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028B1 - 부항기 - Google Patents

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028B1
KR101788028B1 KR1020160077086A KR20160077086A KR101788028B1 KR 101788028 B1 KR101788028 B1 KR 101788028B1 KR 1020160077086 A KR1020160077086 A KR 1020160077086A KR 20160077086 A KR20160077086 A KR 20160077086A KR 101788028 B1 KR101788028 B1 KR 101788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curved surface
present
curved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박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희 filed Critical 박경희
Priority to KR1020160077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Suction c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항기는 속이 빈 종 형상을 이루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부항 본체(100); 및 상기 부항 본체(100)의 하단 상에 결합되며 상기 부항 본체(100)보다 단단한 재질을 갖는 형상 유지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 유지부(200)는, 내삽부(210) 및 상기 내삽부(210)의 하단 외주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2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항기{Cupping system}
본 발명은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속이 빈 종 형상을 이루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부항 본체 및 상기 부항 본체의 하단 상에 결합되며 상기 부항 본체보다 단단한 재질을 갖는 형상 유지부를 갖는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항이라 함은 피부 위의 격리된 일 지점에 부압(음압: negative pressure: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생성시켜, 부압으로 인한 흡인력을 이용해 피부로부터 사혈, 고름 등을 빨아내는 전통적인 한방 치료 요법을 일컫는 것으로서, 우리 몸에 정체된 담과 변조된 혈액을 제거하여 신체의 일부를 정화하는 방법이다.
상기한 부항 요법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컵 형태 또는 작은 돔의 형태를 가지는 부항기라 불리는 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부항기를 피부에 덮으면 피부 위에 소정의 격리된 공간을 만들 수 있고, 부항기 내부의 공기량을 희박하게 만들면 부압이 생성된다.
부항기는 부항만이 지니고 있는 특별한 치료요법인 자연의 성질을 그대로 이용하여 그 독특한 정혈작용을 통해 체내독소나 노폐 혈액을 분해 및 여과한 후 체외로 배출시켜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피부에 산소공급을 왕성하게 하며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함으로써, 체질이 개선되고 저항력을 높여주어 자연치유력이 증진되게 하며질병을 몰아내고 예방하는 놀랄만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점차 그 가치가 높아지면서 가정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 부압을 생성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사용되어 왔다. 전통적으로는 부항기 내부의 공기를 연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현대적으로는 공기 흡입 펌프 등을 사용하여 직접 부항기 내부의 공기를 빨아내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부항기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하여, 외력을 가해 부항기를 변형시킨 후 부항기 자체의 복원력을 이용해 부압을 생성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탄성 재질로 제조된 부항기의 경우에는 부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다른 보조기구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휴대 및 사용상의 간편성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부항기를 이루는 재질을 전체적으로 플렉서블한 고무 재질로만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한 구조 하에서 피부 상에 부항기를 장착하여 부압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부착된 고무 재질이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당한 불쾌감 및 고통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피부와 접촉하는 부위의 탄성부재의 표면적을 늘려서, 탄성부재의 하부를 L 또는 ㅗ 형으로 만들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도 진공이 걸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부압에 따라 탄성부재가 수축을 하면서, 피부와 접촉부위 역시 함께 수축하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그러자 종래의 기술은 탄성부재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키워서 형상의 변화를 막으려는 노력을 하였다. 하지만 탄성부재의 두께가 커질수록 진공을 만드는데 힘이 더 들어가 휴대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줄어들게 되었다.
특히, 두께가 커질수록 진공 해제시에 순간적으로 피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큰 변화가 오면서, 마지막 순간에 큰 자극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생겼고, 단가 역시 올라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탄성부재를 다단계 피라미드 형태로 압력을 여러 층으로 배분하려는 기술이 등장했지만, 이는 진공의 개시와 해제에는 도움이 되지만, 실제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대한 변형을 줄이는 데는 실패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847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378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속이 빈 종 형상을 이루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부항 본체 및 상기 부항 본체의 하단 상에 결합되며 상기 부항 본체보다 단단한 재질을 가짐으로써 진공부압의 형성과 해제에 영향을 받지 않는 형상 유지부를 갖는 부항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조를 통해서 인체의 피부 상에 부항기를 결합하는 경우에,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항기는 속이 빈 종 형상을 이루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부항 본체(100); 및 상기 부항 본체(100)의 하단 상에 결합되며 상기 부항 본체(100)보다 단단한 재질을 갖는 형상 유지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부항 본체(100)는, 상하부로 관통되는 절개라인(112)이 형성된 공기연통부(110) 및 상기 공기연통부(110)의 하단 상에서 적어도 일단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 유지부(200)는, 하나 이상의 곡면부 중 최하단의 곡면부의 내주면 상에 밀착한 상태로 삽입되는 내삽부(210) 및 상기 내삽부(210)의 하단 외주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220)를 포함하는 부항기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 최하단의 곡면부는 그 내주면 상에 돌기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160)는 상기 최하단의 곡면부의 내주면 상하를 따라 다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형상 유지부(200)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상기 부항 본체(100) 상에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항기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종 형상을 이루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부항 본체 및 상기 부항 본체의 하단 상에 결합되며 상기 부항 본체보다 단단한 재질을 갖는 형상 유지부를 갖는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 상에 부항기를 결합하는 경우에,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구조가 복잡하거나 종래 기술처럼 두꺼워질 이유가 없게 되어, 진공을 걸거나 해제를 하는데 힘이 덜 들어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항 본체의 상단 상에 돌출된 구조 때문에 탄성부재의 복원과 압축에 관계없이 일정한 형상이 유지되어 자연스런 공기 입출이 되는 체크밸브 형식을 구현하는 공기연통부를 구성하고 상기 공기연통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절개라인을 형성함으로써 부항기를 탈부착하는 경우에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상방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하방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하방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의 작동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10)를 설명한다.
부항기(1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종 형상을 이루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부항 본체(100) 및 상기 부항 본체(100)의 하단 상에 결합되며 부항 본체(100)보다 단단한 재질을 갖는 형상 유지부(200)를 포함한다.
부항 본체(100)는 공기연통부(110), 공기연통부(110)의 하단 상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 곡면부(120), 제1 곡면부(120)의 하단 외주면에서 바깥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곡면부(130), 및 제2 곡면부(130)의 하단 외주면에서 바깥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곡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부항 본체(100)는 제3 곡면부(140)의 하단 외주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항 본체(100)는 정점에 위치한 공기연통부(110)로부터 제1 곡면부(120)가 연장되어 나오고, 제1 곡면부(120)로부터 제2 곡면부(130)가 연장되어 나오고, 제2 곡면부(130)로부터 제3 곡면부(140)가 연장되어 나와 전체적으로 볼록한 돔의 형상을 이룬다.
플랜지부는 제3 곡면부(140)의 하단부 바깥쪽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면서 제3 곡면부(140)의 하단부를 확장시켜 소정의 넓이를 갖는 평면을 형성한다.
공기연통부(110), 제1 곡면부(120), 제2 곡면부(130), 제3 곡면부(14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부항 본체(100)는 예를 들어 제1 곡면부(12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압력은 제1 곡면부(120)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만 서로 연결된 공기연통부(110), 제2 곡면부(130) 및 제3 곡면부(140)에도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제1 곡면부(120) 뿐만 아니라 공기연통부(110), 제2 곡면부(130) 및 제3 곡면부(140)에도 변형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부항기(10)의 표면에 국소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부항기(10) 전체를 직간접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변형이 일어난 후 부항 본체(100)는 다시 원래의 형태를 회복할 수 있다. 부항 본체(100)는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져 변형된 상태 그대로 있지 않고, 최초에 성형된 형태로 다시 복원된다. 이때, 부항 본체(100)가 가지는 탄성의 크기에 따라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려는 힘, 즉 복원력의 크기가 달라진다. 탄성이 큰 경우에는 복원력이 커져 변형 후에 바로 원래 형태로 회복되지만, 처음에 부항 본체(100)를 변형시키는 것 역시 어렵게 된다. 반대로, 탄성이 작은 경우에는 복원력이 작아져 변형 후에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데 시간이 걸리지만, 변형시키는 것은 상대적으로 쉬울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 과정과 복원 과정을 이용하여 부항 본체(100)는 그 내부에 부압(음압: negative pressure: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부압을 이용해 피부를 부항 본체(100)의 내측으로 흡인하여 피부에 밀착된 채로 고정될 수 있다.
공기연통부(110)는 직육면체 형태로 부항 본체(100)의 정점에 위치하며, 중앙 부분 상에 공기연통부(110)를 상하로 관통하는 절개선(112)이 형성된다. 공기연통부(11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공기연통부(110)의 중앙 부분인 절개선(112)은 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형상 유지부(200)는 제3 곡면부(140)의 하단을 통해 부항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형상 유지부(200)와 제3 곡면부(140) 간의 결합은 제3 곡면부(140)의 하단 내부를 통한 강제 압입 방식 또는 인서트 사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3 곡면부(140)의 하부로 플랜지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플랜지부를 통해 형상 유지부(200)의 결합이 가능하다.
형상 유지부(200)는 제3 곡면부(140)의 내주면 상에 밀착한 상태로 삽입되는 내삽부(210) 및 내삽부(210)의 하단 외주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220)를 포함한다.
내삽부(210)는 그 직경이 제3 곡면부(140) 하단의 내경보다 큰 상태로 제조됨으로써 형상 유지부(200)를 결합하는 경우에 억지 끼움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접촉부(220)는 제3 곡면부(140)의 하단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의 경우에, 내삽부(210)와 제3 곡면부(140)의 내주면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제가 개재되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10)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항 본체(100)와 형상 유지부(200) 간의 결합 구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제3 곡면부(140)는 그 내주면 상에 돌기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60)는 제3 곡면부(140)의 내주면 상하를 따라 다단으로 형성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3 곡면부(14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원형 링의 형태일 수 있고, 단면은 반원 내지 타원형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형상 유지부(20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형상의 돌기부(160)의 형성이 가능하다.
즉,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상 유지부(200)를 부항 본체(100) 상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금형에 결합된 제3 곡면부(140)를 중심으로 용융 수지를 공급하는 경우에 제3 곡면부(140)에 형성된 돌기부(160)에 공급된 용융 수지가 고형화되는 과정에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내삽부(210)의 외측면 상에 돌기부(160)에 대응하는 돌기홈(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형상 유지부(200)와 부항 본체(100) 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10)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항 본체(100)와 형상 유지부(200) 간의 결합 구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형상 유지부(200)는 제3 곡면부(140)의 내주면 상에 밀착한 상태로 삽입되는 내삽부(210), 내삽부(210)의 하단 외주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220) 및 접촉부(220)의 외측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형상 유지부(200)의 단면 구조는 전체적으로 U 자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3 곡면부(140)의 하단을 하부에서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의 공기연통부(110)를 통해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플렉서블한 컵 형상의 부항 본체(100) 및 부항 본체(100)의 하단에 결합되어져 상기 부항 본체(100) 하단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형상 유지부(200)을 포함한 상태에서, 부항기를 통한 부압의 형성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피부 상에의 자극을 최소화한다.
즉, 피부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형상 유지부(200)의 변형이 제한되는 과정을 통해서, 부항기 상에 부압이 걸리는 경우에 형상 유지부(200)의 접촉부(22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피부 영역이 수축되는 부작용을 감소하게 한다. 이를 통해 기존에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을 감소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접촉부(220)의 하단에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추가적으로 부착함으로써 피부에의 자극을 더욱 감소하게 할 수 있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부항기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종 형상을 이루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부항 본체 및 상기 부항 본체의 하단 상에 결합되며 상기 부항 본체보다 단단한 재질을 갖는 형상 유지부를 갖는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 상에 부항기를 결합하는 경우에,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부항 본체
200 : 형상 유지부

Claims (4)

  1. 속이 빈 종 형상을 이루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부항 본체(100); 및
    상기 부항 본체(100)의 하단 상에 결합되며 상기 부항 본체(100)보다 단단한 재질을 갖는 형상 유지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부항 본체(100)는,
    상하부로 관통되는 절개라인(112)이 형성된 공기연통부(110) 및 상기 공기연통부(110)의 하단 상에서 적어도 일단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 유지부(200)는,
    하나 이상의 곡면부 중 최하단의 곡면부의 내주면 상에 밀착한 상태로 삽입되는 내삽부(210) 및 상기 내삽부(210)의 하단 외주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220)를 포함하는,
    부항기(10).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의 곡면부는 그 내주면 상에 돌기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160)는 상기 최하단의 곡면부의 내주면 상하를 따라 다단으로 형성되는,
    부항기(1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200)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상기 부항 본체(100) 상에 결합하는,
    부항기(10).
KR1020160077086A 2016-06-21 2016-06-21 부항기 KR101788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086A KR101788028B1 (ko) 2016-06-21 2016-06-21 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086A KR101788028B1 (ko) 2016-06-21 2016-06-21 부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028B1 true KR101788028B1 (ko) 2017-10-23

Family

ID=6029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086A KR101788028B1 (ko) 2016-06-21 2016-06-21 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0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664B1 (ko) * 2020-12-23 2021-03-12 박중현 음압을 이용한 마사지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363Y1 (ko) 2001-09-13 2001-12-14 이인재 부항
KR200377939Y1 (ko) 2004-10-21 2005-03-11 정희문 부항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363Y1 (ko) 2001-09-13 2001-12-14 이인재 부항
KR200377939Y1 (ko) 2004-10-21 2005-03-11 정희문 부항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664B1 (ko) * 2020-12-23 2021-03-12 박중현 음압을 이용한 마사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4845B2 (en) Method to secure an elastic component in a valve
WO2006054280A3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fluid into flexible biological barrier
KR20140096265A (ko) 입술 강화 및 확대 디바이스
EP3325047B1 (en) Infusion set with variable mounting orientations
KR101788028B1 (ko) 부항기
AU2019302833A8 (en) Hyaluronic acid filler having high lift capacity and low injection force
USD1012282S1 (en) External nasal dilator
CA2466584C (en) Disposable weight-reducing suction cup
US20130338793A1 (en) Sealing member for vacuum suspension prosthetic device
KR200465975Y1 (ko) 부항기
KR20180094669A (ko) 밴딩 구조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패치
CN105960209B (zh) 一种压脉带
KR101711331B1 (ko) 음압을 이용한 석션 부항기
KR200488288Y1 (ko) 양말 목 구조
USD966123S1 (en) Pressure regulator
USD914897S1 (en) Facial therapy shroud body
KR101883738B1 (ko) 성기능 보조기구
KR20170003659U (ko) 음압설정이 용이한 음압을 이용한 석션 마사지기
KR101904152B1 (ko) 피부미용용 골무
WO2009005255A2 (en) Close adhesion pad for cupping glass
JP2010172687A (ja) 陥入爪矯正具
TW202008973A (zh) 陰莖勃起輔助器具
US20210100983A1 (en) Infusion site protector
CN211398908U (zh) 抗血栓压力泵接头保护盖
CN209187480U (zh) 一种美容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