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185B1 - 플레이 하우스 - Google Patents

플레이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185B1
KR101791185B1 KR1020150155239A KR20150155239A KR101791185B1 KR 101791185 B1 KR101791185 B1 KR 101791185B1 KR 1020150155239 A KR1020150155239 A KR 1020150155239A KR 20150155239 A KR20150155239 A KR 20150155239A KR 101791185 B1 KR101791185 B1 KR 101791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tachable
plates
play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202A (ko
Inventor
전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석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석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석나라
Priority to KR102015015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18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8Playhouses, play-tents, big enough for playing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6Tents used as to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 하우스는, 자성체를 가진 복수 개의 플레이트; 및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를 서로 착탈되도록 연결하며,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를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위치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레이 하우스{PLAY HOUSE}
본 발명은 플레이 하우스로서, 유아들이 놀이공간으로서 만들어진 플레이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귀소본능이 있어서 좁은 공간에 들어가는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심리적인 안정감, 독립적 사고 능력 배양 및 사회성 함양을 위해 유아들이 입실하여 놀이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플레이 하우스(Play house, 놀이집)이 개발되고 있다.
이때, 플레이 하우스는 흔히 종이판지로 제조되며, 장식적인 모양은 다양하지만 대체적으로 각 벽체와 지붕 및 출입구를 가지는 구조를 취한다.
그런데, 이러한 플레이 하우스는 구조가 하우스 타입 하나로 단일화되어 한정되고, 나아가 별도의 교구가 활용될 수 없는 단조로운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교구가 활용되고 여러 가지 타입으로 변화가 가능한 플레이 하우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 하우스는, 자성체를 가진 복수 개의 플레이트; 및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를 서로 착탈되도록 연결하며,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를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위치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체로서 철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체로서 철가루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체로서 인쇄된 자성잉크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플레이트에는 소리 또는 영상이 코팅된 인쇄물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는 색칠 및 지움이 가능하도록 코팅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는 테두리를 감싸는 외곽프레임이 제공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외곽프레임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두 개의 착탈부; 및 두 개의 상기 착탈부가 서로 회동되도록 이어주는 이음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체결홈의 내부 양측면 단부에 상기 외곽프레임을 감싸서 걸림되도록 절곡된 걸림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외곽프레임이 상기 체결홈에 억지삽입되며,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외곽프레임을 압박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음부는, 상기 착탈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부분으로서, 상기 착탈부의 회동 시 일면과 타면의 상대적 인장 및 수축에 의해, 절곡 또는 굴곡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음부는, 두 개의 상기 착탈부가 상기 체결홈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 시, 두 개의 상기 착탈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일측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외곽프레임은 바닥과 접하는 부분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빨판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또는 회전연결유닛에는,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플레이 하우스의 내부공간 또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한 출입구가 동작감지범위에 속하도록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동작감지작동 시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림하도록 알림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또는 회전연결유닛에는,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플레이 하우스의 내부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플레이 하우스의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디스플레이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얼굴과 대응되는 크기의 포토홀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에는 거울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 개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내부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거나, 독립적으로 바닥에 안착 시에는 내부의 공간을 가지도록 텐트형상으로 형성된 지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붕유닛은, 복수 개의 프레임바;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바를 서로 착탈되도록 연결하는 고정연결부재; 및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바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구조물을 덮는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연결부재는 상기 프레임바가 삽입되는 바홀이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일측에 개폐형 창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 하우스는, 자성체를 가진 플레이트로 구성됨으로써, 자석교구를 플레이트에 붙이고 띄었다 하면서 놀이 및 교육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서로 착탈되도록 연결하며, 연결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위치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연결유닛이 구성됨으로써, 본래의 하우스 형태의 놀이장치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놀이 및 교육의 내용에 따라 플레이트를 선택교체하고 여러 가지 배치모양을 취할 수 있음에 따라, 놀이 및 교육적인 측면에서 큰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 하우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에서 플레이트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의 플레이트에 자석이 부착된 교구를 붙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의 플레이트에 마커펜으로 색칠하고 지우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에 부착된 소리 또는 영상이 코딩된 교구를 전자기기로 읽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에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회전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회전연결유닛의 일면부와 타면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의 플레이 하우스를 여러 가지 타입으로 변형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에서 지붕유닛이 탈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의 플레이트에 거울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의 지붕유닛에서 커버가 탈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의 지붕유닛이 바닥에 안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 하우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에서 플레이트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의 플레이트에 자석교구를 붙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의 플레이트에 마커펜으로 색칠하고 지우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에 부착된 소리 또는 영상이 코딩된 교구를 전자기기로 읽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자성체을 가진 복수 개의 플레이트(110)와,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110)를 서로 착탈되도록 연결하는 회전연결유닛(12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플레이트(110)는 자성체, 즉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정렬하는 성질을 가진 물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10)는 일례로서 종이시트(111)를 베이스로 하여 자성체인 철시트(112a), 철가루 및 자성잉크(112b) 중 적어도 하나가 덧대어 지고, 표면에는 코팅지(113)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110)는 자성체인 철시트(112a)가 장착되거나, 철가루가 부착된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플레이트(1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종이시트(111) 사이에 철시트(112a)가 내장되거나,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시트(111)의 일면 또는 타면에 철시트(112a)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철시트(112a)의 장착구조는 철가루의 부착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플레이트는 종이시트가 없이 철재질로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즉 철시트 자체를 베이스로 하면서 코팅지가 부착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코팅지도 부착되지 않는 구성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10)는 자성체인 자성잉크(112b)로 인쇄된 구조, 다시 말해 자성유체를 잉크로 사용하여 종이시트(111)에 인쇄된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플레이트(110)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시트(111)의 양면에 자성잉크(112b)가 인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성체를 가진 플레이트(110)로 인하여, 본 발명의 플레이 하우스(100)는 본래의 하우스 형태의 놀이장치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자석교구(1)를 플레이트(110)에 붙이고 띄었다 하면서 놀이 및 교육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10)에는 소리 또는 영상이 코팅된 인쇄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110)에는 소리 또는 영상이 코팅된 인쇄물이 포함됨으로써, 코딩된 소리 또는 영상에 접촉하여 코딩된 소리 또는 영상을 읽는 전자기기(2)와 함께 활용하여, 놀이 및 교육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유아들이 플레이 하우스(100) 내부로 들어가 노는 단순히 놀이와 관련된 하우스로서 역할만을 취하는 것이 아닌, 교육적인 부재로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플레이트(110)는 색칠 및 지움이 가능하도록 코팅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110)에서 외부면을 둘러싸는 코팅지(113)는 표면에 마커펜(3)과 같이 잉크가 나오는 필기도구에 의해 그림이 그려지거나 글이 써지더라도, 이를 스폰지 또는 천재질의 지우개(4)로 지워서 계속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놀이 및 교육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에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회전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회전연결유닛의 일면부와 타면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1의 플레이 하우스를 여러 가지 타입으로 변형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연결유닛(120)은 복수 개의 플레이트(110)를 서로 착탈되도록 연결하며, 연결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110)를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위치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연결유닛(120)은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110) 각각을 교체할 수 있고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음으로써, 놀이 및 교육의 내용에 따라 플레이트(110)를 선택교체하고 여러 가지 배치모양을 취할 수 있음에 따라, 놀이 및 교육적인 측면에서 큰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110)는 테두리를 감싸는 외곽프레임(114)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외곽프레임(114)은 일례로서 플라스틱 부재로서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유아들이 사용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유닛(120)은 외곽프레임(114)이 삽입되는 체결홈(121a)이 형성된 두 개의 착탈부(121)와, 두 개의 상기 착탈부(121)가 서로 회동되도록 이어주는 이음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착탈부(121)는 체결홈(121a)의 내부 양측면 단부에 외곽프레임(114)을 감싸서 걸림되도록 절곡된 걸림단(12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단(121b)에 의해 외곽프레임(114)에 대한 견고한 걸림구조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착탈부(121)는 외곽프레임(114)이 체결홈(121a)에 억지삽입되며, 플라스틱 재질로서 체결홈(121a)에 삽입된 외곽프레임(114)을 압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억지삽입 구조와 압박구조에 의해 외곽프레임(114)에 대한 착탈부(121)의 고정력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부(122)는 착탈부(121)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부분으로서, 착탈부(121)의 회동 시 일면과 타면의 상대적 인장 및 수축에 의해, 절곡 또는 굴곡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음부(122)는 착탈부(121)가 회동 시 두 개의 착탈부(121)를 이어주는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착탈부(121)가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이음부(122)는 두 개의 착탈부(121)가 체결홈(121a)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 시, 두 개의 착탈부(12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일측부를 연결하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상기 이음부(122)가 두 개의 착탈부(12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중앙부를 연결하게 되면 착탈부(121)의 회동은 이음부(122)에 의해 이어진 다른 착탈부(121)의 간섭에 의해 거의 이루어질 수 없는데 반하여, 두 개의 착탈부(12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일측부를 연결하게 되면 착탈부(121)의 일측방향 회동은 다른 착탈부(121)의 일측면에 면접하는 각까지 가능하며, 타측방향 회동은 다른 착탈부(121)와 서로 마주보는 면이 면접하는 각까지 가능하게 됨에 따라, 착탈부(121)의 회동각을 최대한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외곽프레임(114)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닥과 접하는 부분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빨판 형상을 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바닥에 대한 위치고정력이 증대됨으로써 플레이 하우스(100)가 쉽게 넘어지지 않는 견고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에서 지붕유닛이 탈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의 플레이트에 거울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의 지붕유닛에서 커버가 탈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의 플레이 하우스의 지붕유닛이 바닥에 안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플레이트(110) 또는 회전연결유닛(120)에 유아들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플레이트(110)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플레이 하우스(100)의 내부공간(100a) 또는 상기 내부공간(100a)에 대한 출입구(100b)가 동작감지범위에 속하도록, 플레이트(110) 또는 회전연결유닛(120)에 센서(131)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센서(131)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동작감지작동 시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림하도록, 플레이트(110) 또는 회전연결유닛(120)에 알림부재(13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31)와 알림부재(132)에 의해 플레이 하우스(100)를 출입하는 유아들을 인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알림부재(132)의 알림으로서 활용되는 멜로디나 알록달록한 램프광으로 인하여 유아들에게 재미있는 놀이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110)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플레이 하우스(100)의 내부공간(100a)을 촬영하는 카메라(141)가 플레이트(110) 또는 회전연결유닛(12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카메라(141)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카메라(141)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플레이 하우스(100)의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플레이트(110) 또는 회전연결유닛(120)에 디스플레이부재(14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41)와 디스플레이부재(142)에 의해 보이지 않는 플레이 하우스(100) 내의 내부공간(100a)에 있는 유아들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음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42)가 내부에도 존재하는 경우 자신의 이미지를 볼 수 있음에 따라 유아들에게 재밌는 놀이효과를 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플레이트(110)에는 얼굴과 대응되는 크기의 포토홀(도 4의 110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포토홀(110a)의 둘레에는 여러 가지 그림이 그려짐으로써, 이러한 포토홀(110a)에 유아들이 얼굴을 내밀면서 사진을 찍거나 여러 가지 놀이를 함에 따라, 교육 및 놀이효과를 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플레이트(110)에는 거울(119)이 장착될 수 있는데, 유아들이 거울(119)에 비치는 모습을 보면서 유아들이 놀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거울(119)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깨지지 않는 아크릴거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플레이트(110)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플레이 하우스(100)의 상부를 덮거나, 텐트형상으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지붕유닛(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붕유닛(190)은 플레이 하우스(100)의 상부구성으로 활용될 수 있고, 나아가 바닥에 단순히 안착 시에는 텐트형상으로서 내부의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붕유닛(190)은 복수 개의 프레임바(191),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바(191)를 서로 착탈되도록 연결하는 고정연결부재(192), 및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바(191)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구조물을 덮는 커버(19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연결부재(192)는 프레임바(191)가 삽입되는 바홀(192a)이 복수 개가 형성되는데, 복수 개의 상기 바홀(192a)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배치구조를 지님으로써, 복수 개의 프레임바(191)가 바홀(192a)에 삽입 시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배치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커버(193)는 일측에 개폐형 창문(193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개폐형 창문(193a)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내부에서 노는 유아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커버(193)가 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개폐형 창문(193a)은 천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커튼처럼 젖혀지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성체를 가진 플레이트(110)로 구성됨으로써, 자석교구(1)를 플레이트(110)에 붙이고 띄었다 하면서 놀이 및 교육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플레이트(110)를 서로 착탈되도록 연결하며, 연결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110)를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위치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연결유닛(120)이 구성됨으로써, 본래의 하우스 형태의 놀이장치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놀이 및 교육의 내용에 따라 플레이트(110)를 선택교체하고 여러 가지 배치모양을 취할 수 있음에 따라, 놀이 및 교육적인 측면에서 큰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자석교구 2 : 전자기기
3 : 마커펜 4 : 지우개
100 : 플레이 하우스 100a : 내부공간
100b : 출입구 110 : 플레이트
111 : 종이시트 112a : 철시트
112b : 자성잉크 113 : 코팅지
114 : 외곽프레임 110a : 포토홀
119 : 거울 120 : 회전연결유닛
121 : 착탈부 121a : 체결홈
121b : 걸림단부 122 : 이음부
131 : 센서 132 : 알림부재
141 : 카메라 142 : 디스플레이부재
190 : 지붕유닛 191 : 프레임바
192 : 고정연결부재 192a : 바홀
193 : 커버 193a : 개폐형 창문

Claims (19)

  1. 자성체를 가진 복수 개의 플레이트; 및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를 서로 착탈되도록 연결하며,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를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위치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테두리를 감싸는 외곽프레임이 제공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외곽프레임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두 개의 착탈부; 및 두 개의 상기 착탈부가 서로 회동되도록 이어주는 이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체로서 철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체로서 철가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체로서 인쇄된 자성잉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소리 또는 영상이 코팅된 인쇄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색칠 및 지움이 가능하도록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체결홈의 내부 양측면 단부에 상기 외곽프레임을 감싸서 걸림되도록 절곡된 걸림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외곽프레임이 상기 체결홈에 억지삽입되며,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외곽프레임을 압박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착탈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부분으로서, 상기 착탈부의 회동 시 일면과 타면의 상대적 인장 및 수축에 의해, 절곡 또는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두 개의 상기 착탈부가 상기 체결홈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 시, 두 개의 상기 착탈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일측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은 바닥과 접하는 부분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빨판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또는 회전연결유닛에는,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플레이 하우스의 내부공간 또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한 출입구가 동작감지범위에 속하도록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동작감지작동 시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림하도록 알림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또는 회전연결유닛에는,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플레이 하우스의 내부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플레이 하우스의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디스플레이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얼굴과 대응되는 크기의 포토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거울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17.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내부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거나, 독립적으로 바닥에 안착 시에는 내부의 공간을 가지도록 텐트형상으로 형성된 지붕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유닛은,
    복수 개의 프레임바;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바를 서로 착탈되도록 연결하는 고정연결부재; 및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바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구조물을 덮는 커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연결부재는 상기 프레임바가 삽입되는 바홀이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일측에 개폐형 창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하우스.
KR1020150155239A 2015-11-05 2015-11-05 플레이 하우스 KR101791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239A KR101791185B1 (ko) 2015-11-05 2015-11-05 플레이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239A KR101791185B1 (ko) 2015-11-05 2015-11-05 플레이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202A KR20170053202A (ko) 2017-05-16
KR101791185B1 true KR101791185B1 (ko) 2017-11-01

Family

ID=5903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239A KR101791185B1 (ko) 2015-11-05 2015-11-05 플레이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804A (ko) 2020-06-22 2021-12-29 윤임식 천정 개폐형 어린이 하우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013B1 (ko) * 2018-12-21 2020-04-07 강병우 언어 교육용 패키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0100A (ja) 2009-11-24 2011-06-09 People Co Ltd 幼児用ハウス遊具
KR200472379Y1 (ko) * 2012-11-23 2014-04-22 류일윤 소리나는 책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0100A (ja) 2009-11-24 2011-06-09 People Co Ltd 幼児用ハウス遊具
KR200472379Y1 (ko) * 2012-11-23 2014-04-22 류일윤 소리나는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804A (ko) 2020-06-22 2021-12-29 윤임식 천정 개폐형 어린이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202A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185B1 (ko) 플레이 하우스
US7992710B2 (en) Powered toothbrush package
KR20170011291A (ko) 컬러코드 기반의 인터랙티브 교육시스템
EP2276678B1 (en) Powered toothbrush package
JP2001005054A5 (ko)
KR101551284B1 (ko) 쌍방향 특성의 학습교구
US6089945A (en) Yo-yo having a multi-image lenticular instruction system
KR101705405B1 (ko) 비고정 결합수단을 갖는 학습 완구
FR2679687B1 (fr) Dispositif ou prise opu d'affichage d'images en grande dimension.
JP2018106037A (ja) 住宅防犯学習装置
KR200350647Y1 (ko) 퍼즐식 유아용 카드놀이기구
KR102418877B1 (ko) 애니메이션 플립 완구
KR200406750Y1 (ko) 캐릭터를 갖는 투명 전자칠판
KR20190127356A (ko)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18966Y1 (ko) 유아용 블록 학습교구
TWM556008U (zh) 動畫播放機及用以組成動畫播放機的紙板
WO2003021935A3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registered motion picture image recording
JP3848667B2 (ja) 被展示物立て
JP6464363B2 (ja) 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ビューア
JP2005287852A (ja) 組み立て式用紙
JPH08149354A (ja) ビデオカメラ
KR200232300Y1 (ko) 입체 화상용 포토 스티커
JP4192160B2 (ja) 電子装置用カートリッジ
KR910008933Y1 (ko) 카아드 학습기
KR200194213Y1 (ko) 교습구 겸용 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