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671B1 -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용 지대주 홀더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용 지대주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671B1
KR101612671B1 KR1020150024441A KR20150024441A KR101612671B1 KR 101612671 B1 KR101612671 B1 KR 101612671B1 KR 1020150024441 A KR1020150024441 A KR 1020150024441A KR 20150024441 A KR20150024441 A KR 20150024441A KR 101612671 B1 KR101612671 B1 KR 10161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fixture
holder
groov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호
정승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4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출수복용 지대주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을 위하여 지대주를 식립된 픽스쳐에 고정할 때, 지대주를 픽스쳐에 정확하게 체결되게 하고 고정부재(지대주나사)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게 만드는 홀더를 제공하여 임플란트 식립 시 발생되는 비용 및 치과 내원 횟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지대주 홀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용 지대주 홀더{ABUTMENT HOLDER FOR IMMEDIATE IMPLANT RESTORA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용 지대주(abutment)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을 위하여 지대주를 식립된 픽스쳐(fixture)에 고정할 때 지대주를 픽스쳐에 정확하게 체결되게 만들고 고정부재(지대주나사)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게 만드는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란, 크게 치조골에 식립하는 픽스쳐(하부구조물, fixture), 픽스쳐에 연결되는 지대주(어버트먼트, abutment) 및 어버트먼트에 장착되는 치아 형상의 보철물(crown)으로 구성된다.
지대주 홀더는 지대주를 고정하여 흔들리지 않게 만드는 장치로서, 픽스쳐와 지대주를 체결할 때 지대주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장치이다.
종래의 지대주는 픽스쳐 식립 이후 픽스쳐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후(3 내지 6 개월 후) 지대주를 설치하기 때문에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발생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정확하게 픽스쳐와 지대주를 체결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디지털영상기술의 발전과 CAD/CAM기술의 발전으로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인 지대주와 치아형상의 보철물을 수술 전에 미리 제작하여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할 수 있다. 그러나 즉시 보철수복할 경우 픽스쳐의 식립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고 또한 픽스쳐가 골과 단단히 연결되기 전에 지대주를 연결하게 되어 고정부재(지대주나사)를 정확하고 강하게 연결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특히 골질이 약한 경우 픽스쳐 고정력이 약하여 지대주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재에 조임 회전력을 가할 때 픽스쳐가 함께 회전한다. 픽스쳐가 회전되면 수술 전에 미리 제작된 상부 보철물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지대주를 정확하고 강하게 고정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하여 즉시 보철수복 후 고정부재(지대주나사) 풀림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고정부재가 풀리면 주변골이 파괴되고 임플란트 실패를 야기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37,376호에 개시되어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홀더는 픽스쳐 설치와 동시에 지대주(어버트먼트)를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18,997호에 개시되어 있는 어버트먼트 체결장치는 픽스쳐와 지대주를 같이 설치하여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37,3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18,9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픽스쳐 설치 후 즉시 지대주를 설치할 수 있도록 돌출부를 구비하는 지대주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인근 치아와 홀더가 서로 지지하여 지대주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임플란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강한 토크로 픽스쳐와 지대주를 체결할 수 있는 지대주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대주를 정확하게 픽스쳐와 체결할 수 있도록 만드는 지대주 홈을 제공하여 지대주의 일단을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시킬 수 있게 만들어 픽스쳐와 지대주가 일정하게 체결될 수 있게 만드는 지대주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지대주 홀더에 있어서, 지대주를 수납할 수 있는 지대주 홈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픽스쳐 및 지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통과될 수 있도록 만드는 관통 홈 및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인근 치아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대주와 픽스쳐를 같이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의 치과 방문으로 영구 지대주를 장착할 수 있어, 치과 내원 방문 횟수를 줄일 수 있어 환자가 임플란트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다 정확하게 지대주 및 픽스쳐를 체결할 수 있도록 만들기 때문에 임플란트 식립 즉시 심미적 치아회복으로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 체결하여 지대주가 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정 헥사 모양의 체결수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보다 강한 토크로 고정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어 지대주와 픽스쳐를 보다 효과적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홀더를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홀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홀더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홀더 및 치아를 3D 스캔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픽스쳐, 고정부재 및 지대주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홀더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의 헥사 모양 및 픽스쳐의 헥사 모양 홈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및 픽스쳐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홀더와 인근 치아의 이격을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홀더(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지대주 홀더(100)는 지대주 홈(30)을 구비하는 몸체부(40), 관통 홈(50) 및 돌출부(6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몸체부(40)는 지대주(10)를 수납할 수 있는 지대주 홈(30)을 구비한다. 지대주(abutment)(10)는 임플란트(dental implant)에서 보철물(크라운)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반적인 임플란트에서는 픽스쳐(20)를 설치한 후 3 내지 6 개월이 경과한 후 지대주(10)를 설치하는 수술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픽스쳐(20)의 식립이 불안정하여 완전히 고정될 때까지의 경과 기간을 기다리는 것으로, 종래에는 픽스쳐(20)를 별도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픽스쳐(20)가 잇몸과 고정된 후 지대주(10)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정을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도록 픽스쳐(20) 설치 시 지대주(10)를 같이 설치할 수 있는 지대주 홀더(100)를 제공한다. 몸체부(40)는 이러한 지대주(10)를 수납할 수 있는 지대주 홈(30)을 구비하여 지대주(10)가 몸체부(40)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대주 홈(30)은 지대주(10)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지대주 홈(30)은 지대주(10)의 상부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는 지대주(10)에 가해지는 힘의 대부분을 몸체부(40)로 전달할 수 있어 후술할 고정부재(7)로 인하여 지대주(10) 또는 픽스쳐(20)가 회전(이탈)되어 잇몸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픽스쳐(20)가 자리(고정)를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지대주 홈(30)은 지대주(10)가 하부에서 삽입될 수 잇도록 몸체부(40) 하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 홈(50)은 몸체부(40)에 마련되어 픽스쳐(20) 및 지대주(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7)가 통과될 수 있도록 만든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 홈(50)은 지대주 홈(30)과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즉 도 2를 참고하면, 지대주 홈(30)은 몸체부(40)의 하부쪽 방향에 마련되어 지대주(1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관통 홈(50)은 지대주 홈(30)과 연결되고, 몸체부(40)의 상부쪽 방향으로 마련되어 고정부재(7)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도 6을 참고하면, 관통 홈(50)은 고정부재(7)가 픽스쳐(20) 및 지대주(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만드는 관통 공을 만들어 지대주(10)를 영구 지대주(10)로 만들 수 있도록 만든다. 구체적으로 관통 홈(50)은 고정부재(7)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고 지대주(10)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된다. 즉 지대주(10)는 통과하자 못하게 만들고, 고정부재(7)만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마련하여 고정부재(7)를 통해 픽스쳐(20) 및 지대주(10)를 고정할 수 있게 만든다. 고정부재(7)는 나사, 스크류 등의 나선 형태로 마련되는 체결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고정부재(7)는 고정수단(8)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고정수단(8)은 드라이버, 전동 드라이버 등으로 마련되어 고정부재(7)를 이용하여 픽스쳐(20) 및 지대주(10)를 체결될 수 있게 만든다.
도 1,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돌출부(60)는 몸체부(40)에 마련되어 인근 치아(5)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을 참고하면, 돌출부(60)는 몸체부(40)의 외측 일면에 마련되어 지대주 홀더(100)가 구비되는 인근 치아(5)에 돌출부(60)가 지지되어 몸체부(40)가 고정부재(7) 체결로 인하여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재(7)는 픽스쳐(20)와 지대주(10)를 체결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체결되는 힘을 견디기 위하여 픽스쳐(20)가 충분한 시간(3 내지 6 개월)을 가지고 잇몸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만든 다음에 체결하였으나, 본 발명은 픽스쳐(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60)를 구비하는 지대주 홀더(100)를 제공하여 고정부재(7)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픽스쳐(20) 및 지대주(10)를 고정하여도 지대주 홀더(100)로 인하여 픽스쳐(20) 및 지대주(10)가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픽스쳐(20) 식립 시 지대주(10)도 같이 픽스쳐(20)에 체결할 수 있게 만들어 영구 지대주(20)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만든다. 도 3을 참고하면, 돌출부(60)는 치아 하나 크기의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임플란트 수술이 필요한 잇몸에 임플란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픽스쳐(20)를 식립한 후 지대주(10)는 지대주 홀더(100)의 지대주 홈(30)에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지대주(10)를 삽입한 지대주 홀더(100)는 픽스쳐(20) 및 지대주(1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위치를 잡아준다. 이때 돌출부(60)는 인근 치아(5)에 지지되며, 고정부재(7)는 관통 홈(50)을 통하여 지대주(10) 내부로 삽입되고, 고정부재(7)는 고정수단(8)을 통하여 지대주(10)와 픽스쳐(20)를 체결한다. 이때 고정부재(7)의 회전력은 돌출부(60)에 의하여 상쇄되어 픽스쳐(20), 지대주(10) 및 지대주 홀더(100)는 고정되어 이동(회전)되지 않으며, 고정부재(7)만 회전하여 픽스쳐(20) 및 지대주(10)를 체결하여 보다 강한 힘으로 픽스쳐(20) 및 지대주(10)를 한 번의 수술로 인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을 참고하면, 지대주(10) 및 픽스쳐(20)는 헥사 모양(70)의 돌기 및 헥사 모양의 홈(80)을 마련하여 서로 견고하게 체결되며 지대주(10)와 지대주 홈(30)은 같은 모양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지대주 홀더(100)가 인근 치아(5)에 의하여 지지되면 지대주(10) 및 픽스쳐(20)도 같이 지지되어 이동(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며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여 픽스쳐(20) 식립 시 지대주(10)를 같이 설치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즉 지대주(10), 픽스쳐(20) 및 지대주 홀더(100)는 치아(5)에 의하여 지지되고, 고정부재(7)만 회전되어 지대주(10) 및 픽스쳐(20)를 체결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지대주 홀더(100)는 환자의 치아의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형성되는 CAD/CAM(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컴퓨터 지원에 의한 설계 및 제조) 방식으로 제조된다. CAD/CAM 방식은 스캐너를 이용하여 3D 설계를 실시하거나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지대주 홀더(100)를 제작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치아(5) 상태에 따라 맞춤형의 지대주 홀더(100)를 제공할 수 있어 수술시 보다 정확하고 편안하게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몸체부(40)는 하나 이상의 치아 모양으로 마련된다. 즉 몸체부(40)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치아 모양을 연결한 모양으로 마련되어 임플란트 위치에 따라 지대주 홀더(100)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10을 참고하면, 몸체부(40)는 인근 치아(5)와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이는 몸체부(40) 내부에 마련되는 지대주(10) 및 픽스쳐(20)의 연결이 정확하기 않을 때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지대주 홀더(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지대주(10)의 일단은 헥사 모양(70)으로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대주(10)와 픽스쳐(20)가 체결되는 지대주(10)의 일단은 헥사 모양(70)의 연결구로 마련되어 지대주(10)와 픽스쳐(20)가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게 만든다. 헥사 모양(70)의 연결구는 지대주(10)의 체결시 보다 효과적으로 힘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헥사 모양(70)으로 구비될 경우 정확한 체결이 되었는지 여부를 간소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픽스쳐(20)와 지대주(10)의 연결 시 흔들림 또는 높낮이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픽스쳐(20) 및 지대주(10)의 연결 상태가 불량임을 알 수 있다. 이 같이 픽스쳐(20)와 지대주(10)의 연결 상태가 불량인 경우 보철물의 수직높이의 오차로 인하여 미관이 떨어지고, 고정부재(7)의 풀림이 발생하며, 주변골이 파괴되어 임플란트 수술이 실패되게 만들기 때문에 픽스쳐(20)와 지대주(10)의 정확한 체결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지대주 홀더(100)를 제공하여 지대주(10)의 헥사 모양(방향)(70)을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어, 픽스쳐(20) 식립 시 기 설정된 방향(헥사 모양 홈(80)이 미리 약소된 방향으로 마련)으로 식립된 경우 지대주 홀더(100)를 이용하여 간소하게 헥사 모양(70)의 돌기 및 헥사 모양 홈(80)을 정확하게 체결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픽스쳐(20)의 일단은 헥사 모양의 홈(80)으로 마련되어 지대주(10)의 일단과 픽스쳐(20)의 일단은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된다. 즉 지대주(10)에 마련되는 헥사 모양(70)의 돌기와 픽스쳐(20)에 마련되는 헥사 모양의 홈(80)을 이용하여 지대주(10)와 픽스쳐(20)를 보다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만든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대주(10)와 지대주 홀더(100)에서 지대주(10)의 헥사 방향이 지대주 홀더(100)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마련하여 지대주(10)가 일정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도록 구비하고, 픽스쳐(20)는 이러한 일정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대주(10)를 고려하여 식립하여 보다 정확하고 약속되어져 있는 방법으로 서로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의 확인을 위하여 지대주 홀더(100)를 이격시켜 움직여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지대주 홀더(100)에 헥사 면의 방향 표시(화살표 모양과 같은 그림 표시 등, 미도시)를 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원형 연결부(90)는 헥사 모양(70)으로 마련되는 지대주(10)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원형 연결부(90)는 지대주(10)와 픽스쳐(20)가 보다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5 : 치아, 7 : 고정부재,
8 : 고정수단,
10 : 지대주, 20 : 픽스쳐
30 : 지대주 홈, 40 : 몸체부,
50 : 관통 홈, 60 : 돌출부,
70 : 헥사 모양, 80 : 헥사 모양 홈,
90 : 원형 연결부,
100 : 지대주 홀더.

Claims (15)

  1. 지대주(10)를 수납할 수 있는 지대주 홈(30)을 구비하는 몸체부(40);
    상기 몸체부(40)에 마련되어 픽스쳐(20) 및 지대주(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7)가 통과될 수 있도록 만드는 관통 홈(50); 및
    상기 몸체부(40)에 마련되어 인근 치아(5)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60)는 상기 몸체부(1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홈(50)은 상기 고정부재(7)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고 상기 지대주(10)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 홀더(100)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형성되는 CAD/CAM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 홈(30)은 상기 지대주(10)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0)는 하나 이상의 치아 모양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0)는 인근 치아(5)와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7. 일단이 헥사 모양(70)으로 구비되는 지대주(10);
    상기 지대주(10)의 일단과 체결되는 픽스쳐(20);
    상기 지대주(10)를 수납할 수 있는 지대주 홈(30)을 구비하는 몸체부(40);
    상기 몸체부(40)에 마련되어 픽스쳐(20) 및 지대주(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7)가 통과될 수 있도록 만드는 관통 홈(50); 및
    상기 몸체부(40)에 마련되어 인근 치아(5)와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지대주(10)의 일단은 상기 픽스쳐(20)와 체결되고,
    상기 돌출부(60)는 상기 몸체부(1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20)의 일단은 헥사 모양의 홈(80)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대주(10)의 일단과 상기 픽스쳐(20)의 일단은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헥사 모양(70)으로 마련되는 지대주(10)의 일단에 마련되는 원형 연결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홈(50)은 상기 고정부재(7)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고 상기 지대주(10)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 홀더(100)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형성되는 CAD/CAM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 홈(30)은 지대주(10)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0)는 하나 이상의 치아 모양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0)는 인근 치아(5)와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10) 및 픽스쳐(20)는 한 번의 수술에서 같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대주 홀더.
KR1020150024441A 2015-02-17 2015-02-17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용 지대주 홀더 KR10161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41A KR101612671B1 (ko) 2015-02-17 2015-02-17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용 지대주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41A KR101612671B1 (ko) 2015-02-17 2015-02-17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용 지대주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671B1 true KR101612671B1 (ko) 2016-04-14

Family

ID=5580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441A KR101612671B1 (ko) 2015-02-17 2015-02-17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용 지대주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6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349B1 (ko) * 2016-08-09 2018-05-03 주식회사 디오 어버트먼트 지그
KR20200138495A (ko) * 2019-05-30 2020-12-10 주식회사 디오 경사 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20210032588A (ko) *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디오 어버트먼트 홀더
WO2021075636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54B1 (ko) 2009-02-18 2009-09-21 주식회사 코텍 각도안내부가 구비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294590B1 (ko) 2012-04-18 2013-08-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매식체 회전방지용 지대주 홀더
KR101437376B1 (ko) 2012-10-31 2014-09-15 주식회사 제노스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54B1 (ko) 2009-02-18 2009-09-21 주식회사 코텍 각도안내부가 구비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294590B1 (ko) 2012-04-18 2013-08-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매식체 회전방지용 지대주 홀더
KR101437376B1 (ko) 2012-10-31 2014-09-15 주식회사 제노스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홀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349B1 (ko) * 2016-08-09 2018-05-03 주식회사 디오 어버트먼트 지그
KR20200138495A (ko) * 2019-05-30 2020-12-10 주식회사 디오 경사 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102255014B1 (ko) * 2019-05-30 2021-05-25 주식회사 디오 경사 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20210032588A (ko) *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디오 어버트먼트 홀더
KR102292489B1 (ko) * 2019-09-16 2021-08-24 주식회사 디오 어버트먼트 홀더
WO2021075636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0150B2 (en) Method of installing a final dental prosthesis
US9554879B2 (en) Method of installing a final dental prosthesis
KR101417980B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1612671B1 (ko)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용 지대주 홀더
EP3421004B1 (en) Detachable dental implant-coupling prosthesis
EP2526893B1 (en) Abutment for implant
KR200482232Y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AU2014336366B2 (en) Dental implant replica
KR101419832B1 (ko) 임플란트용 소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장치
US11553985B2 (en) Drill guide assembly
KR20180132222A (ko) 치간공극을 이용한 다기능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KR20150036762A (ko) 임플란트 오버 덴처 시스템 및 임플란트
JP2017506137A (ja) 義歯固定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790839B1 (ko) 바이콘 타임에서도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토록 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83476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KR20120017951A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20180014995A (ko)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장치
EP3610829A1 (en) A cradle for positioning a final dental prosthesis, a system incorporating the cradl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80064384A (ko)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KR101347258B1 (ko) 고정원 시술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KR102292489B1 (ko) 어버트먼트 홀더
KR20190031711A (ko) 무치악 시술용 가이드 및 무치악 시술용 가이드 제작 방법
KR101810851B1 (ko) 교정시술용 서지컬 앵커 가이드 및 이를 갖는 앵커 시술 키트
KR101810850B1 (ko) 교정용 앵커의 가이드 키트 및 이를 갖는 앵커 시술 키트
KR101741228B1 (ko) 임플란트 드릴링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