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158A -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 Google Patents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158A
KR20220142158A KR1020210048546A KR20210048546A KR20220142158A KR 20220142158 A KR20220142158 A KR 20220142158A KR 1020210048546 A KR1020210048546 A KR 1020210048546A KR 20210048546 A KR20210048546 A KR 20210048546A KR 20220142158 A KR20220142158 A KR 20220142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odule
outer frame
main
dec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8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158A/ko
Publication of KR2022014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면을 막아주면서 벽면에 고정되는 일정 크기와 형상을 갖는 후면판(110)과, 상기 후면판(110)의 전면 테두리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실내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곽프레임(120)과, 상기 외곽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전시되는 실내 장식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외곽프레임(120)의 전면에 결합되는 투명 보호판(130)과, 상기 외곽프레임(120)의 일정 구간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내외부가 소통되도록 한 곳 이상의 개방부(140)를 포함하는 메인 장식모듈(100); 후면을 막아주는 후면판(110)과, 상기 후면판(110)의 전면 테두리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실내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곽프레임(220)과, 상기 외곽프레임(220)의 내측으로 전시되는 실내 장식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외곽프레임(220)의 전면에 결합되는 투명 보호판(230)과, 상기 외곽프레임(220)의 일정 구간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내외부가 소통되는 개방부(240)를 포함하는 한 개 이상의 서브 장식모듈(200,20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의 개방부(140)에 상기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개방부(240)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가 상호 소통되면서 하나의 장식공간부(160)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Ornament modul of protrusion type}
본 발명은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의 구조나 크기, 용도, 전시품의 종류 등에 따라 위치변경이 용이하고, 외관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실내공간 맞춤형으로 설치가 가능한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 주택 뿐만 아니라 사무실, 카페 등 공공이용시설 등의 경우, 실내 장식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소품, 기념품, 그림, 사진, 화초 등(이하, ‘실내 장식물’이라 총칭함)을 진열하여 전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실내 장식물들을 설치하거나 배치하는 경우,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고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외부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벽면에 장식하거나 벽면에 장식공간을 만들어 그 장식공간에 실내장식물을 전시하게 된다.
종래에 가장 일반적으로 실내 장식물을 전시하는 경우, 별도의 장식장을 이용하게 되는데, 장식장을 이용하는 경우 장식장의 크기에 따라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실내의 공간의 활용성이 떨어지고, 실내의 디자인과 조화가 이루기 어려우며, 장식장을 별도로 마련해야 등 여러가지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장식장을 이용하지 않고 벽체에 장식공간을 만들어 실내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벽체 일체형 장식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대공사가 필요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한번 설치한 경우 위치 이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벽체에 직접 실내장식물을 걸어 배치하는 경우, 실내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많은 갯수의 실내 장식물을 설치할 경우 벽체가 지저분해지고, 비정형적 배치로 외관미가 떨어지거나 실내 디자인과 부조화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실내 장식물 전시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 한국 등록특허 제10-1725663호(등록일: 2017.04.04) - 한국 등록특허 제10-2106649호(등록일: 2020.04.24) - 한국 등록특허 제10-1790139(등록일: 2017.10.19)
본 발명은 기존의 실내 장식물 배치 및 전시시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고 실내 디자인과 조화가 용이하며, 설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위치 이동이 편리하고, 전시되는 실내 장식물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장식모듈의 형태를 변형,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전시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실내 디자인과 조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을 제공하고지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은 후면을 막아주면서 벽면에 고정되는 일정 크기와 형상을 갖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전면 테두리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실내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측으로 전시되는 실내 장식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외곽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투명 보호판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정 구간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내외부가 소통되도록 한 곳 이상의 개방부를 포함하는 메인 장식모듈; 후면을 막아주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전면 테두리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실내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측으로 전시되는 실내 장식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외곽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투명 보호판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정 구간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내외부가 소통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한 개 이상의 서브 장식모듈; 을 포함하되, 한 개 이상 구비된 상기 메인 장식모듈의 개방부에 상기 서브 장식모듈의 개방부가 상호 결합되어 메인 장식모듈 내부와 서브 장식모듈의 내부가 상호 소통되면서 하나의 장식공간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메인 장식모듈과 서브 장식모듈이 일체로 결합된 장식공간부에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점소등이 이루어지는 장식용 조명등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 장식모듈 또는 서브 장식모듈의 외측면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장식공간부에는 상기 근접센서의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장식용 조명등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조명등 제어부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장식공간부에는 상기 근접센서의 동작신호에 따라 투명보호판에 실내 장식물의 해설을 문자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더 구비되어 장식모듈 접근자에게 장식모듈 내부에 전시된 실내 장식물을 설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장식모듈의 개방부와 상기 서브 장식모듈의 개방부에는 상호간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체결수단은 벽면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체결과 분리가 용이한 암수 구조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면판에는 전체 장식모듈 또는 메인 장식모듈의 좌우 무게중심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벽면에 설치된 고정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공은 장식모듈의 좌우 무게중심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개가 일체로 구성되어 고정구에 결합되는 고정공의 위치에 따라 전체 장식모듈의 설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식모듈의 장식효과 향상과 실내 디자인의 조화를 위해 메인 장식모듈에 결합되는 한 개 이상의 상기 서브 장식모듈이 상기 메인 장식모듈에 결합되는 한 개 이상의 상기 서브 장식모듈은 메인 장식모듈에 구비된 체결수단과 동일한 방식의 체결수단이 구비되되, 서브 장식모듈의 외곽프레임은 메인 장식모듈의 외곽프레임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은 실내에 장식물을 전시할 경우, 종래와 같이 기존 벽체를 훼손할 필요가 없어 대수선없이 필요한 공간에 그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이용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장식모듈의 전체 외관미에 영향을 주는 외곽프레임을 메인 장식모듈과 서브 장식모듈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의 크기나 구조, 장식물의 종류에 따라 맞춤형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번 설치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이 편리하고, 벽면에 설치된 표준 기울기에서 고정공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여 전체 장식모듈의 기울기를 변형하여 하나의 장식모듈로 다양하고 새로운 느낌을 갖도록 실내 인테리어를 꾸밀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식모듈로 근접할 경우, 내부에 구비된 장식용 조명등이 점등되고, 전시된 작품이나 내용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문구가 투명 보호판에 디스플레이되어 장식물의 장식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장식모듈과 서브 장식모듈의 내부 공간이 하나로 일체화된 장식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어서 장식물의 배치가 편리하고, 전체 장식물의 일체감과 동질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리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에 적용되는 체결수단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의 설치 및 조립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이 일정 기울기로 설치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은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소장품이나 장식품 등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위치이동이 용이하고,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장식공간부에 전시된 장식용품에 대해 간단한 설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은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전면 테두리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실내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어 내부 장식물을 보호하는 투명 보호판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정 구간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내외부가 소통되도록 한 곳 이상의 개방부를 포함하는 메인 장식모듈;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전면 테두리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실내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어 실내 장식물을 보호하도록 하는 투명 보호판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정 구간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내외부가 소통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한 개 이상의 서브 장식모듈;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한 개 이상 구비된 상기 메인 장식모듈의 개방부에 상기 서브 장식모듈의 개방부가 상호 결합되어 메인 장식모듈 내부와 서브 장식모듈의 내부가 상호 소통되면서 하나의 장식공간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메인 장식모듈과 서브 장식모듈이 일체로 결합된 장식공간부에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점소등이 이루어지는 장식용 조명등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 장식모듈 또는 서브 장식모듈의 외측면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장식공간부에는 상기 근접센서의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장식용 조명등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장식용 조명등 제어부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식공간부에는 상기 근접센서의 동작신호에 따라 투명보호판에 실내 장식물의 해설을 문자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 장식모듈의 개방부와 상기 서브 장식모듈의 개방부에는 상호간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체결수단은 벽면을 메인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체결과 분리가 용이한 암수 구조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면판에는 전체 장식모듈 또는 메인 장식모듈의 좌우 무게중심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벽면에 설치된 고정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공은 장식모듈의 좌우 무게중심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개가 일체로 구성되어 고정구에 결합되는 고정공의 위치에 따라 전체 장식모듈의 설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 장식모듈에 결합되는 한 개 이상의 상기 서브 장식모듈은 메인 장식모듈과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형태의 장식모듈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당업자가 통상의 기술수준에서 용이하게 구현 가능한 기술구성들에 대해서는 가급적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 위주로 설명을 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M)의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M)의 사시도에서 일부 확대도 및 일부 구성의 분리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장식모듈(M)은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그 내부에 비교적 크기 및 부피가 작은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M)은 중심부에 구성되는 메인 장식모듈(100)과,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의 좌우측에서 메인 장식모듈(100)과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전체 장식모듈을 구성하는 한 개 이상의 서브 장식모듈(200,202)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에 대해서 설명하면, 메인 장식모듈(100)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후면을 막아주는 판재 형상의 후면판(110)과, 상기 후면판(110)의 전면 테두리부를 따라서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실내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곽프레임(120)과, 상기 외곽프레임(120)의 전면에 결합되어 장식공간부(160)에 전시되는 장식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보호판(130)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후면판(110)에는 메인 장식모듈(100)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15)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공(115)은 메인 장식모듈(100) 또는 전체 장식모듈의 좌우측 무게중심부에 형성되어 좌우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곽프레임(120)은 후면판(110)의 전면 테두리부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일정 구간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내외부가 소통되도록 어느 한 곳 이상, 바람직하게는 좌우 양쪽에 개방부(140,14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과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외곽프레임(120,220)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경우, 반구형 또는 라운드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함몰되는 구조의 유선형 타입으로 구성되어 상부측과 하부측이 상호 대칭 또는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외적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개 이상의 서브 장식모듈(200,202)은 후면판(110)과, 후면판(110)의 전면 테두리부에서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외곽프레임(220)이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220)의 전면으로 투명보호판(230)이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의 개방부(140,141)에 대응하는 크기로 외곽프레임(220)의 일측에 개방부(240)가 각각 형성되어 메인 장식모듈(100)의 개방부(140,141)에 연결되어 메인장식모듈(100)의 내부와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내부가 상호 소통되면서 하나의 장식공간부(160)를 구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의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의 개방부(140,141)와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개방부(240)에는 상호 결합 가능한 구조의 체결수단(150,250)이 구비되어 일체로 조립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결합 후 필요에 따라 분리가 용이하도록 벽면에 대해 전후방으로 분리 가능한 슬라이딩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150,250)이 각각 구비된 메인 장식모듈(100) 또는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전면 일측 테두리부에는 보조 체결구(255)가 구비되어 체결수단(150,250)에 의해 일차적으로 결합된 메인 장식모듈(100)과 서브 장식모듈(200,202)간에 더욱 견고한 체결상태가 유지되면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 또는 메인 장식모듈(100)과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내측에는 전시된 장식물을 향해 일정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장식용 조명등(122,222)이 설치되고, 상기 장식용 조명등(122,222)의 점소등 제어를 위해 조명등제어부(124)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투명보호판(130)에 빛(레이저)을 조사하여 디스플레이된 장식물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문구를 표시해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12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장식용 조명등(122)은 다양한 색상 구현과 장기적인 수명이 유지되도록 엘이디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26)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같이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투명보호판(130)의 표면에 빛(또는 영상)을 조사하여 문자가 표시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디스플레이 장치라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의 외곽프레임(120) 외측에 구비된 전원스위치(125)에는 분리 구성된 서브 장식모듈(200,202)에 장식용 조명등(222)이 설치되는 경우,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장식용 조명등(22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이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후면판(100)의 이면 또는 내측에는 상기 장식용 조명등(122) 및 디스플레이장치(126)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117)가 구비(도 2 참조)된다.
또한,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의 외곽프레임(120)의 외측면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장식용 조명등(122)의 점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근접센서(128)가 설치되고, 상기 근접센서(128)에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한 신호는 조명등제어부(124)로 전달되어 조명등제어부(124)를 통해 장식용 조명등(122)의 점소등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근접센서(128)는 특정 실내공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모듈이 설치된 경우, 장식모듈에서 일정거리 이내로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구성되며, 초음파센서 및 공지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M)에 적용되는 체결수단(150,250)의 결합상태 단면을 발췌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된 체결수단(150,250)은 메인 장식모듈(100) 또는 서브 장식모듈(200,202) 중 어느 일측에 암형 체결구가 형성되는 경우 그 대향측에 수형 체결구가 형성되어 벽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되면서 서브 장식모듈(200,202)을 메인 장식모듈(100)에 간단히 끼움 결합시켜 조립이 가능하고, 내부 장식물의 변경을 위해 간단히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M)의 설치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장식모듈(100)의 내부에 인테리어 소품이나 장식물(300)을 배치한 후에 메인 장식모듈(100)을 벽면(W)에 준비된 고정구에 고정공을 걸어 고정시킨다.
그 다음에,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의 좌우 양쪽으로 결합될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내측으로 메인 장식모듈(100)에 전시되는 인테리어 소품이나 장식물과 조화가 이루어지는 동일한 종류의 인테리어 소품이나 장식물을 배치한 후에 메인 장식모듈(100)의 개방부에 마련된 체결수단(150)에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개방부에 마련된 체결수단(250)을 결합시켜 메인 장식모듈(100)과 서브 장식모듈(200,202)을 일체화된 하나의 장식모듈을 완성하게 된다.
물론, 각 모듈의 개방부에 구비된 체결수단(150,250)을 상호 연결 조립한 후에 별도로 구비된 보조 체결구(255)를 고정하여 메인 장식모듈(100)과 서브 장식모듈(200,202)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켜 벽면(W)에 고정된 장식모듈이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각 모듈의 외곽프레임(120,220) 전면으로 구비된 투명보호판(130)이 외곽프레임(120,220)에 일체로 구성된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투명보호판(130)은 외곽프레임(120,2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벽면(W)에 메인 장식모듈(100)을 먼저 고정하고, 그 다음에 서브 장식모듈(200,202)을 메인 장식모듈(100)의 양쪽에 연결하여 상호 결합시킨 후에 내부 장식공간부(160)에 인테리어 소품이나 장식물(300)을 디스플레이한 후에 각 모듈의 외곽프레임(120,220)의 전면에 투명보호판(130)을 조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메인장식모듈(100)과 서브 장식모듈(200,202)을 상호 결합시키고, 상호 소통된 내부의 장식공간부(160)에 장식물(300) 등을 전시한 후에 메인 장식모듈(100)의 외곽프레임(120) 외측면에 구비된 전원스위치(125)를 켜게 되면, 메인 장식모듈(100) 또는 메인 장식모듈(100)과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내측에 구비된 장식용 조명등이 점등되어 장식공간부(160) 내측에 전시된 장식물을 비춰줌으로써 장식모듈의 전체 이미지 뿐만 아니라 전시된 장식물이 조명에 의해 아름답게 비춰짐으로써 실내 장식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장식모듈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람이 접근할 경우 외곽프레임(120)의 외측면에 구비된 근접센서(128)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조명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고, 조명제어부에서는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해 장식용 조명등의 점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투명보호판으로 전시된 장식물의 안내 문구가 표출되어 장식모듈로 접근하는 사람들이 투명보호판(130)에 표시되는 문자를 통해 장식물을 이해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M)이 일정 기울기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M)은 그 내부의 장식공간부(160)에 전시되는 장식물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좌우로 수평하게 설치되거나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벽면(W)에 설치된 고정구에 고정되는 후면판(110)에는 메인 장식모듈(100) 또는 전체 장식모듈의 무게중심 위치가 다른 복수의 고정공(115)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장식 장식모듈에서 우측 하방을 아래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고정공 중 가장 좌측(전면 기준)에 형성된 고정공을 고정구에 걸게 되면, 전체 모듈이 우하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전체 모듈을 좌하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고자 항 경우, 복수의 고정공 중 가장 우측(전면 기준)에 형성된 고정공을 고정구에 고정시키면 전체 모듈이 좌하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전체 장식모듈을 좌하향 또는 우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할 경우, 장식공간부에 전시되는 장식물도 장식모듈의 기울어진 방향에 맞춰 재배치가 가능하여 하나의 장식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장식물 전시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장식모듈(M)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장식모듈(M)이 메인 장식모듈(100)과 좌우측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외곽프레임(120,220)이 라운드형의 유선형으로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동질감을 제공하는 것임에 반해서,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경우 메인 장식모듈(100)의 외곽프레임(120) 형상과 좌우측으로 결합되는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외곽프레임(220) 형상이 전혀 다르게 구성되어 독특한 장식모듈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M)의 경우, 메인 장식모듈(100)과 복수의 서브 장식모듈(200,202)이 각각 개방부에 구비된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메인 장식모듈(100)과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외곽프레임 형상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더라도 상호 결합되는 체결수단만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할 경우 무관하게 상호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메인 장식모듈(100)의 외곽프레임(120)과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외곽프레임(220)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다양한 형태의 장식모듈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M)은 한 곳에 오래 설치될 경우 자칫 식상함을 제공할 수 있지만,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체 장식모듈의 기울기를 변경하거나 장식모듈의 외곽프레임 형상을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설치할 경우 새로운 이미지의 장식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부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당업자가 본 발명의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간단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 가능할 수 있다.
100 : 메인 장식모듈 110 : 후면판
115 : 고정공 117 : 전원공급장치
120 : 외곽프레임 122 : 장식용 조명등
124 : 조명등제어부 125 : 전원스위치
126 : 디스플레이장치 128 : 근접센서
130 : 투명 보호판 140,141 : 개방부
150 : 체결수단 160 : 장식공간부
200, 202 : 서브 장식모듈
210 : 후면판 220 : 외곽프레임
222 : 장식용 조명등
230 : 투명 보호판 240 : 개방부
250 : 체결수단 255 : 보조체결구
300 : 장식물
M :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W : 벽면

Claims (5)

  1. 후면을 막아주면서 벽면에 고정되는 일정 크기와 형상을 갖는 후면판(110)과, 상기 후면판(110)의 전면 테두리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실내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곽프레임(120)과, 상기 외곽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전시되는 실내 장식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외곽프레임(120)의 전면에 결합되는 투명 보호판(130)과, 상기 외곽프레임(120)의 일정 구간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내외부가 소통되도록 한 곳 이상의 개방부(140)를 포함하는 메인 장식모듈(100);
    후면을 막아주는 후면판(110)과, 상기 후면판(110)의 전면 테두리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실내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곽프레임(220)과, 상기 외곽프레임(220)의 내측으로 전시되는 실내 장식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외곽프레임(220)의 전면에 결합되는 투명 보호판(230)과, 상기 외곽프레임(220)의 일정 구간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내외부가 소통되는 개방부(240)를 포함하는 한 개 이상의 서브 장식모듈(200,20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의 개방부(140)에 상기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개방부(240)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가 상호 소통되면서 하나의 장식공간부(160)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공간부(160)에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점소등이 이루어지는 장식용 조명등(122,222)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 또는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외측면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128)가 설치되며,
    상기 장식공간부(160)에는 상기 근접센서(128)의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장식용 조명등(122,222)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조명등 제어부(12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공간부(160)에는 상기 근접센서(128)의 동작신호에 따라 투명보호판(130)에 실내 장식물의 해설을 문자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126)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의 개방부(140)와 상기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개방부(240)에는 상호간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체결수단(150,250)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체결수단(150,250)은 벽면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체결과 분리가 용이한 암수 구조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면판(110)에는 전체 장식모듈 또는 메인 장식모듈(100)의 좌우 무게중심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벽면에 설치된 고정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15)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공(115)은 장식모듈의 좌우 무게중심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개가 일체로 구성되어 고정구에 결합되는 고정공(115)의 위치에 따라 전체 장식모듈의 설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장식모듈(100)에 결합되는 한 개 이상의 상기 서브 장식모듈(200,202)은 메인 장식모듈(100)에 구비된 체결수단(150)과 동일한 방식의 체결수단(250)이 구비되되, 서브 장식모듈(200,202)의 외곽프레임(220)은 메인 장식모듈(100)의 외곽프레임(120)과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KR1020210048546A 2021-04-14 2021-04-14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KR20220142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546A KR20220142158A (ko) 2021-04-14 2021-04-14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546A KR20220142158A (ko) 2021-04-14 2021-04-14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158A true KR20220142158A (ko) 2022-10-21

Family

ID=8380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546A KR20220142158A (ko) 2021-04-14 2021-04-14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215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663B1 (ko) 2015-09-22 2017-04-11 김대영 입체적으로 유동하는 모자이크 벽화
KR101790139B1 (ko) 2015-11-17 2017-10-25 이정복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KR102106649B1 (ko) 2018-06-26 2020-05-28 이해원 모스를 이용한 입체 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663B1 (ko) 2015-09-22 2017-04-11 김대영 입체적으로 유동하는 모자이크 벽화
KR101790139B1 (ko) 2015-11-17 2017-10-25 이정복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KR102106649B1 (ko) 2018-06-26 2020-05-28 이해원 모스를 이용한 입체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2006B2 (en) Table with integrated lighting
US20050180146A1 (en) Mood-enhancing illumination apparatus
CN105042434A (zh) 能够结合到建筑顶层上的灯具骨架结构及集成灯岛
US9822939B2 (en) Reconfigurable cornace box display system
KR20220142158A (ko) 돌출형 벽면 장식모듈
CN217928618U (zh) 一种双色光卫浴灯
KR101836347B1 (ko) 엘이디 조명등
KR101213536B1 (ko) 액자
US11644177B1 (en) Ambiance lighting system and method
KR101673570B1 (ko) 다양한 색상과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KR101833437B1 (ko) 실내조명 및 장식 기능을 갖는 조명스탠드
KR20060125297A (ko) 장식용 조명기구
US20230250946A1 (en) Ambiance lighting system and method
CN214964233U (zh) 一种基于双面图案可视的屏风
CN202724675U (zh) 一种星光灯毛绒玩具
CN204346001U (zh) 新型冰箱吸顶灯
KR200291609Y1 (ko) 테두리 장식 및 조명부를 갖는 액자
JP3313642B2 (ja) ショーケース
KR200447195Y1 (ko) 다용도 프레임
CN221285246U (en) Exhibit display device
KR200318319Y1 (ko) 조명겸용 인테리어선반
CN212057005U (zh) 一种新型的折纸灯
CN211130522U (zh) 一种立体相框饰品
CN213962709U (zh) 一种矩阵式珠宝展示装置
KR200374797Y1 (ko) 액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