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987B1 -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987B1
KR101788987B1 KR1020160115391A KR20160115391A KR101788987B1 KR 101788987 B1 KR101788987 B1 KR 101788987B1 KR 1020160115391 A KR1020160115391 A KR 1020160115391A KR 20160115391 A KR20160115391 A KR 20160115391A KR 101788987 B1 KR101788987 B1 KR 10178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zation
workpiece
extension
bas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김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기 filed Critical 김윤기
Priority to KR1020160115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Devices for holding work using magnetic or electric force acting directly on the work
    • B23Q3/154Stationary devices
    • B23Q3/1543Stationary devices using electro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는, 복수의 마그네틱 블록이 포함되며,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각각 대향하여 위치하되,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하는 자화부와,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화부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며, 피가공물의 에지 일측을 지지하는 자화연장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자화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대향하는 자화연장부의 높이를 다르게 조절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피가공물의 에지 근처에 가공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CLAMPING JIG FIXTURE FOR PROCESSING OBJECT INCLUDING EDGE PART}
본 발명은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의 에지를 정교하게 관통가공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밀링이나 머시닝센터등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피가공물을 테이블 상에 고정 설치된 바이스와 같은 지그수단에 고정하고, 고정된 피가공물의 위치를 정확히 원점 세팅(zero setting)한 후 머시닝센터를 작동시키면, 피가공물이 고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머시닝센터는 사전 입력된 가공 수치에 따라서 피가공물이 고정된 테이블을 X, Y축 방향으로 이송 제어하고, 고속 회전하는 절삭공구가 장착된 주축을 Z축 방향으로 이송제어함으로써 피가공물을 자동으로 가공하게 된다.
그리하여 피가공물의 가공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가공을 위해서 지그수단에 고정되었던 피가공물을 지그수단에서 배출하고, 새로운 피가공물을 다시 지그수단에 고정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동일 제품의 반복적인 가공이 일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밀링이나 머시닝센터등 절삭 가공을 위하여는 전통적인 바이스를 이용한 고정방법을 주로 활용해 왔다. 그러나 근래에는 자성체를 가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자석이나 영구자석 그리고 전자영구자석을 활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870호는 공작기계용 피가공물 고정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작기계의 테이블 상부에 결합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피가공물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피가공물의 측면과 밀착되면서 고정부 상부에 고정되는 피가공물의 위치를 정위치에 정렬하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의 경우 피가공물의 에지 근처에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정밀한 가공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피가공물의 모서리에서 5mm 내외의 간격에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드릴이 지그수단을 관통하는 등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고 최근 많이 활용되고 있는 자석을 활용한 피 가공물의 고정방법 또한 면가공이나 포켓모양의 가공 그리고 에지부분이 아닌 중심부분의 관통가공에는 활용가능하나 피가공물의 에지 부분에 근접한 위치위치의 관통가공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가공물의 에지 근처에 가공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연장블록을 이용하여 마그네트 표면에 스크래치를 방지하여 평탄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가공물의 크기에 따라 지그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으며, 상하부 양면으로 자력이 유도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는, 복수의 마그네틱 블록이 포함되며,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각각 대향하여 위치하되,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하는 자화부와,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화부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며, 피가공물의 에지 일측을 지지하는 자화연장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자화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대향하는 상기 자화연장부의 높이를 다르게 조절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화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하는 제1 자화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자화부와 대향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하는 제2 자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화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의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의 하면은 상기 제1 자화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제1 자화연장부와, 상기 제2 자화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타측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 자화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자화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자화부의 상부 평면의 높이와 상기 제2 자화연장부의 상부 평면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의 측면은 상기 제1 자화연장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피가공물의 타측의 하면은 상기 제2 자화연장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화연장부의 접촉단부는 상기 자화부의 단부보다 기 설정된 폭만큼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의 하면은 상기 자화부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상기 피가공물의 타측의 측면은 상기 자화연장부의 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가공물의 에지 근처에 가공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장블록을 이용하여 마그네트 표면에 스크래치를 방지하여 평탄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가공물의 크기에 따라 지그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양면으로 자력이 유도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의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의 평면에서 바라본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중 자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자화부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중 자화연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도 1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중 스페이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의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의 평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100)는 베이스(110), 자화부(120), 자화연장부(130) 및 스페이서(14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복수의 마그네틱 블록이 포함된다. 이 경우, 베이스(110)는 영구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110)는 자화부(12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자화부(120)가 전원에 의해 자화되면 베이스(110)와 자성결합을 통해 고정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상부에는 복수의 가이드홈(111)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11)은 자화부(120) 또는 스페이서(140)의 하부와 끼움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자화부(120) 또는 스페이서(140)는 베이스(110)의 가이드홈(111)을 따라 그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이는 피가공물(10)의 폭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화부(120)는 베이스(1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대향하여 위치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자회부(120)는 전자석 및 몰딩 블록을 포함한다. 전자석은 코일이 감겨진 자석으로 알리코 자석을 이용하여 자석의 극 변환을 통해 자화 또는 탈자를 제어할 수 있다. 몰딩 블록은 전자석의 상부에 형성되며 전자석으로부터 유도되는 자력에 의해 자화 또는 탈자된다. 몰딩 블록은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화부(120)는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에 의해 하부에 베이스(110)와 고정되며, 상부에 위치한 자화연장부(130)에 자력을 전달한다.
또한, 자화부(120)는 상하부에 볼트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자화연장부(130) 또는 자화부(120)와 볼트결합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자화부(120)는 복수로 형성되어 베이스(110)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자화부(120)의 상부에는 자화연장부(130)가 위치하며, 하부에는 베이스(110) 또는 스페이서(140)와 연결된다. 자화부(120)가 베이스(110)와 직접 맞닿는 경우 가이드홈(111)을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화부(120)는 제1 자화부(121) 및 제2 자화부(122)를 포함한다. 제1 자화부(121)는 베이스(11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한다. 제1 자화부(121)는 베이스(110)의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자화부(121)는 상부 단면으로 자력이 발생하며, 그 위치는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제1 자화부(121)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페이서(140)와 볼트로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자화부(121)와 제2 자화부(122)의 평면상 높이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제1 자화부(121)의 하부에 스페이서(140)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제2 자화부(122)는 베이스(110)의 상부 타측에 위치하여 제1 자화부(121)와 대향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한다. 제2 자화부(122)는 베이스(110)의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자화부(122)는 상하 양면으로 자력이 발생하며, 그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자화부(122)의 구성은 제1 자화부(121)와 동일할 수 있다.
자화연장부(130)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화부(120)의 상부에 각각 위치한다. 자화연장부(130)는 자화부(120)에 의해 자력의 영향을 받아 고정된다. 자화연장부(130)는 피가공물(10)의 에지 일측을 지지하며, 피가공물(10)의 측면 또는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자화연장부(130)는 피가공물(10)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자화연장부(130)의 접촉단부는 자화부(120)의 단부보다 기 설정된 폭만큼 내측에 형성된다. 이는 피가공물(10)의 일측의 하면은 자화부(120)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피가공물(10)의 타측의 측면은 자화연장부(130)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화연장부(130)는 제1 자화연장부(131) 및 제2 자화연장부(132)를 포함한다. 제1 자화연장부(131)는 제1 자화부(121)의 상부에 고정되며 피가공물(10)의 일측의 측면을 지지한다. 제1 자화연장부(131)는 제1 자화부(121)가 좌화되면서 자력에 의해 제1 자화연장부(131)와 고정되거나 볼트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자화연장부(131)의 측면은 피가공물(10)을 가공하는 기준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자화연장부(131)에 의해 피가공물(10)의 일측을 정렬시킨 후 제2 자화연장부(132)에 의해 피가공물(1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한다.
제1 자화부(121)의 일측 단부면과 제1 자화연장부(131)의 일측 단부면 간의 폭(a)은 피가공물(10)의 하면을 지지하는 폭이다. 이 경우, 피가공물(10)에 관통공(11)을 형성하기 위한 피가공물(10)의 에지면으로부터의 최소이격거리(b)는 제1 자화부(121)의 일측 단부면과 제1 자화연장부(131)의 일측 단부면 간의 폭(a)과 같거나, 그보다 크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자화연장부(132)는 제2 자화부(122)의 상부에 고정되며 피가공물(10)의 타측의 하면을 지지하며, 피가공물(10)의 타측의 하면은 제2 자화부(12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자화연장부(131)의 상부 평면과 제2 자화연장부(132)의 상부 평면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자화부(121)의 하부에는 스페이서(140)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스페이서(140)는 베이스(110)와 자화부(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대향하는 자화연장부(130)의 높이를 다르게 조절한다. 다시 말해, 스페이서(140)는 자화부(120) 및 자화연장부(130)의 높이를 상승시켜 자화부(120) 및 자화연장부(130)에 의해 피가공물(10)의 하면 및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스페이서(140)는 자화부(120)와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되거나,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스페이서(140)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자화부(121) 및 제2 자화부(122) 중 제1 자화부(121)의 하부에만 스페이서(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자화부(121)의 상부 평면의 높이와 제2 자화연장부(132)의 상부 평면의 높이가 같도록 스페이서(14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페이서(1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자화부(121)의 높이를 제2 자화부(122) 및 제2 자화연장부(132)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자화부(121)는 상면 또는 하면 모두 자력이 발생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중 자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자화부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a)는 자화부(120)의 상부면을 나타내고, (b)는 하부면을 나타낸다. 자화부(120)는 양면자화부(120-1) 또는 단면자화부(120-2)를 포함한다. 양면자화부(120-1)는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단면자화부(120-2)는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일 방향으로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자화부(120)는 양면자화부(120-1) 및 단면자화부(120-2)의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양면자화부(120-1) 또는 단면자화부(120=2)는 각각 전자석(120-3) 및 영구자석(120-4)을 포함한다. 이 경우, [영구자석(120-4)]-[알리코자석(120-3)]-[영구자석(120-4)] 순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는 자화부(1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자력을 유도시키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부면의 자력과 하부면의 자력의 세기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자화부(12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자력이 유도되면서 자화부(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영구자석의 N극과 S극을 절연시키기 위한 에폭시 몰딩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제1 자화부(121)는 단면형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제2 자화부(122)는 양면형으로 동작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중 자화연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화연장부(130)는 일측면은 단차지게 형성되고, 타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자화연장부(130)의 상부 면적은 자화연장부(130)의 하부 면적 또는 자화부(120)의 마그네틱의 상부 면적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자화연장부(130)는 하나의 블록 또는 복수의 블록을 연장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a)는 하나의 블록으로 자화연장부(130)를 구현한 것을 나타내며, (b)는 복수의 블록으로 자화연장부(130)를 구현한 것을 나타낸다. 자화연장부(130)에는 제1 볼트홈(130-1)이 형성된다. 제1 볼트홈(130-1)은 자화연장부(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자화부(120)와 볼트결합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볼트홈(130-1)의 개수 및 위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자화연장부(130)가 복수의 블럭으로 구현되는 경우 이웃하는 블록 간에는 차단홈(130-2)이 형성된다. 차단홈(130-2)은 이웃하는 블록 간에 자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차단홈(130-2)의 폭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자화연장부(130)는 단일 블록부터 3개 또는 4개의 블록을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중 스페이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페이서(140)는 단면이 '凸'자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140)의 상부에는 복수의 제2 볼트홈(140-1)이 형성된다. 제2 볼트홈(140-1)은 상부에 위치하는 자화부(120)와 볼트결합하기 위함이다. 스페이서(140)는 자화부(120)와 자화연장부(1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40)의 높이는 자화연장부(130)의 높이와 같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피가공물
11 : 관통공
100 : 피가공물 고정장치
110 : 베이스
111 : 가이드홈
120 : 자화부
120-1 : 양면자화부
120-2 : 단면자화부
120-3 : 전자석
120-4 : 영구자석
121 : 제1 자화부
122 : 제2 자화부
130 : 자화연장부
130-1 : 제1 볼트홈
130-2 : 차단홈
131 : 제1 자화연장부
132 : 제2 자화연장부
140 : 스페이서
140-1 : 제2 볼트홈

Claims (5)

  1.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각각 대향하여 위치하되,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하는 자화부;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화부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며, 피가공물의 에지 일측을 지지하되, 상기 자화부와 볼트결합하는 제1 볼트홈과,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블록 간에 자력을 차단하는 차단홈이 형성되는 자화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자화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대향하는 상기 자화연장부의 높이를 다르게 조절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자화부의 일측 단부면과 상기 자화연장부의 일측 단부면 간의 거리는 상기 피가공물의 에지면으로부터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최소이격거리로 설정되는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하는 제1 자화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자화부와 대향하며,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하는 제2 자화부를 포함하는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연장부는,
    상기 제1 자화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의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의 하면은 상기 제1 자화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제1 자화연장부; 및
    상기 제2 자화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타측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 자화연장부를 포함하는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자화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자화부의 상부 평면의 높이와 상기 제2 자화연장부의 상부 평면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의 측면은 상기 제1 자화연장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피가공물의 타측의 하면은 상기 제2 자화연장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연장부의 접촉단부는 상기 자화부의 단부보다 기 설정된 폭만큼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의 하면은 상기 자화부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상기 피가공물의 타측의 측면은 상기 자화연장부의 측면에 지지되는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KR1020160115391A 2016-09-08 2016-09-08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KR101788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91A KR101788987B1 (ko) 2016-09-08 2016-09-08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91A KR101788987B1 (ko) 2016-09-08 2016-09-08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987B1 true KR101788987B1 (ko) 2017-10-20

Family

ID=6029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391A KR101788987B1 (ko) 2016-09-08 2016-09-08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3234A (zh) * 2018-12-03 2019-02-15 中国工程物理研究院激光聚变研究中心 小口径光学元件的装夹装置及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130A (ja) * 2001-08-03 2003-02-18 Ykk Corp ワーク固定治具
KR101030431B1 (ko) * 2010-10-12 2011-04-20 주식회사 이녹셀코리아 마그네틱 척
KR101458056B1 (ko) * 2011-08-19 2014-11-12 어스-체인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자성 작업대 및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130A (ja) * 2001-08-03 2003-02-18 Ykk Corp ワーク固定治具
KR101030431B1 (ko) * 2010-10-12 2011-04-20 주식회사 이녹셀코리아 마그네틱 척
KR101458056B1 (ko) * 2011-08-19 2014-11-12 어스-체인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자성 작업대 및 가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3234A (zh) * 2018-12-03 2019-02-15 中国工程物理研究院激光聚变研究中心 小口径光学元件的装夹装置及其方法
CN109333234B (zh) * 2018-12-03 2024-05-17 中国工程物理研究院激光聚变研究中心 小口径光学元件的装夹装置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4504B1 (en) Magnetic and mechanical work holding apparatus with monolithic working face
KR101513502B1 (ko) 자체-고정 자기 장치 및 이 자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US8292276B2 (en) One-piece multipole plate for a magnetic holding apparatus, process for making such plate and magnetic apparatus using such plate
TWI598944B (zh) 一種將多個罩幕對準至多個工件的系統與方法
JP2853858B2 (ja) ワークピースの固定装置
KR101030431B1 (ko) 마그네틱 척
US8905387B2 (en) Magnetic worktable
KR101614218B1 (ko) 비자성체 가공용 마그네틱 연장지그, 이를 이용한 비자성체 고정장치 및 그 고정방법
KR101788987B1 (ko) 에지부를 포함한 관통가공용 피가공물 고정장치
US7038566B2 (en) Magnetic pallet for anchorage of ferromagnetic parts for machining by machine tools with horizontal tool axis
KR101925835B1 (ko) 에지 가공이 가능한 피가공물 고정장치
KR101787000B1 (ko) 직각 영구 전자 척
JP2018058152A (ja) ワーク固定装置
KR102157967B1 (ko) 마그네틱 척
KR20110083052A (ko) 5축 마이크로 가공장치
US20100052832A1 (en) Permanent electromagnetic indexing apparatus
KR20180033296A (ko) 평면형 위치설정 장치 및 위치설정 테이블
CN214769921U (zh) 多面点焊治具
KR20130007715A (ko) 마그네틱 척
KR102040049B1 (ko) 영전자 척
JP2001046351A (ja) 磁界発生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216730811U (zh) 一种模架加工定位装置
CN102267057B (zh) 非磁性构件制孔的主动夹紧机构
CN216097737U (zh) 一种便于调节的电永磁吸盘
CN201736037U (zh) 一种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