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478B1 -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 Google Patents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8478B1 KR101788478B1 KR1020160178316A KR20160178316A KR101788478B1 KR 101788478 B1 KR101788478 B1 KR 101788478B1 KR 1020160178316 A KR1020160178316 A KR 1020160178316A KR 20160178316 A KR20160178316 A KR 20160178316A KR 101788478 B1 KR101788478 B1 KR 1017884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layer
- synthetic resin
- carbon
- resin fil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9—Heaters using conductive material in contact with opposing surfaces of the resistive element or resistive layer
- H05B2203/01—Heaters comprising a particular structure with multipl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제1원단과, 상기 제1원단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소도전체층과, 상기 탄소도전체층의 내부에 배치되는 동선과, 상기 탄소도전체층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탄소도전체층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자기장 및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와 연결되어 누설전류를 제거할 수 있는 접지선을 갖는 차폐층과, 상기 차폐층의 외면과 상기 제1원단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1합성수지필름과, 상기 제1합성수지필름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원단 및 상기 제2원단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합성수지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선은 상기 탄소도전체층과 이격되도록 상기 차폐층의 일측단부에 배치됨으로써 합선, 누전으로 인한 화재사고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선,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누설전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사용자가 전기로 인한 쇼크를 느끼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상발열체는 발열률이 우수하고, 온도조절이 용이할 뿐 아니라 소음이 거의 없어 매트리스, 패드, 담요, 가정용/산업용 난방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면상발열체는 서로 접합된 다수의 부직포와 합성수지필름의 내부에 구비되는 동선 및 탄소도전체를 이용하여 발열하는 발열층과, 발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발열층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자기장 및 전자파를 차단하는 차폐층을 포함한다.
다만, 종래에는 차폐층이 발열층의 일부에만 형성됨으로써 누설전류를 전체적으로 제거하지 못해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등록특허 제10-1452681호는 누설전류를 전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면상발열체를 개시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452681호에 따른 면상발열체는 차폐층에 형성된 다수의 공간으로 인해 차폐 면적이 확장되고, 이로 인해 발열층에서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전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차폐층에는 접지선이 일체로 형성되어 누설전류를 대지로 흐르게 하거나 접지선과 어스선 또는 뉴트럴선을 연결하여 누설전류를 제거한다.
그러나 상술한 면상발열체의 경우 접지선이 전류가 흐르는 탄소도전체와 인접하게 발열층의 가운데에 배치됨으로써 합선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면상발열체의 양측단이 방수가 되지 않아 습기에 의한 누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접지선 상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양도 많아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매트리스, 패드 등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합선, 누전으로 인한 감전 또는 화재 사고를 방지하고, 누설전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사용자가 전기로 인한 쇼크를 느끼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제1원단과; 상기 제1원단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소도전체층과; 상기 탄소도전체층의 내부에 배치되는 동선과; 상기 탄소도전체층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탄소도전체층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자기장 및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와 연결되어 누설전류를 제거할 수 있는 접지선을 갖는 차폐층과; 상기 차폐층의 외면과 상기 제1원단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1합성수지필름과; 상기 제1합성수지필름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원단; 및 상기 제2원단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합성수지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선은 상기 탄소도전체층과 이격되도록 상기 차폐층의 일측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원단, 상기 탄소도전체층, 상기 차폐층 및 상기 제2원단의 일측단부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에 실링필름이 삽입되어 상기 제1합성수지필름 및 상기 제2합성수지필름과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합성수지필름과 상기 제2원단을 천공하는 홀이 상기 제2원단과 상기 절단부의 경계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소도전체층은 상기 동선의 배치 부위에 더 많은 탄소도전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원단은 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선이 탄소도전체층과 이격되도록 차폐층의 일측단부에 배치됨으로써 합선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단 등의 일측단부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절단부에 실링필름이 삽입되어 제1합성수지필름 및 제2합성수지필름과 접합됨으로써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습기의 침투로 인한 누전 현상도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서로 합지된 제1합성수지필름과 제2원단의 일측단부에 다수의 홀이 천공됨으로써 접합 과정에서 잔존하는 공기가 홀을 통해 배출되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탄소도전체층에서 동선이 배치되는 부분에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탄소도전체가 도포되거나 제2원단이 한지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의 단면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면상발열체의 차폐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폐층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면상발열체의 절단부에 실링필름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구조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면상발열체의 제1합성수지필름과 제2원단이 접합된 상태에서 홀이 천공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인쇄드럼의 동판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면상발열체의 차폐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폐층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면상발열체의 절단부에 실링필름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구조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면상발열체의 제1합성수지필름과 제2원단이 접합된 상태에서 홀이 천공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인쇄드럼의 동판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면상발열체의 차폐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폐층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100)(이하, '면상발열체(100)'라 함)는 제1원단(110)과, 탄소도전체층(120)과, 동선(130)과, 차폐층(140)과, 제1합성수지필름(150)과, 제2원단(160) 및 제2합성수지필름(170)을 포함한다.
제1원단(110)은 면상발열체(100)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부직포, 면, 나일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소도전체층(120)은 동선(130)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에 의해 면상으로 발열하는 것으로 제1원단(1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탄소도전체층(120)은 탄소도전체와 접착제의 혼합 용액을 제1원단(110)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탄소도전체층(120)에서 탄소도전체는 동선(130)의 배치 부분에 더 많고 두껍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면상발열체(100)의 전자파 측정시 탄소도전체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은 전자파가 거의 측정되지 않고, 동선(130)이 배치된 영역만 소정의 전자파가 측정되는데, 이 또한 동선에 탄소도전체가 도포되지 않은 선상발열체보다 낮은 수치이다. 이로부터 탄소도전체가 전자파를 차단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동선(130)의 주변에 탄소도전체를 더 많고 두껍게 도포하여 전자파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한편,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소도전체층(120)이 제1원단(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경우만을 예시하였으나, 전기전도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제1원단(110)의 하부면과 상부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동선(13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탄소도전체층(12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탄소도전체층(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다만, 동선(130)과 탄소도전체는 물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전원의 공급으로 면상발열체(100)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동선(130)이 탄소도전체층(120)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스파크를 발생시켜 화재 사고로 이어지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원단(110)의 상부면에는 탄소도전체가 충분하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소도전체를 도포하면 탄소도전체가 제1원단(110)으로 흡수되어 동선(130)의 상부를 감싸게 된다. 그 결과, 동선(130)은 제1원단(110)을 통해 흡수된 탄소도전체와, 탄소도전체층(120)의 탄소도전체에 의해 전체적으로 포위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거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탄소도전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동선(130)의 경우 탄소도전체층(120)을 발열시킬 수 있다면 배치 위치나 형태가 제한되지 않으나, 전류를 내측의 탄소도전체까지 충분히 전달하고, 외부 전원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탄소도전체층(1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층(140)은 탄소도전체층(120)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자기장 및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탄소도전체층(120)의 외면, 여기서는 하부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차폐층(1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장, 자기장 및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단부(141) 및 차단부(141)와 일체로 형성되는 접지선(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단부(1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도전체층(120)을 전체적으로 차폐하는 판상형으로 구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공간(S)을 갖는 패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판상형은 법률상 70% 이상의 차폐율을 요구하는 미국, 캐나다, 유럽 등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고, 패턴형은 플러그의 그라운드 단자와 연결되어 누설전류를 제거하도록 설계되는 한국, 일본, 중국 등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141)의 패턴은 벌집형 외에 원형, 타원형이나 다른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접지선(142)은 탄소도전체층(120)에서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대지로 흐르게 하거나 어스선 또는 뉴트럴선과 연결하여 제거한다. 이러한 접지선(142)은 차폐층(140)의 일측단부에 배치된다. 즉, 접지선(142)이 차폐층(140)의 가운데에 배치되면 탄소도전체층(120)의 탄소도전체와 거리가 가까워져 합선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접지선(142)이 탄소도전체로부터 최대한 이격되어 합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차폐층(140)의 일측단부에 배치한 것이다.
이 경우, 접지선(142)은 면상발열체(100)의 크기를 고려하여 차폐층(140)의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면상발열체(100)의 크기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선(142)을 차폐층(140)의 양측에 형성하고, 반대로 면상발열체(10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선(142)을 차폐층(140)의 일측에만 형성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차폐층(140)은 면상발열체(100)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예정한 것으로서 각 차폐층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구획되어 있어 절단시 합선될 염려가 없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차폐층(140)은 은페이스트, 구리페이스트와 같은 금속, 탄소화합물과 같은 비철금속 또는 광물질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합성수지필름(150)은 면상발열체(100)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차폐층(140)의 하부면과 제1원단(110)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된다. 제1합성수지필름(150)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나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원단(160)은 제1원단(110)과 더불어 면상발열체(100)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제1합성수지필름(150)의 외면에 각각 형성된다. 제2원단(160)으로는 제1원단(110)과 동일하게 부직포, 면, 나일론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한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부직포의 경우 주로 합성섬유로 이루어져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우나 한지의 경우에는 천연 소재인 닥나무로 제조되어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한지는 누설전류와 전자파 차단에도 효과가 있다.
제2합성수지필름(170)은 면상발열체(100)의 외피를 이루는 것으로 제2원단(160)의 외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2합성수지필름(170)의 소재로는 제1합성수지필름(150)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면상발열체(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접지선(142)을 탄소도전체층(120)과 이격되도록 차폐층(140)의 일측단부에 배치하여 합선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접지선(142)이 위치하는 면상발열체(100)의 일측단부가 완전하게 방수되지 않는 한 습기가 침투하여 누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100)의 일측단부를 방수할 수 있는 접합 구조를 제공하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면상발열체의 절단부에 실링필름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구조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면상발열체의 제1합성수지필름과 제2원단이 접합된 상태에서 홀이 천공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원단(110), 탄소도전체층(120), 차폐층(140) 및 제2원단(160)의 일측단부(접지선(142)이 2개일 경우에는 양측단부)에 절단부(C)가 형성된다. 즉, 제1원단(110), 탄소도전체층(120), 차폐층(140) 및 제2원단(160)은 제1합성수지필름(150)과 제2합성수지필름(170)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술한 상태에서 제1합성수지필름(150)과 제2합성수지필름(170)의 일측단부를 서로 접합할 경우 방수가 가능하여 습기로 인한 누전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하면 원단 등의 절단에 따른 단차로 인해 접합 부위 내측에 필연적으로 빈 공간이 발생하여 접합 상태가 불량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빈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에 의해 접합 부위가 팽창하거나, 원단 등과 합성수지필름의 압착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합성수지필름이 찢어지거나 접합 부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절단부(C)에는 실링필름(180)이 삽입된다. 실링필름(180)은 원단 등과 합성수지필름의 합지시 절단부(C)에 함께 삽입됨으로써 상부와 하부의 합성수지필름과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링필름(180)은 합성수지필름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필름과 동일한 재질, 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절단부(C)에 실링필름(180)을 삽입하여 접합하면 상하방향의 압착으로 합성수지필름과 실링필름(180) 사이에는 공기가 잔존하지 않으나 원단 등과 실링필름(180) 사이에는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아 공기가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잔존 공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합 불량을 야기하므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잔존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합성수지필름(150)과 제2원단(160)에 홀(190)이 천공된다. 구체적으로, 홀(190)은 제2원단(160)과 절단부(C)의 경계선(L)을 따라 소정의 크기와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제1합성수지필름(150)과 제2원단(160)에 홀(190)을 천공하고, 절단부(C)에 실링필름(180)을 삽입한 후 제2합성수지필름(170)과 합지하면 제2원단(160)과 실링필름(180) 사이에 잔존하는 공기가 홀(19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홀(190)이 천공되는 제1합성수지필름(150)과 제2원단(160)은 제2합성수지필름(170)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면상발열체(100)의 작동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면상발열체(100)의 상부에 배치될 제1합성수지필름(150)과 제2원단(160)을 합지한다. 이 경우, 제2원단(160)은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에 절단부(C)가 형성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후, 필요에 따라 제2원단(160)의 상부면에 제조사의 브랜드나 로고를 인쇄한다.
이후, 합지된 제1합성수지필름(150)과 제2원단(160)에 제2원단(160)과 절단부(C)의 경계선(L)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홀(190)을 천공한다. 홀(190)은 합지물의 이송 경로에 롤러를 설치하고, 롤러의 표면에 핀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후 롤러와 받침판 사이로 합지물을 통과시키는 니들펀칭 방식으로 천공될 수 있다.
이후, 제2원단(160)의 상부면에 제2합성수지필름(170)을 합지한다. 이 경우, 제2원단(160)의 절단부(C)에 실링필름(180)이 삽입되어 함께 접합된다. 실링필름(180)은 대략 절단부(C)의 폭으로 절단되어 절단부(C)의 위치에서 제1합성수지필름(150)과 제2원단(160)의 합지물 및 제2합성수지필름(170)과 동일한 속도로 공급됨으로써 합지될 수 있다.
이후, 제1합성수지필름(150)의 하부면에 제1원단(110)과, 탄소도전체층(120)과, 동선(130) 및 차폐층(14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합성수지필름(150)의 하부면에 제1원단(110)을 합지하고, 제1원단(110)의 하부면에 탄소도전체층(120)을 인쇄한 다음 탄소도전체층(120)의 내부에 동선(130)을 배치하고, 탄소도전체층(120)의 하부면에 차폐층(140)을 부착한다. 이 경우, 제1원단(110)과, 탄소도전체층(120) 및 차폐층(140)의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에는 절단부(C)가 형성된다.
한편, 탄소도전체층(120)은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제1원단(1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데, 동선(130)이 배치된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더 많은 탄소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동판을 이용한다.
도 6은 탄소도전체의 도포에 사용되는 인쇄드럼의 동판(200)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A는 동선(130)에 탄소도전체를 전사하기 위한 영역을 나타내고, B는 발열 부위에 탄소도전체를 전사하기 위한 영역을 나타낸다. 이러한 동판(200)에서 A 영역의 메쉬를 동선(130)보다 5mm 정도 굵고 깊게 형성하고, B 영역의 메쉬는 가늘고 얕게 형성하면 상대적으로 A 영역에 더 많은 탄소도전체가 수용되어 탄소도전체층(120)의 동선(130) 부위가 발열 부위에 비해 넓고 두껍게 인쇄될 수 있다.
계속하여, 면상발열체(100)의 하부에 배치될 제1합성수지필름(150)과, 제2원단(160)과, 제2합성수지필름(170) 및 실링필름(180)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합지한다. 이 경우, 제2원단(160)의 하부면에는 필요한 색상, 문양이나 동선(13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동선(130)의 배치 구조 등을 인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원단(110)과, 탄소도전체층(120) 및 차폐층(140)의 절단부(C)에 실링필름(180)을 삽입하고 하부 합지물과 접합하면 면상발열체(100)가 완성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110 : 제1원단 120 : 탄소도전체층
130 : 동선 140 : 차폐층
141 : 차단부 142 : 접지선
150 : 제1합성수지필름 160 : 제2원단
170 : 제2합성수지필름 180 : 실링필름
190 : 홀 200 : 동판
C : 절단부 L : 경계선
110 : 제1원단 120 : 탄소도전체층
130 : 동선 140 : 차폐층
141 : 차단부 142 : 접지선
150 : 제1합성수지필름 160 : 제2원단
170 : 제2합성수지필름 180 : 실링필름
190 : 홀 200 : 동판
C : 절단부 L : 경계선
Claims (5)
- 제1원단과;
상기 제1원단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소도전체층과;
상기 탄소도전체층의 내부에 배치되는 동선과;
상기 탄소도전체층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탄소도전체층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자기장 및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와 연결되어 누설전류를 제거할 수 있는 접지선을 갖는 차폐층과;
상기 차폐층의 외면과 상기 제1원단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1합성수지필름과;
상기 제1합성수지필름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원단; 및
상기 제2원단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합성수지필름;
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선은 상기 탄소도전체층과 이격되도록 상기 차폐층의 일측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원단, 상기 탄소도전체층, 상기 차폐층 및 상기 제2원단의 일측단부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에 실링필름이 삽입되어 상기 제1합성수지필름 및 상기 제2합성수지필름과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합성수지필름과 상기 제2원단을 천공하는 홀이 상기 제2원단과 상기 절단부의 경계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도전체층은 상기 동선의 배치 부위에 더 많은 탄소도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단은 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8316A KR101788478B1 (ko) | 2016-12-23 | 2016-12-23 |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
PCT/KR2017/011995 WO2018117395A1 (ko) | 2016-12-23 | 2017-10-27 |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8316A KR101788478B1 (ko) | 2016-12-23 | 2016-12-23 |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8478B1 true KR101788478B1 (ko) | 2017-10-19 |
Family
ID=6029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8316A KR101788478B1 (ko) | 2016-12-23 | 2016-12-23 |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8478B1 (ko) |
WO (1) | WO2018117395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2714A (ko) | 2019-12-26 | 2021-07-06 | (주)넥스웜 | 이중 절연된 면상발열체 |
KR20210082717A (ko) | 2019-12-26 | 2021-07-06 | (주)넥스웜 | 기능성 면상발열체 |
KR20210083994A (ko) * | 2019-12-27 | 2021-07-07 | 서태석 | 면상발열체와 그 연결키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7397Y1 (ko) * | 2000-08-26 | 2001-03-15 | 주식회사세카텍 | 원적외선 방사 탄소섬유 면상발열체 |
KR101452681B1 (ko) * | 2014-01-16 | 2014-10-22 | 서태석 | 면상발열체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7190B1 (ko) * | 2004-12-27 | 2007-07-12 | 정유식 |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저밀도 면상 발열체 |
JP2008147112A (ja) * | 2006-12-13 | 2008-06-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面状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00087907A (ko) * | 2009-01-29 | 2010-08-06 | 주식회사 온돌리아 | 안정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
-
2016
- 2016-12-23 KR KR1020160178316A patent/KR1017884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10-27 WO PCT/KR2017/011995 patent/WO201811739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7397Y1 (ko) * | 2000-08-26 | 2001-03-15 | 주식회사세카텍 | 원적외선 방사 탄소섬유 면상발열체 |
KR101452681B1 (ko) * | 2014-01-16 | 2014-10-22 | 서태석 | 면상발열체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2714A (ko) | 2019-12-26 | 2021-07-06 | (주)넥스웜 | 이중 절연된 면상발열체 |
KR20210082717A (ko) | 2019-12-26 | 2021-07-06 | (주)넥스웜 | 기능성 면상발열체 |
KR20210083994A (ko) * | 2019-12-27 | 2021-07-07 | 서태석 | 면상발열체와 그 연결키트 |
KR102297071B1 (ko) * | 2019-12-27 | 2021-09-03 | 서태석 | 면상발열체와 그 연결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17395A1 (ko) | 2018-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8478B1 (ko) | 접지 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 |
WO2009144678A3 (en) | Conductive webs containing electrical pathways and method for making same | |
US4662969A (en) | Microwave method of perforating a polymer film | |
CN110313039A (zh) | 线束 | |
US20160320037A1 (en) | Electronic fabric | |
KR102374783B1 (ko) | 접지 가능한 면상발열필름 | |
KR101638415B1 (ko) | 부분가열형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 |
US9226433B2 (en) | Selectively conductive EMI gaskets | |
KR20100087907A (ko) | 안정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0611327B1 (ko) | 전기 전도성 개스킷 | |
KR100883169B1 (ko) | 면상발열체 | |
KR20070000379U (ko) | 전자파차폐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 |
KR100692372B1 (ko) | 전기전도성 고분자로 표면 코팅된 금속 박막 원단을 이용한 전자파차폐 스펀지 가스켓 | |
KR20190060627A (ko) | Emi 개스킷 | |
KR101452681B1 (ko) | 면상발열체 | |
CN106876204B (zh) | 一种矿用仪表薄膜按键开关及其屏蔽层的制作方法 | |
KR20130088681A (ko) | 도전성 개스킷 및 제조방법 | |
KR101428035B1 (ko) | 면상 발열체 | |
KR20160110797A (ko) |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 |
CN110770086B (zh) | 具有导电体的车辆内饰及其制造方法 | |
WO2018191604A1 (en) | Electroluminescent element within laminate | |
US9705262B2 (en) | Electronic subassembly for apparel | |
CN209914231U (zh) | 一种线路板导电粘接组件 | |
JP5997002B2 (ja) | 発熱部品実装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EP2525625A1 (en) | Heatable fabric coa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