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601B1 -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601B1
KR101792601B1 KR1020150062993A KR20150062993A KR101792601B1 KR 101792601 B1 KR101792601 B1 KR 101792601B1 KR 1020150062993 A KR1020150062993 A KR 1020150062993A KR 20150062993 A KR20150062993 A KR 20150062993A KR 101792601 B1 KR101792601 B1 KR 10179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anagement program
foot switch
input foo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189A (ko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김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민 filed Critical 김철민
Priority to KR102015006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60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15/00311
    • B01F15/00194
    • B01F15/00428
    • B01F3/08
    • B01F2215/005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손가락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다른 신체 부위, 예를 들면 발을 이용하여 페인팅 원료의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는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치된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배합 제어 장치; 상기 배합 제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입력부와 별개로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풋 스위치; 및 상기 배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에서 실행되거나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배합 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CONTROLL SYSTEM FOR MIXING PAINTING MATERIALS}
본 발명은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손가락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다른 신체 부위, 예를 들면 발을 이용하여 페인팅 원료의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는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하는 페인트 원료를 얻기 위해서, 페인트에 경화제 또는 신나 등을 혼합할 수 있는 페인트 원료 배합 시스템 또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페인트 원료 배합 시스템은, 페인트 원료 배합 프로그램을 구비하는데, 상기 페인트 원료 배합 프로그램은 종래의 페인트 원료 배합 시스템에 구비된 화면을 통해 작업자에게 보여지고, 종래의 페인트 원료 배합 시스템에 구비된 입력부를 작업자가 직접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페인트 원료를 배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페인트 원료 배합 시스템은, 작업자가 자신의 손가락으로 직접 입력부를 조작하기 때문에, 작업자에 손가락에 페인트, 경화제 또는 신나와 같은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를 조작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페인트, 경화제 또는 신나는 작업자의 피부에 직접 닿으면 좋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손에 두껍고 불편한 장갑을 사용하게 되는데, 장갑을 낀 상태로는 상기 입력부를 정확하게 조작하기 쉽지 않고, 장갑을 낀 상태로 상기 입력부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입력부에 페인트, 경화제 또는 신나가 묻기 때문에 작업 완료 후 상기 입력부에 묻은 이물질을 다시 닦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82147호 (공개일 2013년 7월 1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의 손가락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다른 신체부위, 예를 들면 발을 이용하여 페인팅 원료의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는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치된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배합 제어 장치; 및 상기 배합 제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와 별개로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풋 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합 제어 장치는,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 상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입력 풋 스위치는 외부 압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입력 풋 스위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풋 스위치는 제1 내지 제3 입력 풋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풋 스위치는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특정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입력 풋 스위치는 선택된 상기 특정 모드의 세부항목으로 지시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3 입력 풋 스위치는 상기 특정 모드 또는 상기 세부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인팅 원료를 구성하는 각 재료들의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 저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입력 풋 스위치는 상기 계량 저울의 영점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의 개수는 상기 입력 풋 스위치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의 연속적 선택에 의해, 상기 입력부의 단일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과 다른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면, 작업자의 손가락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다른 신체부위, 예를 들면 발을 이용하여 페인팅 원료의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합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합 제어 장치의 구체적인 일 예이다.
도 4는 제어부(115)에 의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111)에서 표시되고 있는 배합 관리 프로그램의 일 예이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15)가 디스플레이부(111), 입력부(113) 또는 입력 스위치(130a, 130b, 130c)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어떻게 제어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들 중 인용부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인용부호들로 표시됨을 유의해야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100)은 배합 제어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합 제어 장치(110)에 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하나 이상의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를 먼저 설명한다.
하나 이상의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는 배합 제어 장치(110)의 일 측에 배치되고, 배합 제어 장치(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는 도 2에 도시된 배합 제어 장치(100)의 입력부(113)와 별개로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자신의 발을 사용하여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를 조작함으로써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는 배합 제어 장치(110)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와 배합 제어 장치(110) 사이의 간격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는 배합 제어 장치(110)가 놓여지는 바닥에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는 발판 스위치일 수 있다.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는 가압식 스위치로서, 외부 압력에 의해 눌려지면,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배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한다.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의 개수가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의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입력부(113)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의 개수는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버튼식 입력부들(113a, 113b, 113c, 113d, 113e, 113f)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는 3개로서, 제1 입력 풋 스위치(130a), 제2 입력 풋 스위치(130b) 및 제3 입력 풋 스위치(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 풋 스위치(130a)는 배합 제어 장치(110)에 설치된 배합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특정 모드(mode)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은 복수의 모드들을 포함하는데, 제1 입력 풋 스위치(130a)를 이용하면 상기 복수의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 풋 스위치(130a)는 복수의 모드들 중 특정 모드로 지시부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제2 입력 풋 스위치(130b)는 제1 입력 풋 스위치(130a)에 의해 선택된 특정 모드의 세부항목으로 지시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들 각각은 하위로 복수의 세부항목들을 포함하는데, 제2 입력 풋 스위치(130b)를 이용하면 상기 복수의 세부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세부항목으로 지시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세부항목은 소정의 모델일 수 있다. 즉, 제2 입력 풋 스위치(130b)는 선택된 특정 모드하에서 지시부를 특정 방향으로의 이동시키는 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입력 풋 스위치(130c)는 제2 입력 풋 스위치(130b)에 의해서 이동된 지시부가 위치하고 있는 세부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3 입력 풋 스위치(130c)는 제1 입력 풋 스위치(130a)에 의해 이동된 지시부가 위치하고 있는 특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3 입력 풋 스위치(130c)는 도 3에 도시된 계량 저울(150)의 영점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100)은 계량 저울(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계량 저울(150)은, 페인팅 원료를 구성하는 각 재료들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 재료의 측정된 중량 정보를 배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한다. 계량 저울(150)의 영점 조정은, 제3 입력 풋 스위치(130c) 또는 도 3에 도시된 영점 조정 버튼(113e)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배합 제어 장치(1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합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합 제어 장치의 구체적인 일 예이다.
배합 제어 장치(110)는 미리 설치된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배합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입력부(113)를 포함한다.
배합 제어 장치(110)는, 디스플레이부(111), 입력부(113), 제어부(115) 및 출력부(117)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제어부(115)에 미리 저장된 배합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111a)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111a)은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LCD, LED 또는 OLED 등 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화면(111a)은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부 화면(111a)을 터치하거나 눌러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도 1에 도시된 계량 저울(150)로부터 전송되는 중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 정보를 표시하는 계량 지시 화면(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량 저울(150)로부터 전송되는 중량 정보는 디스플레이 화면(111a)에 표시되는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에서도 표시될 수 있다.
입력부(113)는 제어부(115)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부(111)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작업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부(113)를 터치하거나 눌러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다.
입력부(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1a)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버튼식 입력부들(113a, 113b, 113c, 113d, 113e, 113f)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식 입력부들(113a, 113b, 113c, 113d, 113e, 113f)은 디스플레이부(111) 아래에 배치된다. 작업자는 복수의 버튼식 입력부들(113a, 113b, 113c, 113d, 113e, 113f)을 눌러 디스플레이부(111)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식 입력부들(113a, 113b, 113c, 113d, 113e, 113f)은 상측 이동 버튼(113a), 하측 이동 버튼(113b), 세트 버튼(113c), 엔터 버튼(113d), 영점 조정 버튼(113e) 및 프린트 버튼(113f)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이동 버튼(113a)과 하측 이동 버튼(113b)은 지시부를 특정 모드로 또는 특정 모델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버튼이고, 세트 버튼(113c)은 모델 창을 불러오거나 점도 불러오기를 위한 버튼이고, 엔터 버튼(113d)은 특정 모델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고, 영점 조정 버튼(113e)은 도 1에 도시된 계량 저울(150)의 영점을 조정하기 위한 버튼이며, 프린트 버튼(113f)는 디스플레이부(111a)에서 표시되는 특정 내용을 프린터하기 위한 버튼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출력부(117)는 디스플레이부(111a)에서 표시되는 특정 내용을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1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17)일 수 있다. 프린터(117)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15)의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1)에서 표시되고 있는 특정 내용을 프린트할 수 있다. 프린터(117)에서는 특정 내용이 프린트된 프린트물(117a)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15)는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며, 배합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1)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15)에 의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111)에서 표시되고 있는 배합 관리 프로그램의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배합 관리 프로그램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11), 입력부(113) 또는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를 제어부(115)가 수행할 수 있는데, 즉, 제어부(115)는 디스플레이부(111), 입력부(113) 또는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5)가 디스플레이부(111)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일 예, 입력부(113)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다른 예, 및 제어부(115)가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또 다른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15)가 디스플레이부(111), 입력부(113) 또는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어떻게 제어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제어부(115)가 디스플레이부(111)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작업자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111a)에서 모델 선택(501)을 터치 또는 눌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델 선택’ 창(504)을 띄운다. ‘모델 선택’ 창(504)이 생성되면, 작업자는 이전(502)이나 다음(503)을 터치 또는 눌러 2개의 모델들(1111111111, 33) 중 작업자가 원하는 모델에 지시부(505)인, 하이라이트 바(505)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모델 선택(501)을 터치 또는 누르면 디스플레이 화면(111a)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5)가 입력부(113)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작업자가 세트 버튼(113c)를 터치 또는 눌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델 선택’ 창을 띄운다. ‘모델 선택’ 창(504)이 생성되면, 작업자는 상측 이동 버튼(113a) 또는 하측 이동 버튼(113b)을 터치 또는 눌러 2개의 모델들(1111111111, 33) 중 작업자가 원하는 모델에 하이라이트 바(505)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엔터 버튼(113d)을 터치 또는 누르면 디스플레이 화면(111a)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15)가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작업자가 제1 입력 풋 스위치(130a)를 눌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델 선택’ 창(504)을 띄운다. ‘모델 선택’ 창(504)이 생성되면, 작업자는 제2 입력 풋 스위치(130b)를 눌러 2개의 모델들(1111111111, 33) 중 작업자가 원하는 모델에 하이라이트 바(505)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3 입력 풋 스위치(130c)를 누르면 디스플레이 화면(111a)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111)와 입력부(110) 뿐만 아니라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를 이용해서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손가락에 터치가 불편한 장갑 등이 사용되거나 사용하는 장갑에 페인트나 이물질 등이 묻어 있는 경우에 작업자가 디스플레이부(111) 또는 입력부(113)를 이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11) 또는 입력부(113)를 정확하게 조작하기 어렵고 디스플레이부(111) 또는 입력부(113)에 페인트나 이물질이 묻을 수 있다. 하지만,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를 이용하게 되면,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면,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를 이용하여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추가적인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하고자 하는 추가적인 예는 배합 관리 프로그램의 원료 계량 기능을 입력 풋 스위치(130a, 130b, 130c)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예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계량 저울(150) 위에 소정의 용기를 올려 놓고, 제3 입력 풋 스위치(130c)를 눌러 영점 조정한다. 즉, 중량 값을 ‘0’으로 만든다. 영점 조정은, 입력부(113)의 영점 조정 버튼(113e)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디스플레이부(111)의 ‘영점/용기’를 터치 또는 눌러서도 가능하다.
페인트를 작업자가 필요한 만큼 상기 용기에 넣는다. 상기 용기에 담겨지는 페인트의 중량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경화제, 속경화제 및 기타 재료의 중량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에 담긴 페인트의 중량 값이 100g으로 계량되면, 경화제는 50%에 해당되는 중량 값이 표기되고, 속 경화제도 20%에 해당하는 중량 값이 표기된다.
제2 입력 풋 스위치(130b)를 눌러 경화제, 속경화제 및 기타 항목으로 순서대로 이동하여 경화제, 속경화제 및 기타를 계량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세트 버튼(113c)를 연속적으로 선택하여 점도 입력 명령을 내리고, 제2 입력 풋 스위치(130b)를 눌러 점도를 입력한다. 여기서, 세트 버튼(113c)를 연속적으로 선택하면, 배합 관리 프로그램의 점도 입력 명령이 수행되는데, 이는 세트 버튼(113c)를 단일 선택한 경우의 명령과 다르다.
마지막으로, 제3 입력 풋 스위치(130c)를 눌러 상기 계량 정보들과 점도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과 동시에 저장된 정보들이 도 3에 도시된 프린터(117)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15)는 도 3에 도시된 계량 저울(150)에서 측정되는 중량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배합 관리 프로그램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배합 제어 장치(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111a)과 복수의 버튼식 입력부들(113a, 113b, 113c, 113d, 113e, 113f)을 보호하기 위한 제1 보호 커버(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 커버(112)는 디스플레이 화면(111a)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 창(112a)을 포함할 수 있다.
배합 제어 장치(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 지시 화면(111b)과 프린터(117)을 보호하기 위한 제2 보호 커버(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 커버(118)는 계량 지시 화면(111b)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 창(118a)과 프린터(117)에서 출력되는 프린트물(117a)을 밖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118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70)는 배합 관리 프로그램에서 실행되거나 저장된 정보를 원격지에 위치하는 다른 통신 장치(200)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170)는 도 2에 도시된 배합 제어 장치(110)의 제어부(115)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받아 이를 다른 통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통신 장치(200)는 수신되는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200)와 연결된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배합 제어 장치(110)에서 처리되고 있는 상황을 원격지에서 파악할 수 있고, 배합 제어 장치(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
110: 배합 제어 장치
111: 디스플레이부
113: 입력부
115: 제어부
117: 출력부
130a, 130b, 130c: 입력 풋 스위치
150: 계량 저울
170: 통신 장치

Claims (6)

  1. 미리 설치된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배합 제어 장치;
    상기 배합 제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입력부와 별개로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풋 스위치;
    상기 배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에서 실행되거나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배합 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 및
    페인팅 원료를 구성하는 각 재료들의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 저울;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풋 스위치는 제1 내지 제3 입력 풋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풋 스위치는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복수의 모드들 중 특정 모드로 지시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입력 풋 스위치는 선택된 상기 특정 모드의 세부항목들 중 특정 세부항목으로 상기 지시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3 입력 풋 스위치는 상기 특정 모드 또는 상기 세부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제3 입력 풋 스위치는 상기 계량 저울의 영점을 조정할 수 있는,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 제어 장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풋 스위치는 외부 압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풋 스위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배합 관리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개수는 상기 입력 풋 스위치의 개수와 동일한,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연속적 선택에 의해, 상기 입력부의 단일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과 다른 명령을 수행하는,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
KR1020150062993A 2015-05-06 2015-05-06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 KR101792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993A KR101792601B1 (ko) 2015-05-06 2015-05-06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993A KR101792601B1 (ko) 2015-05-06 2015-05-06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189A KR20160131189A (ko) 2016-11-16
KR101792601B1 true KR101792601B1 (ko) 2017-11-01

Family

ID=5754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993A KR101792601B1 (ko) 2015-05-06 2015-05-06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6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566B1 (ko) * 2014-06-19 2015-01-19 신우코스텍 (주) 차량용 부품 도색용 주제 배합 비율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400914B1 (it) 2010-06-24 2013-07-02 Cps Color Equipment Sp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e la distribuzione automatica di prodotti coloranti fluidi contenuti in recipienti chiusi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566B1 (ko) * 2014-06-19 2015-01-19 신우코스텍 (주) 차량용 부품 도색용 주제 배합 비율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189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5698B2 (en) Pipette with a tracking system
JP6325600B2 (ja) 二軸コントローラを有する電子ピペット
US11465170B2 (en) Dispensing control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a dispen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20150308807A1 (en) Count on it - Digital Tape Measure Counter
WO2006066144A2 (en) Remotely controlled weight scales
CN105682854A (zh) 加工机械及加工机械生产线
US8356132B2 (en) Position sensing system for a KVM switch
KR101792601B1 (ko) 페인팅 원료 배합 제어 시스템
JP2021529390A (ja) 分配制御システム、分配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7030527A (zh) 用于计量个人区域网络中的远程显示设备
CN101639494B (zh) 电子式指示器
KR101649127B1 (ko) 지오메트리 글러브 및 핸드 프레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CN106772262B (zh) 显示装置以及雷达装置
JP2010122083A (ja) 計量器
RU184405U1 (ru) Весо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TWI634458B (zh) 電腦輸入設備、指標輸入裝置及其設定方法
KR101299216B1 (ko) 탠저블 제어 장치 및 방법
JP6799439B2 (ja) 携帯端末用体組成管理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及び体組成管理システム
KR101699760B1 (ko) 포인터 표시방법 및 포인터 표시장치
JP3729988B2 (ja) 商品処理装置
EP3355178A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JP5441365B2 (ja) 計量装置
CN110044457A (zh) 一种新型电子秤
CN112611440A (zh) 一种基于四全桥电路的称重交互方法及系统
JP2006322763A (ja) 計量支援装置および計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