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116B1 -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116B1
KR101790116B1 KR1020150042625A KR20150042625A KR101790116B1 KR 101790116 B1 KR101790116 B1 KR 101790116B1 KR 1020150042625 A KR1020150042625 A KR 1020150042625A KR 20150042625 A KR20150042625 A KR 20150042625A KR 101790116 B1 KR101790116 B1 KR 101790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inting
printed
forgery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283A (ko
Inventor
백철희
Original Assignee
예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철희 filed Critical 예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11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40Agents facilitating proof of genuineness or preventing fraudulent alteration, e.g. for security paper
    • D21H21/44Latent security elements, i.e. detectable or becoming apparent only by use of special verification or tampering devices or methods
    • D21H21/46Elements suited for chemical verification or impeding chemical tampering, e.g. by use of era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Landscapes

  • Paper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닥섬유에 폴리에스터 및 목재펄프를 혼합하여 원료를 형성하는 원료형성단계; 상기 혼합된 원료를 조합하고 와이어드럼으로 생산하여 한지원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한지원지에 문양 또는 문구를 인쇄하는 인쇄단계; 및 상기 인쇄된 한지원지와 한지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ORGERY/ALTERATION PROTECTIVE PRINTABLE KOREAN PAPER}
본 발명은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닥섬유에 폴리에스터 및 목재펄프를 혼합하여 원료를 형성하는 원료 형성단계; 상기 혼합된 원료를 조합하여 한지원지를 제조하는 한지원지 제조단계; 상기 한지원지에 백색잉크와 형광잉크를 혼합하여 문양 또는 문구를 인쇄하는 인쇄단계; 및 상기 인쇄된 한지원지와 한지원지를 합지하는 합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한지원지에 인쇄된 문양 또는 문구가 빛에 노출될 때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복잡, 다양화되고 계층화되어감에 따라 종래에도 빈번히 일어나던 각종 문서위조에 의한 사기 행위는 더욱 다양해지고 그 수법 또한 공문서 위조는 물론이고 특수위조방지장치가 되어 있는 화폐, 유가증권류, 신분증 등도 위조범죄의 대상이 되어 이전보다 더욱 빈번하게 위조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인터넷 보급으로 개인 신상정보의 유출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고, 이에 따라 유출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국민경제생활의 기본적인 증명서류로 쓰이는 주민등록등초본, 자동차등록증 등 각종 제증명 서류를 더욱 용이하게 위조하여 신용카드발급, 신용대출 등 2차 사기의 도구로 이용되는 범죄 또한 다양한 형태로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인쇄물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광변색성 단백질을 원본 문서에 코팅하는 기술, 문서에 뿌려진 나노 자기입자의 독특한 자기장 특성을 이용한 기술, 원본에 존재하는 고유한 미세 요철에 의해 발생되는 레이저 스패클 패턴을 이용한 기술, 형광잉크 속 양자점들의 개수와 방출 파장을 이용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지름 60나노미터 입자들의 패턴을 100나노미터 정도의 정확도로 대상물에 눌러 찍어 화폐 등의 위조방지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되었다.
한편 위조방지용 종이는 주로 화폐, 수표와 같은 은행권을 중심으로 발달되어 왔으며, 이러한 은행권은 국민 경제의 근간이 되는 부분이므로 그 위조방지를 위한 기술은 도안을 복잡하게 하거나 다색으로 도색하거나 편광물질을 이용하거나 망점들을 이용하여 특수잠상을 이용하는 등 다양하게 발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특수 인쇄기술을 요하고 인쇄용지나 잉크 또한 특수제작된 것을 사용하게 되어 그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일반적인 행정문서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주민등록초본이나 인감증명서, 차량등록증 등 기본적인 공문서만을 가지고도 각종 계약이나 신용거래가 이루어지는 실정에서 제증명용 공문서 또한 저렴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나름의 위조방지를 위한 방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위변조 방지용 종이는 생산방법이 초기의 높은 시설투자 비용과 대량생산에 국한되어 신규 진출이 어려움이 있어 이 또한 극복해야할 과제이다.
또한 티켓, 증서 및 허가증과 같은 일상의 문서를 위조로부터 보호하길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효과적이거나 알맞은 선택을 할 수 있는 폭이 넓지가 않았다. 화폐와 여권에 사용되는 기술들처럼 대단히 복잡한 보안 특징들은 복잡하여 접근성이 좋지 않음은 물론 일상적으로 사용하기에 그 비용은 너무 비싸다.
따라서 각종 제증명용 공문서의 인쇄용지에 간단한 방법으로 위조방지 기능을 갖도록 하여 공문서 위조에 의한 각종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위조방지 인쇄용지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전통한지를 이용하여 각종 제증명용 공문서에 쓰이는 인쇄용지를 개발하고 사업화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우리 고유 한지만의 기능을 특화하고 위변조 관련 기술과 한지의 가공 또는 생산방법의 차별화방안으로 안정적이며 표준화 가능한 위변조 방지 인쇄용 한지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1216호(위조방지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8339호(위조방지 섬유 및 상기 위조방지 섬유를 함유하는 위조방지 용지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장기보존성 및 우수한 물리적 성질을 지닌 우리 고유 한지의 특성을 바탕으로 닥섬유와 폴리에스터 및 목재펄프를 혼합하여 강도가 증가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문양 및 문구를 인쇄하기에 최적화되도록 안정적이며, 표준화 가능한 위변조 방지 인쇄용 한지원지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형광잉크, 백색잉크, 황토분말 및 백운모분말을 혼합하여 인쇄한 다음, 일차적으로 옵셋 인쇄 된 종이면을 안쪽면에 들어갈 수 있도록 친환경 전분 접착제를 이용하여 두장의 한지원지를 합지함에 따라, 인쇄의 이력이 한지원지와 한지원지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게되므로 위조방지가 가능한 위변조 방지기능의 인쇄용 한지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닥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스터 20~30중량부 및 목재펄프 4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원료를 형성하는 원료 형성단계; 상기 형성된 원료를 조합하여 한지원지를 제조하는 한지원지 제조단계; 상기 한지원지에 백색잉크와 형광잉크를 혼합하여 문양 또는 문구를 인쇄하는 인쇄단계; 및 상기 인쇄된 한지원지와 한지원지를 합지하는 합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한지원지에 인쇄된 문양 또는 문구가 빛에 노출될 때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인쇄단계에서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료를 더 혼합하되, 상기 안료는 황토분말과 백운모분말을 중량비로 1:1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합지단계에서는 한지원지와 한지원지를 전분 접착제로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는 쉽게 모방하거나 도용할 수 없도록 평량, 두께 및 인쇄성이 인쇄하기에 최적화 된 한지원지를 생산하여 원천적인 위변조를 방지하며, 한지원지의 제조 원료 중 폴리에스터 사용으로 강도가 높아짐은 물론 빛을 반사하는 특징과, 적절한 목재펄프의 혼합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백색잉크, 형광잉크, 황토분말 및 백운모분말을 혼합하여 인쇄함으로서 인쇄 문양 또는 문구가 빛에 노출될 때 육안으로 비쳐지도록 하여 위변조 방지가 가능하며, 전분 접착제를 이용하여 한지원지와 한지원지가 완벽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하여 합지시 발생하는 컬링(말림)현상을 방지하는 효과와, 인쇄의 이력이 한지원지와 한지원지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조방지가 가능하며, 수성잉크 사용 및 전분 접착제를 이용하는 친환경적인 인쇄용 한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닥섬유에 폴리에스터 및 목재펄프를 혼합하여 원료를 형성하는 원료 형성단계; 상기 혼합된 원료를 조합하여 한지원지를 제조하는 한지원지 제조단계; 상기 한지원지에 백색잉크와 형광잉크를 혼합하여 문양 또는 문구를 인쇄하는 인쇄단계; 및 상기 인쇄된 한지원지와 한지원지를 합지하는 합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원료형성단계
한지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고유의 종이로서, 닥나무를 원료로 하여 가공한 인피섬유이기 때문에 조직의 결합성이 뛰어나며 재질이 부드러워 촉감이 뛰어나며 유연성이 높으며 빛을 투과하는 능력도 탁월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토대로 한지원지를 제조한다.
(1)닥무지
매년 12월부터 다음해 상순경에 그 해 자란 1년생 닥나무 가지를 베어낸다.
닥나무의 줄기를 자른 다음 다발로 넣고 물을 부어 밀폐한 뒤 껍질이 수월하게 벗겨질 수 있도록 2~3시간 쪄낸 후, 껍질을 벗겨내 흑피를 얻는 닥무지 과정을 통해 수피를 벗겨내면 흑피가 되고, 다시 겉껍질을 벗겨내면 백피가 된다.
(2)닥 삶기
1~2일간 물에서 충분히 불린 백피를 적당한 크기로 자른 뒤 가마솥에 넣어100℃로 7~8시간 삶는다. 이 때 삶는 액으로 잿물을 이용하는데 전통방식으로는 볏짚, 메밀대, 콩대 등을 태운재로 우려낸 잿물을 사용하였으며, 최근에는 가성소다, 소다회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3)씻기 및 일광표백
삶아진 백피를 흐르는 물에 담가 잿물기를 씻어낸 후에 2~3일간 골고루 뒤집어주면 백피 전체에 햇빛이 고루 내려 쬐어져 하얗게 표백이 된다. 이 때, 백피 속에 남아있는 표피, 티꺼리 등의 잡티를 추가적으로 제거해 준다.
(4)고해
티를 골라 낸 백피를 물을 짜낸 후 닥돌이나 나무 판 등과 같은 평평한 곳에 올려두고, 방망이로 1~2시간 골고루 두들겨 주는 고해 과정을 거치면 섬유질이 물에 잘 풀어지는 상태로 된다. 이로써 닥나무로부터 주원료인 닥섬유를 얻게 된다.
상기 표백된 상기 백피는 소정 크기의 입자로 갈아주는 고해기(칼비터)에 투입하여 사용이 가능한데, 고해기를 이용한 고해 시간은 10분~15분이 바람직하다.
본래 닥섬유는 긴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해 시간에 따라 섬유장이 풀리는 특성이 있는데, 5~10분 이하 고해 시간의 경우에는 섬유가 실의 형태로 남아있게 되므로 완성되는 한지원지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며 두께가 균열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섬유가 고와질 때까지 고해의 시간을 10분간 충분히 갖도록 한다.
상기 원료는 상기 닥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스터 20~30중량부 및 목재펄프 40~5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폴리에스터는 장섬유로서 펄프와 결합되면 강도가 높아지며, 빛을 반사하여 반짝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폴리에스터 섬유는 생산 시 컷팅(절단)을 통하여 2.5mm, 5mm, 10mm,15mm 등으로 섬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섬유의 길이가 길면 강한 결합력으로 강도를 높일 수 있지만, 15mm 이상을 사용하면 초지 생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2.5mm 내지 10mm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재펄프는 천연소재인 침엽수로 만든 펄프(kraft softwood pulp)를 사용하며, 활엽수에 비해 섬유가 길고 강도가 좋은 양질의 펄프라고 할 수 있다. 목재펄프는 점성이 높고 결속성이 강하므로 혼합 시, 유동성과 분산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는 장점이 있으나, 목재펄프로만 제조된 종이는 인쇄 특성은 좋지만 강도 및 내수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목재펄프와 폴리에스터 섬유를 혼합하면 강도를 더욱 증가시키고 내수성을 높이며 빛을 비추어보았을 때 한지가 반짝이는 특징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한지원지 제조단계
상기 혼합된 원료가 담아진 지통에 발틀을 넣고 대나무 등을 잘게 떠서 촘촘하게 엮어 만든 발을 이용하여 물질하여 초지를 뜬 다음, 발틀에서 떼어 내고 건조시킨다. 상기 초지는 90~100℃로 열판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한지원지로 제조된다.
이 때, 초지하는 방법은 장망초지기 또는 환망초지기를 이용하여 초지할 수도 있고, 또한 장망초지기와 환망초지기를 함께 이용하여 초지할 수도 있다.
3. 문양 또는 문구 인쇄단계
상기 한지원지에 문양 또는 문구을 인쇄한다. 예를 들어, 로고나 이미지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나 형태의 디자인을 인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옵셋인쇄, 실크스크린인쇄 방법을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다.
옵셋 인쇄는 평판 인쇄의 한 종류로, 인쇄판을 직접 종이에 인쇄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종이에 인쇄를 하는 방식이다. 더 자세하게는 옵셋 인쇄는 우선 인쇄판에서 고무판 또는 고무 블랭킷에 인쇄한 다음, 고무판 및 압통을 통과하는 종이에 전사하는 간접적인 인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옵셋 인쇄는 통상 PS판이라 불리는 쇄판(Printing sheet)을 작성하고, 쇄판에 습수(damping water)와 잉크를 공급하여 인쇄한다. 쇄판은 평판이며, 쇄판상에서 화선부(畵線部)는 친유성 표면이 되도록 처리되며, 비화선부는 친수성 표면이 되도록 처리되고 있다. 이 쇄판에 습수와 잉크를 공급하면, 화선부에는 잉크가 부착되고 비화선부에는 물이 부착된 상태가 되며, 이 쇄판으로부터, 블랭킷을 통해 종이에 잉크가 전사되어 인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옵셋 인쇄는 종이 외에도 천이나 깡통 등 다양한 재질을 컬러로 인쇄를 할 수 있으며,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색상을 거의 동일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신문이나 잡지, 카탈로그 등의 인쇄를 할 때 주로 사용된다.
옵셋 인쇄의 장점은 정밀한 화선이 비교적 표면이 거친 종이에도 선명히 인쇄되는 것으로 직접 인쇄보다 판면의 내쇄력이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옵셋 인쇄에서는 비교적 점성(tack)이 강한 잉크가 사용되므로, 표면 강도가 강한 인쇄용지가 요구된다. 또한, 인쇄시에 용지 표면에는 습수가 부가되므로, 표면 강도가 약한, 혹은 내수성이 약한 표면을 갖는 용지를 사용하면 지분(紙粉)이 블랭킷에 퇴적되거나 잉크에 혼입됨으로, 인쇄면에 소위 흰 잔줄이 생기는 트러블이 발생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일반 한지의 원료인 닥섬유에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폴리에스터 섬유 및 목재펄프를 혼합하며 한지원지를 제조하여 인쇄용지로 사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백색잉크 40~60중량%와 형광잉크 40~60중량%를 혼합하여 인쇄하며,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 시 자연 재료의 안료를 혼입하여 인쇄 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황토분말 2,000~4,000메쉬(mesh)와 백운모분말 2,000~4,000메쉬(mesh)를 중량비로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투입함으로서 시각적으로 백색에 가까운 색상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자연 재료의 안료는 유기안료에 비해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적이고 무독성인 장점이 있다.
실크스크린 인쇄는 망사를 펼쳐 놓고 네 모서리를 팽팽하게 고정시켜 그 위에 수공적 또는 광화학적 방법으로 판막을 만들어 필요한 화상이외의 목을 막고 틀 안에 인쇄잉크를 부어 스퀴지라 불리는 주걱으로 스크린내면을 가압하면서 움직이면 잉크는 판막이 없는 부분의 망사를 통과하여 판 밑에 놓여 있는 종이나 기타 피 인쇄에 찍혀 나와 인쇄되는 방식이다. 더 자세하게는 150~200메쉬(mesh)망에 인쇄 내용을 전사하여 잉크를 망에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인쇄물을 찍어내는 방법으로서, 잉크층의 조절이 쉽고 색수(色數)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소량 주문품 인쇄에 적합하며, 유리, 도자기, 금속 등 어떤 피인쇄물에도 인쇄가 가능하다.
또한, 스크린인쇄는 잉크의 소제를 여러 가지로 변경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데 예를 들면 금펄, 은펄, 안료, 황토, 백운모, 향료, 숯 등의 고운 분말화 된 것을 사용 가능하며 잉크와 혼합하여 사용함 경우에 따라서는 잉크대신 바인더(PVA)에 혼합하여 사용하여 인쇄 할 수 있다.
4. 합지단계
상기 인쇄된 한지원지는 바를 이용하여 전분 접착제를 한지원지의 일면에 도포한다.
이 때, 상기 한지원지와 한지원지가 완벽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합지하는 사이에 전분 접착제 5~10중량부가 첨가된다.
상기 전분 접착제는 감자 전분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합지 시 자연의 재료를 사용하므로 인체에 유해함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감자 전분의 경우 점도가 높고 접착 형성력이 좋아 인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4~5% 농도의 감자 전분용액을 이용하여 전분을 도포 하는 것이 좋다. 4% 농도 이하의 감자 전분용액을 이용할 경우 접착력이 떨어져 컬링(말림)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고, 5% 농도 초과의 감자 전분용액을 이용할 경우 한지의 고유한 표면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합지 시 한지원지 두 장이 겹쳐짐으로 본래의 한지보다 두꺼운 규격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강도가 높아져 잘 찢어지지 않게 되며, 감자 전분접착제로 인해 컬링(말림)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인쇄의 이력이 한지원지와 한지원지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천적으로 위조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예.
채집한 1년생 닥나무 줄기를 자른 다음 다발로 넣고 물을 부어 밀폐한 뒤 껍질이 수월하게 벗겨질 수 있도록 2시간 쪄낸 후, 껍질을 벗겨내 흑피를 얻었다.
흑피의 겉껍질을 벗겨내고 백피로 만들었다. 메밀대 10단을 태운 재로 우려낸 잿물을 가마솥에 넣고 물에서 48시간 충분히 불려둔 백피를 추가하여 100℃로 7시간 삶는다.
삶아진 백피를 흐르는 물에 담가 잿물기를 씻어낸 후에 3일간 골고루 뒤집어 하얗게 표백시킨 다음 칼비터에 투입하여 10분간 고해하는 과정을 통해 닥섬유를 얻었다.
고해된 닥섬유 100중량부에 장섬유인 폴리에스터를 5mm 길이로 절단하여 30중량부 및 목재펄프 50중량부를 투입하고, 고루 저어 혼합될 수 있도록 하여 원료를 만들었다.
잘게 떠서 촘촘하게 엮어 만든 발을 이용하여 상기 원료가 담긴 지통에서, 두 개의 손잡이가 달린 발틀을 전후좌우로 10회 반복하여 흔들어 빼내어 초지를 뜬 다음, 발틀에서 초지를 떼어내 90℃로 열판 위에서 건조하는 과정으로 한지원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한지원지는 옵셋 인쇄기에서 로고의 디자인을 인쇄하는데, 먼저 원고 필름에 의해서 인쇄판 상에 화선부와 비화선부로 구분되는 로고의 형태가 표현되며, 로고의 형태가 표현된 인쇄판은 인쇄판통의 표면에 장착된다.
인쇄판통의 상부로부터 잉크가 공급되는 경우에 친유성을 갖는 화선부를 통해서만 잉크가 전달될 수 있으며, 일차적으로 화선부의 잉크가 고무통으로 전달되어 고무 블랭킷 상에 인쇄가 된다.
이 때 잉크는 백색잉크 50중량부와 형광잉크 50중량부를 혼합하고, 황토분말 2,000메쉬와 백운모분말 2,000메쉬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고무통 및 압력통 사이로 종이가 통과하게 되면서 압력통이 종이를 고무통으로 밀착시키고, 고무통에 인쇄된 잉크가 종이로 전달되어 색에 대한 인쇄를 수행한다.
상기 인쇄된 한지원지의 일면에 합지를 위하여 감자 전분 접착제를 바를 이용해 5중량부 도포한 다음, 그 윗면에 한지원지를 놓고 합지 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한지를 제조하였다.

Claims (4)

  1. 닥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스터 20~30중량부 및 목재펄프 4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원료를 형성하는 원료 형성단계;
    상기 형성된 원료를 조합하여 한지원지를 제조하는 한지원지 제조단계;
    상기 한지원지에 백색잉크와 형광잉크를 혼합하여 문양 또는 문구를 인쇄하는 인쇄단계; 및
    상기 인쇄된 한지원지와 한지원지를 합지하는 합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한지원지에 인쇄된 문양 또는 문구가 빛에 노출될 때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인쇄단계에서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료를 더 혼합하되, 상기 안료는 황토분말과 백운모분말을 중량비로 1:1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단계에서는 한지원지와 한지원지를 전분 접착제로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
KR1020150042625A 2015-03-26 2015-03-26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 KR101790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625A KR101790116B1 (ko) 2015-03-26 2015-03-26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625A KR101790116B1 (ko) 2015-03-26 2015-03-26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283A KR20160115283A (ko) 2016-10-06
KR101790116B1 true KR101790116B1 (ko) 2017-10-25

Family

ID=5716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625A KR101790116B1 (ko) 2015-03-26 2015-03-26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1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606Y1 (ko) 2000-07-24 2001-04-16 박미애 한지벽지
KR100808651B1 (ko) * 2006-12-27 2008-02-29 한국조폐공사 위조방지용 기능성 섬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400B1 (ko) 2002-02-28 2004-04-29 황혜자 위조방지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
US20130313484A1 (en) 2011-01-11 2013-11-28 Shanghai Kos Security Paper Technology Co., Ltd. Anti-counterfeiting fiber, anti-counterfeiting paper containing anti-counterfeit fiber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606Y1 (ko) 2000-07-24 2001-04-16 박미애 한지벽지
KR100808651B1 (ko) * 2006-12-27 2008-02-29 한국조폐공사 위조방지용 기능성 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283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02271C (en) Security paper with color mark
EP1716289B1 (fr) Elements de securite de format relativement petit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feuille et document de securite les comportant
US8852396B2 (en) Sheet material comprising at least one watermark having a colored shade
EP1023501A1 (fr) Papier couche comportant un pseudo-filigrane et procede de fabrication
TW574102B (en) Forgery prevention sheet
ES2416384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una sustancia basada en celulosa así como sustancia producida con el mismo
FR2922561A1 (fr) Feuille de securite comprenant une marque de securite iridescente
KR101790116B1 (ko) 위변조 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한지의 제조방법
CN103526648B (zh) 一种含有彩色艺术水印效果的可机读的防伪纸及制造方法
JP6732175B2 (ja) 色彩を有するセルロース要素を用いたすき入れ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133697A (ja) Pva繊維混抄紙を紙層内に挿入した証券類用紙
JP6216971B2 (ja) セルロース微小繊維を用いたすかしを有する用紙
CN107245910A (zh) 一种光变防伪接装纸
CN103437248B (zh) 一种具有安全线的防伪无碳复写纸及生产方法
FR3061212A1 (fr) Substrat fibreux cellulosique resistant a la falsification par clivage.
CN106149467A (zh) 一种摩擦变色或轧划变色防伪纸及其制造方法
GB2531584B (en) Improvements in security papers and documents
EP0563245B1 (fr) Feuille imprimable marquee couche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P1135556B1 (fr) Papier non couche comportant un pseudo-filigrane et procede de fabrication
CN115748306B (zh) 一种光泽水印防伪卡纸及其生产方法
JP7172701B2 (ja) 白板紙及び塗工白板紙
JP3092335U (ja) 高隠蔽性を有する圧着葉書用紙
JPH06313298A (ja) 偽造防止用紙及び偽造防止印刷物
JPH03230996A (ja) 偽造判別用紙
KR20150018113A (ko) 닥섬유를 포함하는 보안용지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