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593B1 -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593B1
KR101792593B1 KR1020160099928A KR20160099928A KR101792593B1 KR 101792593 B1 KR101792593 B1 KR 101792593B1 KR 1020160099928 A KR1020160099928 A KR 1020160099928A KR 20160099928 A KR20160099928 A KR 20160099928A KR 101792593 B1 KR101792593 B1 KR 101792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ll
caller
receiver
connec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혁훈
Original Assignee
에이케이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케이엔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케이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1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when the called subscriber is connected to a data network using his telephone line, e.g. dial-up connection,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간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은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발신자와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1 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연결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자와 상기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제2 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가 통화를 요청함과 동시에 수신자와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 지연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의 의사를 기준으로 통신 회선이 공유되는 상태에서 발신자가 자신이 원하는 수신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 통화내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call}
본 발명은 사용자간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한 모바일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많은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고, 이들 서비스들 중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 서비스가 있다.
mVoIP는 인터넷을 이용해 단말 장치로 인터넷 전화를 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하지만, 종래의 mVoIP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운영체제(OS)마다 어플리케이션을 따로 개발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사용자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글은 웹 기반의 채팅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기술 '웹RTC(WebRTC)'를 개발하여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웹RTC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없이 웹 브라우저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간 미디어 통신이 가능한 솔루션으로 운영체제나 단말기의 종류와 상관 없이 표준 기술을 지원하는 각 브라우저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웹RTC기반의 VoIP 통화를 위한 방법이 고안되고 있으나, VoIP 통화를 위한 호 발신 시 단말 장치에서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정보 획득 및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같은 시그널링(Signaling)의 전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통화가 연결되기까지의 전 처리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따라서, VoIP 발신 후 전 처리 시간 즉, 통화 대기 시간으로 인하여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본 발명은 발신자가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신속하게 수신자와 연결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신자 중심의 통화 연결 방법을 제안하여 통신 회선이 공유되는 상태에서 발신자가 자신이 원하는 수신자와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신자가 간접적인 통화 승인의 의사 표시만으로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여 업무 중에도 방해 없이 발신자와 통화를 개시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은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발신자와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1 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연결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자와 상기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제2 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상태는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연결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연결 상태는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로부터 상기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연결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는 통화 승인을 위하여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발신자 입력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신자 입력 정보는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통화의 목적을 정의하는 텍스트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신자 입력 정보는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수신자의 식별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화 승인 정보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모션 인식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화 승인 정보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수신자 얼굴 인식 또는 생체 인식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화 연결 방법은, 상기 통신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 요청 정보에 따라 통신 상태를 상기 제1 연결 상태 또는 신규한 제3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변경 요청 정보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모션 인식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시스템은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정보를 입력 받는 통화 요청 정보 입력부; 상기 통화 요청 정보를 입력 받고 발신자와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1 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송수신 연결 설정부; 및 상기 제1 연결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정보를 입력 받는 통화 승인 정보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 연결 설정부는 상기 통화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자와 상기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제2 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결 상태는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연결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연결 상태는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로부터 상기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연결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는 통화 승인을 위하여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발신자 입력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화 승인 정보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모션 인식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화 승인 정보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수신자 얼굴 인식 또는 생체 인식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화 요청 정보 입력부는 상기 통신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수신 연결 설정부는 상기 변경 요청 정보에 따라 통신 상태를 상기 제1 연결 상태 또는 신규한 제3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경 요청 정보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모션 인식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모션 또는 얼굴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식별하여 사용자 의사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의사 식별부; 및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시 발신자와 수신자간 설정된 제1 연결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도출된 사용자 의사 정보가 통화 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시 설정된 제2 연결 상태에서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식별된 사용자 의사 정보가 상기 연결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요청 정보인 경우 상기 연결 상태를 상기 제1 연결 상태 또는 신규한 제3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연결 상태 변경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가 통화를 요청함과 동시에 수신자와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 지연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의 의사를 기준으로 통신 회선이 공유되는 상태에서 발신자가 자신이 원하는 수신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 통화내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는 통화를 연결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통화 승인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 외에 모션 또는 얼굴의 인식을 이용하여 통화를 승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발신자의 통화 요청과 동시에 연결되는 상태와 수신자의 통화 승인시 연결되는 상태를 구분하고, 이때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를 구분하여 통화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의 동작 화면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8a, 8b, 8c, 및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의 사용자 모션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의 동작 화면을 예시하는 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외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은 수신자(20)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도 1과 같이 수신자(20)가 부존재 하더라도 발신자(10)가 수신자(20)에게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제1 연결 상태라는 상태로 발신자(10)와 수신자(20)의 단말을 서로 연결시킨다.
다음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서는 수신자(20)가 존재하는 경우의 통신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 1과 같이 수신자(20)가 부존재 하다가 존재하게 되는 경우 발신자(10)와 수신자(20)의 단말 간은 제2 연결 상태로 서로 연결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 과 같이 수신자(20)가 기타 다른 용무 중인 상황에서 단말과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다가, 발신자(10)의 통화 요청을 인지하고 도 2와 같이 단말에 접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회의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회의실 내부의 단말에 대해 도 1과 같이 모두 떨어져 있다가, 발신자(10)가 통화를 요청하는 수신자(20)가 자신을 인지하고 도 2와 같이 단말에 접근하는 상황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은 수신자(20)가 부존재하는 상황에서도 발신자(10)의 통화 요청 시 제1 연결 상태로 일단은 상호간을 연결시켜 수신자(20)가 등장하기 전 또는 수신자(20)가 통화를 승인하기 전에도 일정 수준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신속한 의사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도 1 및 도 2의 상황에서는 발신자(10)와 수신자(20)의 사이에 어느 것도 존재하지 않고 상호간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도 3을 참조하면 발신자(10)와 수신자(20) 사이에 관리 시스템(100)을 구성하여 상호간의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신자(10)와 수신자(20)는 사용자 단말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RTC기반으로 개발된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화를 요청하고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은 발신자(10)와 수신자(20) 간의 연결 상태를 제1 연결 상태 또는 제2 연결 상태로 설정 및 변경되는 것을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신자(10) 중심으로 통화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발신자 입력 정보를 이용하므로, 발신자(10)가 입력한 정보를 관리 시스템(100)이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관리 시스템(100)은 발신자(10)와 수신자(20)의 통신 연결 상태 및 통신 승인 여부 등을 관리하며 나아가 복수의 발신자(10)와 수신자(20) 간의 통신 연결 상태를 중앙에서 관리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의 집중에 따른 문제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을 통한 발신자(10)와 수신자(20) 간의 통화 연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10)는 먼저 관리 시스템(100)에 통화를 요청한다(S10).
통화를 요청 할 때, 발신자(10)는 자신의 통화의 목적과 통화하고자 하는 대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발신자 입력 정보는 통화와 관련된 정보 및 수신자(20)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수신자(20)의 정보는 단순한 수신자(20) 식별 정보로 이름, 사용자 계정 정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진과 같은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100)은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이를 수신자(20)에게 송신해 준다(S20).
이때, 관리 시스템(100)은 통화 요청을 송신해 주는 것과 동시에 발신자(10)와 수신자(20) 간의 연결상태를 제1 연결 상태로 동시에 설정한다(S30, S30').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 상태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가 송수신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상태는 상술한 발신자 입력 정보를 수신자(20)에게 송신해 주기 위한 상태일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기준은 발신자(10)가 통화 승인을 위하여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승인을 위하여 발신자(10)가 자신의 통화 요청의 목적을 미리 입력할 수 있으며, 제1 연결 상태를 통해 통화 요청의 목적을 수신자(20)에게 송신해 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은 발신자(10) 중심으로 수신자(20)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미리 결정된 기준은 수신자(20)의 식별 정보인 것일 수 있다.
요약하면, 제1 연결 상태를 통해 발신자(10)는 통화 승인 정보로서 발신자 입력 정보를 관리 시스템(100)에 입력하고(S40), 이는 수신자(20)의 단말로 송신된다.
다음, 제1 연결 상태에서 수신자(20) 역시 통화 승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40').
이때, 발신자(10)는 스스로 입력한 정보를 통화 승인 정보로 입력하는 반면, 수신자(20)는 간접적인 의사를 통해 통화 승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간접적인 의사로 통화 승인 정보를 입력한다는 것은 수신자(20)가 통화를 승인한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통화 승인에 해당하는 직접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것 외의 상황을 포함한다.
즉, 직관적인 명령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 근접하는 상황, 사용자 단말 자체를 손으로 집거나 들어올리는 동작의 과정 또는 사용자 단말에 얼굴을 가져가는 과정을 통화 승인 정보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수신자(20)의 통화 승인 정보 입력은 명시적인 명령의 입력 없이 동작의 과정 중에 통화 승인 정보를 입력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자(20)의 통화 승인 정보는 관리 시스템(100)으로 입력되며(S40'), 관리 시스템(100)은 이를 이용하여 통화의 승인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발신자(10)가 입력한 통화 승인 정보와 수신자(20)가 입력한 통화 승인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통화의 승인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발신자(10)가 입력한 통화 승인 정보가 통화를 원하는 수신자(20)의 이미지인 경우, 관리 시스템(100)은 수신자(20) 측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얼굴 인식 정보를 비교하여 통화 승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10)가 통화를 원하는 수신자(20)의 생체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를 수신자(20)측 단말의 센서를 통해 인식된 생체정보의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통화 승인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생체정보는 예를 들어 사람의 홍채인식을 통해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사람의 홍채는 고유한 패턴을 가지므로 이러한 홍채의 패턴을 적외선 카메라가 인식하여 코드화하고 미리 입력된 정보와 비교하여 통화 승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통화가 승인된 경우 관리 시스템(100)은 발신자(10)와 수신자(20)의 연결 상태를 제2 연결 상태로 설정한다(S50, S50').
이때, 제2 연결 상태는 발신자(10)와 수신자(20)가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상호간의 통화 정보를 송수신한다(S60, S70).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은 통신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변경 요청 정보는 통신 상태를 제1 연결 상태 또는 신규한 제3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은 발신자(10)의 통화 요청과 동시에 연결되는 상태와 수신자(20)의 통화 승인 시 연결되는 상태를 통화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발신자(10) 또는 수신자(20)의 의사에 따라 제3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은 통화 요청 정보 입력부(110), 송수신 연결 설정부(120), 통화 승인 정보 입력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요청 정보 입력부(110)는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정보를 입력 받는다.
즉, 상술한 예에서 발신자(10)의 통화를 하고자 하는 수신자(20)에 대한 통화 요청을 입력 받는 것으로, 발신자(10)가 통화 버튼을 누르는 경우 이때의 정보가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송수신 연결 설정부(120)는 통화 요청 정보를 입력 받고, 발신자(10)와 수신자(20)의 통신 상태를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1 연결 상태로 설정한다.
발신자(10)와 수신자(20)의 단말(200)이 제1 연결 상태로 연결되면 상호 간의 통화 승인을 위한 정보를 송신하고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상태의 기준이 발신자(10)의 입력 정보 또는 수신자(20)의 통화 승인 정보 외에 데이터의 속성이나 크기인 것도 가능하다.
즉, 최소한의 속성을 설정하여 긴급한 경우 수신자(20)의 통화 승인 없이도 발신자(10)가 음성이나 영상으로 수신자(20) 측에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20) 측도 통화 승인 전에 발신자(10)의 물음에 응답하거나, 발신자(1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음 통화 승인 정보 입력부(130)는 제1 연결 상태에서 발신자(10) 또는 수신자(20)의 통화 승인 정보를 입력 받는다.
발신자(10)의 통화 승인 정보는 발신자 입력 정보일 수 있으며, 수신자(20)의 통화 승인 정보는 간접적인 의사 정보로서, 단말(200)을 통해 인식되는 모션 인식 정보, 얼굴 인식 정보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화 승인 정보 입력부(130)는 발신자(10)와, 수신자(20) 양 측에서 통화 승인 정보를 입력 받고, 이를 서로 비교하여 통화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다음 송수신 연결 설정부(120)는 제1 연결 상태에서 발신자(10)와 수신자(20)의 연결 상태를 제2 연결 상태로 변경한다.
제2 연결 상태는 발신자(10)와 수신자(20)가 제한 없이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서로 송수신 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요청 정보 입력부(110)는 통신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변경 요청 정보는 통신 상태를 제1 연결 상태 또는 신규한 제3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에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정보 수집부(210), 사용자 의사 식별부(220), 데이터 통신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의 모션 또는 얼굴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사용자 정보 수집부(210)는 발신자(10) 측에서는 사용자의 직접 입력 정보를 수집하며, 수신자(20) 측에서는 사용자의 모션 인식 정보 또는 얼굴 인식 정보를 수집한다.
사용자 의사 식별부(220)는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식별하여 사용자 의사 정보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모션 인식 정보를 통해 미리 결정된 각도 이상 사용자 단말(200)이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가 통화를 승인한다는 의사 정보로 인식한다.
또는 사용자가 카메라 앞으로 얼굴을 가져가는 경우 사용자가 통화를 승인한다는 의사 정보로 인식한다. 이때에는 추가로 발신자(10)가 입력한 수신자(20)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최종 통화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30)는 발신자(10)와 수신자(20)간 설정된 연결 상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2 연결 상태에서는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식별된 사용자 의사 정보가 상기 연결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요청 정보인 경우 상기 연결 상태를 상기 제1 연결 상태 또는 신규한 제3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연결 상태 변경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10)가 통화를 요청함과 동시에 수신자(20)와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 지연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20)는 통화를 연결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통화 승인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 외에 모션 또는 얼굴의 인식을 이용하여 통화를 승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방법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통화 승인 정보로서 발신자(10)가 발신자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입력하고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수신자(20)의 단말(200)은 이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때 발신자(10)와 수신자(20)는 제1 연결 상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발신자(10)는 수신자(20)(user2)를 선택하고, '아이디어 검토'라는 통화 목적을 발신자 입력 정보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자(20) 측 사용자 단말(200)에는 발신자(10)(user1)의 이미지와 함께 '아이디어 검토'라는 통화의 목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의 특징은 통화를 위한 신호 대기 상태가 아니라, 제1 연결 상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술한 바에 따라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의 송수신은 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신자(20)는 통화 승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를 먼저 참조하면, 도 8a는 수신자(20)가 사용자 단말(200)을 기울이는 행위를 예시한다. 즉 소정의 각도 r 이상 기울이는 경우 또는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의사 식별부(220)는 통화 승인 의사가 간접적으로 입력됨을 인식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도 8b는 도 8a의 기울이는 단계 다음에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기울이는 것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이 수신자(20)의 얼굴과 마주하게 되면 수신자(20)의 얼굴을 인식하고 이를 통화 승인 정보로 관리 시스템(100)에 입력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a의 기울이는 단계 다음에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생체정보로서 홍채인식정보를 이용하여 기울이는 것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이 수신자(20)의 홍채 정보를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하게 되면 수신자(20)의 홍채인식정보를 코드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승인되는 경우 통화 승인 정보로 관리 시스템(100)에 입력한다.
도 8c 및 도 8d는 통화의 승인 외에 통신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c는 사용자가 단말(200)을 반대로 기울이는 행위를 예시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 의사 식별부(220)는 사용자가 연결 상태를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연결 상태 변경부는 연결 상태를 제1 연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8d는 사용자가 단말(200)을 반대로 기울이되 단말(200)을 회전시켜서 뒤집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의 모션을 통해 사용자 의사 식별부(220)는 사용자가 연결 상태를 통화 종료 상태로 변경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연결 상태 변경부는 연결 상태를 제3 연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9는 도 8a, 도 8b와 같은 상황에서 통화 승인이 된 이후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통화가 승인되면 발신자(10)와 수신자(20)의 사용자 단말(200)은 제2 연결 상태로 서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또는 음성 통화 정보는 텍스트 정보를 함께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영상 또는 음성 통화 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해줄 수 있다.
나아가, 변환된 텍스트를 번역해서 제공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 제1 연결 상태와 제2 연결 상태를 구분하여 연결됨에 있어 텍스트 정보와 같은 부가적인 정보는 제1 연결 상태에서 송수신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연결 상태가 화상 통화를 위한 영상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라고 한다면 지속적인 제2 연결 상태의 유지는 네트워크 트래픽의 증가를 가져오므로 수신자(20) 또는 발신자(10)의 영상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연결 상태로 다시 변경하고 텍스트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10)가 통화를 요청함과 동시에 수신자(20)와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 지연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10)의 의사를 기준으로 통신 회선이 공유되는 상태에서 발신자(10)가 자신이 원하는 수신자(20)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 통화내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20)는 모션 또는 얼굴의 인식을 이용하여 통화를 승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발신자(10)의 통화 요청과 동시에 연결되는 상태와 수신자(20)의 통화 승인시 연결되는 상태를 구분하고, 이때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를 구분하여 통화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설치 데이터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장치들은 설치 데이터가 저장된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3)

  1. 발신자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정보를 수신자에게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자와 상기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수신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1 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연결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자와 상기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제2 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상태는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로부터 상기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연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는 통화 승인을 위하여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발신자 입력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입력 정보는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통화의 목적을 정의하는 텍스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입력 정보는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수신자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승인 정보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모션 인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승인 정보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수신자 얼굴 인식 또는 생체 인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방법은,
    상기 통신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 요청 정보에 따라 통신 상태를 상기 제1 연결 상태 또는 신규한 제3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요청 정보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모션 인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방법
  11.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정보를 입력 받는 통화 요청 정보 입력부;
    상기 통화 요청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통화 요청 정보를 수신자에게 송신함과 동시에 발신자와 상기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수신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1 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송수신 연결 설정부; 및
    상기 제1 연결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정보를 입력 받는 통화 승인 정보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 연결 설정부는 상기 통화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자와 상기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제2 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스템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상태는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수신자로부터 상기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연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는 통화 승인을 위하여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발신자 입력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승인 정보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모션 인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승인 정보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수신자 얼굴 인식 또는 생체 인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 정보 입력부는 상기 통신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수신 연결 설정부는 상기 변경 요청 정보에 따라 통신 상태를 상기 제1 연결 상태 또는 신규한 제3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요청 정보는 수신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모션 인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 시스템
  19. 사용자의 모션 또는 얼굴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식별하여 사용자 의사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의사 식별부; 및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과 동시에 발신자와 수신자간 설정된 제1 연결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수신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인식된 사용자 의사 정보가 통화 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시 설정된 제2 연결 상태에서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인식한 사용자 의사 정보가 연결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요청 정보인 경우 상기 연결 상태를 상기 제1 연결 상태 또는 신규한 제3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연결 상태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1. 사용자의 모션 또는 얼굴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식별하여 사용자 의사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발신자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정보를 수신자에게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자와 상기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수신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1 연결 상태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인식된 사용자 의사 정보가 통화 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시 설정된 제2 연결 상태에서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2. 사용자의 모션 또는 얼굴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식별하여 사용자 의사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발신자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통화 요청 정보를 수신자에게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자와 상기 수신자의 통신 상태를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상기 수신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1 연결 상태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인식된 사용자 의사 정보가 통화 승인 정보인 경우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수신자의 통화 승인 시 설정된 제2 연결 상태에서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3. 삭제
KR1020160099928A 2016-08-05 2016-08-05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1792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928A KR101792593B1 (ko) 2016-08-05 2016-08-05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928A KR101792593B1 (ko) 2016-08-05 2016-08-05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593B1 true KR101792593B1 (ko) 2017-11-20

Family

ID=6080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928A KR101792593B1 (ko) 2016-08-05 2016-08-05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5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190B1 (ko) * 2011-11-16 2012-06-11 이건수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190B1 (ko) * 2011-11-16 2012-06-11 이건수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6192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558437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RU2700173C2 (ru) Дополнительная информация о вызывающем абоненте
US11836114B2 (en)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CN101917586B (zh) 一种会议的加入方法和设备
CN103139529A (zh) Sip服务器、视频通话设备间的视频通话切换方法
US9473738B2 (en) Communication systems, communication endpoints, and relate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communication endpoints
US201501190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2017142610A (ja) サーバ装置、伝送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2652929B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1089541B2 (en)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s with respect to multiple transport media
US10924529B2 (e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using widget window
KR20150116095A (ko) 분산형 텔레프레즌스 플랫폼에서 영상 회의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2929353A (zh) 远程会议的实现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792593B1 (ko)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2194257B1 (ko)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CN106170945A (zh) 通信拦截的方法、装置、服务器和用户设备
US10904301B2 (en) Conference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conference connection thereof
US11032335B1 (en) Concurrent secondary electronic communication session
CN112435037B (zh) 客服提供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237054B1 (ko)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69323B1 (ko) 단말기 및 그의 통화 중 기능 실행 방법
KR20210063579A (ko) 대화창에서의 상대방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9391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젠스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979327B1 (ko) 유선전화망을 이용한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