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203B1 -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 - Google Patents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203B1
KR101789203B1 KR1020170028843A KR20170028843A KR101789203B1 KR 101789203 B1 KR101789203 B1 KR 101789203B1 KR 1020170028843 A KR1020170028843 A KR 1020170028843A KR 20170028843 A KR20170028843 A KR 20170028843A KR 101789203 B1 KR101789203 B1 KR 101789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etal pipe
divided
producing
differential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청조
Original Assignee
(주) 한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양테크 filed Critical (주) 한양테크
Priority to KR102017002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관기에서 평탄한 금속소재를 원형의 소경관, 중견관, 대경관으로 성형시켜 생산할 수 있는 성형부의 선단에 배치되는 구동롤러를 분할시켜 슬립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원주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분할된 제2롤러의 좌우 측면 아르(R)를 각각 서로 다른 설정된 크기로 형성시켜 생산하고자 하는 금속관의 두께에 따라 제2롤러의 좌우 측면을 뒤집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Differential method and Tube Mill Roller for metal pipe}
본 발명은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관기에서 평탄한 금속소재를 원형의 소경관, 중견관, 대경관으로 성형시켜 생산할 수 있는 성형부의 선단에 배치되는 구동롤러를 분할시켜 슬립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원주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분할된 제2롤러의 좌우 측면 아르(R)를 각각 서로 다른 설정된 크기로 형성시켜 생산하고자 하는 금속관의 두께에 따라 제2롤러의 좌우 측면을 뒤집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steel tube)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사출 방식에 의한 생산방법과 강판을 튜브로 가공하는 방식이 있는데, 사출 방식에 의한 방법은 제조 단가 높아서 강판을 이용한 가공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후자 방식에 의한 강관 제조 방법은 롤(roll) 상으로 감긴 강판을 연속적으로 인출시키면서 여러 개의 롤러에 의하여 양단부가 상부에 접하도록 원형 관 형태로 성형한 후 접합부를 용접하여 파이프를 완성하고, 사용자의 요구 내지 필요에 따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다. 이와 같이, 강판을 원형의 금속관으로 제작하는 장치를 조관기 또는 조관장치라 한다.
이와 같은 조관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성형부, 용접부, 정형부를 포함한다.
이때, 성형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포함하는 구동롤러가 스탠드의 상부와 하부에 복수의 단으로 구비된 키(key) 가공된 상부회전축와 하부회전축에 각각 조립되어 상부롤러(Ra)와 하부롤러(Rb)의 사이에 인입되는 소재(P)를 가압하여 선행단에서 후행단으로 진행될 수록 곡률이 작게 변할 수 있다. 즉, 선행단에서 후행단으로 소재가 이동될 수 있도록 소재는 평탄한 형상에서 곡률을 갖고 최후에는 원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구동롤러에 포함되는 롤러는 상부롤러(Ra)와 하부롤러(Ra)가 하나의 객체로 형성되어 상부롤러(Ra)와 하부롤러(Ra)의 맞물림에 의해 가압시 양측면에 흠집이 발생하므로 불량품 발생 빈도가 증대되므로 생산원가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3740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금속관의 크기(소경관, 중경관, 대경관)에 따라 구동롤러를 분할시켜 구동시킴에 따라 부하발생시 슬립되어 원주에 따라 차동되므로 금속관 가공시 원주 속도 편차에 따라 금속관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구동롤러의 상부롤러에 포함되는 분할된 제2롤러의 좌우 측면 아르(R1)(R2)를 각각 서로 다른 설정된 크기로 형성시켜 생산하고자 하는 금속관 두께에 따라 제2롤러의 좌우를 뒤집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구동롤러로 인입되는 소재에 웨이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좌우 쏠림현상을 감소시키므로 원형으로 말아지는 금속관의 양단부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춰주어 용접효율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생산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인입되는 소재의 상단 중앙을 가압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양측에 구비되어 소재의 상단 양측을 가압하는 제2롤러로 분할되어 회전구동되는 상부롤러; 및 상기 상부롤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롤러와 맞물려 회전구동되는 하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롤러의 돌출된 좌우 측면 아르(R)는 각각 서로 다른 설정된 크기로 형성되어 생산하고자 하는 금속관의 두께에 따라서 좌우 측면을 뒤집어 양방향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관기용 구동롤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부롤러는 소재의 하단 대부분을 가압하며, 외주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3롤러와, 상기 제3롤러의 양측에 형성되어 제3롤러의 외주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4롤러가 각각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및 제3롤러와 제4롤러의 각 틈새공차는 0.01~0.02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은, 상부롤러의 분할된 제1롤러와 제2롤러를 서로 맞물려 고정시킨 상태로 상부회전축에 조립시켜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롤러는 하부회전축에 조립시켜 상기 제1롤러와 맞물려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은, 상부롤러는 상부회전축에 구비된 제1고정부에 제1롤러와 제2롤러를 각각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하부롤러는 하부회전축에 조립시켜 상기 제1롤러와 맞물려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되, 금속관을 가공시에는 상기 제2롤러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만을 제거하여 분할된 제2롤러가 자동으로 슬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은, 상부롤러의 분할된 제1롤러와 제2롤러를 서로 맞물려 고정된 상태로 상부회전축에 조립시켜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롤러는 하부회전축에 구비된 제2고정부에 제3롤러와 제4롤러를 각각 볼트로 고정시켜 상기 제1롤러와 맞물려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되, 금속관을 가공시에는 상기 제4롤러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만을 제거하여 분할된 제4롤러가 자동으로 슬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은, 상부롤러는 상부회전축에 구비된 제1고정부에 제1롤러와 제2롤러를 각각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하부롤러는 하부회전축에 구비된 제2고정부에 제3롤러와 제4롤러를 각각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롤러와 맞물려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되, 금속관을 가공시에는 상기 제2롤러와 제4롤러를 각각 고정하고 있는 볼트만을 제거하여 분할된 제2롤러와 제4롤러가 자동으로 슬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따르면, 본 발명은 금속관의 크기(소경관, 중경관, 대경관)에 따라 구동롤러를 분할시켜 구동시킴에 따라 부하발생시 슬립되어 원주에 따라 차동되므로 금속관 가공시 원주 속도 편차에 따라 금속관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롤러의 상부롤러에 포함하는 분할된 제2롤러의 좌우 측면 아르(R1)(R2)를 각각 서로 다른 설정된 크기로 형성시켜 생산하고자 하는 금속관 두께에 따라 제2롤러의 좌우를 뒤집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롤러가 소재의 중앙을 가압하고. 제1롤러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2롤러가 소재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인입되는 소재에 웨이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좌우 쏠림현상을 감소시키므로 원형으로 말아지는 금속관의 양단부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춰주어 용접효율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생산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성형부의 스탠드에 구동롤러가 배치된 상태이고, (b)는 (a)에 배치된 구동롤러의 확대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성형부의 스탠드에 구동롤러가 배치된 상태이고, (b)는 (a)에 배치된 구동롤러의 확대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성형부의 스탠드에 구동롤러가 배치된 상태이고, (b)는 (a)에 배치된 구동롤러의 확대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성형부의 스탠드에 구동롤러가 배치된 상태이고, (b)는 (a)에 배치된 구동롤러의 확대도면이다.
도 7은 조관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종래의 구동롤러에 포함되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성형부의 스탠드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조관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한 소재(P)가 성형부(2)로 입입될 수 있도록 하며 서로 맞물림 운동으로 구동되게 함으로서 상기 소재(P)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표면을 고르게 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두 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인입부(1)와, 상기 인입부(1)를 통해 인입된 소재(P)를 다수의 성형롤러에 의해 파이프 형태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부(2)와, 소재(P)를 원형의 금속관 형태로 성형하였을 때 접합되지 않은 면을 용접하여 소재(P)를 완전한 원형의 금속관 형태로 제작하는 용접부(3)와, 상기 용접부(3)을 통과한 원형의 금속관의 열을 냉각하여 일정한 틀에 맞추어 정형화하는 정형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부(2)는 다수의 구동롤러와, 사이드 무구동롤러를 포함하며, 다수의 구동롤러와 사이드 무구동롤러가 번갈아가며 배치되어 인입되는 평탄한 소재(P)가 점점 곡률을 갖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롤러(100)는 일측에 감속장치(미도시함)가 위치되어 동력을 제공받아 구동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관기의 성형부(2)에 복수의 단으로 배치되는 구동롤러 중에서 소재가 인입되는 인입부의 선단(첫 번째)에 배치되는 구동롤러(100)에 해당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조관기의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도면상의 왼쪽을 일단부(일측)라 하고, 도면상의 오른쪽을 타단부(타측)라 하며, 왼쪽과 오른쪽을 동시에 표현할 경우에는 양단부(양측)이라 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동롤러(100)는 성형부(2)에 구비되어 회전구동하는 상부회전축(130)과 하부회전축(140)에 각각 조립되는 상부롤러(110)와 하부롤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롤러(110)는 인입되는 소재의 상단 중앙을 가압하는 제1롤러(111)와, 상기 제1롤러(111)의 양측에 구비되어 소재의 상단 양측을 가압하는 제2롤러(112)로 분할되어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의 핵심으로 상기 각 제2롤러(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좌우 측면 아르(R1)(R2)는 서로 다른 설정된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도 1을 기준으로 제2롤러(112)의 외측면 아르(R1)는 두께가 1mm인 원형의 금속관을 생산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제2롤러(112)의 내측면 아르(R2)는 두께가 1.5mm인 원형의 금속관을 생산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두께 1mm와, 두께 1.5mm인 원형의 금속관을 생산하기 위해서 아르(R1)(R2)의 크기가 서로 다른 제2롤러(112)를 각각 두 쌍으로 제작할 필요없이 돌출된 좌우 측면 아르(R1)(R2)의 크기가 다른 제2롤러(112)를 한 쌍만을 제작하여 생산하고자 하는 두께에 따라 제2롤러(112)를 양방향으로 뒤집어 교체시키므로 두께가 다른 두 가지 타입의 금속관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하부롤러(120)는 상기 상부롤러(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롤러(110)와 맞물려 회전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롤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의 하단 대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며, 가압하는 외주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상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제3롤러(121)와, 상기 제3롤러의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3롤러(121)의 양단부에서부터 이어진듯하게 곡률을 가지되 제3롤러(121)의 외주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4롤러(122)가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롤러(120)는 앞서 상술한 분할된 제3롤러(121)와 제4롤러(122)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구성되어 하나의 롤러 형태를 갖출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 및 제3롤러(121)와 제4롤러(122)의 각 틈새공차는 0.01~0.02mm이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하기에 앞서 하기에 기재된 소경관은 외경이 50mm이하, 중경관은 외경이 50mm~100mm이하, 대경관은 외경이 100mm~300mm이하 크기를 갖는 원형의 금속관을 뜻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성형부의 스탠드에 구동롤러가 배치된 상태이고, (b)는 (a)에 배치된 구동롤러의 확대도면이다. 이와 같이 도시된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은 소경관 이하 크기의 금속관을 생산시에 적용되는 것이다.
우선 스탠드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회전축(130)과 하부회전축(140)에 분할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를 포함하는 상부롤러(110)와, 하부롤러(120)를 각각 조립시킨다.
이때, 상부롤러(110)의 분할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는 서로 맞물려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회전축(130)에 조립시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가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롤러(120)는 제3롤러(121)와 제4롤러(122)가 일체로 구성되어 하나의 롤러 형태로 구비된 것을 하부회전축(140)에 조립시켜 상부롤러(110)와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성형부의 스탠드에 구동롤러가 배치된 상태이고, (b)는 (a)에 배치된 구동롤러의 확대도면이다. 이와 같이 도시된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은 소경관 이상 중경관 이하 크기의 금속관을 생산시에 적용되는 것이다.
우선 스탠드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회전축(130)과 하부회전축(140)에 분할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를 포함하는 상부롤러(110)와, 하부롤러(120)를 각각 조립시킨다.
이때, 상부롤러(110)의 분할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는 각각 상부회전축(130)에 구비된 제1고정부(113)에 각각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롤러(120)는 제3롤러(121)와 제4롤러(122)가 일체로 구성되어 하나의 롤러 형태로 구비된 것을 하부회전축(140)에 조립시켜 상부롤러(110)와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구동롤러(100)를 제작할 경우에는 제1고정부(113)에 분할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를 각각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금속관을 제작시에는 상기 제2롤러(112)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만을 제거하여 롤러의 회전시 제2롤러(112)의 슬립현상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성형부의 스탠드에 구동롤러가 배치된 상태이고, (b)는 (a)에 배치된 구동롤러의 확대도면이다. 이와 같이 도시된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은 중경관 이상 대경관 이하 크기의 금속관을 생산시에 적용되는 것이다.
우선 스탠드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회전축(130)과 하부회전축(140)에 상부분할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를 포함하는 상부롤러(110)와, 제3롤러(121)와 제4롤러(122)로 분할된 하부롤러(120)를 각각 조립시킨다.
이때, 상부롤러(110)의 분할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는 서로 맞물려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회전축(130)에 조립시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가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롤러(120)의 분할된 제3롤러(121)와 제4롤러(122)는 하부회전축(140)에 구비된 제2고정부(123)에 각각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구동롤러(100)를 제작할 경우에는 제2고정부(123)에 분할된 제3롤러(121)와 제4롤러(122)를 각각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금속관을 제작시에는 상기 제4롤러(122)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만을 제거하여 롤러의 회전시 제4롤러(122)의 슬립현상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성형부의 스탠드에 구동롤러가 배치된 상태이고, (b)는 (a)에 배치된 구동롤러의 확대도면이다. 이와 같이 도시된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은 대경관 이상의 크기를 갖는 금속관을 생산시에 적용되는 것이다.
우선 스탠드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회전축(130)과 하부회전축(140)에 상부분할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를 포함하는 상부롤러(110)와, 제3롤러(121)와 제4롤러(122)로 분할된 하부롤러(120)를 각각 조립시킨다.
이때, 상부롤러(110)의 분할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는 각각 상부회전축(130)에 구비된 제1고정부(113)에 각각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롤러(120)는 분할된 제3롤러(121)와 제4롤러(122)가 하부회전축(140)에 구비된 제2고정부(123)에 각각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구동롤러(100)를 제작할 경우에는 제1고정부(113)와 제2고정부(123)에 각각 분할된 제1롤러(111)와, 제2롤러(112) 및 제3롤러(121)와 제4롤러(122)를 각각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금속관을 제작시에는 상기 제2롤러(112)와 제4롤러(122)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만을 각각 제거하여 롤러의 회전시 제2롤러(112)와 제4롤러(122)의 슬립현상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0 :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110 : 상부롤러 111 : 제1롤러 112 : 제2롤러 113 : 제1고정부
120 : 하부롤러 121 : 제3롤러 122 : 제4롤러 123 : 제2고정부
130 : 상부회전축
140 : 하부회전축

Claims (7)

  1. 조관기의 성형부에 복수의 단으로 배치되어 평탄한 소재를 원형의 금속관으로 성형시키는 복수 개의 구동롤러 중 소재가 인입되는 인입부의 선단에 배치되는 구동롤러에 관한 것으로,
    인입되는 소재의 상단 중앙을 가압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양측에 구비되어 소재의 상단 양측을 가압하는 제2롤러로 분할되어 회전구동되는 상부롤러; 및
    상기 상부롤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롤러와 맞물려 회전구동되는 하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롤러의 돌출된 좌우 측면 아르(R)는 각각 서로 다른 설정된 크기로 형성되어 생산하고자 하는 금속관의 두께에 따라서 좌우 측면을 뒤집어 양방향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롤러는 소재의 하단을 가압하며, 외주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3롤러와, 상기 제3롤러의 양측에 형성되어 제3롤러의 외주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4롤러가 각각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3. 삭제
  4. 제1항에 기재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롤러의 분할된 제1롤러와 제2롤러를 서로 맞물려 고정시킨 상태로 상부회전축에 조립시켜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롤러는 하부회전축에 조립시켜 상기 제1롤러와 맞물려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
  5. 제1항에 기재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롤러는 상부회전축에 구비된 제1고정부에 제1롤러와 제2롤러를 각각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하부롤러는 하부회전축에 조립시켜 상기 제1롤러와 맞물려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되,
    금속관을 가공시에는 상기 제2롤러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만을 제거하여 분할된 제2롤러가 자동으로 슬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
  6. 제2항에 기재된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롤러의 분할된 제1롤러와 제2롤러를 서로 맞물려 고정된 상태로 상부회전축에 조립시켜 함께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롤러는 하부회전축에 구비된 제2고정부에 제3롤러와 제4롤러를 각각 볼트로 고정시켜 상기 제1롤러와 맞물려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되,
    금속관을 가공시에는 상기 제4롤러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만을 제거하여 분할된 제4롤러가 자동으로 슬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의 차동방법.
  7. 삭제
KR1020170028843A 2017-03-07 2017-03-07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 KR101789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43A KR101789203B1 (ko) 2017-03-07 2017-03-07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43A KR101789203B1 (ko) 2017-03-07 2017-03-07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203B1 true KR101789203B1 (ko) 2017-11-20

Family

ID=6080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843A KR101789203B1 (ko) 2017-03-07 2017-03-07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2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255B1 (ko) * 2019-09-24 2021-01-21 임태균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상하부성형 롤러장치
KR20210035448A (ko) * 2019-09-24 2021-04-01 임태균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KR20210099729A (ko) * 2020-02-05 2021-08-13 김명기 분할 롤 벤딩 장치, 롤 벤딩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곡면 프레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865B1 (ko) * 2014-09-30 2015-04-10 (주) 한양테크 금속관 생산용 조관 롤러의 차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865B1 (ko) * 2014-09-30 2015-04-10 (주) 한양테크 금속관 생산용 조관 롤러의 차동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255B1 (ko) * 2019-09-24 2021-01-21 임태균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상하부성형 롤러장치
KR20210035448A (ko) * 2019-09-24 2021-04-01 임태균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KR102258563B1 (ko) 2019-09-24 2021-05-28 임태균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KR20210099729A (ko) * 2020-02-05 2021-08-13 김명기 분할 롤 벤딩 장치, 롤 벤딩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곡면 프레임
KR102328812B1 (ko) 2020-02-05 2021-11-22 김명기 분할 롤 벤딩 장치, 롤 벤딩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곡면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203B1 (ko) 금속관 생산용 구동롤러 및 이의 차동방법
KR101510865B1 (ko) 금속관 생산용 조관 롤러의 차동장치
US2019016828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ing
US3583189A (en) Triple die ring corrugator
EP2026917B1 (en) Retained mandrel rolling mill for seamless tubes
CN210475091U (zh) 一种c形件滚压成型系统
RU2337780C1 (ru) Стан для накатки винтовых профильных труб
US6865918B2 (en) Tube compressing roller die
CN214866116U (zh) 一种扁钢生产用粗轧装置
JP2019171410A (ja) 回転塑性加工用ローラ及びそれを備える回転塑性加工装置
CN113857304A (zh) 一种防错位的高精度三轴卷板机
US10286433B2 (en) Shimless spacer
TWM625550U (zh) 薄鈑式圓桶體滾溝機餵料扶持裝置
CN110449523A (zh) 一种冷拉方扁钢的轧头装置
US2019016835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ing and ring polishing apparatus
JP4412277B2 (ja) 厚板圧延機の転回テーブル
CN112719640B (zh) 一种激光切割设备
EP3885059B1 (en) Method of and assembly for forming seamless rings by process of ring rolling
JPH04210824A (ja) 金属板材のエッジロール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526342B1 (ko) 소경 금속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4531648B2 (ja) テーパ鋼管の製造方法
CN112338057B (zh) 一种法兰生产设备
CN217831369U (zh) 带折边薄板卡箍的卷圆工装
JPS6068130A (ja) 円筒物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192749A (ja) パイプミルにおけるブレークダウン用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