양압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 내부의 압력변화를 압력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화재 알림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재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소화장치(600)를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오니 건조 장치(10)는 구동모터(13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30)의 과부하 여부를 감지하는 과부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과부하감지부는 구동모터(130)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 전류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신호음을 발생하는 과부하 알림부; 및 구동모터(130)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우징(110) 내부로 오니와 함께 볼트, 돌, 금속조각, 나무조각, 헝겁, 장갑 등의 이물질이 투입되면, 디스크 플레이트(140)의 통과구에 이물질이 끼인 상태로 회전하다 스크래퍼(150)에 접촉되어, 디스크 플레이트(140) 또는 스크래퍼(150)가 파손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즉, 오니 건조 장치(10)는 과부하감지부를 통해 구동모터(130)의 과부하여부를 판단하여, 과부하시 구동모터(130)를 정지시켜 이물질에 의해 디스크 플레이트(140) 또는 스크래퍼(1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오니 건조 장치
110 : 하우징 111 : 오니 유입구
112 : 오니 배출구
120 : 샤프트 130 : 구동모터
140 : 디스크 플레이트 141 : 통과구
150 : 스크래퍼
160 : 에어 퍼지부
161 : 압축 공기 분사 노즐 162 : 솔레노이드 밸브
163 : 에어 공급관
200 : 샤프트 냉각 장치
210 : 급수탱크 220 : 순환펌프
230 : 냉각수 공급 라인 240 : 냉각수 배출 라인
250 : 보충수 공급부
300 : 오니 공급관
310 : 제1 분기관 320 : 제2 분기관
330 : 제3 분기관
340 : 압축공기공급관 341 : 솔레노이드밸브
400 : 가스공급덕트
410 : 제1 가스공급덕트 420 : 제2 가스공급덕트
430 : 제3 가스공급덕트 440 : 서브 가스 공급 덕트
500 : 가스배출덕트
600 : 소화장치 610 : 소방노즐
620 : 레듀사부 630 : 막힘방지부
631 : 너트

Claims (16)

  1. 오니 건조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복수의 오니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오니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오니 또는 가스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통과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를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디스크 플레이트;
    상기 샤프트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샤프트 냉각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오니 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오니를 공급하는 오니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오니 공급관은 오니가 유입되어, 2개의 지관으로 나누어 배출되고, 상기 오니 유입구에 연결되는 'Y'자형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은
    오니가 유입되어, 2개의 지관으로 나누어 배출되는 'Y'자형 제1 분기관;
    상기 제1 분기관의 오니가 배출되는 지관에 연결되는 'Y'자형 제2 분기관; 및
    상기 제1 분기관의 오니가 배출되는 다른 지관에 연결되는 'Y'자형 제3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오니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되고, 상기 4개의 오니 유입구에 상기 제2 분기관 및 제3 분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분기관의 지관에 각각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인 오니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냉각 장치는
    상기 샤프트에 공급되는 냉각수가 저장된 급수탱크;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냉각수를 상기 샤프트에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 라인;
    상기 냉각수 공급 라인에 위치하여, 냉각수를 순환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에서 출수되는 냉각수가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인 오니 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냉각 장치는
    상기 급수탱크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보충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오니 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각각의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는 오니 건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크 플레이트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퍼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에어 퍼지부는
    상기 각각의 디스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의 둘레부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위치하며, 복수의 공기 분사구가 형성된 복수의 압축 공기 분사 노즐;
    상기 압축공기 분사 노즐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복수의 압축 공기 분사 노즐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인 오니 건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어, 오니 건조를 위한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공급덕트;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되어,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오니 건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덕트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공급덕트; 및
    상기 제1 가스공급덕트가 연결된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 연결되어,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제2 가스공급덕트를 포함하는 오니 건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덕트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제3 가스 공급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오니 건조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덕트는
    상기 가스배출덕트에 고온가스를 공급하는 서브 가스 공급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오니 건조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덕트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화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오니 건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소방수가 공급되고, 단부가 상기 가스배출덕트 또는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T'자형의 소방노즐;
    상기 소방노즐의 분기관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고,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 레듀사부; 및
    상기 소방노즐의 분기관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양단부가 소방노즐의 외부에 위치하며, 양단부에 너트가 이중체결된 막힘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오니 건조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 또는 상기 가스배출덕트에 위치하여, 화재발생여부를 측정하는 화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 센서는
    상기 하우징 내부 또는 상기 가스배출덕트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 또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신호음을 발생하는 화재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인 오니 건조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과부하 여부를 감지하는 과부하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과부하감지부는
    구동모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신호음을 발생하는 과부하 알림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판넬을 포함하는 것인 오니 건조 장치.
KR1020170001196A 2017-01-04 2017-01-04 오니 건조 장치 KR101792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196A KR101792611B1 (ko) 2017-01-04 2017-01-04 오니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196A KR101792611B1 (ko) 2017-01-04 2017-01-04 오니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611B1 true KR101792611B1 (ko) 2017-11-02

Family

ID=6038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196A KR101792611B1 (ko) 2017-01-04 2017-01-04 오니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959B1 (ko) * 2019-09-09 2019-12-27 주식회사 한하산업 순환식 열교환구조를 갖는 슬러지 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578B1 (ko) * 2010-02-24 2010-08-06 주식회사 더블유아이 건조시스템의 살수장치
JP2011088089A (ja) * 2009-10-23 2011-05-06 Toshiba Corp 汚泥処理装置
KR101221262B1 (ko) * 2012-11-02 2013-01-11 원남희 오니건조장치
JP2014176829A (ja) * 2013-03-15 2014-09-25 Ricoh Co Ltd 機械式粉砕機、トナー製造装置及びトナー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8089A (ja) * 2009-10-23 2011-05-06 Toshiba Corp 汚泥処理装置
KR100974578B1 (ko) * 2010-02-24 2010-08-06 주식회사 더블유아이 건조시스템의 살수장치
KR101221262B1 (ko) * 2012-11-02 2013-01-11 원남희 오니건조장치
JP2014176829A (ja) * 2013-03-15 2014-09-25 Ricoh Co Ltd 機械式粉砕機、トナー製造装置及びトナー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959B1 (ko) * 2019-09-09 2019-12-27 주식회사 한하산업 순환식 열교환구조를 갖는 슬러지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611B1 (ko) 오니 건조 장치
JPS62218791A (ja) 自動清掃回転熱交換器
TW201914971A (zh) 乾燥裝置及乾燥系統
NZ197613A (en) Drier:cabinet maintained at reduced air pressure
KR101395604B1 (ko) 회전식 건조장치
KR100902564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CA1200093A (en) Gas injecting kiln shell nozzle with particle entry barriers
KR100471099B1 (ko) 유동층식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JP2007263439A (ja) 減圧乾燥機
KR100974578B1 (ko) 건조시스템의 살수장치
US5766938A (en) Biological deodorizing apparatus with rotary carriers
KR20110044700A (ko) 오니 처리 장치
KR102377854B1 (ko) 폐기물 건조장치
WO2007096909A1 (en) Filter/dryer
KR101100899B1 (ko) 다기능 분사장치가 구비된 패들 및 디스크형 슬러지 건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 방법
US2772075A (en) Temperature control for rollers subjected to heat
JP2006311883A (ja) 業務用乾燥機および殺菌乾燥方法
JP4993569B2 (ja) 流動乾燥機及び被乾燥物の乾燥方法
US4373908A (en) Kiln shell nozzle with annular fluid delivery
KR102504044B1 (ko) 다공성 에어노즐을 이용하여 슬러지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이송장치를 갖는 슬러지 건조장치
KR100416988B1 (ko) 슬러지 건조기
US20140116269A1 (en) Machine for heat exchange with a product
KR102714293B1 (ko) 스팀열 슬러지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 및 처리 시스템
KR100498123B1 (ko) 나선 축류식 열풍건조기
JP2000202264A (ja) 攪拌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