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100B1 -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100B1
KR101789100B1 KR1020170084256A KR20170084256A KR101789100B1 KR 101789100 B1 KR101789100 B1 KR 101789100B1 KR 1020170084256 A KR1020170084256 A KR 1020170084256A KR 20170084256 A KR20170084256 A KR 20170084256A KR 101789100 B1 KR101789100 B1 KR 101789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handle
shaft
handle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근
Original Assignee
김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근 filed Critical 김정근
Priority to KR102017008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9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treating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2Pretreat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프레임(F)을 투입, 배출하는 투입배출구(101)를 구비한 챔버(10)와; 상기 챔버(10) 내부에 일정 피치로 순환 구동하는 제1롤러체인부(20)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여 이송하면서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핸들거치부(30)와; 상기 림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부(40)와; 상기 세척된 핸들프레임(F)을 건조하는 제1건조부(50)와; 상기 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60)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핸들프레임(F)을 건조하는 제2건조부(7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핸들프레임(F)에 열선패드를 부착하기 위하여 림을 세척하고,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일련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applying adhesive agent for steering wheel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조향핸들에 열선 패드를 부착하고, 가죽을 입히기 위하여 핸들프레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향핸들에 가한 회전력에 근거하여 차륜의 조향각을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조향핸들, 조향축 등으로 구성되어 운전자의 조향력을 기어 장치에 전달하는 조향조작기구와, 조향력의 방향을 바꾸어 줌과 동시에 회전력을 증대시켜 주는 기어장치로 구성된 조향기어기구와, 기어장치의 작동을 앞바퀴에 전달하고 좌우 바퀴의 관계 위치를 바르게 지지하는 조향링크기구로 구성되는데 자동차 운전자는 조향핸들의 조작을 통해서 조향장치 전체를 조작하게 된다.
따라서 조향핸들은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할 때, 항상 파지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정확하고 정밀한 조작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파지시 그립감과 조작감 향상을 위하여 조향장치의 조향축과 연결되는 허브에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스포크의 일단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스포크의 타단부에는 원형으로 된 림을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한편, 현재의 자동차는 조향핸들에 경적버튼을 포함하여 다양한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허브(H)와, 허브에 일체로 되는 스포크(S) 및 림(R)은 강도 보강을 위해 강이나 경합금으로 형성하되, 림의 외부는 그립감과 조작감 향상을 위하여 합성수지로 감싸서 핸들프레임(F)을 구성하고, 림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림을 잡는 감촉을 좋게 하기 위하여 림을 가죽으로 감싸는 것이 일반화된 실정인데, 림에 가죽을 감싸는 조향핸들에 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 제10-0477417호에는 자동차의 조향축에 연결되기 위한 허브와, 일단이 상기 허브에 연결되고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스포크와, 상기 복수의 스포크의 타단에 결합된 원형의 림과, 상기 림의 일부에 고정된 가죽을 포함하는 조향핸들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림은 가죽이 고정되는 소경부와 가죽이 고정되지 않는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와 대경부 사이의 상기 소경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죽의 상기 소경부와 접하는 면의 일부는 상기 소경부의 둘레에 밀착되고, 상기 가죽의 폭 방향의 양단은 소경부를 감싸면서 실로 꿰매 소경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죽의 길이방향의 양단은 양단에 연결되어 연장된 가요성의 긴 부재에 작용하는 장력으로 상기 홈의 내부 방향으로 수축되는 힘에 의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커버가 부착된 조향핸들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843068호에는 조향핸들의 합성수지부 일부 외측을 스펀지로 감싸고 스펀지의 외측을 가죽커버로 감싸는 조향핸들의 가죽커버 감싸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부(122)에서 상기 가죽커버(126)의 단부가 끼워져 마무리되는 마무리부 측에는 상기 가죽커버(126)가 밀착하는 돌기띠(122a, 122b)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띠(122a)는 상기 마무리부의 가장자리 외면을 따라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합성수지부(122)의 외면에는 상기 스펀지(124)가 감싸져 스펀지(124)의 단부가 상기 돌기띠(122a, 122b)에 걸리며, 상기 가죽커버(126)는 상기 스펀지(124)의 외측을 감싸는 한편 상기 돌기띠(122a, 122b) 외면에 밀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핸들의 가죽커버 감싸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근래에는 겨울철 림을 손으로 잡을 때, 따뜻한 감촉을 느낄 수 있도록 림에 열선패드를 먼저 감싼 후, 림을 가죽으로 감싸서 마감하는 조향핸들이 보편화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337464호에는 림을 감싸는 합성수지체의 표면에 패드와 커버를 씌우고, 상기 패드와 커버 사이에 열선을 배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조향핸들 열선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패드의 외측 표면에 두 줄의 열선이 지그재그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패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인슐레이팅튜브에서 열선 단부가 외부전선에 접합되고, 상기 열선 주위의 열을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패드에 배치되어 외부케이블에 접합되고, 두 줄의 열선 중앙부위를 상호 접합하여 하나 이상의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열선이 배치된 상기 패드의 한쪽면에 절연성 양면테이프가 부착되고, 상기 인슐레이팅튜브를 덮는 조각테이프가 상기 양면테이프의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양면테이프가 조향핸들의 커버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조향핸들 열선의 설치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열선의 열을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패드를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림에 부착하는 경우에, 양면테이프의 두께로 인해 림의 직경이 굵어지거나, 양면테이프가 겹쳐지게 부착되는 부분의 단 차로 인해 그립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한여름 차량 내부의 온도가 50℃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에 상기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양면테이프에 의해 림에 부착된 패드가 림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패드가 유동하여 열선이 단선되거나, 패드의 유동으로 인해 패드 외부를 감싼 가죽이 유동, 박리되면서 조향핸들의 그립감이나 조작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패드의 부착 시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핸들프레임의 림에 액상접착제를 도포, 건조한 후 패드를 접착하는 방식이 더 선호되고 있다.
그런데 핸들의 구조적 특성상 핸들프레임의 림에만 선택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쉽지 않아,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작업자가 핸들프레임을 손으로 잡고, 접착제가 담긴 통에 핸들프레임의 림 전체를 담가서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핸들프레임을 건조대에 걸어서 림에 도포된 접착제가 건조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접착제는 휘발성 유기용제로서, 장기적으로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림을 접착제가 담긴 통에 담갔다 꺼내서 건조대에 거치하는 과정에서 접착제가 바닥에 흘러내리면서 손실되는 접착제의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으며, 장시간 반복 작업시 작업자의 집중력 저하로 인하여 림이 아닌 핸들프레임의 스위치 단자 등에 접착제가 묻는 경우에, 핸들프레임에 결합하는 스위치모듈의 작동 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스위치 단자에 묻은 접착제를 제거하는 작업을 추가로 수행해야 함으로써 그에 따른 노동력 가중과 생산성 저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440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6574호 등록특허공보 제10-13374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핸들프레임에 열선패드를 부착하기 위하여 림을 세척하고,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일련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접착제 도포 작업의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프레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핸들프레임에 도포된 접착제를 닦아서 접착제가 흘러내림 없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게 하여 접착제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프레임에 접착제를 도포할 때, 림의 소정 부분에만 한정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착제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는 전면 일측에 개폐문(102)을 구비하여 핸들프레임(F)을 투입, 배출하는 투입배출구(101)를 형성하고, 상부 일측에는 내부 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강제배기부를 형성하며, 상기 투입배출구(101) 일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핸들프레임(F)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06)을 설치한 챔버(10)와;
상기 챔버(10)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두 줄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제1모터(201)에 의해 일정 피치로 순환 구동하는 제1롤러체인부(20)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여 일정 피치만큼 이송하면서, 거치된 핸들프레임(F)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핸들거치부(30)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거치부(30)에 의해 부분적으로 침지되어 회전하는 림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부(40)와;
상기 세척부(40) 후방에 설치되어 세척을 마친 림 표면에 묻은 세척액을 건조하는 바람을 방출하는 제1건조부(50)와;
상기 제1건조부(50)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거치부(30)에 의해 부분적으로 침지되어 회전하는 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60)와;
상기 접착제도포부(60)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후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이송되는 림 표면에 묻은 접착제를 건조하는 바람을 방출하는 제2건조부(7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챔버(10)는, 상기 투입배출구(101) 내측에 제1실린더(104)에 의해 승강하는 지지대(105)를 설치하여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순환 구동되는 핸들거치부(30)를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핸들거치부(30)는, 핸들프레임(F)의 허브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H1)을 관통하여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는 샤프트(301)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301)를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베어링유닛(302)과; 상기 샤프트(301)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샤프트(301)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베어링유닛(302) 일측에서 상기 샤프트(301)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0)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6)을 따라서 핸들거치부(30)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303)와; 상기 샤프트(301)와 평행한 고정봉(304a)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301)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의 공회전을 억제하도록 상기 샤프트(301)에 착탈 가능케 설치하는 핸들고정부재(304)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 일측에서 제1롤러체인부(20)와 동일한 경로로 설치되어 제1모터(201)에 의해 순환 구동하는 제2롤러체인부(305)와; 상기 샤프트(301)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롤러체인부(305)에 구동되면서 샤프트(301)를 회전시키는 구동스프로킷(307)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고정부재(304)는, 상기 핸들프레임(F)에 형성된 통공부(H2)와 동일한 수의 고정봉(304a)을 상기 샤프트(301)와 평행하게 돌출 형성하여, 각각의 고정봉(304a)이 각각의 통공부(H2)에 관통하게 끼워져 상기 샤프트(301)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의 공회전을 억제하며,
상기 접착제도포부(60)는, 접착제를 담는 접착제통(601)을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602)와; 상기 접착제통(60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봉(603)을 구비하여 상기 핸들프레임(F)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동안에만 접착제통(601)이 상승하게 하되,
상기 접착제도포부(60)는, 림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균일한 두께로 닦아내는 스퀴지수단(604a, 604b)과; 상기 스퀴지수단(604a, 604b)을 전, 후진시켜 림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는 제3실린더(605)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피치 구동을 위해서 세척부(40), 제1건조부(50), 접착제도포부(60) 일측에는 핸들거치부(30)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1롤러체인부(20)를 구동하는 제1모터(201)의 제어회로에 제공하는 감지센서(SS)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301) 외주면에는 다각결합부(301a)를 형성하고, 상기 핸들고정부재(304)에는 상기 다각결합부(301a)에 대응하는 다각결합공(304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 일측에 투입배출구(101)를 형성하고, 상부 일측에 강제배기부를 형성하며, 내부에는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는 핸들거치부(3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두 줄로 구성된 제1롤러체인부(20)가 제1모터(201)에 의해 일정 피치로 순환 구동하게 설치하여, 상기 핸들거치부(30)의 샤프트(301)가, 핸들프레임(F)의 허브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H1)을 관통하도록 핸들거치부(30)에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면,
상기 제1롤러체인부(20)가 핸들거치부(30)를 세척부(40)로 이송하여 핸들거치부(30)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의 림을 세척액에 침지시킨 후, 상기 핸들거치부(30)가 핸들프레임(F)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림 표면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부(40)에서 세척을 마친 핸들프레임(F)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가 바람을 방출하는 제1건조부(50)로 이송하여 림 표면의 세척액을 건조하며;
상기 제1건조부(50)에서 건조된 핸들프레임(F)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가 접착제도포부(60)로 이송하여 림을 접착제에 침지시킨 후, 상기 핸들거치부(30)가 핸들프레임(F)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접착제도포부(60)에서 접착제 도포를 마친 핸들프레임(F)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가 바람을 방출하는 제2건조부(70)로 이송하여 림 표면의 접착제를 건조한 후;
접착제 건조가 완료된 핸들프레임(F)을 상기 제1롤러체인부(20)가 상기 투입배출구(101)로 이송하여 투입배출구(101)를 통해 배출 가능케 구성하고,
상기 핸들거치부(30)는, 핸들프레임(F)의 허브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H1)을 관통하여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는 샤프트(301)와; 상기 샤프트(301)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샤프트(301)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301)를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베어링유닛(302)과; 상기 베어링유닛(302) 일측에서 상기 샤프트(301)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0)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6)을 따라서 핸들거치부(30)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303)와; 상기 샤프트(301)와 평행한 고정봉(304a)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301)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의 공회전을 억제하도록 상기 샤프트(301)에 착탈 가능케 설치하는 핸들고정부재(304)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면서 상기 샤프트(301)를 중심축으로 하여 핸들프레임(F)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접착제도포부(60)는, 접착제를 담는 접착제통(601)을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602)와, 상기 접착제통(60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봉(603)을 구비하여, 접착제통(601)이 상승한 동안에만 상기 핸들프레임(F)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소정 시간 후에는 접착제통(601)이 하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은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핸들프레임에 열선패드를 부착하기 위하여 림을 세척하고,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일련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접착제 도포 작업의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향상되고, 인건비 절감을 통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프레임에 접착제를 도포할 때, 핸들프레임에 도포된 접착제를 스퀴지수단으로 닦아서 접착제가 흘러내림 없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게 함으로써 접착제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제 건조 후에도 균일한 접착력을 유지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프레임에 접착제를 도포할 때, 림의 소정 부분에만 한정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향핸들의 종류에 따른 열선패드의 부분적인 부착 시 접착제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들프레임 접착제 도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거치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의 핸들거치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거치부 요부 평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의 핸들거치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의 핸들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의 핸들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들프레임 거치 상태 정면 예시도.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스퀴지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는 핸들프레임(F)을 투입, 배출하는 투입배출구(101)를 구비한 챔버(10)와; 상기 챔버(10) 내부에 일정 피치로 순환 구동하는 제1롤러체인부(20)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여 이송하면서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핸들거치부(30)와; 상기 림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부(40)와; 상기 세척된 핸들프레임(F)을 건조하는 제1건조부(50)와; 상기 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60)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핸들프레임(F)을 건조하는 제2건조부(7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핸들프레임(F)에 열선패드를 부착하기 위하여 림을 세척하고,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일련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챔버(10)는, 내외부 밀폐가 가능한 박스 형태로 되어 전면 일측에는 핸들프레임(F)을 투입, 배출하는 투입배출구(101)를 형성하되, 상기 투입배출구(101)에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슬라이딩 타입의 개폐문(102)을 설치한다.
또한, 챔버(10)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핸들프레임(F)의 세척, 접착제 도포 작업 시 사용이 불가피한 유기용제로 인한 유해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챔버(10) 상부 일측에는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배기수단(103a)과 배기덕트(103b)로 구성된 강제배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배출구(101) 일측에는 핸들프레임(F)의 세척, 건조, 접착제 도포 작업을 수행할 때, 핸들프레임(F)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작동 경로를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가이드레일(106)을 설치하는데, 상기 가이드레일(106)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아래 핸들거치부(30)에 관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투입배출구(101) 내측에 제1실린더(104)에 의해 승강하는 지지대(105)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순환 구동되는 핸들거치부(30)를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된다.
즉, 투입배출구(101) 내측에서 상기 핸들거치부(30)가 위치하면, 투입배출구(101)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개폐문(102)을 개방한 후 작업자가 핸들프레임(F)을 상기 핸들거치부(30)에 새로 거치하거나, 접착제가 도포된 후 건조까지 완료된 핸들프레임(F)을 핸들거치부(30)에서 분리할 때, 상기 제1실린더(104)에 의해 승강하는 지지대(105)가 상승하여 핸들거치부(30)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핸들거치부(3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위치 유지가 가능케 됨으로써 작업자가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핸들거치부(30)에 핸들프레임(F) 거치를 완료한 후,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핸들거치부(30)가 순환 구동할 때에는 제1실린더(104)에 의해 지지대(105)가 하강함으로써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순환 구동되는 핸들거치부(30)와의 간섭이 해소되어 핸들거치부(30)의 이송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제1롤러체인부(20)는, 상기 핸들거치부(30)를 일정 피치로 순환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10)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되어 제1모터(201)에 의해 순환 구동된다.
이때, 제1롤러체인부(20)는 적어도 한 줄 이상을 설치하되, 핸들거치부(30)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서는 두 줄의 제1롤러체인부(2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서 상기 챔버(10) 내부에는 제1롤러체인부(20)의 구동을 위한 체인스프로킷을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베어링유닛과, 상기 베어링유닛이 고정 설치되는 설치프레임(10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구동 피치는 제1롤러체인부(2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핸들거치부(30)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의 공정별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척부(40)와 제1건조부(50)와 제1건조부(50)와 접착제도포부(60) 간의 간격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피치 구동을 위해서 세척부(40), 제1건조부(50), 접착제도포부(60) 일측에는 핸들거치부(30)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1롤러체인부(20)를 구동하는 제1모터(201)의 제어회로에 제공하는 감지센서(SS)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핸들거치부(30)는,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들프레임(F)을 거치한 상태에서 핸들프레임(F)을 일정 피치만큼 이송하면서 거치된 핸들프레임(F)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핸들프레임(F)의 결합공(H1)을 관통하여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는 샤프트(301)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301)를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베어링유닛(302)과; 상기 샤프트(301)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샤프트(301)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베어링유닛(302) 일측에서 상기 샤프트(301)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0)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6)을 따라서 핸들거치부(30)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303)와; 상기 샤프트(301)와 평행한 고정봉(304a)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301)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의 공회전을 억제하도록 상기 샤프트(301)에 착탈 가능케 설치하는 핸들고정부재(30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샤프트(301)는, 핸들프레임(F)의 허브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H1)을 관통하도록 상기 결합공(H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하되, 상기 핸들고정부재(304)가 고정되는 부분에서 샤프트(301)의 선단부까지의 길이는, 다수의 핸들프레임(F)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나의 핸들프레임(F)의 전후 길이의 5~10배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유닛(302)은, 핸들거치부(30)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일정 피치로 간헐 이송이 가능하도록 체인어테치먼트를 이용해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함으로써, 베어링유닛(302)에 의해 회전 가능케 지지되는 상기 샤프트(301)가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일정 피치로 이송 가능케 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샤프트(301)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301)의 말단부에 설치하되, 상기 제1롤러체인부(20) 일측에서 제1롤러체인부(20)와 동일한 경로로 설치되어 제2모터(306)에 의해 순환 구동하는 제2롤러체인부(305)와; 상기 샤프트(301)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롤러체인부(305)에 구동되면서 샤프트(301)를 회전시키는 구동스프로킷(307)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2모터(306)의 동작 제어를 통해 제2롤러체인부(305)를 순환 구동시키면, 상기 제2롤러체인부(305)에 치합하는 구동스프로킷(307)이 회전함에 따라서 구동스프로킷(307)과 함께 상기 샤프트(301)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샤프트(301)의 회전 각도는 상기 제2롤러체인부(305)에 치합하는 구동스프로킷(307)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제어 가능하므로, 상기 제2모터(306)의 동작 제어를 통해 샤프트(301)의 회전각도, 또는 샤프트(301)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핸들거치부(30)가 이동하는 동안에도 제2롤러체인부(305)가 순환 구동 가능케 함으로써 핸들거치부(30)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은 이송과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의 또 다른 예로서,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베어링유닛(302) 후방에, 상기 샤프트(301)를 회전 구동하는 서보모터(308)를 설치함으로써 정, 역회전이 가능한 서보모터(308)의 회전각도 제어를 통해서 상기 샤프트(301)를 원하는 각도만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샤프트(301)에 거치되는 핸들프레임(F)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롤러(303)는, 상기 베어링유닛(302) 일측에서 상기 샤프트(301)에 회전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상기 샤프트(301)가 이동할 때, 상기 챔버(10)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6)를 타고 구르면서 상기 샤프트(301)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가이드롤러(303)는 상기 가이드레일(106)을 타고 굴러갈 때, 흔들림이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외주면이 평탄한 것보다는 첨부도면 도 6과같이 "U"형 또는 "V"형으로 오목한 환상홈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이드롤러(303)의 외주면을 "U"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가이드롤러(303)와 접하는 가이드레일(106)은 상기 "U"형 환상홈에 대응하는 볼록한 곡면 단면을 가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고정부재(304)는 상기 샤프트(301)에 끼워지는 핸들프레임(F)이 샤프트(301)를 중심축으로 하여 임의로 공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회전제어가 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30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관체의 외주면에 상기 샤프트(301)와 평행한 고정봉(304a)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301)에 착탈 가능케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301)가 핸들프레임(F)의 결합공(H1)을 관통하도록 핸들프레임(F)을 샤프트(301)에 거치할 때, 핸들프레임(F) 일측에 형성된 통공부(H2)에 상기 고정봉(304a)이 끼워짐으로써 샤프트(301)와 함께 핸들프레임(F)이 회전할 때, 샤프트(301)와 함께 회전하는 핸들프레임(F)에 끼워진 고정봉(304a)도 샤프트(301)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핸들프레임(F)의 공회전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핸들고정부재(304)를 상기 샤프트(301)에 착탈 가능케 설치할 때에는 상기 관체의 주벽에 직각으로 나사 결합하는 무드볼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기 핸들고정부재(304)의 신속하고 간편한 착탈이 가능케 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샤프트(301) 외주면에는 다각결합부(301a)를 형성하고, 상기 핸들고정부재(304)에는 상기 다각결합부(301a)에 대응하는 다각결합공(304b)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첨부도면도 8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핸들고정부재(304)는 상기 핸들프레임(F)에 형성된 통공부(H2)와 동일한 수의 고정봉(304a)을 상기 샤프트(301)와 평행하게 돌출 형성함으로써, 샤프트(301)에 핸들프레임(F)을 끼워서 거치할 때, 핸들고정부재(304)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봉(304a)이 핸들프레임(F)에 형성된 각각의 통공부(H2)에 관통하게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구동수단을 이용해 샤프트(301)를 회전시켜 샤프트(301)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을 샤프트(301)와 함께 회전시킬 때, 핸들프레임(F)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여 핸들프레임(F)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척부(40)는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거치부(30)에 의해 부분적으로 침지되어 회전하는 림 표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액이 담기는 세척조(401)를 구비한다.
상기 세척조(401)는 사출 성형을 통해 핸들프레임(F)의 림에 형성된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 부분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을 세척하는 세척액이 수용되는데, 상기 세척액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주지된 여러 종류의 세척액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척조(401)에 침지되어 회전하는 핸들프레임(F)에 대한 세척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세척조(401)는 고주파진동자와 온도조절장치치를 구비한 고주파세척조(40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건조부(50)는, 상기 세척부(40)에서 세척을 마친 림 표면에 묻은 세척액을 건조하는 바람을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세척조(401) 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팬을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상부에 설치한다.
상기 송풍팬에서 방출되는 바람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핸들거치부(30)에 의해 회전하는 림 표면에 직접 가해져, 림 표면에 묻은 세척액을 건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출되는 바람에 의한 핸들프레임(F)의 건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팬은 열풍의 방출이 가능한 열풍기로도 대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접착제도포부(60)는 건조된 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담는 접착제통(601)을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602)와, 상기 접착제통(60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봉(603)을 구비하여 상기 핸들프레임(F)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동안에만 접착제통(601)이 상승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제1건조부(50)에서 세척액이 건조된 후,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이송되는 핸들프레임(F)의 림에만 접착제의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핸들프레임(F)이 이송되는 동안에는 상기 접착제통(601)은 제2실린더(602)에 의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이송중인 핸들프레임(F)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핸들프레임(F)의 피치 이송이 완료되어, 핸들거치부(30)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이 접착제통(601)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롤러체인부(20)가 정지하면, 제2실린더(602)에 의해 접착제통(601)이 상승하여 상기 핸들프레임(F)의 림이 접착제통(601)에 담긴 접착제에 침지된다.
이때, 상기 핸들프레임(F)은 핸들거치부(30)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서 핸들프레임(F)의 둥근 림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수단의 제어를 통해 핸들프레임(F)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림의 소정 부분에만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한편, 상기 접착제도포부(60)는, 첨부도면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림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균일한 두께로 닦아내는 스퀴지수단(604a, 604b)과; 상기 스퀴지수단(604a, 604b)을 전, 후진시켜 림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는 제3실린더(605)를 더 구비함으로써 림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균일한 두께로 닦아낼 수 있게 된다.
즉, 접착제통(601)에 담긴 핸들프레임(F)이 핸들거치부(30)에 의해 회전하면서 핸들프레임(F)의 림에 접착제가 충분히 도포된 상태에서, 제2실린더(602)에 의해 접착제통(601)이 하강한 후, 제3실린더(605)에 의해 스펀지나 합성고무로 된 스퀴지수단(604a) 또는 브러시로 된 스퀴지수단(604b)이 핸들프레임(F)의 림에 밀착되면, 핸들거치부(30)에 의해 핸들프레임(F)이 회전하는 동안에 림에 밀착된 스퀴지수단(604a, 604b)이 림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닦아내게 되고, 스퀴지수단(604a, 604b)에 의해 닦인 여분의 접착제는 그대로 흘러내려 접착제통(601)에 다시 투입됨으로써 림에 도포된 접착제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접착제 사용을 방지하여 접착제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건조부(70)는, 상기 접착제도포부(60)에서 접착제 도포를 마친 림 표면에 묻은 접착제를 건조하는 바람을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제도포부(6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팬을 설치하되, 제1롤러체인부(20)가 리턴하여 돌아가는 경로를 따라서 다수의 송풍팬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에서 방출되는 바람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핸들거치부(30)에 의해 회전하는 림 표면에 직접 가해져, 림 표면에 묻은 접착제를 건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출되는 바람에 의한 핸들프레임(F)의 건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팬은 열풍의 방출이 가능한 열풍기로도 대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를 이용한 접착제 도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들프레임(F)에 접착제를 도포하기에 앞서, 핸들프레임(F)은 보통강이나 경합금으로 되어 허브(H)와 스포크(S)로 연결되게 일체로 된 환상의 림(R) 부분에 합성수지나 합성고무(이하, '림'이라 함)를 사출 성형하게 된다.
사출 성형된 림은 사출 과정에서 금형이 맞물리는 부분에 불규칙한 형태로 버(burr)가 형성되기 때문에 림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열선패드를 부착하고, 가죽을 덮어씌우기 위해서는 림에 형성된 버를 먼저 제거해야 한다.
작업자가 칼을 이용해서 수동으로 버을 제거하면, 림 표면에는 제거된 버의 부스러기가 붙어서 접착제의 균일한 도포를 방해하기 때문에 버가 제거된 림은 먼저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챔버(10) 전면에 형성된 투입배출구(101)의 개폐문(102)을 개방하여 투입배출구(101) 내측에서 정지한 핸들거치부(30)의 샤프트(301)에 핸들프레임(F)의 허브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H1)이 끼워지게 핸들프레임(F)을 거치한다. 이때, 샤프트(301)에 거치하는 핸들프레임(F)의 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5개를 거치한 후 개폐문(102)을 닫으면 제1모터(201)에 의해 일정 피치로 순환 구동하는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핸들거치부(30)가 일정 피치로 이송되면서 샤프트(301)에 끼워진 다수의 핸들프레임(F)이 한꺼번에 일정 피치만큼 이송된다.
상기 핸들프레임(F)이 이송되어 세척액이 담긴 고주파세척조(401)에 림의 일부분이 투입된 상태에서 핸들거치부(30)에 의해 핸들프레임(F)이 회전하면, 림이 세척액에 침지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림의 표면에 부착된 버나 각종 이물질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이 완료된 핸들프레임(F)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피치 구동에 의해 바람을 방출하는 제1건조부(50)로 이송된 후, 핸들거치부(30)에 의해 핸들프레임(F)이 제1건조부(50)에서 소정 시간 동안 회전하면, 표면의 세척액이 바람에 의해 건조된다.
림 표면 세척액에 대한 건조가 완료되면, 핸들프레임(F)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피치 구동에 의해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60)로 이송된다.
접착제도포부(60)에 핸들프레임(F)이 도착하면 접착제통(601)이 상승하면서 접착제통(601)에 담긴 접착제에 핸들프레임(F)의 림의 일부분이 침지되고, 핸들거치부(30)에 의해 핸들프레임(F)이 회전하면, 림이 접착제에 침지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림의 표면에 접착제의 도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핸들거치부(30)의 구동수단을 이용해 림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면, 림의 소정 부분에만 한정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가능게 된다.
또한, 림이 접착제에 침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접착제의 도포를 완료한 후에는 접착제통(601)을 하강시켜 림을 접착제통(601)에서 꺼낸 후, 회전하는 림에 스퀴지수단(604a, 604b)을 밀착시켜 림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긁어줌으로써 림에 도포된 접착제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도포된 접착제가 핸들프레임(F)의 이송 중에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접착제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 도포가 완료된 핸들프레임(F)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피치 구동에 의해 바람을 방출하는 제2건조부(70)로 이송된 후, 핸들거치부(30)에 의해 핸들프레임(F)이 제2건조부(70)에서 소정 시간 동안 회전하면, 림 표면에 도포된 세척액이 바람에 의해 건조된다.
그리하여 림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건조가 완료된 후,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피치 구동에 의해 핸들프레임(F)이 상기 투입배출구(101) 내측으로 이송되면, 작업자는 투입배출구(101)를 개폐하는 개폐문(102)을 열고, 핸들거치부(30)에 거치된 접착제 도포 작업이 완료된 핸들프레임(F)을 핸들거치부(30)에서 빼내어 별도의 적재부에 적재하고, 도포작업을 수행할 새로운 핸들프레임(F)을 다시 핸들거치부(30)에 거치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작업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핸들프레임(F)에 열선패드를 부착하기 위하여 림을 세척하고,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일련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접착제 도포 작업의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인력으로 접착제 도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인건비 절감을 통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F: 핸들프레임 10: 챔버
101: 투입배출구 102: 개폐문
103a: 배기수단 103b: 배기덕트
104: 제1실린더 105: 지지대
106: 가이드레일 20: 제1롤러체인부
201: 제1모터 30: 핸들거치부
301: 샤프트 301a: 다각결합부
302: 베어링유닛 303: 가이드롤러
304: 핸들고정부재 304a: 고정봉
304b: 다각결합공 305: 제2롤러체인부
306: 제2모터 307: 구동스프로킷
308: 서보모터 40: 세척부
50: 제1건조부 60: 접착제도포부
601: 접착제통 602: 제2실린더
603: 가이드봉 604a, 604b: 스퀴지수단
605: 제3실린더 70: 제2건조부

Claims (13)

  1. 전면 일측에 개폐문(102)을 구비하여 핸들프레임(F)을 투입, 배출하는 투입배출구(101)를 형성하고, 상부 일측에는 내부 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강제배기부를 형성하며, 상기 투입배출구(101) 일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핸들프레임(F)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06)을 설치한 챔버(10)와;
    상기 챔버(10)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두 줄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제1모터(201)에 의해 일정 피치로 순환 구동하는 제1롤러체인부(20)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여 일정 피치만큼 이송하면서, 거치된 핸들프레임(F)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핸들거치부(30)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거치부(30)에 의해 부분적으로 침지되어 회전하는 림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부(40)와;
    상기 세척부(40) 후방에 설치되어 세척을 마친 림 표면에 묻은 세척액을 건조하는 바람을 방출하는 제1건조부(50)와;
    상기 제1건조부(50)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거치부(30)에 의해 부분적으로 침지되어 회전하는 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60)와;
    상기 접착제도포부(60)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후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이송되는 림 표면에 묻은 접착제를 건조하는 바람을 방출하는 제2건조부(7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챔버(10)는, 상기 투입배출구(101) 내측에 제1실린더(104)에 의해 승강하는 지지대(105)를 설치하여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의해 순환 구동되는 핸들거치부(30)를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핸들거치부(30)는, 핸들프레임(F)의 허브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H1)을 관통하여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는 샤프트(301)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301)를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베어링유닛(302)과; 상기 샤프트(301)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샤프트(301)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베어링유닛(302) 일측에서 상기 샤프트(301)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0)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6)을 따라서 핸들거치부(30)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303)와; 상기 샤프트(301)와 평행한 고정봉(304a)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301)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의 공회전을 억제하도록 상기 샤프트(301)에 착탈 가능케 설치하는 핸들고정부재(304)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 일측에서 제1롤러체인부(20)와 동일한 경로로 설치되어 제1모터(201)에 의해 순환 구동하는 제2롤러체인부(305)와; 상기 샤프트(301)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롤러체인부(305)에 구동되면서 샤프트(301)를 회전시키는 구동스프로킷(307)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고정부재(304)는, 상기 핸들프레임(F)에 형성된 통공부(H2)와 동일한 수의 고정봉(304a)을 상기 샤프트(301)와 평행하게 돌출 형성하여, 각각의 고정봉(304a)이 각각의 통공부(H2)에 관통하게 끼워져 상기 샤프트(301)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의 공회전을 억제하며,
    상기 접착제도포부(60)는, 접착제를 담는 접착제통(601)을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602)와; 상기 접착제통(60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봉(603)을 구비하여 상기 핸들프레임(F)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동안에만 접착제통(601)이 상승하게 하되,
    상기 접착제도포부(60)는, 림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균일한 두께로 닦아내는 스퀴지수단(604a, 604b)과; 상기 스퀴지수단(604a, 604b)을 전, 후진시켜 림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는 제3실린더(605)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의 피치 구동을 위해서 세척부(40), 제1건조부(50), 접착제도포부(60) 일측에는 핸들거치부(30)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1롤러체인부(20)를 구동하는 제1모터(201)의 제어회로에 제공하는 감지센서(SS)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01) 외주면에는 다각결합부(301a)를 형성하고, 상기 핸들고정부재(304)에는 상기 다각결합부(301a)에 대응하는 다각결합공(304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전면 일측에 투입배출구(101)를 형성하고, 상부 일측에 강제배기부를 형성하며, 내부에는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는 핸들거치부(3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두 줄로 구성된 제1롤러체인부(20)가 제1모터(201)에 의해 일정 피치로 순환 구동하게 설치하여, 상기 핸들거치부(30)의 샤프트(301)가, 핸들프레임(F)의 허브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H1)을 관통하도록 핸들거치부(30)에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면,
    상기 제1롤러체인부(20)가 핸들거치부(30)를 세척부(40)로 이송하여 핸들거치부(30)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의 림을 세척액에 침지시킨 후, 상기 핸들거치부(30)가 핸들프레임(F)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림 표면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부(40)에서 세척을 마친 핸들프레임(F)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가 바람을 방출하는 제1건조부(50)로 이송하여 림 표면의 세척액을 건조하며;
    상기 제1건조부(50)에서 건조된 핸들프레임(F)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가 접착제도포부(60)로 이송하여 림을 접착제에 침지시킨 후, 상기 핸들거치부(30)가 핸들프레임(F)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접착제도포부(60)에서 접착제 도포를 마친 핸들프레임(F)은 상기 제1롤러체인부(20)가 바람을 방출하는 제2건조부(70)로 이송하여 림 표면의 접착제를 건조한 후;
    접착제 건조가 완료된 핸들프레임(F)을 상기 제1롤러체인부(20)가 상기 투입배출구(101)로 이송하여 투입배출구(101)를 통해 배출 가능케 구성하고,
    상기 핸들거치부(30)는, 핸들프레임(F)의 허브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H1)을 관통하여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는 샤프트(301)와; 상기 샤프트(301)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샤프트(301)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1롤러체인부(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301)를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베어링유닛(302)과; 상기 베어링유닛(302) 일측에서 상기 샤프트(301)에 설치되어 챔버(10)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6)을 따라서 핸들거치부(30)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303)와; 상기 샤프트(301)와 평행한 고정봉(304a)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301)에 거치된 핸들프레임(F)의 공회전을 억제하도록 상기 샤프트(301)에 착탈 가능케 설치하는 핸들고정부재(304)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들프레임(F)을 거치하면서 상기 샤프트(301)를 중심축으로 하여 핸들프레임(F)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접착제도포부(60)는, 접착제를 담는 접착제통(601)을 승강시키는 제2실린더(602)와, 상기 접착제통(60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봉(603)을 구비하여, 접착제통(601)이 상승한 동안에만 상기 핸들프레임(F)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소정 시간 후에는 접착제통(601)이 하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도포부(60)는, 림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균일한 두께로 닦아내는 스퀴지수단(604a, 604b)과; 상기 스퀴지수단(604a, 604b)을 전, 후진시켜 림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는 제3실린더(605)를 더 구비하여 림 표면에 접착제 도포를 완료한 후, 상기 스퀴지수단(604a, 604b)을 회전하는 림 표면에 밀착시켜 림 표면의 접착제가 흘러내림 없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방법.
KR1020170084256A 2017-07-03 2017-07-03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101789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56A KR101789100B1 (ko) 2017-07-03 2017-07-03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56A KR101789100B1 (ko) 2017-07-03 2017-07-03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100B1 true KR101789100B1 (ko) 2017-11-20

Family

ID=6080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256A KR101789100B1 (ko) 2017-07-03 2017-07-03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1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21B1 (ko) * 2007-03-09 2007-07-06 주식회사 진광화학 핫멜트 접착제의 직접도포에 의한 장식용 유리적층체의연속 및 자동 제조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1474759B1 (ko) * 2013-01-07 2014-12-30 (주)피엔티 스크린 인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21B1 (ko) * 2007-03-09 2007-07-06 주식회사 진광화학 핫멜트 접착제의 직접도포에 의한 장식용 유리적층체의연속 및 자동 제조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1474759B1 (ko) * 2013-01-07 2014-12-30 (주)피엔티 스크린 인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5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coating machine
CN113275174A (zh) 一种基于视觉监测装置的自动升降式喷涂置及其喷涂方法
KR101789100B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CN110675995A (zh) 一种电器漆包线制造加工系统
US4102302A (en) Adhesive applicator device
US3593353A (en) Washing of a contaminated guideroll and prevention therefrom in cloth treatments
KR100592984B1 (ko) 글래스판넬의 프라이머 자동 도포장치
CN107931026A (zh) 涂覆装置
KR100757044B1 (ko) 장식용 시트지 접착제 도포장치
CN210022604U (zh) 木纹铝材的生产线
CN113617775A (zh) 一种化妆品瓶回收用的初步清洗装置
US6348105B1 (en) Cleanable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the same with hot water
CN220615224U (zh) 一种烫金不干胶标签印刷机
JP2996270B2 (ja) 除塵装置
JP5059590B2 (ja) プリンター装置
KR100514652B1 (ko) 알루미늄튜브의 접착제 도포장치
JPH0422411Y2 (ko)
JPH10258982A (ja) マンコンベアーの移動手摺表面保守装置
CN218108204U (zh) 一种卷烟包装机用喷胶装置
KR102414905B1 (ko) 타이어 광택보호제 분사휠
CN220096917U (zh) 一种pet瓶贴标机构
JP2005023401A (ja) 電着塗装装置および電着塗装方法
CN213670062U (zh) 喷涂线自动跟踪装置
JP3532684B2 (ja) 缶蓋のシーリングコンパウンド塗布装置
CN210450192U (zh) 一种墨瓶清洗及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