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646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646B1
KR101788646B1 KR1020150065931A KR20150065931A KR101788646B1 KR 101788646 B1 KR101788646 B1 KR 101788646B1 KR 1020150065931 A KR1020150065931 A KR 1020150065931A KR 20150065931 A KR20150065931 A KR 20150065931A KR 101788646 B1 KR101788646 B1 KR 101788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refrigerator
moving
housing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202A (ko
Inventor
서지석
Original Assignee
서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석 filed Critical 서지석
Priority to KR102015006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64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과 수납함을 이동시키는 수단이 구비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냉장고에 있어서,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수납실과, 상기 다수의 수납실을 지지하며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수납실의 각각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수단 및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냉장고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이 다수개로 구비되는 수납실에 분리 보관됨으로써 냉기의 차등 공급이 가능하며 음식물의 냄새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음식물의 신선한 보관이 가능하고, 이동수단으로 수납실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납과 인출이 힘든 공간이 없어져 냉장고 내부 공간을 유효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의 장기 보관으로 인한 공간부족과 음식물 부패문제가 해결되며, 음식물의 상태가 즉석에서 관찰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음식물의 열화와 부패가 미연에 방지되고, 몸이 불편한 사용자들도 허리를 굽힐 필요 없이 원하는 내용물을 냉장고에서 편리하게 인출시킬 수 있으며, 각 수납실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나누는 판넬이 구비됨으로써 수납실 내부 공간 활용이 더욱 효율적으로 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과 수납함을 이동시키는 수단이 구비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농업 진흥청이 발표한(2014년10월) 자료에 따르면 사과나 배는 적정 보관 온도가 0ㅀC 정도이고 복숭아는 8ㅀC 정도이지만, 보통 가정의 경우 대부분 같은 냉장실에 보관한다.
보통 가정의 냉장고는 공간 대부분을 차지하는 냉장실과 그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야채등을 위한 소형 냉장실이 냉장실 종류의 대부분이고, 음식물 저장시 특별한 주의나 생각이 없이 과일이나 채소를 아무데나 빈 공간에 그냥 넣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음식물이 부패하거나 부분적으로, 전체적으로 냉기를 먹거나 결빙의 직접적 원인이 되어 음식물을 버리게 된다. 특히 냉장실 아래쪽의 안쪽은 손길이 미치기 어려워 장기간 보관되어 부패와 결빙의 빈도가 잦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냉장고의 부피가 커질수록 더 큰 문제로 된다. 냉장고의 부피가 커지면 허리를 굽히거나 손을 안쪽까지 크게 뻗어야 음식물의 수납과 인출이 가능하므로 자주 꺼내야 하는 내용물 외에는 안쪽에 방치하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결국 시간이 흐르면서 안쪽과 하부 공간에 수납된 음식물이 어떤 것들이었는지 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첫째로는 음식물을 간편하게 수납하고 인출할 수 있어야 한다. 안쪽의 음식물 하나를 꺼내기 위하여 냉장고 내용물들을 어느 정도 정리해야 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되므로 특히 음식물의 간편한 수납과 인출이 필요하다.
또한 냉장고 사용자가 냉장고 내부 공간의 안쪽에 음식물을 수납하는 것도 힘든 상황에서 그 안쪽의 공간이 하부에 위치하여 손이 겨우 닿을 정도이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둘째로는 냉장고의 안쪽 공간과 하부 공간에 장기 수납된 음식물의 상태 관찰이 간편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점이다. 꺼내기 힘든 위치에 수납된 음식물들은 그 상태가 관찰되기 힘든 점에서 더더욱 열화와 부패가 있어도 모르고 방치되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 종래기술은 찾아볼 수 없으나, 이와 유사한 문제의식으로 냉장고 내부 공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9043호(공개일자: 2004.07.05)에 개시된 '냉장고의 선반 설치구조'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회전손잡이와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갖춤으로써 냉장고 선반의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게 구성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냉장고 내부 선반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냉장고 하부의 선반을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꺼낼 수 있도록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으며, 특히 냉장고 안쪽의 내용물이 간편하게 꺼낼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수단이 없다.
따라서 수납과 인출이 종래의 냉장고 보다 획기적으로 간편하면서도 내부 내용물의 모니터링이 즉석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냉장고가 요청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9043호(공개일자: 2004.07.05)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냉장고 내부의 안쪽과 하부에 수납된 내용물들이 간편하게 인출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고, 냉장고 안쪽의 내용물들의 상태가 즉석에서 관찰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통상의 냉장고에 있어서,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수납실과, 상기 다수의 수납실을 지지하며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수납실의 각각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은 수납실 간의 상대위치를 상하 또는 전후 또는 좌우로 변경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수납실 위치 이동의 첫 번째 실시예는 상기 이동수단이 상기 수납실을 일정한 순서로 회전시킴으로써 수납실들을 원하는 위치로 배열시키는 방식이다.
또한 수납실 위치 이동의 두 번째 실시예는 상기 이동수단이 다수의 수납실의 배열 순서를 변경시켜서, 다수의 수납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실을 최단 경로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실에 저장된 음식물의 종류를 입력 받고, 입력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으로 수납실을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시키며, 입력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냉기를 상기 냉기 공급 수단을 통해 해당 수납실에 공급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적정 보관 온도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음식물이 보관된 수납실은 상기 냉장고의 전면에, 적정 보관 온도가 상대적으로 저온인 음식물이 보관된 수납실은 상기 냉장고의 후면에 배치되게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장고의 상층부에는 위치가 고정된 수납실(10)이 배치됨으로써 쏟아지기 쉬운 액체류가 안정되게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냉기 공급이 목표로 하는 수납실에 직접 전달되도록 냉기 공급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 수단은 전면에 배치된 수납실은 냉기를 측면에서 공급하고, 후면에 배치된 수납실은 측면 또는 후면에서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정 보관 온도가 높은 보관품은 냉장고의 전방에 수납시키고 적정 보관 온도가 낮은 보관품은 냉장고의 후방에 수납시켜서 보관품에 따라 적정한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상기 이동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장고의 내벽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실을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실 중에서 적정 보관 온도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음식물을 저장하는 수납실(10)은 벽면의 두께를 다른 수납실보다 두껍게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냉장고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이 다수개로 구비되는 수납실에 분리 보관됨으로써 냉기의 차등 공급이 가능하며 음식물의 냄새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음식물의 신선한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이동수단에 의하여 수납실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납과 인출이 힘든 공간이 없어져서 냉장고 내부의 모든 공간을 간편하면서도 유효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의 장기 보관으로 인한 공간부족과 음식물 부패문제가 해결된다.
셋째, 음식물의 상태가 즉석에서 관찰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음식물의 열화와 부패가 미연에 방지된다.
넷째, 몸이 불편한 사용자들도 허리를 굽힐 필요 없이 원하는 내용물을 냉장고에서 편리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다섯째, 각 수납실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나누는 판넬이 구비됨으로써 수납실 내부 공간 활용이 더욱 효율적으로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서 이동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서 이동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에서 이동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 중 수납함과 체인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3a는 본 발명에서 이동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서 이동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서 이동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d는 본 발명에서 이동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 수납함의 상대위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냉기 공급 수단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냉장고는 통상의 냉장고(R)에 있어서, 음식물이 분리 보관될 수 있게 다수의 수납실(10)이 구비되고, 다수의 수납실(10)을 냉장고(R) 내부에서 특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구비되며, 수납실(10) 각각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다음의 순서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음식물이 수납되는 다수개의 수납실(10)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냉기 공급수단에 대하여 설명한 다음, 이동수단과 냉기 공급수단을 제어시키는 제어부에 대하여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고정수납실(10) 및 이동수단의 선택에 따라 배열될 수 있는 수납실(10)의 배열에 대한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동수단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냉장고(R)에서는 보관되는 음식물이 다수개의 수납실(10)에 분리되어 보관된다. 따라서 이동수단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수납실(10)들을 냉장고(R)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다.
이동수단에 대한 실시예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동수단에 대한 실시예는 하나의 수납실(1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든 수납실(10)을 한꺼번에 이동시킬 필요 없이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실시예이다.
이를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수납실(10)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어느 하나의 수납실(1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특정 수납실(10)을 파지하는 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10)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모듈(220)은 수평이동모터(221)와, 피니언기어(222) 및 랙기어(223)로 구성된다. 여기에 보조적으로 후술하게 될 연동모듈(250)을 이루는 하부 및 상부 수평이동롤러(252,254)와, 하부 및 상부 수평가이드(253,255)가 수평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변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납실(10)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모듈(230)은 역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모터(231)와, 수직이동모터(231)로 회전 구동되는 릴(232)과, 릴(232)에 의하여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233)이다.
이때 수평이동모터(221)와 수직이동모터(231)는 하나의 수납실(10)을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구성이므로 함께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직이동모터(231)와 수평이동모터(221)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연결시키는 연동모듈(250)이 구비된다.
연동모듈(250)은 하우징의 내벽(W)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수평가이드(255) 및 하부수평가이드(253)와, 상부 수평가이드(255)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수평이동 롤러(254) 및 하부수평가이드(253)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수평이동 롤러(252)와, 상부 및 하부 수평이동롤러(254,252)를 연결시키는 상기 수직가이드(251)와, 상기 수평이동모터(221)와 수직이동모터(231)를 고정 연결시키는 연동축(256)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하나의 특정한 수납실(10)을 이동시키려면 이동되어야 할 수납실(10) 만을 파지하는 파지모듈(240)이 필요하다.
수납실(10)을 파지하는 파지모듈(24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41), 제2체결봉(242), 체결봉지지대(243), 수직이동롤러(24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린더(241)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서 체결봉지지대(243)에서 수납실(10) 방향으로 돌출된 제2체결봉(242)을 수납실(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2체결구(125)에 삽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수납실(10)을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수납실(10)을 파지하는 수단은 수납실(10)의 양 측에 각각 별도로 구비되며 서로 일치되게 작동되고, 제2체결구(125)도 역시 수납실(10)의 양 측에 모두 구비되므로, 수납실(10)의 양 측에 구비되는 제2체결구(125)에 제2체결봉(242)이 함께 삽입됨으로써 수납실(10)이 이동 가능하게 파지된다.
또한 수납실(10)을 파지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실린더(241)는 수직이동수단을 구성하는 릴(232)로부터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에 의하여 무게가 지지되는데, 실린더(241)가 와이어(233)에 의해서만 지지된다면 실린더(241)를 비롯하여 제2체결봉(242)으로 지지되는 수납실(10)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41)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직이동 롤러(244)가 연결되고, 수직이동 롤러(244)가 수직 방향으로 안정되게 가변되도록 수직가이드(251)가 구비되며, 이 수직가이드(251)가 수평이동모터(221)에 고정 연결되어 수평이동모터(221)의 이동과 연동되어 함께 움직이게 되면, 실린더(241)와 실린더(241)에 연결되는 수납실(1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삭제
그리고 수직이동모터(231)와 수평이동모터(221)는 냉장고(R)의 주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실린더(241)는 주지의 유압 또는 공압 콤프레샤 등의 구동원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특정한 하나의 수납실(10)만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10)의 이동은 수평방향인 X축 방향과, 수직방향인 Y축 방향으로 모두 이동 가능하며, 또한 수납실(10)이 파지되기 위한 수납실(10)을 파지하는 수단은 Z방향으로 가변된다.
다만 도 3a에서 'X방향'표시가 랙기어(223) 위에 표시되어 혼동이 있을 수 있으나 랙기어(223)는 고정되어 있으며 X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피니언 기어(222)와 피니언 기어(222)를 구동시키는 수평이동모터(221)이다.
도 3a 내지 도 3d에서 본 발명의 이동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의 전체적인 원리를 개괄적으로 표현하는 도면은 도 3d이다. 참고로 도 3d에는 수납실(10)이 D1부터 D7까지 총 7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수납실(10)의 개수와 배치는 반드시 도 3d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동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수납실(10) 자리는 빈칸으로 남겨져야 한다. 그 이유는 수납실(10)이 이동되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냉장고(R)의 사용자가 예를 들어 D7 수납실(10)에 저장된 내용물을 꺼내고 싶은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허리를 굽히거나 팔을 뻗지 않고서도 사용자에게 가장 편한 위치로 수납실(10)이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D7 수납실(10)의 내용물을 꺼낼 때에는 D7 수납실(10)은 D1의 위치로 이동되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D7 수납실(10)이 D1 수납실(10)의 위치까지 이동되기 위해서는 D6 수납실(10)과 D7 수납실(10) 사이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나머지 수납실(10)들을 한칸씩 ??김으로써 D7 수납실(10)을 이동시켜야 한다.
D7 수납실(10)을 D1 수납실(10) 위치로 ??기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경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D3부터 이동시킨다면, D3는 오른쪽, D4는 위로, D7은 왼쪽, D3는 아래로, D6는 아래로, D5는 아래로, D1은 오른쪽, D2는 위로, D4는 위로, D7은 위로, D3는 왼쪽, D6는 아래, D5는 아래, D1은 아래, D2는 오른쪽, D4는 위로, D7은 위로, D5는 왼쪽, D1은 아래, D2는 아래, D4는 오른쪽, D7은 위로 옮김으로써 D7이 D1의 위치로 올 수 있다.
이 경우 수납실(10)은 22번의 이동을 거쳐야 한다.
또는 D7 수납실(10)부터 이동시킨다면, D7은 위로, D4는 오른쪽, D3는 아래로, D2는 아래로, D6는 왼쪽, D7은 위로, D2는 오른쪽, D6는 아래로, D1은 아래로, D5는 왼쪽, D7은 위로 ??김으로써 D7은 최초에 D1 수납실(10)이 있던 위치로 최종적으로 ??겨진다.
이 경우 수납실(10)의 총 이동 횟수는 14회로서 앞서의 예에 비하면 수납실(10)의 이동 횟수는 훨씬 단축된다.
D7 수납실은 D1수납실 위치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나머지 수납실들의 경우에는 더욱 적은 횟수가 소요될 것이다.
이처럼 각 수납실(10)의 위치마다 최단 경로를 찾아내어 매뉴얼화 시킬 수 있는데, 이보다는 나중에 설명될 제어부에 최단 경로를 제조과정에서 미리 입력시킴으로써 냉장고(R) 사용자가 일일이 최단경로로 수납실(10)을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원하는 수납실(10)을 선택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최단경로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이러한 제어부의 역할은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3d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수납실(10)은 서로 일정 간격이 유지된 채로 현재의 위치가 지지되어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고 각 수납실(10)이 서로 포개져서 상부 수납실(10)의 하중의 지지가 하부 수납실(10)에 의존된다면, 예를 들어 도 3d에서 D3 수납실(10)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D2수납실(10)은 현재 위치를 고수하지 못하고 D4 수납실(10)의 상면으로 추락될 것이다.
이런 현상을 방지시키고 각 수납실(10) 간의 간격이 유지되면서도 각 수납실(10)의 현재 위치가 고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거치봉(121), 거치구(126), 스프링(124) 및 연동판(123)인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구(126)는 냉장고(R)의 내벽에 고정 부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수납실(10)의 측면에 구비된 거치봉(121)이 거치구(126)에 삽입되면서 수납실(10)의 하중이 지지된다.
그런데 수납실(10)이 필요에 따라 이동되기 위해서는 거치봉(121)이 거치구(126)에서 다시 인출되어야 한다. 이때 수납실(10)이 이동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거치봉(121)을 거치구(126)에서 인출시키는 수단이 바로 스프링(124)과 연동판(123)인 것이다.
즉 수납실(10)의 이동을 위하여 수납실(10)이 파지되도록 제2체결봉(242)이 수납실(10) 측면의 제2체결구(125)에 삽입되면, 제2체결봉(242) 끝단이 제2체결구(125)의 내측에 있는 연동판(123)을 밀게 되고, 연동판(123)이 밀리면서 연동판(123)에 고정부착된 거치봉(121)이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때 거치봉(121)이 움직이는 방향이 거치구(126)에서 인출되는 방향이므로 수납실(10)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반면에 수납실(10)의 이동이 끝날 때에는 제2체결봉(242)이 실린더(241)에 의하여 다시 후퇴하게 되고, 제2체결봉(242)이 후퇴하면, 연동판(123)이 스프링(124)에 의하여 다시 전진되면서 현재 수납실(10) 위치의 측면에 구비되는 거치구(126)에 거치봉(121)이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124)의 탄성력으로 거치봉(121)은 거치구(126)에 안정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거치구(126)는 수납실(10)이 배치될 수 있는 모든 위치에 구비된다.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41)가 수평이동모터(221)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는 수평거리는 거치봉(121)과 거치구(126)가 결합된 위치를 넘어설 수 없다. 따라서 실린더(241)가 수평이동모터(221)로 이동될 수 있는 수평거리는 거치구(126)와 인접 거치구(126) 사이의 수평거리에 해당된다.
또한 수납실(10)의 이동이 일어나는 시간은 짧은 반면, 수납실(10)이 거치구(126)로 지지되면서 거치되는 시간은 장시간이므로, 거치봉(121)과 거치구(126)는 수납실(10)의 측면의 중심에 배치되고, 제2체결봉(242)은 수납실(10) 측면 중에서도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제2체결구(125)에 삽입된다.
하지만 수납실(10)과 이동수단을 연결시켜서 수납실(10)이 이동수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체결부재에 해당되는 제2체결봉(242)은 2개가 구비됨으로써 제2체결봉(242)이 수납실(10)의 측면에서도 한 쪽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삽입된다 하더라도 수납실(10)이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서술된 원리에 의하여 이동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가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냉기공급수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냉기공급수단과는 별도로 냉장고(R) 내부로 냉기를 생성하는 냉기의 생성 수단은 통상의 냉각사이클 장치(미도시)이다. 냉각사이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냉장고(R)의 배면에 구비되고,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압축기가 냉매가 흐르는 관으로 차례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증발기 내부를 흐르는 냉매는 증발되면서 냉장고(R) 내부의 열을 빼앗아서 압축기를 통과하면서 압축되어 응축기로 흘러들어가서 응축기 내부에서 응축되면서 열을 외부로 발산하게 됨으로써 냉장고(R) 내부를 냉각시킨다.
냉각사이클 장치는 여러대가 설치될 수도 있는데, 효율적인 냉각을 위하여 증발기는 도 3d에 도시된 냉동실(101) 또는 냉동실(101)의 바로 배면이나 상면에 위치하여 냉동실(101) 내부를 냉각시킨다.
냉동실(101) 내부의 냉기는 냉동실(101)로부터 냉장실(103)로 흘러들어감으로써 하나의 냉각사이클 장치로도 냉장고(R) 내부 전체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101)에는 냉동실(101) 내부의 냉기를 냉장실(103)로 보내기 위한 냉기 유인팬(31)이 설치되고, 냉동실(101)로부터 냉장실(103)로 냉기가 흘러갈 수 있도록 냉동실(101)과 냉장실(103)을 연결시키는 후방 냉기관(32)과 측면 냉기관(34)이 설치된다.
후방 냉기관(32)과 측면 냉기관(34)에는 다수개의 수납실(10) 마다 직접 냉기를 공급시키도록 후방 냉기주입구(33)와 측면 냉기주입구(35)가 각 수납실(10)의 위치마다 설치된다.
이때, 측면 냉기관(34)은 수납실(10)이 도 3d에서와 같이 전 후 1열씩 배치되어서 2열인 경우에는 측면 냉기관(34)도 2개가 설치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납실(10)이 도 3d에서와 달리 3열인 경우에는 3열로 설치된다.
그리고 각 수납실(10)에도 도 4의 아래에 도시된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를 주입받기 위한 측면 냉기흡입구(13)와 후면 냉기흡입구(14)가 구비된다.
참고로 도 3b와 도 3c에도 측면 냉기흡입구(13)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다수개의 수납실(10) 중 적정 보관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음식물이 저장되는 수납실(10)은 냉장고(R) 내부에서 전방으로 배치되고, 적정 보관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음식물이 저장되는 수납실(10)은 냉장고(R) 내부에서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후방에 배치되는 수납실(10)은 측면과 후면으로부터 모두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전방에 배치되는 수납실(10)에 비하여 낮은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시되진 않았지만 후방 냉기주입구(33)와 측면 냉기주입구(35)를 형성하는 노즐의 구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노즐 구경이 작으면 유속이 빨라지면서 압력은 낮아져서 주입되는 냉기가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지만 노즐 구경이 클 경우에는 노즐 구경이 작은 경우에 비하여 전달되는 냉기의 유속이 작고 압력은 높으므로 냉기의 온도가 다소 높게 된다.
따라서 이 점을 이용하여 저온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수납실(10)에 냉기를 불어넣는 측면 냉기주입구(35) 또는 후방 냉기주입구(33)를 형성하는 노즐의 구경은 더 작을 수 있다.
이로써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의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각 수납실(10)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유지될 수 있는 수단의 하나로서 각 수납실(10)을 이루는 벽면의 두께를 달리할 수 있다.(미도시)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유지되어야 하는 과일류나 채소류의 경우에는 벽면 두께가 두꺼운 수납실(10)에 저장하면서 그 수납실(10)을 냉장고(R) 전방에 배치시킴으로써 주변 냉기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 적정 온도로 보관될 수 있다. 특히 복숭아처럼 적정 보관온도가 섭씨 8도 내지 10도인 과일류들은 벽면 두께가 두꺼운 수납실(10)에 보관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루는 이동수단과 냉기공급수단을 제어하기 위해서 더 구비될 수 있는 제어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는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제어판넬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산장치, 신호변환장치, 증폭장치, 송신장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납실(10) 내부의 모니터링과 제어 정보 표시를 위한 화상표시창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화상표시창(41)과 제어판넬(42)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된 수납실(10) 이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이동수단의 두 가지 실시예 모두에 제어부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도 3a 내지 3d에 도시된 이동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특정 위치의 수납실(10)을 도 3d에서의 D1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최단 거리의 이동 경로가 사전에 냉장고(R)의 제조과정에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d와 마찬가지로 일곱 개의 수납실(10)과 하나의 빈 칸으로 이루어지는 냉장고(R)의 경우에는 수납실(10)이 존재할 수 있는 위치가 8개 칸이므로 8개 칸 중 어느 하나의 수납실(10)에 대하여 빈 칸이 배치되는 경우의 수는 나머지 7개 칸 중의 어느 하나가 된다.
따라서 빈 칸의 위치와, 인출이 필요한 수납실(10)의 위치는 7 X 8 = 56이므로 56개의 경우의 수가 있게 된다. 이 56개의 경우의 수 각각에 대한 수납실(10)의 최단 이동경로를 미리 입력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를 이루는 화상표시창(41)이 터치패널인 경우에는 화상표시창(41)으로도 제어판넬(42)과 마찬가지로 이동수단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과일, 채소, 반찬, 고기, 양념, 음료수, 계란등을 지칭하는 아이콘을 생성시켜 각 수납실(10)에 음식물을 저장한 후 그 수납실(10)에 원하는 아이콘을 하나 이상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원하는 수납실(10)을 인출시키고자 할 때에 원하는 수납실(10)을 지칭하는 아이콘을 화상표시판(41)에서 터치하면 그 수납실(10)이 인출위치 까지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적절한 인출 위치가 고정될 필요는 없으나 통상적으로 성인이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내용물을 편하게 꺼낼 수 있는 위치로 인출 위치를 잡을 수 있는데, 도 1에는 인출 위치에 메인 수납문(7)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냉장실(103)의 수납문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수납문(7)과 보조 수납문(8)으로 반드시 분리될 필요는 없으나, 메인 수납문(7)이 설치되면 나머지 냉장실 부위를 개방시킬 필요는 없게 되므로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메인 수납문(7)의 위치는 도 3d에서는 D1수납실(10)의 전방에 해당된다.
또한 화상표시창(41)으로 각 수납실(10) 내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는 각 수납실(10) 내부의 모습을 비춰야 하므로 각 수납실(10)의 상판의 저면에 배치되거나 벽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이 식별 가능하도록 각 수납실(10) 내부에 조명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전력 소모 절감을 위하여 조명은 냉장고(R) 사용자가 내부 모니터링을 하고자 카메라 버튼을 누를 때에만 켜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카메라가 구비됨으로써 각 수납실(10) 내부의 음식물 상태가 냉장고(R)를 열지 않더라도 확인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냉장고(R) 사용자가 인출하고 싶은 음식물의 위치를 모를 때에도 화상표시창(41)으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하여 즉석에서 알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고정된 수납실(1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한 수납실(10)이 저장되는 냉장실(103)의 상부에 고정된 수납실(10)이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고정된 수납실(10)은 특히 밀봉용기 외의 용기에 액체가 담겨져서 쏟아지기 쉬운 보관품들이나 진동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저장물들이 저장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액체 저장물이 밀봉용기 외의 다른 용기에 임시로 채워진 경우 이동수단에 의하여 수납실(10)이 이동되는 와중에 소량이라도 흔들려서 쏟길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도 1과 도 3d의 배치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으로서 고정된 수납실(10)이 반드시 도 1과 도 3d의 위치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각 수납실(10)에는 수납실(10)의 상부와 하부를 분리시키는 판넬(미도시)이 조립될 수 있다.
왜냐하면 높이가 큰 음료수병이나 기타 높이가 큰 물품의 경우에는 상기 판넬이 없어야 수납실(10)에 보관 가능하지만, 높이가 낮은 보관품들은 수납실(10) 내에 상부에 남는 공간이 발생하므로 하나의 수납실(10) 내에서 음식물을 서로 포개지 않고도 하나의 수납실(10) 내부 공간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상부와 하부가 상기 판넬로 나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R: 냉장고 W: 냉장고의 내벽
3: 손잡이 5: 냉동실문
6: 고정된 수납실문 7: 메인 수납문
8: 보조수납문 10: 수납실
13: 측면 냉기흡입구 14: 후면 냉기흡입구
30: 냉기공급수단 31: 냉기유인팬
32: 후방 냉기관 33: 후방 냉기주입구
34: 측면 냉기관 35: 측면 냉기주입구
41: 화상표시창 42: 제어판넬
101: 냉동실 102: 고정된 수납실
103: 냉장실 110: 지지부
111: 제1 체결구 112: 정지 샤프트
113: 제1 체결봉 114: 베어링
115: 회전 샤프트 120: 위치유지모듈
121: 거치봉 122: 후크 홀
123: 연동판 124: 스프링
125: 제2 체결구 126: 거치구
211: 체인회전모터 212: 체인
220: 수평이동모듈 221: 수평이동모터
222: 피니언기어 223: 랙기어
230: 수직이동모듈 231: 수직이동모터
232: 릴 233: 와이어
240: 파지모듈 241: 실린더
242: 제2 체결봉 243: 체결봉지지대
244: 수직이동 롤러 250: 연동모듈
251: 수직가이드 252: 하부 수평이동 롤러
253: 하부 수평가이드 254: 상부 수평이동 롤러
255: 상부 수평가이드 256: 연동축

Claims (11)

  1. 냉동실문(5), 메인 수납문(7)이 구비되는 하우징(H)과;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수납되고, 직육면체 형상의 함체로서, 다수개가 서로 미소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평행되게 배열되며, 측면 냉기흡입구(13)와 후면 냉기흡입구(14)가 형성되는 다수의 수납실(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벽(W)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실(10) 중 어느 하나의 수납실(10)을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모듈(220)과,
    수평이동모듈(220)과 함께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수납실(10)을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모듈(230)과,
    상기 어느 하나의 수납실(10) 이동시 수납실(10)을 파지하는 파지모듈(240)과,
    이동된 수납실(10)의 위치유지모듈(120) 및,
    수평이동모듈(220)과 수직이동모듈(230)을 연동시키는 연동모듈(250)로 이루어져 어느 하나의 상기 수납실(10)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시키거나 일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위치제어수단과;
    상기 측면 냉기흡입구(13)와 후면 냉기흡입구(14)를 통하여 수납실(10) 각각에 냉기를 차등적으로 공급시키는 냉기공급수단(30);으로 구성되되, 상기 위치제어수단은 하우징의 내벽(W) 중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위치제어수단은 서로 일치되게 작동되며,
    상기 수평이동모듈(220)은 하우징의 내벽(W) 측면에 설치되는 랙기어(223)와, 랙기어(223)에 치합되어 랙기어(223)를 따라 이동되는 피니언 기어(222)와, 피니언 기어(222)를 회전시키는 수평이동모터(2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이동모듈(230)은 수평이동모터(221)와 고정 연결되어 함께 수평이동 되는 수직이동모터(231)와, 수직이동모터(231)로 회전되는 릴(232)과, 릴(232)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233)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지모듈(240)은 상기 와이어(233)로 승강되는 실린더(241)와, 실린더(241)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체결봉 지지대(243)와, 체결봉 지지대(243)에서 상기 하우징(H) 내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봉(242)과, 실린더(241)에 고정 연결되고 길이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가변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가이드(251)를 따라 움직임으로써 실린더(241)를 가변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이동롤러(2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유지모듈(120)은 하우징의 내벽(W) 측면에 상기 수납실 마다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구(126)와, 수납실(10) 측면에 마련되어 거치구(126)에 삽입되는 거치봉(121)과, 상기 체결봉(242)이 삽입되게 수납실(10)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구(125)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동모듈(250)은 하우징의 내벽(W)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수평가이드(255) 및 하부수평가이드(253)와, 상부 수평가이드(255)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수평이동 롤러(254) 및 하부수평가이드(253)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수평이동 롤러(252)와, 상부 및 하부 수평이동롤러(254,252)를 연결시키는 상기 수직가이드(251)와, 상기 수평이동모터(221)와 수직이동모터(231)를 고정 연결시키는 연동축(25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구(125)의 내부에는 거치봉(121)과 고정 결합되어 체결봉(242)과 함께 가변되는 연동판(123)이 내장되고, 연동판(123)의 배면에는 스프링(124)이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241)의 전진으로 체결봉(242)이 체결구(125)에 삽입되어 체결봉(242)의 단부가 연동판(123)에 접촉되면서 연동판(123)을 밀면 스프링(124)이 압축되면서 연동판(123)과 고정 결합된 거치봉(121)이 함께 밀림으로써 거치봉(121)과 거치구(126)의 결합이 해제되고,
    실린더(241)의 후퇴로 체결봉(242)이 체결구(125)와 분리되면, 스프링(124)의 압축이 해제되어 연동판(123)이 복귀되면서 연동판(123)과 함께 거치봉(121)도 제자리로 복귀되어 거치봉(121)이 다시 거치구(126)에 다시 삽입됨으로써 거치봉(121)과 거치구(126)가 다시 결합되며,
    상기 수납실(10)은 하우징(H)의 정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2열로 배치되고, 상기 거치구(126)는 수납실(10)에 대응되게 하우징의 내벽(W) 측면에 2열로 설치되며,
    상기 거치봉(121)은 수납실(10) 측면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봉(242)이 거치구(126)와 결합되는 위치는 거치봉(121)과 수납실(10)의 모서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봉(121)과 체결봉(242) 모두 2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공급수단(30)은 냉기 유인팬(31)과, 하우징의 내벽(W)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 냉기흡입구(13)에 냉기를 주입하는 측면 냉기주입구(35)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측면 냉기관(34)과, 하우징의 내벽(W) 후면에 설치되고 후면 냉기흡입구(14)에 냉기를 주입하는 후방 냉기주입구(33)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후방 냉기관(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 냉기주입구(33)와 측면 냉기주입구(35) 단부에는 각각 노즐이 설치되고, 후방 냉기주입구(33) 단부의 노즐과 측면 냉기주입구(35) 단부의 노즐은 구경이 서로 다르되, 측면 냉기주입구(35) 단부의 노즐 구경이 후방 냉기주입구(33) 단부의 노즐 구경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H)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 명령이 입력되는 제어판넬(42)과, 제어판넬(42)로 입력된 명령으로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연산장치와, 신호변환장치와, 변환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장치와, 증폭장치로 증폭된 신호를 상기 위치제어수단 및 냉기공급수단(30)으로 송신하는 송신장치로 이루어지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납실(10)은 2열로 배치되되, 수납실(1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 중 어느 하나는 수납실(10)이 배치되지 않는 빈 공간으로 되며,
    상기 연산장치에는 각 수납실(10) 각각에 대하여 상기 메인 수납문(7)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최단 경로가 입력되되, 상기 최단 경로의 수는, 전체 수납실(10)의 수를 X 라고 둘 경우, X(X-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65931A 2015-05-12 2015-05-12 냉장고 KR101788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931A KR101788646B1 (ko) 2015-05-12 2015-05-1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931A KR101788646B1 (ko) 2015-05-12 2015-05-1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202A KR20160133202A (ko) 2016-11-22
KR101788646B1 true KR101788646B1 (ko) 2017-10-23

Family

ID=5754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931A KR101788646B1 (ko) 2015-05-12 2015-05-1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6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551B1 (ko) 2016-12-09 2019-02-14 서지석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2521B2 (ja) * 2001-12-04 2008-11-19 ローツェ株式会社 容器の一時的搬入、留置、搬出用装置
JP2015000797A (ja) * 2013-06-17 2015-01-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低温保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043A (ko)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2521B2 (ja) * 2001-12-04 2008-11-19 ローツェ株式会社 容器の一時的搬入、留置、搬出用装置
JP2015000797A (ja) * 2013-06-17 2015-01-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低温保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202A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8373B1 (en) Refrigerator
KR100916699B1 (ko) 냉장고
KR102342601B1 (ko) 탠덤 저장통 및/또는 분리가능한 디스펜서 리세스부를 가진 냉장고
US8607588B2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rawer
US20100083687A1 (en) Refrigerator and frozen food preservation method
US20080271475A1 (en) Refrigerator having compartment capable of converting between refrigeration and freezing temperatures
EP2431686A1 (en) Refrigerator
US10465977B2 (en) Refrigerator
KR20080043150A (ko) 냉장고
JP2013092308A (ja) 冷蔵庫
KR101788646B1 (ko) 냉장고
JP7333948B2 (ja) 冷蔵庫
JP5089496B2 (ja) 冷凍冷蔵庫
KR100688657B1 (ko) 착탈식 수납코너가 구비된 냉장고
KR101947551B1 (ko) 냉장고
JP6480831B2 (ja) 冷蔵庫
CN114646169B (zh) 冷藏冷冻装置
US11287176B2 (en) Cooling system for refrigerator appliance with flexible chamber in door
JP2004211952A (ja) 貯蔵庫の棚装置
KR20100001250A (ko) 냉장고의 서랍 장착 구조
CN216080516U (zh) 冷藏柜
JP2005016900A (ja) 冷蔵庫
US20230400248A1 (en) Systems for internal refrigerator organization
CN210320794U (zh) 一种集成型内置式分体冷冻冰箱
KR101953699B1 (ko)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