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681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0681B1 KR101790681B1 KR1020160044773A KR20160044773A KR101790681B1 KR 101790681 B1 KR101790681 B1 KR 101790681B1 KR 1020160044773 A KR1020160044773 A KR 1020160044773A KR 20160044773 A KR20160044773 A KR 20160044773A KR 101790681 B1 KR101790681 B1 KR 1017906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rk room
- dust
- unit
- air
- im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014—Measuring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thereof
- H01S5/0028—Laser diodes used as detec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04N5/2257—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부에 의하여 먼지의 여과 전 및 여과 후가 구획되도록 암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암실에 배치되어 레이저를 발광시키는 레이저 발광부와, 상기 암실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 의하여 발광된 레이저에 의하여 가시화된 상기 여과 전의 암실(이하, ‘여과전 암실’이라 칭함)과 여과 후의 암실(이하, ‘여과후 암실’이라 칭함)의 먼지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여과전 암실 및 여과후 암실의 먼지 상태를 외부 사용자에게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부에 의한 공기의 여과 과정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에 장착되거나 실내와 덕트를 통해 연동되어, 실내의 공기 중에 함유된 각종 먼지, 가스, 악취, 연기와 같은 오염물을 걸러내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통해 걸러내어 오염물은 필터에 침착시키고, 청정해진 공기만을 다시 송풍기 등을 이용해 실내로 공급한다.
한편, 공기청정기에는, 필터부를 통해 오염물이 걸러지는 정도를 수치화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표시부를 통한 공기 청정도를 가늠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종 표시부가 표시하는 공기 청정도는 전기적으로 발생되는 노이즈(noise)나 결함 등으로 인해 오작동되는 경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제품의 공기 청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0235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송풍기의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광원부에서 조사된 빛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에 부딪혀 반사되면 이 반사된 빛을 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본체의 외주면에 구비된 시야 확보용 식별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직접 시야 확보용 식별부를 접안하여 관찰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도 문제라 할 것은, 공기 중의 먼지의 크기는 대부분 작기 때문에 식별부의 일 구성인 렌즈로 배율을 확대하더라도 정화 과정을 명확하게 볼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시력에 의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화 과정이 직관적으로 보이는 것이 아니라 송풍장치에 근접하여 렌즈를 통해 자세히 관찰하여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아울러,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빛의 산란을 통해 먼지를 관찰하는 점에서 외부 환경(특히, 조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먼지 크기 또는 이를 관찰하는 사용자의 시력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필터부를 통과하기 전(즉, 여과되기 전)과 필터부를 통과한 후의 먼지 상태를 카메라부를 통하여 촬영하여 사용자의 식별이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필터부에 의하여 먼지의 여과 전 및 여과 후가 구획되도록 암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암실에 배치되어 레이저를 발광시키는 레이저 발광부와; 상기 암실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 의하여 발광된 레이저에 의하여 가시화된 상기 여과 전의 암실(이하, ‘여과전 암실’이라 칭함)과 여과 후의 암실(이하, ‘여과후 암실’이라 칭함)의 먼지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여과전 암실 및 여과후 암실의 먼지 상태를 외부 사용자에게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암실은, 상기 먼지가 여과되기 전의 상기 여과전 암실과; 상기 먼지가 여과된 후의 상기 여과후 암실과; 상기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 투광판에 의하여 상기 여과전 암실 및 여과후 암실과 구획되는 촬영 암실을 포함하고,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촬영 암실에 배치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폐 투광판은, 아크릴 재질의 유리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차폐 투광판을 투과하여 상기 여과전 암실과 여과후 암실의 먼지 상태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고,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 의하여 발광된 레이저를 수렴하는 레이저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레이저 발광부 및 레이저 수광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여과전 암실 및 여과후 암실의 먼지 농도를 토대로 먼지 상태의 영상을 재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먼지의 크기가 설정 크기 미만인 경우에 먼지 농도를 토대로 먼지 상태의 영상을 재처리하며, 상기 설정 크기는 미세먼지의 정의를 위해 사용되는 먼지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먼지를 아웃포커싱하여 상을 확대한 후 감도가 향상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출력되는 재처리 영상은, 상기 측정된 먼지 농도의 대소에 따라 동일 크기의 먼지 이미지의 밀도가 상이하게 출력되는 영상일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 의하여 발광된 레이저를 수렴하는 레이저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먼지의 크기가 설정 크기 이상이면, 상기 먼지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먼지 상태의 영상을 재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다수 존재하며,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필터부를 통해 여과되기 전의 먼지 상태 및 여과된 후의 먼지 상태를 촬영한 후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의 감성 품질 및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먼지의 크기 별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재처리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암실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화살표 “가”방향으로 관찰한 투영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카메라부의 렌즈 종류에 따른 미세먼지의 확대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영상 재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암실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화살표 “가”방향으로 관찰한 투영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카메라부의 렌즈 종류에 따른 미세먼지의 확대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영상 재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암실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화살표 “가”방향으로 관찰한 투영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1)를 포함한다.
내부 공간에는 송풍기(10a)를 포함하는 송풍부(10)가 설치되고, 송풍기(10a)는 그 작동 시 실내 등 외부 공기를 본체(1) 내부로 흡입하여 정화한 다음 다시 실내 등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공기 유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송풍부(10)의 내부에는, 상술한 송풍기(10a) 외에 실내 가습을 위한 미도시의 가습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송풍부(10)의 전면에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공기가 송풍기(10a)에 의하여 흡입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내외로 연통되게 그릴 형상의 송풍 그릴(19)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송풍부(10)에는 정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부(16)는, 실내로 토출되는 부위라면 송풍부(10)의 여하한 곳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측으로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부(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채택될 수 있다.
본체(1)는,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술한 송풍부(10)가 후방부에 안착 설치되는 하부 패널(11)과, 좌측면 및 우측면을 형성하는 좌측면 패널(13) 및 우측면 패널(13)(이하, ‘좌,우 측면 패널(13)’이라 함)과, 천정면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15)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패널(11)과, 좌,우 측면 패널(13) 및 상부 패널(15)은, 송풍부(10)보다 전방으로 소정길이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후술하는 암실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체(1)는, 하부 패널(11)과, 좌,우 측면 패널(13) 및 상부 패널(15)의 전단에 설치되어 송풍부(10)의 전방부에 암실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17) 중 하단부에는 좌우로 길게 그릴 형상으로 형성되어 암실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연통되게 공기 흡입부(18)가 형성되고, 전면 패널(17) 중 상단부에는 소정의 움직이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암실에는, 공기 흡입부(18)를 통하여 유입된 오염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50)는, 다수의 필터가 결합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비교적 큰 입자를 1차로 여과시키는 프리필터(prefilter), 프리필터가 여과시키지 못한 미세먼지 등의 미세입자를 여과시키는 헤파필터(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공기 중에 포함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악취, 가스 및 담배연기 등을 흡착 제거하는 활성탄필터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부(50)는, 암실을 먼지 등의 오염 공기가 여과되기 전의 암실(이하, ‘여과전 암실(S1)’이라 함)과 먼지 등의 오염 공기가 여과된 후의 암실(이하, ‘여과후 암실(S2)’이라 함)로 구획되도록 수직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필터부(50)는, 다수의 필터 하단이 하부 패널(11)의 상면에 구비된 하부 필터 체결 슬릿(5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되고, 다수의 필터 상단이 상부 패널(15)의 하면에 구비된 미도시의 상부 필터 체결 슬릿(5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된다.
암실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50)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됨과 아울러, 좌,우 측면 패널(13) 중 어느 하나와의 관계에서 또 다른 하나의 공간(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촬영 암실(S3)’이라 칭함)이 더 추가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암실에는 좌,우 측면 패널(13) 중 어느 하나에 더 편중되도록 이격되게 암실을 좌측 및 우측 공간으로 구획하게 수직 배치된 차폐 투광부(60)이 설치된다.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은, 차폐 투광부(60)과 좌측면 패널(13) 사이와 차폐 투광부(60)과 우측면 패널(13) 사이 중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차폐 투광부(60)과 우측면 패널(13) 사이에 형성되고, 촬영 암실(S3)은 차폐 투광부(60)과 좌측면 패널(13)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차폐 투광부(60)은, 하단이 하부 패널(11)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부 패널(15)의 하면에 고정된다. 아울러, 차폐 투광부(60)은,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에 존재하는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되, 빛이 전부 투과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차폐 투광부(60)은, 제품의 경량화를 위하여 아크릴 재질의 투광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카메라부(30)에 의하여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을 촬영하여 소정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술한 본체(1)와, 암실 중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에 각각 배치되어 상측으로 레이저를 발광시키는 레이저 발광부(20)와, 암실 중 촬영 암실(S3)에 배치되고, 레이저 발광부(20)에 의하여 발광된 레이저에 의하여 가시화된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의 먼지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30)와, 본체(1)의 외부에 배치되고, 카메라부(30)에 의하여 촬영된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의 먼지 상태를 외부 사용자에게 영상으로 출력하는 상술한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암실(S3)에 배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좌,우 측면 패널(13) 중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부(30)는, 좌측면 패널(13) 또는 우측면 패널(13)의 내측면 중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보다 정확한 먼지 상태를 촬영할 수 있도록 송풍 그릴(19)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30)는, 도 2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폐 투광부(60)을 투과하여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의 먼지 상태를 동시에 촬영하도록 필터부(50)의 좌우 직선 연장 라인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부 패널(15)의 하부면에는 레이저 발광부(20)에 의하여 발광된 레이저를 수렴하는 레이저 수광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발광부(20)는,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에 해당하는 하부 패널(11)의 상부면에서 각각 상측으로 레이저를 발광시키면서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에 존재하는 먼지와 부딪혀 산란되면서 카메라부(30)에 의하여 촬영이 가능하도록 가시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레이저 발광부(20)에 의하여 발광된 레이저는 레이저 수광부(21)에 수렴되어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의 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레이저 발광부(20) 및 레이저 수광부(21)는,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농도 감지 센서(22)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발광부(20)와 차폐 투광부(60)의 하단은 하부 패널(11)의 상면에 고정되고, 레이저 수광부(21)와 차폐 투광부(60)의 상단은 상부 패널(15)의 하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기(10a)가 작동되어 소정의 공기 유동력이 형성되면, 공기 흡입부(18)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암실 중 여과전 암실(S1)로 유입되고, 필터부(50)를 통과하면서 먼지를 포함한 오염 공기가 정화된 후 여과후 암실(S2)을 통과한 후 송풍 그릴(19)을 경유하여 송풍부(10)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공기 토출부(16)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카메라부(30) 및 먼지농도 감지 센서(22)의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발광부(20) 및 레이저 수광부(21)가 동시에 작동된다.
여기서, 카메라부(30)는, 레이저 발광부(20)로부터 발광된 레이저에 의하여 산란되어 가시화된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의 먼지 상태를 차폐 투광부(60)를 투과하도록 동시에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본체(1) 중 전면 패널(17)의 전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실을 형성하여 카메라부가 외부 조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먼지 상태를 촬영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카메라부의 렌즈 종류에 따른 미세먼지의 확대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영상 재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카메라부(30)에 의하여 촬영된 먼지 상태의 이미지 영상은, 먼지의 크기에 따라 재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40)는, 카메라부(30)에 의하여 먼지를 촬영하되, 촬영시 해당 먼지를 아웃포커싱하여 촬영한 다음 그 상(이미지)을 확대한 후 감도가 향상된 영상으로 재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부(30)의 주요 구성인 볼록렌즈 및 오목렌즈 만으로 먼지를 촬영한 이미지를 아웃포커싱하여 상(이미지)을 확대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먼지 중 카메라부(30)가 정확한 초점에 맞추어 촬영하여 먼지의 이미지를 실배율로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출력할 경우 사용자에 의한 관찰이 용이하지 않은 0.1μm 지름의 미세먼지를 들어 설명한다.
예들 들어, 도 6a 및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카메라의 렌즈 중 볼록렌즈를 이용할 경우의 아웃포커싱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볼록렌즈의 허상을 이용할 경우, 촬영 대상인 먼지의 지름이 a이고, 확대될 먼지의 지름이 b이며, 먼지로부터 볼록렌즈 사이의 거리가 l일 경우, 미세먼지로 정의되는 0.1μm의 먼지를 1mm의 지름을 가지는 원으로 확대한다고 가정할 경우, 이므로, 이다. 여기서, a,b값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미세먼지로부터 볼록렌즈 사이의 거리(l)에 약 10000배에 해당하는 확대거리(x)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카메라부(30)의 전체 전장이 최소 10cm 이상을 가져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메라부(30)로 채택될 구성 요소로서는 적합하지 못하다.
한편,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볼록렌즈의 실상을 이용할 경우에는, 초점을 카메라부(30)가 고정된 좌,우 측면 패널(13)에 대향하는 측면 패널(예를 들면, 카메라부(30)가 좌측면 패널(13)에 고정된 경우 카메라부(30)에 의하여 촬상 초점을 반대편의 우측면 패널(13)의 내측면으)로 고정하여 촬영할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아웃포커싱이 이루어진다. 이때, 먼지의 지름 a와 확대된 지름 b의 관계는 와 같다[A = 산란 빛과 렌즈가 이루는 각도, =통 길이, =미세먼지와 렌즈 사의의 거리]와 같다. 따라서, 카메라부(30)의 볼록렌즈의 실상을 이용할 경우에는 적합하다.
그러나, 도 6c에 참조된 바와 같이, a= 0.1(PM0.1의 미세먼지 지름), b = 1mm(확대된 먼지의 지름), p = 초점 길이, t = 오목 거울의 두께, = 확대 거리로 정의하고, 볼록렌즈와 같이 PM0.1미세먼지를 1mm의 지름을 가지는 원으로 확대한다고 가정할 경우, 의 수식이 성립되고, 여기서 로 산출되므로, a, b의 값을 넣어 계산하면 약 =10000-이다. 만일 초점길이()가 보다 작다면 확대 거리를 줄일 수 있어 아웃포커싱 가능한 카메라부(30)로 적용 가능할 수 있지만, 실제 그 가능 여부는 미지수이다.
따라서, 카메라부(30)에 촬영되는 미세먼지를 아웃포커싱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카메라부(30)의 사양 및 종류에 커다란 한계점에 직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40)는, 카메라부(30)에 의하여 촬영된 먼지의 크기가 설정 크기 미만이면, 먼지농도 감지 센서(22)(레이저 발광부(20) 및 레이저 수광부(21))에 의하여 측정된 여과전 암실(S1) 및 여과후 암실(S2)의 먼지 농도를 토대로 먼지 상태의 영상을 재처리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먼지의 설정 크기는, 통상적으로 미세먼지의 정의를 위해 사용되는 먼지의 크기로 설정됨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도 6a 내지 도 6c에서 밝힌 바와 같이, 그 지름이 0.1μ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문자 이미지 형태 및 색채로 이루어진 그라데이션 바 형태로 실내공기의 상태 및 필터부(50)의 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가운데의 필터부(50)를 기준으로 하는 일측 여과전 암실(S1)과 타측 여과후 암실(S2)의 먼지의 흐름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일측 여과전 암실(S1)과 타측 여과후 암실(S2)의 먼지 이미지의 분포도를 토대로 필터부(50)의 필터율을 퍼센티지(%)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40)는,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카메라부(30)에 의하여 촬영된 먼지 이미지를 그대로 그 크기 및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여 출력할 필요는 없으며, 먼지농도 감지 센서(22)에 의하여 측정된 먼지 농도의 대소에 따라 여과전 암실(S1)과 여과후 암실(S2)을 디스플레이하는 공간에 동일 크기의 먼지 이미지의 밀도가 상이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는,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카메라부(30)에 의하여 촬영된 먼지의 크기가 상술한 미세먼지의 크기(설정 크기) 이상이면 먼지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먼지 상태의 영상을 재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먼지의 지름이 0.1μm이상인 일반 먼지의 경우 카메라부(3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재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하여 출력하고, 먼지의 지름이 0.1μm미만인 미세 먼지의 경우, 먼지농도 감지 센서(22)에 의하여 측정된 먼지 농도를 토대로 영상을 재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하여 출력하는 이원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본체 10: 송풍부
11: 하부 패널 13: 좌,우 측면 패널
15: 상부 패널 16: 공기 토출부
17: 전면 패널 18: 공기 흡입부
19: 흡입 그릴 20: 레이저 발광부
21: 레이저 수광부 22: 먼지농도 감지 센서
30: 카메라부 40: 디스플레이부
50: 필터부 51: 필터 체결 슬릿
60: 차폐 투광부 S1: 여과전 암실
S2: 여과후 암실 S3: 촬영 암실
11: 하부 패널 13: 좌,우 측면 패널
15: 상부 패널 16: 공기 토출부
17: 전면 패널 18: 공기 흡입부
19: 흡입 그릴 20: 레이저 발광부
21: 레이저 수광부 22: 먼지농도 감지 센서
30: 카메라부 40: 디스플레이부
50: 필터부 51: 필터 체결 슬릿
60: 차폐 투광부 S1: 여과전 암실
S2: 여과후 암실 S3: 촬영 암실
Claims (14)
- 필터부에 의하여 먼지의 여과 전 및 여과 후가 구획되도록 암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암실에 배치되어 레이저를 발광시키는 레이저 발광부와;
상기 암실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 의하여 발광된 레이저에 의하여 가시화된 상기 여과 전의 암실(이하, ‘여과전 암실’이라 칭함)과 여과 후의 암실(이하, ‘여과후 암실’이라 칭함)의 먼지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여과전 암실 및 여과후 암실의 먼지 상태를 외부 사용자에게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실은, 상기 먼지가 여과되기 전의 상기 여과전 암실과; 상기 먼지가 여과된 후의 상기 여과후 암실과; 상기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 투광판에 의하여 상기 여과전 암실 및 여과후 암실과 구획되는 촬영 암실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촬영 암실에 배치된 공기청정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 투광판은,
아크릴 재질의 투광판으로 구비된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차폐 투광판을 투과하여 상기 여과전 암실과 여과후 암실의 먼지 상태를 동시에 촬영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 의하여 발광된 레이저를 수렴하는 레이저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레이저 발광부 및 레이저 수광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여과전 암실 및 여과후 암실의 먼지 농도를 토대로 먼지 상태의 영상을 재처리하여 출력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먼지의 크기가 설정 크기 미만인 경우에 먼지 농도를 토대로 먼지 상태의 영상을 재처리하며, 상기 설정 크기는 미세먼지의 정의를 위해 사용되는 먼지의 크기로 설정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먼지를 아웃포커싱하여 상을 확대한 후 감도가 향상된 영상인 공기청정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출력되는 재처리 영상은,
측정된 상기 먼지 농도의 대소에 따라 동일 크기의 먼지 이미지의 밀도가 상이하게 출력되는 영상인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 의하여 발광된 레이저를 수렴하는 레이저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먼지의 크기가 설정 크기 이상이면, 상기 먼지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먼지 상태의 영상을 재처리하여 출력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암실로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실은, 상기 송풍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암실의 전방부를 차폐하고, 상기 암실로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전방 패널과;
상기 암실의 좌우 측부를 차폐하는 좌,우 측면 패널과;
송풍부 및 상기 암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패널과;
상기 암실의 상부를 차폐하는 상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좌,우 측면 패널 중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광부와 상기 차폐 투광판의 하단은 상기 하부 패널의 상면에 고정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 의하여 발광된 레이저를 수렴하는 레이저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수광부 및 상기 차폐 투광판의 상단은 상기 상부 패널의 하면에 고정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암실로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유동력을 발생시키고, 전면에 송풍 그릴이 내외로 연통되게 형성된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송풍 그릴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공기청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4773A KR101790681B1 (ko) | 2016-04-12 | 2016-04-12 | 공기청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4773A KR101790681B1 (ko) | 2016-04-12 | 2016-04-12 | 공기청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6766A KR20170116766A (ko) | 2017-10-20 |
KR101790681B1 true KR101790681B1 (ko) | 2017-11-20 |
Family
ID=6029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4773A KR101790681B1 (ko) | 2016-04-12 | 2016-04-12 | 공기청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068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5617B1 (ko) * | 2018-02-23 | 2020-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1079B1 (ko) * | 2004-05-25 | 2005-1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청정기 |
JP2013174611A (ja) * | 2003-05-14 | 2013-09-05 | Vfs Technologies Ltd | 粒子検出器 |
-
2016
- 2016-04-12 KR KR1020160044773A patent/KR1017906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74611A (ja) * | 2003-05-14 | 2013-09-05 | Vfs Technologies Ltd | 粒子検出器 |
KR100531079B1 (ko) * | 2004-05-25 | 2005-1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청정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6766A (ko) | 2017-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71868B2 (ja) | 病原体および微粒子検出システム及び検出方法 | |
JP5667079B2 (ja) | 粒径及び蛍光の同時検出のための小型検出器 | |
CN102192898B (zh) | 感烟探测器 | |
KR101419654B1 (ko) | 광학식 입자 검출 장치 및 입자 검출 방법 | |
US10309876B2 (en) | Cartridge for airborne substance sensing device, and airborne substance sensing device | |
JP2007057360A (ja) | 粒子検出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粒子検出方法 | |
KR20170097391A (ko) | 미세 먼지 감지용 센서장치 | |
JP6558315B2 (ja) | 気泡径分布測定装置及び気泡径分布測定方法 | |
KR101790681B1 (ko) | 공기청정기 | |
US20170084019A1 (en) | Detecting device, detecting module and detecting method | |
KR100836725B1 (ko) | 공기청정기용 먼지 센서의 보상 제어방법 | |
JP2017513012A (ja) | 粒子混合物の粒子サイズおよび/または粒子形状を決定するための装置 | |
JP2008234416A (ja) | 煙感知器 | |
Prabakar et al. | Evaluation of low cost particulate matter sensor for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 |
JP3502259B2 (ja) | 微粒子検知装置 | |
CN108120659A (zh) | 一种具有自归零校准的粒子浓度检测系统和方法 | |
JPH0783830A (ja) | 花粉センサ | |
JPH0527654U (ja) | 空気汚れ検出装置 | |
JP6130274B2 (ja) | 検査方法 | |
CN207472723U (zh) | 一种具有自归零校准的粒子浓度检测系统 | |
KR100542098B1 (ko) | 송풍기기의 먼지 가시화 장치 | |
JP2000065673A5 (ko) | ||
JP2007057315A (ja) | 表面検査装置 | |
WO2019207817A1 (ja) | 安全キャビネット | |
KR102588527B1 (ko) | 이물질 감지 센서,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