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828B1 - 설문 조사를 위한 시스템, 방법, 장치 - Google Patents

설문 조사를 위한 시스템, 방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828B1
KR101788828B1 KR1020160056101A KR20160056101A KR101788828B1 KR 101788828 B1 KR101788828 B1 KR 101788828B1 KR 1020160056101 A KR1020160056101 A KR 1020160056101A KR 20160056101 A KR20160056101 A KR 20160056101A KR 101788828 B1 KR101788828 B1 KR 101788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urvey
call
questionnair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주
심정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니테크
Priority to KR1020160056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405Dual frequency signaling, DTM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문 조사를 위한 시스템, 방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지정된 설문 조사를 위한 자동 응답 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동 응답 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호를 연결하고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첫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된 호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설문 조사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설문 조사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의 상기 설문 조사 응답 결과에 따른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문 조사를 위한 시스템, 방법, 장치{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EYING}
본 발명은 설문 조사를 위한 시스템, 방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문 조사의 응답 방식을 다양하게 하는 시스템, 방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품에 대한 의견 또는 선거 전의 여론 조사 등을 위해 일반적으로 전화를 걸어 설문 항목에 응답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여론 조사 기관에서는 무작위로 선정된 표본 집단을 대상으로 전화를 걸어 전화를 받은 사람들에게 설문 조사 내용을 음성으로 설명하고, 설문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며, 전화를 받은 사람이 전화상의 버튼(터치 버튼 또는 물리적 버튼)을 눌러 응답하면 그 응답 결과를 저장하여 여론 조사 결과로 활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전화 설문 조사 방식은 보통 전자식 시스템 즉, ARS(Auto Response System)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전화를 받은 사람은 기계 음성을 들으며 한참을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결국 전화 설문 조사에 응답하는 비율을 현격히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전화 설문 조사 방식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러한 사용자들(설문 조사 대상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설문 조사 응답률을 높이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15090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화 설문 조사 방식만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화 설문 조사시 사용자가 짧은 시간 안에 설문 항목을 확인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방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은, 지정된 설문 조사를 위한 자동 응답 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호 전송부와;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동 응답 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호를 연결하고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첫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자동 응답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된 호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설문 조사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설문 조사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저장하는 설문 응답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응답부는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의 상기 설문 조사 응답 결과에 따른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제어부는 상기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은, 지정된 설문 조사를 위한 자동 응답 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동 응답 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호를 연결하고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첫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호 처리 서버와; 상기 자동 응답 호 전송 시점에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된 호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설문 조사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설문 조사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의 상기 설문 조사 응답 결과에 따른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상기 호 처리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를 제어하는 동기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지정된 설문 조사를 위한 자동 응답 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동 응답 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호를 연결하고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첫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된 호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설문 조사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설문 조사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의 상기 설문 조사 응답 결과에 따른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설문 조사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사용자들의 설문 조사 응답률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자동 응답 호를 받지 않고서도 설문 응답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면, 전화 통화료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단말기 사용자들은 자동 응답 호를 별도의 종료 키로 종료시키는 대신에 설문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자동 응답 호를 종료 시킬 수 있으므로 하나의 질문만을 하는 설문 조사의 경우 그 응답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의 구성 및 이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를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1)의 기능 블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1)은 호 전송부(11), 콘텐츠 표시 제어부(12), 자동 응답부(13), 설문 응답 저장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호 전송부(11)는 지정된 설문 조사를 위한 자동 응답 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자동 응답 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한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착신 벨이 울리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의미로서, 자동 응답 호에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위치를 찾는 신호는 물론이고 실제 착신 벨을 울리도록 하는 신호가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자동 응답 호의 전송에는 파일럿 신호의 전송, 페이징 신호의 전송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호 전송부(11)는 이러한 자동 응답 호의 특정 필드에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시켜 전송하거나 더 나아가 웹 페이지 그 자체 또는 웹 페이지 포함되는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콘텐츠 표시 제어부(12)는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표시 제어부(12)가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는 웹 페이지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표시 제어부(12)는 앞서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고, 그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해당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한 접속이 감지되면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웹 페이지 네트워크 주소는 호 전송부(11)가 전송하는 자동 응답 호의 특정 필드에 포함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부(12)는 단지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한 접속시 해당하는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면 된다.
자동 응답부(13)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자동 응답 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400)와 호를 연결하고,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첫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음성 신호를 기계음으로 생성하는 기술 자체는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설문 응답 저장부(14)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기 연결된 호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설문 조사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설문 조사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기 연결된 호를 통해 수신되는 설문 조사 응답 신호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이고,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수신되는 설문 조사 응답 신호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다른 GET 또는 POST 데이터일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설문 조사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자동 응답부(13)는 설문 조사 응답 결과에 따른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고, 콘텐츠 표시 제어부(12)는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호 전송부(11)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자동 응답 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설문 조사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해당 설문 조사 응답 신호에 따라 설문 조사가 완료된 경우에는, 자동 응답 호의 전송을 중단시켜 더 이상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전화 벨이 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설문 조사 시스템(1)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기능 블록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1)은 복수 개의 서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각 서버는 상술한 기능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술한 기능 블록은 각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1)이 이처럼 복수 개의 서버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문 조사 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처리 서버(100), 콘텐츠 제공 서버(200), 동기화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호 처리 서버(100)는 지정된 설문 조사를 위한 자동 응답 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자동 응답 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용자 단말기와 호를 연결하고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첫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자동 응답 호 전송 시점에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동기화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기 연결된 호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설문 조사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설문 조사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저장하고, 해당 설문 조사의 설문 조사 응답 결과에 따른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가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되도록 상기 호 처리 서버(100)를 제어하고,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콘텐츠 제공 서버(20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복수 개의 서버로 이루어진 설문 조사 시스템(1)이 통신 단말과 통신하는 전체적인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호 처리 서버(100)와 콘텐츠 제공 서버(200) 간의 연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에 설문과 관련한 호 및 콘텐츠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 단말기(400)는 설문 조사 대상자가 소유한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성 통화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기(400)에 해당할 수 있다.
우선, 호 처리 서버(100)는 자동 응답 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발신)하고(단계 S1), 설문 웹 페이지 전송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3).
이에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설문 웹 페이지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전송한다(단계 S5).
한편, 사용자 단말기(400)에는 일종의 앱 또는 앱 모듈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설문 웹 페이지 url이 전송되면 해당 앱이 실행되어(단계 S7) 설문 웹 페이지의 전송을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단계 S9).
다른 예로써, 사용자 단말기(400) 앱은 사용자 단말기(40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키면서 해당 url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 앱 또는 앱 모듈은 호 처리 서버(100)의 자동 응답 호 또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의 설문 웹 페이지 url이 수신되기 이전에 이미 실행되고 있는 상태일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요청에 따라 설문 웹 페이지를 전송하고(단계 S11), 이에 사용자 단말기(400)에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설문 웹 페이지가 표시된다(단계 S13).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400)에 설문 웹 페이지가 표시되는 시점은 설문 조사를 위한 자동 응답 호가 연결된 이후 일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 응답 호가 연결되기 이전이라고 가정한다.
즉, 사용자는 자동 응답 호가 걸려 와서 전화벨이 울리고 있는 상황에서 해당 전화를 받기 전이라도 자동 응답 호와 관련된 소정의 웹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는 설문 조사의 첫 번째 설문 항목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가 설문 웹 페이지 url을 푸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설문 웹 페이지 url은 자동 응답 호의 특정 필드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도 4는 이러한 경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호 처리 서버(100)는 설문 조사를 위한 자동 응답 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는데, 이때 해당 설문 조사와 관련된 url을 자동 응답 호의 특정 필드에 포함시킨다(단계 S21).
사용자 단말기(400)의 특정 앱은 실행된 후에 자동 응답 호에 포함된 url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설문 웹 페이지의 전송을 요청하고(단계 S25),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설문 웹 페이지를 전송한다(단계 S27).
이에 사용자 단말기(400)에는 설문 웹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단계 S29).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호 처리 서버(100)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은 이후의 처리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호 처리 서버(100)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는 경우(단계 S31) 사용자 단말기(400)는 호 응답 신호를 호 처리 서버(100)에 전송한다(단계 S33).
이에 따라 호 처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400) 간에는 호가 연결된다(단계 S35).
호가 연결된 이후 호 처리 서버(100)는 첫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한다(단계 S36).
사용자는 이러한 첫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듣고 또한 기 표시되어 있는 설문 웹 페이지를 보면서 설문 응답에 해당하는 특정 번호를 누를 수 있다(단계 S37).
즉, 기존에는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모두 듣고 난 이후에야 설문 응답에 해당하는 번호를 알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설문과 관련된 웹 페이지가 표시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모두 듣지 않고서도 설문 응답에 해당하는 번호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가 특정 번호를 누르면 사용자 단말기(400)는 그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호 처리 서버(100)에 전송한다(단계 S39).
이에 호 처리 서버(100)는 동기화 서버(300)에 선택 결과를 전송하고(단계 S41), 동기화 서버(300)는 그 수신된 선택 결과에 해당하는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저장한다(단계 S43).
이어서 동기화 서버(300)는 호 처리 서버(100)에 다음 단계 안내 방송의 전송을 요청함(단계 S45)과 아울러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다음 단계 콘텐츠 표시 제어를 요청한다(단계 S47).
이러한 동기화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호 처리 서버(100)는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고(단계 S49),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두 번째 설문 항목과 관련된 설문 웹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51).
여기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가 두 번째 설문 웹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설문 조사의 첫 번째 설문 항목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url을 먼저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400)로 하여금 해당 url을 이용하여 접속하도록 하는 과정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설문 항목의 선택을 위해 DTMF 신호의 전송을 위한 번호 키를 누르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 상의 터치 또는 클릭을 통해 설문 항목에 응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은 도 6에 도시되었다.
즉, 호 처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400) 간에 호가 연결되고(단계 S65), 호 처리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400)에 첫 번째 선택 항목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단계 S66),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 상에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의 항목을 터치할 수 있고(단계 S67),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400)는 웹 페이지 항목 선택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S69).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웹 페이지 항목 선택 신호를 수신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선택 결과를 동기화 서버(300)에 전송하고(단계 S71), 동기화 서버(30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선택 결과에 대응되는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저장한다(단계 S73).
이후의 과정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호 처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를 받기 전에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설문에 응답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도 3의 과정을 통해 현재 사용자 단말기(400)에는 자동 응답 호의 수신에 따른 전화벨이 울리고(단계 S81), 또한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설문 웹 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다고 가정한다(단계 S83).
이때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고 설문 웹 페이지에 표시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단계 S85) 사용자 단말기(400)는 웹 페이지 항목 선택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87).
이에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선택 결과를 동기화 서버(300)에 전송하고(단계 S89), 동기화 서버(300)는 해당 선택 결과에 따른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저장한다(단계 S91).
이때 동기화 서버(300)는 해당 설문 조사 응답 결과만으로 설문 조사가 종료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설문 종료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 및 호 처리 서버(100)에 전송한다(단계 S93, S95).
이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설문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데(단계 S97), 도 7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기(400)의 앱은 현재 설문 웹 페이지의 표시를 종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라면 사용자 단말기(400) 앱은 해당 웹 브라우저의 실행을 종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동기화 서버(300)로부터 설문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한 호 처리 서버(100)는 자동 응답 호 전송을 종료한다(단계 S99).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400)에서는 자동 응답 호의 수신에 따른 전화벨이 더 이상 울리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설문 조사와 관련한 전화벨이 울리고 있는 상태에서 해당 전화를 받지 않고 설문 조사에 응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고 종료되기 때문에 설문 조사 시스템(1)을 운영하는 쪽에서는 전화 요금이 절약되며 더 나아가 설문 조사 응답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설문 조사 시스템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자동 응답 호의 특정 필드에 설문 웹페이지와 관련된 URL을 포함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응답 호의 특정 필드에는 웹 페이지 자체 또는 웹 페이지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일 예로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는 자동 응답 호 수신에 따른 전화벨이 울리는 시점으로부터 설문 웹 페이지가 수신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콘텐츠는 웹 페이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선택 사항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모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앱이 구비되고 앱의 기능에 의해 url 기반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은 물론이고 기본 통화 애플리케이션 또는 OS(Operating system) 레벨에서 상술한 앱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 : 설문 조사 시스템 11 : 호 전송부
12 : 콘텐츠 표시 제어부 13 : 자동 응답부
14 : 설문 응답 저장부 100 : 호 처리 서버
200 : 콘텐츠 제공 서버 300 : 동기화 서버
4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3)

  1. (a) 지정된 설문 조사를 위한 자동 응답 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c)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동 응답 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호를 연결하고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첫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된 호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설문 조사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설문 조사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와;
    (e)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의 상기 설문 조사 응답 결과에 따른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는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의 첫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콘텐츠이고,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설문 조사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해당 설문 조사 응답 신호에 따라 설문 조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자동 응답 호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조사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의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b2)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한 접속이 감지되면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조사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상기 (a) 단계의 자동 응답 호의 특정 필드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조사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된 호를 통해 수신되는 설문 조사 응답 신호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수신되는 설문 조사 응답 신호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다른 GET 또는 POST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조사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8. 지정된 설문 조사를 위한 자동 응답 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호 전송부와;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동 응답 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호를 연결하고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첫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자동 응답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된 호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설문 조사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설문 조사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저장하는 설문 응답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응답부는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의 상기 설문 조사 응답 결과에 따른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제어부는 상기 두 번째 설문 항목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동 응답 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설문 조사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해당 설문 조사 응답 신호에 따라 설문 조사가 완료된 경우 상기 호 전송부는 상기 자동 응답 호의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조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표시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한 접속이 감지되면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조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송부는 상기 자동 응답 호의 특정 필드에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시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한 접속이 감지되면 상기 지정된 설문 조사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조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결된 호를 통해 수신되는 설문 조사 응답 신호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콘텐츠를 통해 수신되는 설문 조사 응답 신호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다른 GET 또는 POST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 조사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056101A 2016-05-09 2016-05-09 설문 조사를 위한 시스템, 방법, 장치 KR101788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101A KR101788828B1 (ko) 2016-05-09 2016-05-09 설문 조사를 위한 시스템, 방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101A KR101788828B1 (ko) 2016-05-09 2016-05-09 설문 조사를 위한 시스템, 방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828B1 true KR101788828B1 (ko) 2017-10-20

Family

ID=6029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101A KR101788828B1 (ko) 2016-05-09 2016-05-09 설문 조사를 위한 시스템, 방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804A (ko) 2017-11-30 2019-06-10 (주)이앤비소프트 설문 조사 대상자 선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909B1 (ko) * 2011-06-30 2012-05-29 안광민 가상번호를 이용한 설문 조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909B1 (ko) * 2011-06-30 2012-05-29 안광민 가상번호를 이용한 설문 조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804A (ko) 2017-11-30 2019-06-10 (주)이앤비소프트 설문 조사 대상자 선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6090B2 (en) Operation method and system of mobile terminal
US10356235B2 (en) Operation method and system of mobile terminal
US10313437B2 (en) Data sharing method, client and system
WO2016202116A1 (zh) 信息处理方法、客户端、服务器和计算机存储介质
US9485358B2 (e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7360332B (zh) 通话状态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JP2017524317A (ja) クラウドカードの送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531818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electronic devices
US10924529B2 (e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using widget window
US201701641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ushing information during call and storage medium
US20180167546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ation using smart video cameras
KR101788828B1 (ko) 설문 조사를 위한 시스템, 방법, 장치
CN107534860A (zh) WiFi热点Portal认证方法和装置
TW201141184A (en) Voice-connection establishment server, voice-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ith a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09600506B (zh) 来电语音呼叫方法和终端
JP4750493B2 (ja) 電話通信システム、電話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2780716A (zh) 信息共享方法与其装置
CN114143404A (zh) 数据交互方法、用户终端和服务器
KR102018095B1 (ko) 통신 호를 통해 전송한 정보를 기초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715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leaving video message
JP2005333272A (ja) サーバ装置、番組連動処理プログラム、番組連動処理システムおよび番組連動処理方法
KR20130022169A (ko) 개인 홈페이지를 이용한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369151A (zh) 信息输出方法和装置
KR1005956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표시방법
KR101599282B1 (ko) 전화통화시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