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035B1 - 턱관절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턱관절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035B1
KR101791035B1 KR1020160121448A KR20160121448A KR101791035B1 KR 101791035 B1 KR101791035 B1 KR 101791035B1 KR 1020160121448 A KR1020160121448 A KR 1020160121448A KR 20160121448 A KR20160121448 A KR 20160121448A KR 101791035 B1 KR101791035 B1 KR 10179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tooth
pair
clip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691A (ko
Inventor
이성완
Original Assignee
기분좋은세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분좋은세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분좋은세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03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관절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써 상악과 하악 간의 수평적 상대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턱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는 전방아치부를 가지고 상하 치아에 대응하는 한 쌍의 치아지지체와; 상기 한 쌍의 치아지지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전방아치부의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양 치아지지체의 수평방향 상대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아치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클립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클립결합부는 상기 조절유니트가 선택적으로 삽입결합되는 복수의 삽입절개부를 가지고, 상기 조절유니트는, 일측의 상기 치아지지체의 상기 클립결합부에 결합되는 고정단부와 상기 고정단부로부터 타측의 상기 치아지지체의 전방아치부의 전방으로 연장된 조절단부를 갖는 조절클립과, 상기 조절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단부와 상기 타측 치아지지체의 전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턱관절 교정장치{ORTHODONTIC APPLIANCE FOR TEMPOROMANDIBULAR JOINT}
본 발명은 턱관절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턱관절의 부정교합은 주로 하악이 상악에 대해 돌출하거나 하악과 상악의 좌우 위치 관계가 어긋난 수평 방향 상의 상대적 위치 문제에 해당한다.
상악과 하악 간의 수평적 상대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종래에는 US 특허 7,832,403호(발명의 명칭: MANDIBLE POSITIONING DEVICES)와 같이 비교적 크고 전단부로부터 상당히 돌출된 조절부를 가지고 구조가 복잡한 교장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래서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사용자가 교정장치를 장시간 입에 물고 있기가 어려웠으며, 상악과 하악 간의 위치 조절이 비교적 복잡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자에게 비교적 안정된 착용감을 느끼게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는 전방아치부를 가지고 상하 치아에 대응하는 한 쌍의 치아지지체와; 상기 한 쌍의 치아지지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전방아치부의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양 치아지지체의 수평방향 상대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아치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클립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클립결합부는 상기 조절유니트가 선택적으로 삽입결합되는 복수의 삽입절개부를 가지고, 상기 조절유니트는, 일측의 상기 치아지지체의 상기 클립결합부에 결합되는 고정단부와 상기 고정단부로부터 타측의 상기 치아지지체의 전방아치부의 전방으로 연장된 조절단부를 갖는 조절클립과, 상기 조절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단부와 상기 타측 치아지지체의 전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고정단부는 상기 삽입절개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클립결합부의 후면에 접촉하는 후면접촉부와, 상기 클립결합부의 전면에 접촉하는 전면접촉부를 갖는 것이 상기 조절클립을 상기 클립결합부에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단부는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암나사공을 가지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암나사공에 맞물리는 숫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타측 치아지지체의 전면에 접촉하는 조절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한 쌍의 치아지지체 간 상대적 수평방향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유니트는 높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상호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이 상기 한 쌍의 치아지지체가 다양한 각도로 상대적 수평방향 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측의 상기 치아지지체는 상기 조절부를 수용하는 암나사공을 가지며, 상기 조절단부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관통삽입공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 배치되는 한 쌍의 멈춤링과, 상기 암나사공과 나사 결합 가능한 숫나사부를 갖는 것이 조절클립으로부터 조절부가 돌출되는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절단부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암나사공을 가지며, 상기 타측의 상기 치아지지체는 높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핀머리부와, 상기 핀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암나사공과 나사 결합하는 숫나사부를 갖는 것이 조절클립으로부터 조절부가 돌출되는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는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자에게 비교적 안정된 착용감을 느끼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A), (B)는 제1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에 복수의 조절유니트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실시예에서 상하간격조절나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제1실시예에서 조절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제4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제5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교정장치는 상하 치아에 대응하는 한 쌍의 치아지지체(100)를 갖는다. 각 치아지지체(100)는 앞니 영역에 대응하는 전방아치부(110)와, 전방아치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어금니 영역에 대응하는 후방레그부(1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측 치아지지체(100)는 전방아치부(110)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클립결합부(111)를 갖는다. 클립결합부(111)에는 상단으로부터 소정 깊이 절개된 삽입절개부(112)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여기서, 클립결합부(111)는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클립결합부(111)에는 상하 치아지지체(100) 간 수평방향 상대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유니트(200)가 설치된다. 조절유니트(200)는 클립결합부(111)의 삽입절개부(112)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단부(211)와, 고정단부(211)로부터 하측 치아지지체(100)의 전방아치부(110)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조절단부(215)로 이루어지는 조절클립(210)을 갖는다. 여기서, 고정단부(211)는 삽입절개부(112)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212)와, 클립결합부(111)의 후면에 접촉하는 후면접촉부(213) 및 클립결합부(111)의 전면에 접촉하는 전면접촉부(214)를 갖는다. 그리고 조절단부(215)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암나사공(216)이 형성된다.
조절유니트(200)는 조절단부(215)와 하측 치아지지체(100)의 전면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230)를 포함한다. 조절부(230)는 암나사공(216)에 맞물리는 숫나사부(237)를 가지고 하측 치아지지체(100)의 전면에 접촉하는 조절나사부재를 갖는다. 한편, 하측 치아지지체(100)의 전면에는 숫나사부(237)의 접촉단부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숫나사부(237)의 타단부에는 조절나사부재(235)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239)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잡이(239)를 잡고 숫나사부(237)를 회전시킴으로써 상하 치아지지체(100) 간 수평방향 상대이동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치아지지체(100) 간 수평방향 상대이동이 완료된 경우 손잡이(239) 부분을 제거하거나 조절클립(210)으로부터 돌출된 숫나사부(237) 부분을 잘라내어 조절클립(210)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축소할 수 있다.
한 쌍의 치아지지체(100)의 후방레그부(150)에는 각각 높이방향을 따라 암나사홀이 형성된 피봇(151, 153)이 설치된다. 그리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하는 피봇(151, 153)에 숫나사가 형성된 상하간격조절나사(152)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하간격조절나사(152)의 조작으로 한 쌍의 치아지지체(100)의 높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는 도 3 (A), (B)에서와 같이 상하 치아지지체(100)가 수평방향을 따라 상대이동할 수 있다.
먼저, 상하간격조절나사(152)를 이용해 한 쌍의 치아지지체(100) 간 후방레그부(150) 측 간격을 조절한다. 그리고 손잡이(239)를 잡고 숫나사부(237)를 회전시켜, 도 4에서와 같이 숫나사부(237)가 조절클립(2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절한다. 그러면 하측 치아지지체(100)가 숫나사부(237)의 이동에 따라 상측 치아지지체(10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조절클립(210)은 삽입절개부(112)에 삽입된 상태로 상측 치아지지체(100)에 고정된다. 사용자는 상하 치아지지체(100)가 원하는 위치에 놓인 경우 손잡이(239)를 이탈시키거나 조절클립(210)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잘라내어 조절클립(210)으로부터 돌출되는 숫나사부(237)의 길이를 축소한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에 복수의 조절유니트(2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교정장치는 클립결합부(111)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절개부(112)에 복수 개의 조절유니트(20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조절유니트(200)는 높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상호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 치아지지체(100)는 상호 전후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대각 수평 방향으로도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다.
도 5는 제1실시예에서 상하간격조절나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턱관절 교정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이 상하간격조절나사(152)가 스프링(154)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하간격조절나사(152)가 스프링(154)으로 대체될 경우, 한 쌍의 치아지지체(100)의 후방레그부(150) 측 상하 이동을 소정 높이 허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자유로운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제1실시예에서 조절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턱관절 교정장치는 도 6에서와 같이 손잡이(239)가 나사조작머리(238)로 대체될 수 있다. 조절부(230)의 손잡이(239)가 나사조작머리(238)로 대체될 경우, 조절클립(210)으로부터 돌출된 손잡이(239) 또는 조절나사부재(235)를 잘라내지 않더라도 돌출되는 부분을 비교적 축소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교정장치는 조절부(230a)가 조절클립(210a)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하측 치아지지체(100a)의 수평방향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절클립(210a)의 조절단부(215a)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공(216a)이 형성되며, 하측 치아지지체(100a)에는 조절부(230a)를 수용하는 암나사공(13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부(230a)는 관통공(216a)을 사이에 두고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멈춤링(233a)을 갖는다. 관통공(216a)을 사이에 둔 후방에는 조절부(230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235a)가 장착된다. 조절부(230a)는 스냅링(235a)의 안정적인 장착을 안내하기 위한 원주방향을 따라 그루브 형성된 스냅링 장착홈을 형성한다. 전방멈춤링(233a)에는 나사돌리개가 삽입되어 조절부(230a)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조절홈(234a)이 형성된다. 조절부(230a)는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숫나사부(231a)를 갖는다. 숫나사부(231a)는 하측 치아지지체(100a)의 암나사공(130a)과 맞물리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부(230a)를 회전시킴으로써 하측 치아지지체(100a)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치아지지체(100b)에 대한 조절부(230b)의 고정을 슬릿(140b)에 삽입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측 치아지지체(100b)에는 전방 상단부로부터 소정 깊이 절개된 슬릿(140b)이 형성된다. 여기서, 슬릿(140b)은 치아지지체(100b) 내측에서 비교적 단면적이 넓은 머리삽입부(141b)와, 머리삽입부(141b)의 전방에 배치되어 비교적 단면적이 좁은 걸림부(143b)로 이루어진다.
조절부(230b)는 슬릿(140b)에 삽입되는 머리부(235b)와, 머리부(235b)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숫나사부(231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머리부(235b)는 숫나사부(231b)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확장된 형상을 갖는다. 그래서 머리부(235b)는 머리삽입부(141b)에 삽입되며, 숫나사부(231b)는 걸림부(143b)에 삽입된다. 그리고 숫나사부(231b)의 타단부(233b)는 조절클립(210b)의 암나사공(216b)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조절부(230b)를 하측 치아지지체(100b)에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나사돌리개를 이용하여 조절부(230b)를 회전함으로써 하측 치아지지체(100b)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제4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교정장치는 조절클립(210c)을 클립결합부(111c)에 삽입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절클립(210c)은 고정단부(211c)에 클립결합부(111c)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213c)을 형성한다. 이때, 수용홈(213c)과 클립결합부(111c)의 크기가 상호 대응하도록 하여 클립결합부(111c)가 수용홈(213c)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제5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교정장치는 제1실시예에서의 암나사공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조절단부(215d)에 암나사부재(240d)를 설치할 수 있다. 암나사부재(240d)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암나사부(245d)와, 전방에서 외향 확장되는 전방멈춤링(241d)을 갖는다. 그리고 암나사부재(240d)를 조절클립(210d)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삽입공(216d)의 후방에 스냅링(243d)이 설치된다. 암나사부재(240d)는 스냅링(243d)의 안정적인 장착을 위해, 스냅링(243d)의 원주에 대응하는 스냅링 안착 그루브를 형성한다. 암나사부(245d)에는 숫나사부재(230d)가 나사 결합된다.
숫나사부재(230d)는 사각머리부(235d)와, 사각머리부(235d)로부터 연장되는 숫나사부(231d)를 갖는다. 사각머리부(235d)는 숫나사부(231d)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이며 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각머리부(235d)는 다른 각진 형태로도 변형가능하다. 하측 치아지지체(100d)는 도 8의 제3실시예에서와 같은 슬릿을 형성하며, 슬릿에는 숫나사부재(230d)가 높이방향을 따라 삽입된다. 슬릿의 하부는 사각머리부(235d)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슬릿에 삽입된 숫나사부재(230d)의 사각머리부(235d)의 상부에는 숫나사부재(230d)의 축선 중심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부재(250d)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암나사부재(240d)를 회전함으로써 숫나사부재(230d)의 수평방향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100: 치아지지체 110: 전방아치부
111: 클립결합부 112: 삽입절개부
150: 후방레그부 151: 상부피봇
152: 상하간격조절나사 153: 하부피봇
154: 스프링 200: 조절유니트
210: 조절클립 211: 고정단부
212: 슬라이딩부 213: 후면접촉부
214: 전면접촉부 215: 조절단부
216: 암나사공 230: 조절부
235: 조절나사부재 237: 숫나사부
238: 조절단부 239: 손잡이

Claims (5)

  1. 턱관절 교정장치에 있어서,
    앞니 영역에 대응하는 전방아치부와 상기 전방아치부로부터 연장되어 어금니영역에 대응하며 높이방향을 따라 암나사홀이 형성된 피봇이 설치된 후방레그부를 가지고 상하 치아에 대응하는 한 쌍의 치아지지체;
    상기 한 쌍의 치아지지체 각각의 상기 암나사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치아지지체 간의 높이 간격을 조절하는 상하간격조절나사; 및
    상기 한 쌍의 치아지지체 중 어느 하나의 해당 전방아치부의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치아지지체의 수평방향 상대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치아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전방아치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클립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클립결합부 각각은 상기 조절유니트가 삽입결합되도록 상단으로부터 소정 깊이 절개된 삽입절개부를 가지고,
    상기 조절유니트는, 일측의 상기 치아지지체의 상기 클립결합부에 결합되는 고정단부와 상기 고정단부로부터 타측의 상기 치아지지체의 전방아치부의 전방으로 연장된 조절단부를 갖는 조절클립과, 상기 조절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단부와 상기 타측 치아지지체의 전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부는 상기 삽입절개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클립결합부의 후면에 접촉하는 후면접촉부와, 상기 클립결합부의 전면에 접촉하는 전면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부는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암나사공을 가지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암나사공에 맞물리는 숫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타측 치아지지체의 전면에 접촉하는 조절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니트는 높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상호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의 상기 치아지지체는 상기 조절부를 수용하는 암나사공을 가지며,
    상기 조절단부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 배치되는 한 쌍의 멈춤링과, 상기 암나사공과 나사 결합 가능한 숫나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KR1020160121448A 2016-09-22 2016-09-22 턱관절 교정장치 KR101791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48A KR101791035B1 (ko) 2016-09-22 2016-09-22 턱관절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48A KR101791035B1 (ko) 2016-09-22 2016-09-22 턱관절 교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866A Division KR101660922B1 (ko) 2015-04-02 2015-04-02 턱관절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691A KR20160120691A (ko) 2016-10-18
KR101791035B1 true KR101791035B1 (ko) 2017-10-27

Family

ID=5724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448A KR101791035B1 (ko) 2016-09-22 2016-09-22 턱관절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0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9146B2 (ja) * 2003-08-08 2011-06-22 ネリッセン,ヨゼフ・フランス 夜間呼吸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装置
KR101216029B1 (ko) 2012-06-11 2012-12-27 이성완 턱관절 교정 장치
KR101485555B1 (ko) 2013-11-12 2015-01-23 이성완 턱관절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9146B2 (ja) * 2003-08-08 2011-06-22 ネリッセン,ヨゼフ・フランス 夜間呼吸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装置
KR101216029B1 (ko) 2012-06-11 2012-12-27 이성완 턱관절 교정 장치
KR101485555B1 (ko) 2013-11-12 2015-01-23 이성완 턱관절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691A (ko)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2140677A (ru) Модульное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наклонных зуб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CN107208838B (zh) 支撑机构及使用该支撑机构的调整装置以及云台
KR20110109910A (ko) 뼈 고정 장치
US10182564B2 (en) Fishing rod holder
ES2820848T3 (es) Equipo para ajustar patas de soporte para muebles modulares con relación a una superficie de soporte
US7187508B2 (en) Lens device having alignment correction unit for adjustment of a lens axis of a lens module
KR101791035B1 (ko) 턱관절 교정장치
US20150182306A1 (en) Dental bracket
KR101660922B1 (ko) 턱관절 교정장치
JP2011087902A (ja) 調整機構及び傾角調整可能な椅子
KR101612671B1 (ko)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용 지대주 홀더
KR100484610B1 (ko) 치아교정용 앵커식립장치
CN112770693B (zh) 咬合器
KR102049880B1 (ko) 낚시 받침대 지지구
KR20180064384A (ko)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JP2015199194A (ja) トルクレンチ
JP5348644B2 (ja) 収納装置及びヒンジ装置
KR200477931Y1 (ko) 탐조등 홀더장치
ES2932528T3 (es) Disposición de artículos sanitarios con ajuste de altura
KR20150042977A (ko) 책상 부착용 자세 교정기
KR102135278B1 (ko) 차량의 조향 컬럼용 틸트장치
KR101950481B1 (ko) 높이 조절 기구
JP6482900B2 (ja) 歯科用器具
KR101413582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JP6047624B2 (ja) 機器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