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181B1 -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 Google Patents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181B1
KR101790181B1 KR1020150106135A KR20150106135A KR101790181B1 KR 101790181 B1 KR101790181 B1 KR 101790181B1 KR 1020150106135 A KR1020150106135 A KR 1020150106135A KR 20150106135 A KR20150106135 A KR 20150106135A KR 101790181 B1 KR101790181 B1 KR 101790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cover member
supply pipe
annular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3119A (ko
Inventor
김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창터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창터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창터보텍
Priority to KR102015010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1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B01F3/04241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B01F2215/005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반경의 중공을 가지는 원형판으로 형성되고, 공기공급 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공급 파이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제2 반경의 중공을 가지는 원형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복수의 천공들을 가지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수 및 폐수 처리 시설에 설치되어 미생물이 호흡할 수 있는 산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LOOP SHAPED DISK AIR DIFFUSER}
본 발명은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 및 폐수 처리 시설에 설치되어 미생물이 호흡할 수 있는 산소를 제공할 수 있는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및 폐수의 처리를 위한 하, 폐수 처리장은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도록 하여 수중의 각종 유기물질에서 호기성 발효를 발생하도록 하는 산기장치가 장착된다. 산기장치는 미세기포로 공기를 공급하여 물속에 공기 중의 산소가 보다 효과적으로 스며들도록 하는 것으로, 디스크형과 봉형으로 구분된다.
디스크형은 나팔관 형상을 갖고 산소공급 파이프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거나 또는 산소공급 파이프의 끝단에 단독으로 설치되어 폭기조에 용존산소를 공급할 수 있고, 봉형은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파이프의 상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을 갖고 폭기조의 저면에 설치되어 폭기조에 용존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크형 산기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전면에 배치된 산기홀을 통해 미세 기포가 발생하여 산기작용을 하게 되는데, 산소기포가 미세 사이즈일수록 산기작용의 효과가 높아진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크형 산기장치는 산기홀을 통해 배출되는 기포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서로 융합되어 미세 사이즈를 상실하게 됨으로써 수중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6835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560호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6835호는 베이스, 천공커버 및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산기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천공 커버가 베이스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고정기구에 의해 베이스에 조립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공기 안내실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커버를 구비하여 공기공급 파이프로 오폐수나, 슬러지,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560호는 하우징, 루버판넬 및 고정캡을 포함하는 하수 및 폐수 처리장용 산기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루버판넬에 형성된 산기홀을 외의 다른 곳에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산소공급 파이프와의 연결부가 장기간의 진동에도 손상되지 않고 밀폐상태를 유지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천공 커버에 복수의 통공이 모두 형성되어 있어 복수의 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융합되어 산소 공급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6835호(2013.03.18)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560호(2013.01.02)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수 및 폐수 처리 시설에 설치되어 미생물이 호흡할 수 있는 산소를 제공할 수 있는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에 형성된 중공에 의해 수중으로 배출되는 기포들 간의 충돌에 따른 융합을 방지하여 폭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이 있는 커버를 통해 본체를 감쌈으로써 커버와 본체 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 반경의 중공을 가지는 원형판으로 형성되고, 공기공급 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공급 파이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제2 반경의 중공을 가지는 원형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복수의 천공들을 가지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주면 및 외주면 각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 홈부를 포함하는 격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출부가 상기 걸림 홈부에 끼워져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하여 상기 복수의 천공들을 통해 상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부는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기의 순환을 위한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공급 파이프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형판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천공들은 상기 커버 부재의 수직 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형판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식의 단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천공들은 천공 각도가 상기 커버 부재의 상부로 갈수록 수직에 가까워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수 및 폐수 처리 시설에 설치되어 미생물이 호흡할 수 있는 산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앙에 형성된 중공에 의해 수중으로 배출되는 기포들 간의 충돌에 따른 융합을 방지하여 폭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이 있는 커버를 통해 본체를 감쌈으로써 커버와 본체 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의 설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의 본체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의 커버 부재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의 커버 부재의 탄성 변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의 형상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의 형상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의 설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100)는 하수 또는 폐수를 처리하는 폭기조(20)에 설치된 공기공급 파이프(1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100)는 본체(110)를 통해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커버 부재(120)에 형성된 복수의 천공들을 통해 미세한 공기방울로 분사하여 폭기조(20) 내의 수중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킨다. 여기에서, 공기 방울은 크기가 작을수록 폭기조(20)의 수중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100)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천공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방울들 간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공기 방울들의 융합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중 용존산소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100)는 제1 반경의 중공을 가지는 원형판으로 형성되고, 공기공급 파이프(10)와 연결되어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본체(110) 및 제2 반경의 중공을 가지는 원형판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상부를 감싸고,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복수의 천공들을 가지는 커버 부재(12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및 도 4에서 본체(110) 및 커버 부재(1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의 본체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제1 반경의 중공을 가지는 원형판으로 형성되고, 공기공급 파이프(10)와 연결되어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11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되어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폭기조(20) 내에서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11)는 본체(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기공급 파이프(1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내부가 뚫려있어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구(111)는 폭기조(20)의 하수 및 폐수의 오염 상태에 따라 본체(110)에 하나 또는 두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111)는 폭기조(20)의 하수 및 폐수의 오염 상태가 심하면 본체(110)의 하부면에 두개 형성되어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공기를 더 공급받을 수 있다.
본체(110)는 공기 유입구(111)의 형성 개수에 따라 공기공급 파이프(10)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연결부(미도시)는 본체(1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공기공급 파이프(10)의 상부와 연결됨으로써 본체(110)를 공기공급 파이프(1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0)는 공기 유입구(111)가 하나 형성된 경우 파이프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공기공급 파이프(10)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공기 유입구(111)가 두개 형성된 경우 파이프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체(110)의 하부면은 내주면 및 외주면 각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 홈부(112-1, 112-2)를 포함하는 격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의 하부면은 복수의 수평 격벽들 및 복수의 수직 격벽들을 포함하는 격자로 형성됨으로써 평평한 형상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 내주면의 걸림 홈부(112-1)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부 오목하게 형성되어 커버 부재(120)의 내주면의 걸림 돌출부(122-1)가 일대일 대응하여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체(110) 외주면의 걸림 홈부(112-2)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부 오목하게 형성되어 커버 부재(120)의 외주면의 걸림 돌출부(122-2)가 일대일 대응하여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체(110)는 내주면의 걸림 홈부(112-1) 및 외주면의 걸림 홈부(112-2)가 커버 부재(120)의 내주면의 걸림 돌출부(122-1) 및 외주면의 걸림 돌출부(122-2)와 각각 끼움 결합되고, 이에 따라 본체(110)의 상부면이 커버 부재(120)에 의해 감싸지게 되어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110) 내주면 및 외주면의 걸림 홈부(112-1, 112-2)는 상기에서 기재된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커버 부재(120)의 내주면 및 외주면 각각과 맞물려 본체(110)와 커버 부재(120) 사이의 내부가 밀봉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것도 채택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110)의 상부면은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공기 흐름 가이드 격벽(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흐름 가이드 격벽(미도시)은 본체(110) 상부면의 내주면 및 외주면 사이에서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커버 부재(120)로 흐르도록 가이드하여 공기의 외부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흐름 가이드 격벽(미도시)은 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식의 단층으로 형성되어 공기를 커버 부재(120)의 천공(121)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공기 흐름 가이드 격벽(미도시)은 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기를 커버 부재(120)의 천공(121)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의 커버 부재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의 커버 부재의 탄성 변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120)는 제2 반경의 중공을 가지는 원형판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상부를 감싸고,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복수의 천공들(12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반경은 본체(110)의 제1 반경보다 작게 구현되어 커버 부재(120)가 본체(110)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커버 부재(12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로 구현되어,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하여 복수의 천공들(121)을 개폐시킴으로써 복수의 천공들(121)을 통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도 5 참고).
또한, 커버 부재(120)는 특정 높이를 가지도록 외부로 일부 돌출되어 본체(110)와의 사이에서 공기 순환을 위한 일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천공들(121)은 커버 부재(1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지 않으면 막혀있고,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으면 커버 부재(120)의 팽창으로 인해 오픈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천공들(121)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외부로 배출된 공기들 간의 충돌에 따른 융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산기장치의 중앙에서 기포가 발생하면 기포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중앙의 기포를 중심으로 기포들이 융합됨으로써 기포의 사이즈가 커지는 반면, 산기장치의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중앙에서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면 기포가 방사형으로 배출되어 기포의 사이즈가 미세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산기장치의 중앙에 기포 기둥이 형성되면 코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유수 흐름과의 융합작용에 의해 기포가 모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본 발명은 산기장치의 중앙에 중공을 형성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커버 부재(120)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 돌출부(122-1, 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 돌출부(122-1, 122-2)는 단면이 T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120) 내주면의 걸림 돌출부(122-1)는 내주면 기준으로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내주면의 걸림 홈부(112-1)에 일대일 대응하여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120) 외주면의 걸림 돌출부(122-2)는 외주면 기준으로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외주면의 걸림 홈부(112-2)에 일대일 대응하여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120)는 내주면의 걸림 돌출부(122-1) 및 외주면의 걸림 돌출부(122-2)가 본체(110)의 내주면의 걸림 홈부(112-1) 및 외주면의 걸림 홈부(112-2) 각각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본체(110)의 상부면을 감쌀 수 있다.
한편, 커버 부재(120) 내주면 및 외주면의 걸림 돌출부(122-1, 122-2)는 상기에서 기재된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본체(110)의 내주면 및 외주면 각각과 맞물려 본체(110)와 커버 부재(120) 사이의 내부가 밀봉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것도 채택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111)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방지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방지 부재(미도시)는 필터 역할을 수행하여 커버 부재(120)의 복수의 천공들(121)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의 형상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100)의 본체(110)는 원형판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즉, 중공된 중심이 볼록하도록 형성됨)되고, 커버 부재(120)는 본체(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본체(110)의 상부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120)의 복수의 천공들(121)은 커버 부재(120)의 수직 방향(a)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방사형으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기는 일정각도 경사진 복수의 천공들(121)을 통해 상호 배출되는 거리가 멀어져 충돌에 따른 융합 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의 형상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100)의 본체(110)는 원형판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식의 단층으로 형성되고, 커버 부재(120)는 본체(110)의 상부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120)의 복수의 천공들(121)은 천공 각도가 커버 부재(120)의 상부로 갈수록 수직에 가까워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기공급 파이프(10)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해당 경사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기는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는 복수의 천공들(121)을 통해 상호 배출되는 거리가 멀어져 충돌에 따른 융합 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110: 본체
111: 공기 유입구
112: 걸림 홈부
120: 커버 부재
121: 천공
122: 걸림 돌출부
10: 공기공급 파이프
20: 폭기조

Claims (8)

  1. 제1 반경의 중공을 가지는 원형판으로 형성되고, 공기공급 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공급 파이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며, 내주면 및 외주면 각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 홈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감싸고 제2 반경의 중공을 가지는 탄성 재질의 원형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하고, 상기 공기공급 파이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지 않으면 폐쇄되어 있고 상기 공기공급 파이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으면 개방되도록 상기 공기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복수의 천공들을 가지며, 내주면 및 외주면 각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걸림 홈부 각각과 끼움 결합되는 단면이 T 형상의 걸림 돌출부를 포함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경의 중공 및 상기 제2 반경의 중공을 통해 상기 복수의 천공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방울들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방사형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 방울들 간의 충돌을 감소시켜 상기 공기 방울들의 융합을 방지하고, 상기 공기 방울들이 융합되었을 때의 수중 용존산소량 대비 수중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는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부는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공기의 순환을 위한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공급 파이프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형판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천공들은 상기 커버 부재의 수직 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형판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식의 단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천공들은 천공 각도가 상기 커버 부재의 상부로 갈수록 수직에 가까워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KR1020150106135A 2015-07-27 2015-07-27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KR101790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135A KR101790181B1 (ko) 2015-07-27 2015-07-27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135A KR101790181B1 (ko) 2015-07-27 2015-07-27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119A KR20170013119A (ko) 2017-02-06
KR101790181B1 true KR101790181B1 (ko) 2017-10-25

Family

ID=5810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135A KR101790181B1 (ko) 2015-07-27 2015-07-27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1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507B1 (ko) * 2012-11-19 2013-05-27 (주)에이엔티이십일 산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60Y1 (ko) 2010-10-14 2013-01-08 주식회사 카멕스이엠 하수 및 폐수 처리장용 산기장치
KR101246835B1 (ko) 2012-11-19 2013-04-03 고명한 산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507B1 (ko) * 2012-11-19 2013-05-27 (주)에이엔티이십일 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119A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3357T3 (es) Regulador del chorro
CN103553208B (zh) 一种曝气器
PT1785193T (pt) Componente de instalação sanitária
CN112916222A (zh) 一种出水装置
JP3983098B2 (ja) メンブレン散気装置
KR101790181B1 (ko) 환형 디스크 산기 장치
AU2018203313B2 (en) Air admittance valve
EP3207979B1 (en) Fine bubble diffuse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2002013651A (ja) 散気装置用逆流防止弁
KR100829882B1 (ko)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KR200493845Y1 (ko) 가구용 환기구
US11066314B2 (en) Water treatment aerator having bubble diffuser
TWI568685B (zh) Diffuser
KR102327500B1 (ko) 더블 에어벤트를 구비하는 파이프 모듈
CN215313205U (zh) 一种出水装置
JP2016190229A (ja) 散気装置の固定具及び浄化槽
JP7474602B2 (ja) 気液分散装置
KR200496111Y1 (ko) 가구용 환기구
KR102601504B1 (ko) 산기 장치
JP6576066B2 (ja) 架台、および、排水処理装置
CN214764368U (zh) 一种压缩气体净化装置
KR960009384B1 (ko) 비중조절이 가능한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접촉재 유니트
WO2023014243A1 (ru) Фильтрующий модуль
KR200400478Y1 (ko) 오폐수처리용 산기관
EP1504226B1 (en) Device for displacement ventilation including filters, sound absorbers and a fan unit supported in a block of sound absorb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