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139B1 -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 Google Patents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139B1
KR101790139B1 KR1020150160796A KR20150160796A KR101790139B1 KR 101790139 B1 KR101790139 B1 KR 101790139B1 KR 1020150160796 A KR1020150160796 A KR 1020150160796A KR 20150160796 A KR20150160796 A KR 20150160796A KR 101790139 B1 KR101790139 B1 KR 101790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odule
cabinet
decorative
poly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543A (ko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이정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복 filed Critical 이정복
Priority to KR1020150160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139B1/ko
Priority to CN201620465773.1U priority patent/CN205849099U/zh
Publication of KR20170057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장식 모듈과 이 모듈을 결합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표현이 가능한 장식장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다각형 모듈과, 상기 모듈에 목심(목다보)과 미니 픽스로 체결하는 패널을 규격화하여 상기 다각형 모듈에 패널을 체결하여 하나의 단위 장식 셀 구조를 형성하여 수직, 수평 방향으로 확장 조립하여 소요의 장식장을 형성하며,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동시에 체결 구조가 견고한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을 제공하고자, 장식 선반을 이루는 패널과 상기 패널을 상호 결합하는 연결재로 이루어지는 장식장에 있어서, 연결재는 단면상 다각형 모듈(10)로 길게 연장하여 이루고, 이 모듈의 길이 방향 다각 면에 패널(20)을 연결하기 위한 목심(30)과 미니픽스(40)의 로드를 압입하기 위한 홀(13, 14)을 요입 형성하여 이루고, 패널(20)의 대향 단면에 상기 목심과 미니픽스 로드를 끼워 결합하는 홀(23, 24)을 요입 형성한 체결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 상기 다각형 모듈(10)의 목심과 미니픽스에 패널(20)을 끼워 체결하여 단위 장식 셀(50)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The various expressions as prefabricated modules and the cabinet decorated by the combined module}
본 발명은 조립식 장식 모듈과 이 모듈을 결합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표현이 가능한 장식장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다각형 모듈과, 상기 모듈에 목심(목다보)과 미니 픽스로 체결하는 패널을 규격화하여 상기 다각형 모듈에 패널을 체결하여 하나의 단위 장식 셀 구조를 형성하여 수직, 수평 방향으로 확장 조립하여 소요의 장식장을 형성하며,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동시에 체결 구조가 견고한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장이라 함은 주로 소품을 정리하고 외부로 드러나는 경우에도 미적 감각을 고려하여 정갈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장식장의 범주는 매우 넓게 인식될 수 있으며, 책꽂이, 인테리어 소품 선반 등의 가정용 장식장이 알려져 있고, 산업적으로는 상품 판매를 목적으로 전시하는 신발장, 의류, 가방 및 화장품 등을 전시하는 다단의 장식장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을 통칭하여 장식장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식장들은 공장 출하 시부터 일정한 외형을 갖도록 고정형으로 제작되어 일종의 가구와 같이 취급되는 것들이 있고,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여 박스 형태를 이루는 다단의 조립체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전술한 고정형의 장식장들은 조립의 수고는 덜 수 있으나 설치 위치에 따라 불용재가 발생하기도 하고 외형의 변화와 운반에 많은 제약이 있다.
후술한 조립형 장식장들은 조립 외형이 단순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단순한 4각 박스 타입들이 주류를 이루며 이러한 4각 박스들은 다 단으로 적재 구성할 때 인접 박스와 중첩되는 격벽들이 발생하므로 인해 소재의 낭비가 심하며 개별 박스를 별도로 고정하지 않으면 박스들이 서로 미끄러져 전복의 우려가 커 긴 연장과 높이로 시설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도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조립형 장식장들이 안출된 바 있으며, 크게 구분하여 살펴보면,
1) 수직 기둥 재와 수평 지지 재에 선반을 얻어 이루거나 또는 수직 기둥 재 만으로 이루어 선반을 조립하여 수평 지지 재를 생략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직 기둥과 수평 지지재를 포함하는 조립형 장식장과,
2) 일정 모양을 대향 조립하는 것에 의해 단위 셀 형태의 공간이 마련되어 기둥 재를 생략한 조립형 장식장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에 의하면 단순히 조립형이라는 점 이외에 다양한 공간에 다양한 형태로 장식장을 이루기 어렵다는 제한이 있다.
또한, 해체 상태의 장식장을 사용자가 직접 조립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그 부분품의 구성이 난해하여 조립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과 대비될 최선의 기술로써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464948호의 조립식 진열장과 대응하는 장식장을 이루고 있다.
상기 조립식 진열장을 살펴보면, 사다리꼴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양측 단에 조립공을 갖는 결합플렌지를 형성하는 상,하 브라켓을 상하 대향된 위치에서 결합
하여 내부에 진열공간부를 형성하는 하나의 기본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기본유닛을 상하나 좌우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 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 조립 구조를 살펴보면 하니컴 모양의 진열 공간부를 상하 좌우로 연속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철재와 같이 절곡 가공할 수 있는 소재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므로 철재 장식장 이외에 다른 질감을 제공하기는 어렵고 운반 하중도 무거워 이동 설치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으며 공간에 설치 형태도 단순하게 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KR 0464948 Y1 KR 1338361 B1 KR 2009-22156 A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조립에 의하여 단위 장식 셀을 이루도록 규격화한 모듈과 이 모듈에 끼워 체결하는 패널을 규격화하여 다양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각형 모듈에 결합하는 상기 패널을 기본적으로는 방형, 추가적으로는 삼각형 및 원호 형으로 규격화하여 마련하여 전체적으로 장식장 조립을 이루면 직선 유형, 직각으로 꺾인 유형, 둔각으로 꺾인 유형 및 360도 전방위로 장식 셀이 배치되는 환형 등 다양하게 설치 공간에 따라 장식장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 실내 장식적인 구조의 표현이 용이하고 다양한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듈과 패널이 각각 동일 규격으로 이루어져 조립 및 해체 이동시에 적층이 용이하여 포장 및 운반이 용이한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각형 모듈과 패널을 목심과 미니 픽스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체결하여 다단의 단위 장식 셀을 형성하여도 구조적으로 안정되며 견고한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장식 선반을 이루는 패널과 상기 패널을 상호 결합하는 연결재로 이루되, 연결재는 단면상 다각형 모듈로 이루고 이 모듈의 다각 면에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목심과 미니픽스의 로드를 압입하여 이루고, 패널의 양단 면에 상기 목심과 미니픽스 로드를 끼워 결합하는 체결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은 방형, 삼각형, 원호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각형 모듈은 단면상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이루어 이 중에 선택한 동일 다각형 모듈과 패널의 결합에 의해 장식장을 이룬다.
상기 다각형 모듈은 패널 연장에 비해 길게 형성하여 패널 끝 부분을 은폐하도록 이루고 다각형 모듈의 다각 면에는 패널 끝 부분을 매입하는 요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택한 다각형 모듈의 다각 면에 모듈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패널을 체결하여 단위 장식 셀을 연속하여 조립 구성하고 선형으로 조립 구성되는 장식장을 특정 위치에서 직각, 둔각 및 전방위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삼각형, 원호 형 패널을 혼합 조립하여 다양한 장식장을 이룬다.
이상의 본 발명은 조립에 의하여 단위 장식 셀을 이루도록 규격화한 다각형 모듈과 이 모듈에 끼워 체결하는 패널을 규격화하여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고, 다각형 모듈에 결합하는 상기 패널을 기본적으로는 방형, 추가적으로는 삼각형 및 원호 형으로 규격화하여 마련하여 전체적으로 장식장 조립을 이루면 직선 유형, 직각으로 꺾인 유형, 둔각으로 꺾인 유형 및 360도 전방위로 장식 셀이 배치되는 환형 등 설치 공간에 따라 장식장을 설치할 수 있으며, 모듈과 패널이 각각 동일 규격으로 이루어져 조립 및 해체 이동시에 적층이 용이하여 포장 및 운반이 용이한 동시에 다각형 모듈과 패널을 목심과 미니 픽스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체결하여 다단의 단위 장식 셀을 형성하여도 구조적으로 안정되며 견고한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로서 다각형 모듈 중 삼각형 모듈과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a)와 동 측면도(b)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다각형 모듈 중 사각형 모듈과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a)와 동 측면도(b) 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다각형 모듈 중 육각형 모듈과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a)와 동 측면도(b) 상태로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각형 모듈에 결합하는 패널로써 (a)는 방형 패널, (b)는 삼각형 패널 및 (c)는 원호형 패널을 도시한 외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각형 모듈과 패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 발명의 외형 사시도.
도 7은 도 2 발명의 외형 사시도.
도 8은 도 3 발명의 외형 사시도.
도 9는 도 1, 3 발명을 적용한 일 예의 장식장 조립 상태 외형도.
도 10은 도 1, 3 발명을 적용한 다른 예의 장식장 조립 상태 외형도.
도 11은 도 1, 3 발명을 적용한 또 다른 예의 장식장 조립 상태 외형도.
도 12는 도 1, 3 발명을 적용한 또 다른 예의 장식장 조립 상태 외형도.
도 13은 도 1, 3 발명과 도 2 발명을 혼합 적용한 예의 장식장 조립 상태 외형도.
이하,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은 장식 선반을 이루는 패널과 상기 패널을 상호 결합하는 연결재로 이루어지는 장식장에 있어서, 연결재는 단면상 다각형 모듈(10)로 길게 연장하여 이루고 이 모듈의 길이 방향 다각 면에 패널(20)을 연결하기 위한 목심(30)과 미니픽스(40)의 로드를 압입하기 위한 홀(13, 14)을 요입 형성하여 이루고, 패널(20)의 대향 단면에 상기 목심과 미니픽스 로드를 끼워 결합하는 홀(23, 24)을 요입 형성한 체결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20)은 방형, 삼각형, 원호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다각형 모듈(10)은 단면상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이루어 바람직하기에는 동일 다각형 모듈과 패널의 결합에 의해 장식장을 이룬다.
물론 후술하지만 삼각형 및 또는 육각형과 사각형 모듈을 혼합하고 패널을 결합하여 장식장을 이룰 수도 있다.
상기 다각형 모듈(10)은 패널(20) 연장에 비해 길게 형성하여 패널 끝 부분을 은폐하도록 이루고 다각형 모듈(10)의 다각 면에는 패널(20) 끝 부분을 매입하는 요홈(16)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택한 다각형 모듈의 다각 면에 모듈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패널을 체결하여 내부 구획 공간을 형성하는 단위 장식 셀(50)을 연속하여 조립 구성하여 장식장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다각형 모듈(10)은 언급한 바와 같이 단면상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듈은 그 형상은 상이하나 다각 면에 패널을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의 다각형 모듈 모두 동일한 작용을 이루므로 동일한 부호로써 설명하기로 하며, 패널(20)은 방형을 기본으로 하여 일정 각도 장식장을 꺾어 조립하고자 할 때 적용하는 삼각형 패널(22)과 직각으로 꺾어 조립하고자 할 때 적용하는 원호 형 패널(24)로 구분하며 특별한 구분없이 패널로 지칭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로써 26은 미니픽스 클램프 삽입 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 구성을 이루는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이 모듈과 패널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장식장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다각형 모듈(10)에 패널(20)을 끼워 결합하여 하나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단일 장식 셀(50)을 구현한다.
상기 모듈(10)과 패널(20)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듈과 패널은 각각 동일한 길이로 규격화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느 위치에 어떤 모듈과 패널을 결합하더라도 모두 호환이 가능하여 조립 작업성과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각형 모듈을 이용한 장식장 조립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 도시의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삼각형 또는 육각형 단면을 갖는 다각형 모듈(10)과 이 모듈 사이에 120도 등 간격으로 방사상 결합하는 패널(20)에 의하여 최대 6개의 다각형 모듈과 또한 동수의 패널에 의해 하나의 단위 장식 셀(50)을 구획 형성한다.
상기 다각형 모듈은 단면상 삼각형이거나 육각형의 다각형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다각형 모듈(10)에 끼워 결합하는 패널(20)은 패널 끝 부분이 다각형 모듈의 긴 요홈(16)에 부분적으로 매립되는 상태로 홀(13)에는 목심(30)을 압입 고정하여 두고, 홀(14)에는 원터치 체결을 위한 미니 픽스(40)의 일단을 체결 고정하여 준비하고 이 다각형 모듈의 다각 면에 대향 조립되는 패널(20)에 마련한 홀(23, 24)에 상기 목심과 미니픽스가 삽입되어 결합을 이루며 미니 픽스(40)는 클램프(42)로써 체결을 이루는바 이러한 미니픽스는 조립 가구 분야에서는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다각형 모듈(10)과 패널(20)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하여 도 9 도시와 같이 수직 수평 방향으로 반복되는 장식장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장식장은 수직 수평 방향으로 무한하게 단위 장식 셀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될 위치의 공간에 맞추어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0 도시의 장식장의 경우에는 단면상 육각형 모듈이 사용된 것으로 단위 장식 셀(50) 사이에 삼각 모양의 장식 셀(52)이 추가로 구성되며 외형적으로 변화된 장식장을 얻는 동시에 구조적으로도 강화된 장식장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1 도시의 장식장은 전술한 도 9 도시의 장식장을 90도 꺾어 설치한 것으로 단위 장식 셀(50) 일부에 원호 형 패널(24)을 개재하여 전체적으로는 굴절형으로 이루어지며 굴절형이라 함은 적어도 "ㄱ"자 또는 "ㄴ"자 및 "ㄱ,ㄴ"자가 교차로 배치될 수 있도록 장식장을 조립 구성한 것이다.
도 12 도시의 장식장은 수직 열을 이루는 단위 장식 셀(50)과 인접하는 다른 수직 열의 단위 장식 셀(50) 사이에 삼각형 패널(22)을 개재하여 전체적으로는 원형에 가까운 장식장을 조립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방형 패널과 삼각형 패널 및 원호 형 패널을 적절히 조합하여 장식장을 이루면 도시하고 설명한 상기 장식장 이외에도 다양한 장식장 조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선형으로 조립 구성되는 장식장을 특정 위치에서 직각, 둔각 및 전방위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 도시의 장식장은 다각형 모듈(10) 중 단면상 삼각형 모듈과 사각형 모듈을 혼합하여 규격이 일정한 패널(20)로 결합 구성한 것으로 단위 장식 셀의 형상을 좀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규격화된 다각형 모듈과 패널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장식장 조립 구성이 가능하므로 인테리어나 상품 전시 공간 등에 사용자의 취향과 제품 이미지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공간을 연출하는 장식장을 구현할 수 있다.
10 : 다각형 모듈 13, 14, 23, 24 : 홀
16 : 요홈 20 : 패널
22 : 삼각형 패널 24 : 원호형 패널
30 : 목심 40 : 미니픽스
42 : 클램프 50 : 단위 장식 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장식 선반을 이루는 패널과 상기 패널을 상호 결합하는 연결재,
    연결재는 길이 방향으로 길고, 단면상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다각형 모듈(10),
    상기 모듈의 길이 방향 다각 면에 패널(20)을 연결하기 위한 목심(30)과 미니픽스(40)의 로드를 압입하기 위한 홀(13, 14)을 요입 형성하여 이루고,
    패널(20)의 대향 단면에 상기 목심과 미니픽스 로드를 끼워 결합하는 홀(23, 24)을 요입 형성한 체결 구조를 이루고,
    상기 다각형 모듈(10)의 목심과 미니픽스에 패널(20)을 끼워 체결하여 단위 장식 셀을 구성하되, 선택한 다각형 모듈의 다각 면에 모듈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패널을 체결하여 내부 구획 공간을 형성하는 단위 장식 셀(50)을 수직 수평 방향으로 연속, 조립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장식장에 있어서,
    상기 장식장은 단면상 육각형 모듈로 이루어지며 단위 장식 셀(50) 사이에 삼각 모양의 장식 셀(52)이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장.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식장의 단위 장식 셀(50) 일부에 원호 형 패널(24)을 개재하여 전체적으로는 굴절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장.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식장은 수직 열을 이루는 단위 장식 셀(50)과 인접하는 다른 수직 열의 단위 장식 셀(50) 사이에 삼각형 패널(22)을 개재하여 전체적으로는 원형을 이루도록 조립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장.
  11. 삭제
KR1020150160796A 2015-11-17 2015-11-17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KR10179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96A KR101790139B1 (ko) 2015-11-17 2015-11-17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CN201620465773.1U CN205849099U (zh) 2015-11-17 2016-05-20 能借助模块结合进行多种表现的组装式装饰模块和装饰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96A KR101790139B1 (ko) 2015-11-17 2015-11-17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543A KR20170057543A (ko) 2017-05-25
KR101790139B1 true KR101790139B1 (ko) 2017-10-25

Family

ID=5764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796A KR101790139B1 (ko) 2015-11-17 2015-11-17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0139B1 (ko)
CN (1) CN20584909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158A (ko) 2021-04-14 2022-10-2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KR102551017B1 (ko) 2022-09-30 2023-07-05 주식회사 인자락 실내 자연생태 장식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0408A (zh) * 2017-07-28 2017-10-03 合肥哈工海渡工业机器人有限公司 一种多边形多位置可互换底板组
JP2023525858A (ja) * 2020-05-15 2023-06-19 シュイリン ドン 組立式キャビネッ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404Y1 (ko) * 2000-05-13 2001-01-15 윤호명 조인트 수단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404Y1 (ko) * 2000-05-13 2001-01-15 윤호명 조인트 수단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158A (ko) 2021-04-14 2022-10-2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KR102551017B1 (ko) 2022-09-30 2023-07-05 주식회사 인자락 실내 자연생태 장식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849099U (zh) 2017-01-04
KR20170057543A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139B1 (ko)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US9307834B2 (en) Vertical frame for display stand and multipurpose prefabricated display stand using same
US9194142B2 (en) Modular wall system for exhibition booths
KR101343850B1 (ko) 조립식 수납장
IE922736A1 (en) Free-standing shelving system
KR101665254B1 (ko)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US4008932A (en) Structural element
KR102290321B1 (ko) 장식 커버를 갖는 조립식 선반
KR20130136061A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JP3195205U (ja) 組み立て式棚
KR101677588B1 (ko) 조립식 가구
KR200464733Y1 (ko) 공간활용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진열장
US8677704B2 (en) Modular wall system
KR200451957Y1 (ko) 조립식 선반
KR20110000634U (ko) 수납공간을 전,후방 공간부로 구획 가능한 격벽을 갖는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
KR102032355B1 (ko) 조립식 진열대
KR200385887Y1 (ko) 알루미늄 합금형재로 된 진열장
KR20170050629A (ko) 못을 쓰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고 높낮이, 넓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꽂이
KR20110009672U (ko) 다용도 거치대
KR101190435B1 (ko) 다기능 가구
JP5460345B2 (ja) 組立て式構造体
KR200223723Y1 (ko) 다용도 진열장 조립장치
RU51465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стеллаж для предприятий торговли
KR200144177Y1 (ko) 간막이 기능을 겸비한 조립식 진열장의 조립구조
KR20120006956U (ko) 조립식 구조의 모듈러 공간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