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975Y1 - 부항기 - Google Patents

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975Y1
KR200465975Y1 KR2020110003433U KR20110003433U KR200465975Y1 KR 200465975 Y1 KR200465975 Y1 KR 200465975Y1 KR 2020110003433 U KR2020110003433 U KR 2020110003433U KR 20110003433 U KR20110003433 U KR 20110003433U KR 200465975 Y1 KR200465975 Y1 KR 200465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portion
curved
pressing
flange
cu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497U (ko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준 filed Critical 이상준
Priority to KR2020110003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97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4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4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9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력을 이용해 간편하게 피부에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부항기는 누름부 및 누름부의 측부로부터 누름부의 측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곡면부, 제1 곡면부의 하단부로부터 제1 곡면부의 측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곡면부, 제2 곡면부의 하단부를 따라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제1 곡면부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누름부와 제2 곡면부를 연결하되 제2 곡면부에 근접될수록 두께가 점차 증가하고, 제2 곡면부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제1 곡면부와 플랜지부를 연결하되 플랜지부에 근접될수록 두께가 점차 증가하고, 누름부, 제1 곡면부, 제2 곡면부, 및 플랜지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누름부로부터 플랜지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확대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부항기 {Cupping apparatus}
본 고안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을 이용해 간편하게 피부에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부항이라 함은 피부 위의 격리된 일 지점에 부압(음압: negative pressure: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을 생성시켜, 부압으로 인한 흡인력을 이용해 피부로부터 사혈, 고름 등을 빨아내는 전통적인 한방 치료 요법을 일컫는다.
부항 요법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컵 형태 또는 작은 돔의 형태를 가지는 부항기라 불리는 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부항기를 피부에 덮으면 피부 위에 소정의 격리된 공간을 만들 수 있고, 부항기 내부의 공기 량을 희박하게 만들면 부압이 생성된다.
종래 부압을 생성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사용되어 왔다. 전통적으로는 부항기 내부의 공기를 연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현대적으로는 공기 흡입 펌프(suction pump)등을 사용하여 직접 부항기 내부의 공기를 빨아내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부항기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하여, 외력을 가해 부항기를 변형시킨 후 부항기 자체의 복원력을 이용해 부압을 생성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탄성 재질로 된 부항기는 부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다른 보조기구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휴대 및 사용상의 간편성이 있으며, 이 때문에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부항기는, 탄성력을 강하게 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강한 부압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성질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부항기를 안정적으로 변형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대로 부항기가 안정적으로 변형되도록 하기 위해서 탄성력을 약하게 하는 경우에는 복원력이 부족하여 부압의 크기가 작아질 수 밖에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충분한 복원력을 가져 상대적으로 강한 부압을 생성하면서도, 외력이 가해졌을 때 안정적으로 변형되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부항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측부로부터 상기 누름부의 측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곡면부, 상기 제1 곡면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곡면부의 측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곡면부, 상기 제2 곡면부의 하단부를 따라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곡면부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상기 누름부와 상기 제2 곡면부를 연결하되 상기 제2 곡면부에 근접될수록 두께가 점차 증가하고, 상기 제2 곡면부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상기 제1 곡면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연결하되 상기 플랜지부에 근접될수록 두께가 점차 증가하고, 상기 누름부, 상기 제1 곡면부, 상기 제2 곡면부, 및 상기 플랜지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확대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부항기는 다른 보조기구의 도움 없이 탄성에 의해 스스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강한 부압을 생성하는 반면, 외력이 가해지면 안정적으로 변형된다. 또한, 지압돌기로 피부를 압박하여 부항 효과와 지압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항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항기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부항기의 변형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는 도 1의 부항기에 지압돌기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 는 도 4a의 지압돌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부항기에 보조 지지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항기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부항기의 변형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단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항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항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항기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항기(1)는 누름부(100), 제1 곡면부(200), 제2 곡면부(300) 및 플랜지부(400)를 포함한다.
부항기(1)는 정점에 위치한 누름부(100)로부터 제1 곡면부(200)가 연장되어 나오고, 다시 제1 곡면부(200)로부터 제2 곡면부(300)가 연장되어 나와 도 1과 같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돔의 형상이 된다. 플랜지부(400)는 제2 곡면부(30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 및 두께로 돌출된다.
누름부(100), 제1 곡면부(200), 제2 곡면부(300) 및 플랜지부(40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곡면부(20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압력은 제1 곡면부(200)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만, 서로 연결된 누름부(100), 제2 곡면부(300), 및 플랜지부(400)에도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제1 곡면부(200) 뿐만 아니라, 누름부(100), 제2 곡면부(300) 및 플랜지부(400)에도 변형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부항기(1) 표면에 국소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부항기(1) 전체를 직 간접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변형이 일어난 후 부항기(1)는 다시 원래의 형태를 회복한다. 부항기(1)는 실리콘 고무 (Silicone rubber) 등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변형된 상태 그대로 있지 않고, 처음에 성형된 형태로 다시 복원된다. 이 때, 부항기(1)가 가지는 탄성의 크기에 따라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려는 힘, 즉 복원력의 크기가 달라진다. 탄성이 큰 경우에는 복원력이 커져 변형 후에 바로 원래 형태로 회복되지만, 처음에 부항기(1)를 변형시키는 것 역시 어렵게 된다. 반대로, 탄성이 작은 경우에는 복원력이 작아져 변형 후에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데 시간이 걸리지만, 변형시키는 것은 상대적으로 쉬울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과정과 복원과정을 이용하여 부항기(1)는 그 내부에 부압(음압: negative pressure: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부압을 이용해 피부를 부항기(1)의 내측으로 흡인하여 피부에 밀착된 채로 고정될 수 있다.
누름부(100)는 돔 형태로 형성된 부항기(1)의 정점에 위치하며, 중앙 부분이 볼록한 원형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누름부(10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누름부(100)의 중앙 부분은 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가해진 압력의 일부를 흡수하여 부항기(1)가 부드럽게 변형되도록 만든다. 누름부(100)는 중앙 부분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점차 두께가 감소하여, 단면의 형태를 보면 가장 솟아오른 중앙 부분에서 양측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감소하다가, 양 측부에서 제1 곡면부(200)와 연결된다.
누름부(100)의 하부에는 누름부 홈(110)이 형성된다. 누름부(100)의 상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누름부 홈(110)이 확장되면서 누름부(100) 전체가 더욱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면 누름부 홈(110)이 다시 수축되면서 누름부(100)가 탄력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제1 곡면부(200)는 누름부(100)의 측부로부터 연장된다. 제1 곡면부(200)는 누름부(100)의 측부를 둘러싸 확장되면서 누름부(100)로부터 누름부(100)의 측하방으로 연장된다. 이 때, 누름부(100)와 제2 곡면부(300)를 잇는 제1 곡면부(200)의 종단면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면서 일종의 아치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아치 형상의 단면은 제1 곡면부(200)의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1 곡면부(200)는 상단부의 두께(t1)보다 하단부의 두께(t2)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제1 곡면부(200)의 하단부는 상대적으로 변형이 덜 일어나며,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즉각적으로 회복되어 원상태로 복원된다.
제1 곡면부(200)의 만곡면과 상대적으로 두꺼운 하단부가 가지는 지지력 및 복원력은 누름부(100)가 압력을 받아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누름부(100)를 받쳐주어 다시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만들며, 이는 결국 누름부(100)를 원상태로 회복시키는 복원력으로 작용한다. 즉, 제1 곡면부(200)의 구조적인 특성은 재료 자체가 가지는 탄성력과 합쳐져 부항기의 복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곡면부(300)는 제1 곡면부(20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제2 곡면부(300)는 제1 곡면부(200)의 하단부의 측면을 둘러싸 확장되면서 제1 곡면부(200)의 측하방으로 연장된다. 이 때, 제1 곡면부(200)와 플랜지부(400)를 잇는 제2 곡면부(300)의 종단면은 제1 곡면부(200)와 마찬가지로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면서 일종의 아치를 형성한다.
또한, 제2 곡면부(300) 역시 상단부의 두께(t3)가 하단부의 두께(t4)보다 두꺼운 구조를 가져, 제1 곡면부(200)처럼, 제2 곡면부(300)의 구조적인 특성이 부항기의 복원력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2 곡면부(300)와 제1 곡면부(200)는 서로 어긋난 형태로 연결되면서 그 연결부위의 내측면에 단차부(500)를 형성한다.
제1 곡면부(200)와 제2 곡면부(30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서 제1 곡면부(200)의 하단부는 하방을 향하고, 제2 곡면부(300)의 상단부는 일측으로 기울어진 채 상방을 향하므로, 따라서 제1 곡면부(200)의 하단부와 제2 곡면부의 상단부는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엇갈린 채로 만나 단차부(500)를 형성하게 된다.
단차부(500)의 이러한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제2 곡면부(300)의 상단부는 제1 곡면부(200)의 하단부를 단순히 상방으로만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내측으로 밀어 지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곡면부(200)의 하단부는 제2 곡면부(300)의 상단부를 외측으로 밀어 제2 곡면부(300)가 원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즉, 단차부(500)를 통해 제1 곡면부(200)와 제2 곡면부(300)는 서로의 지지력을 입체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제1 곡면부(200)와 제2 곡면부(300)는 단차부(500)를 통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지지력을 교환함으로써 부항기 전체의 복원력을 증가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곡면부의 수를 둘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부항기가 좀 더 탄력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제1 곡면부(200) 및 제2 곡면부(300)는 서로 연결되어 부항기(1)의 외벽을 형성함으로써, 부항기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격리시켜 부항기 내부에 부압이 형성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준다.
플랜지부(400)는 제2 곡면부(300)의 하단부를 따라 돌출된다. 플랜지부(400)는 제2 곡면부(300)의 하단부 바깥쪽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면서 제2 곡면부(300)의 하단부를 확장시켜 소정의 넓이를 갖는 평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부항기는 플랜지부(400)를 통해 피부에 쉽게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2 곡면부(300)는 하단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는 보조 플랜지부(410)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부항기는 플랜지부(400) 및 보조 플랜지부(410)를 이용해 피부에 더 잘 밀착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부항기의 작동 과정 및 구조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부항기의 변형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a 는 도 1의 부항기에 지압돌기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b 는 도 4a의 지압돌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부항기에 보조 지지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도 3a를 참조하면, 플랜지부(400)가 피부(S)에 밀착되도록 부항기를 피부(S) 위에 위치시킨 후, 누름부(100)의 상부에 압력(P)을 가하면, 누름부(100), 제1 곡면부(200) 및 제2 곡면부(300)가 함께 변형되면서 부항기 내부의 공간은 축소된다. 이 때, 누름부(100)는 직접 압력을 받아 변형되면서 압력의 일부를 흡수한다. 누름부 홈(110)은 압력(P)에 의해 확장되면서 누름부(100) 전체가 좀 더 유연하게 변형되도록 만든다.
제1 곡면부(200)는 누름부(100)를 따라 그 상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구부러져 만곡된 부분의 곡률이 증가한다. 하지만, 아치의 형상은 파괴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여 누름부(100)가 쉽게 함몰되지 않도록 지지력을 전달한다.
제2 곡면부(300)는 상단부가 제1 곡면부(200)를 따라 내측으로 구부러지지만 상대적으로 변형이 크게 일어나지는 않는다. 제2 곡면부(300)는 압력(P)이 가해지는 동안 단차부(500)를 통해 지속적으로 지지력을 전달하여, 제 1 곡면부(200)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부항기는 외부 압력(P)에 의해 쉽게 함몰되지 않고 압력에 대응하는 지지력을 생성하면서 안정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지지력은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는 이를 중화시켜 압력이 가해지는 지점만 쉽게 함몰되지 않고 부항기가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변형되도록 만들며,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으로 작용하여 부항기를 원래 형태로 복원시킨다.
이와 같이 과정을 거쳐 부항기 내부의 공간이 축소되면, 부항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부항기의 내부에 부압이 생성된다.
이어서, 도 3b를 참조하면, 부항기가 피부에 밀착된 채 변형된 후,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제1 곡면부(200)의 지지력으로 인해 누름부(100)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상승되고, 제1 곡면부(200)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밀어주는 제2 곡면부(300)의 지지력으로 인해 제1 곡면부(200)의 상단부 역시 원래 위치로 상승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부항기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복원 과정은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즉각적으로 진행된다.
부항기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 부압(NP)에 의해 부항기 내부의 피부(S)가 흡인되어 내측으로 솟아오르면서, 부항기는 피부에 밀착된 채로 고정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이 때, 제 2 곡면부(300)의 내측면에 수 개의 지압돌기(310)를 형성할 수 있다. 지압돌기(310)는 제2 곡면부(300)의 내측면으로부터 솟아오른 피부(S)를 향해 돌출되며, 피부와 접촉되면서 지속적으로 피부를 압박하여 지압 효과를 발생시킨다. 부항기의 부압의 크기가 커 솟아오른 피부의 크기가 클수록 지압돌기(310)가 발생시키는 지압의 효과도 더 커질 수 있다. 이 때, 지압돌기(310)가 너무 길게 돌출되면, 부항기가 피부에 밀착되는 것을 방해하게 될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압돌기(310)의 길이를 적당히 조절하여 지압돌기(310)가 플랜지부(400)보다는 안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지압돌기(420)는 제2 곡면부(300)의 내측면 외에 제2 곡면부(300)의 하단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지압돌기(420)는, 도 4b와 같이 플랜지부(400)와 보조 플랜지부(410)사이에 일정한 깊이로 만입되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2 곡면부(3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지압돌기(420)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으며, 플랜지부(400)와 인접하여 플랜지부(400) 및 보조 플랜지부(410)가 피부에 밀착되는 때 함께 피부에 밀착된 채로 피부(S)를 압박하여 지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지압돌기(420)의 길이가 너무 길면 플랜지부(400) 및 보조 플랜지부(410)가 피부에 밀착되는 것을 방해할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압돌기(420)는 홈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부항기에는 부항기의 지지력 및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조 지지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지지부(600)는 누름부 홈(110)으로부터 시작되어 누름부(100), 제1 곡면부(200) 및 제2 곡면부(300)의 내측면을 가로질러 제2 곡면부(300)의 단부에 형성된 보조 플랜지부(410)와 만나는 지점에서 끝이나며, 각각의 내측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보조 지지부(600)는 수 개가 누름부 홈(11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지지부(600)가 형성되면, 누름부(100), 제1 곡면부(200) 및 제2 곡면부(300)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시키려면 각각의 내측면에 형성된 보조 지지부(600)를 함께 변형시켜야 하므로 더 큰 압력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누름부(100), 제1 곡면부(200) 및 제2 곡면부(300)는 보조적인 지지력을 획득하여 외부 압력을 받아도 쉽게 내측으로 함몰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항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항기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항기는 누름부(100), 제1 곡면부(200a), 제2 곡면부(200b), 제3 곡면부(200c) 및 플랜지부(400)를 포함한다.
부항기(1-1)는 누름부(100)를 정점으로 하여 누름부(10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곡면부(200a), 제1 곡면부(200a)로부터 연장되는 제2 곡면부(200b), 및 제2 곡면부(200b)로부터 연장되는 제3 곡면부(200c)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돔 형상이 되며, 제2 곡면부(200b)의 하단부로부터 플랜지부(400)가 돌출된다.
누름부(100)는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확장된 원형의 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누름부(100)의 확장된 상단부는 누름부(100)의 상단부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는 하단부로 집중시키므로, 상단부에 가해진 외부 압력보다 증가된 압력을 제1 곡면부(200a)로 전달하며, 이에 따라 제1 곡면부(200a)가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곡면부(200a)는 누름부(10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제1 곡면부(200a)는 누름부(100)의 하단부를 둘러싸 누름부(100)의 하단부로부터 누름부(100)의 측하방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을 형성한다.
제2 곡면부(200b)는 제1 곡면부(200a)가 끝나는 지점에서 다시 연장되어 제1 곡면부(200a)와 갖은 곡률을 갖는 곡면을 형성하며, 제3 곡면부(200c)는 제2 곡면부(200b)가 끝나는 지점에서 다시 연장되어 제1 곡면부(200a) 및 제2 곡면부(200b)와 같은 곡률을 갖는 곡면을 형성한다.
즉, 제1 곡면부(200a), 제2 곡면부(200b) 및 제3 곡면부(200c)는 동일한 곡률을 갖는 하나의 곡면을 형성한다. 이 때, 제1 곡면부(200a)가 끝나는 지점과 제2 곡면부(200b)가 끝나는 지점에는 각각 제1 볼록부(701) 및 제2 볼록부(70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볼록부(701)와 제2 볼록부(702)는 누름부(100)의 하단부를 동심원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변형 보조부(700)로 작용한다. 제1 볼록부(701) 및 제2 볼록부(702)는 제1 곡면부(200a) 및 제2 곡면부(200b) 각각의 외측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다.
이 때, 제1 볼록부(701)는 제1 곡면부(200a)와 제2 곡면부(200b)사이의 일 지점에서 제1 곡면부(200a)와 제2 곡면부(200b)의 경계를 형성하며, 제2 볼록부(702)는 제2 곡면부(200b)와 제3 곡면부(200c)사이의 일 지점에서 제2 곡면부(200b)와 제3 곡면부(200c)의 경계를 형성한다. 각각의 볼록부 사이에서 각 곡면부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플랜지부(400)는 제2 곡면부(200b)의 하단부, 즉 돔 형상 부항기(1-1)의 최 하단부에 그 테두리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하, 도 7a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부항기(1-1)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부항기의 변형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외부에서 누름부(100)로 가해지는 압력(P)에 의해, 부항기 전체에 변형이 일어난다. 우선, 누름부(100)의 상단부로 가해지는 압력(P)은 누름부(100)를 압박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누름부(100)의 하단부 중앙에는 누름부 홈(110)이 형성되며, 누름부 홈(110)은 누름부(10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확장되거나 수축되면서 누름부(100) 전체를 유연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누름부(10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 곡면부(200a) 및 제2 곡면부(200b)가 함께 변형된다. 제1 볼록부(701)를 경계로 하여, 제1 곡면부(200a)는 크게 변형이 일어나는 반면, 제2 곡면부(200b)는 상단부가 약간 만곡될 뿐 상대적으로 변형이 적게 일어난다. 이 때 제2 곡면부(200b)는 제1 곡면부(200a)에 지지력을 전달하여 제1 곡면부(200a) 및 누름부(100)가 압력(P)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앉지 않도록 제1 곡면부(200a)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도 7b를 참조하면, 누름부(100)의 상방으로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누름부(100)는 하방으로 더 이동되며, 누름부(100)를 따라 제1 곡면부(200a) 및 제2 곡면부(200b)는 변형을 크게 일으키며 하방으로 굴절된다. 이 때, 제2 볼록부(702)를 경계로 하여 제3 곡면부(200c)는 상단부가 약간 만곡될 뿐이며 상대적으로 변형이 적게 일어나, 원래의 위치에서 크게 이탈되지 않는다. 제3 곡면부(200c)는 크게 변형되지 않으면서 제1 곡면부(200a) 및 제2 곡면부(200b)에 지지력을 전달하여 각각의 곡면부 및 누름부(100)가 하방으로 완전히 내려앉지 않도록 제1 곡면부(200a) 및 제2 곡면부(200b)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곡면부(200a) 및 제2 곡면부(200b)는 변형을 크게 일으키며 누름부(100)와 함께 함몰되어 부항기의 내부 공간을 축소시킨다. 이 때, 제1 곡면부(200a) 및 제2 곡면부(200b)는 동심원상으로 형성된 제1볼록부(701) 및 제2볼록부(702)를 경계로 순차적으로 함몰되며, 각각의 볼록부(701,702)는 동심원의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제1 곡면부(200a) 및 제2 곡면부(200b)가 쉽게 함몰되지 않도록 제1 곡면부(200a)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곡면부(200a) 및 제2 곡면부(200b) 와 각각의 볼록부(701,702) 그리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3 곡면부(200c) 서로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부항기가 안정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부항기의 내부공간이 축소되면, 부항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부항기 내부에 부압이 생성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외부 압력이 제거된 후, 제2 곡면부(200b)가 제공하는 지지력으로 인해 제1 곡면부(200a) 및 누름부(100)는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이 때, 제1 볼록부(701) 및 제2 볼록부(702)는 제1 곡면부(200a) 및 제2 곡면부(200b)에 지지력을 더해주어 부항기가 빠르게 원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항기가 원래 형태를 회복하면 부항기 내부의 부압(NP)이 피부를 흡인하여 부항기가 피부에 밀착된 채로 고정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부항기 100: 누름부
110: 누름부 홈 200, 200a: 제1 곡면부
300, 200b: 제2 곡면부 310, 420: 지압돌기
200c: 제3 곡면부 400: 플랜지부
410: 보조 플랜지부 500: 단차부
600: 보조 지지부 700: 변형 보조부
701: 제1 볼록부 702: 제2 볼록부
P: 압력 NP: 부압
S: 피부 t1: 제1 곡면부의 상단부두께
t2: 제1 곡면부의 하단부두께 t3: 제2 곡면부의 상단부두께
t4: 제2 곡면부의 하단부두께

Claims (7)

  1.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측부로부터 상기 누름부의 측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곡면부;
    상기 제1 곡면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곡면부의 측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곡면부;
    상기 제2 곡면부의 하단부를 따라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곡면부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상기 누름부와 상기 제2 곡면부를 연결하되 상기 제2 곡면부에 근접될수록 두께가 점차 증가하고,
    상기 제2 곡면부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상기 제1 곡면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연결하되 상기 플랜지부에 근접될수록 두께가 점차 증가하고,
    상기 누름부, 상기 제1 곡면부, 상기 제2 곡면부, 및 상기 플랜지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확대되는 돔 형상의 부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부가 상기 제1 곡면부의 하단부 외측면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1 곡면부로부터 어긋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부항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확대되고, 상기 누름부의 하단부는 상기 제1 곡면부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누름부의 상단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누름부의 하단부로 집중되어 상기 제1 곡면부를 변형시키는 부항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동심원 형상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변형 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부항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 상기 제1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 각각의 내측면에서 상기 누름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부항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부 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플랜지부보다는 안쪽에 위치하는 수 개의 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부항기.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부 의 하단부를 따라 만입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인접한 홈, 및상기 홈의 내측에 위치하는 수 개의 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부항기.
KR2020110003433U 2011-04-21 2011-04-21 부항기 KR200465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433U KR200465975Y1 (ko) 2011-04-21 2011-04-21 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433U KR200465975Y1 (ko) 2011-04-21 2011-04-21 부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497U KR20120007497U (ko) 2012-10-31
KR200465975Y1 true KR200465975Y1 (ko) 2013-03-22

Family

ID=4751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433U KR200465975Y1 (ko) 2011-04-21 2011-04-21 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9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8669A (zh) * 2014-11-20 2016-06-29 李为松 一种兼备按摩功能的拔罐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8296B (zh) * 2014-11-20 2017-12-05 李为松 一种兼备按摩功能的拔罐器
KR102227664B1 (ko) * 2020-12-23 2021-03-12 박중현 음압을 이용한 마사지기
KR102445446B1 (ko) * 2021-10-19 2022-09-20 김병국 피부 분비물 흡입용 의료 보조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116U (ko) * 1997-04-11 1997-07-24 우종원 부항
KR970060733U (ko) * 1997-09-24 1997-12-10 우종원 휴대용적층식부항
KR200450951Y1 (ko) 2010-05-03 2010-11-12 김명동 부항기기
KR20110028730A (ko) * 2009-09-14 2011-03-22 김근식 부항컵용 밸브, 바디 및 이를 이용하는 부항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116U (ko) * 1997-04-11 1997-07-24 우종원 부항
KR970060733U (ko) * 1997-09-24 1997-12-10 우종원 휴대용적층식부항
KR20110028730A (ko) * 2009-09-14 2011-03-22 김근식 부항컵용 밸브, 바디 및 이를 이용하는 부항컵
KR200450951Y1 (ko) 2010-05-03 2010-11-12 김명동 부항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8669A (zh) * 2014-11-20 2016-06-29 李为松 一种兼备按摩功能的拔罐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497U (ko)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975Y1 (ko) 부항기
USD891052S1 (en) Sole structure
USD890185S1 (en) Joystick module
KR200487722Y1 (ko) 바닥매트
US11284703B2 (en) Automatic suction cleaning structure and cleaner
USD825934S1 (en) Nail brush base
US20150027005A1 (en) Article of footwear, sole and pump arrangement for use in same,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17012203A1 (zh) 一种吸附力强的吸盘
KR2022007855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CN105899822A (zh) 真空吸附装置
JP2012187219A (ja) マッサージ具
CN109555858A (zh) 孔塞
US20070131828A1 (en) Pad with suction units
KR20150109016A (ko) 신발용 체크 밸브판
KR101272298B1 (ko) 손가락 부항기
CN110216213A (zh) 金属空心体的拉伸模脱模机构
USD876153S1 (en) Pressure cooker
KR101602759B1 (ko) 식기건조대용 스트랩
KR101535968B1 (ko) 신발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1173428B1 (ko) 지압신발 및 이의 제조방법
EP2921705A1 (en) A diaphragm-plate group for diaphragm pumps
KR101161405B1 (ko) 원터치형 부항기
TWM408114U (en) Improved structure having a keyswitch
JP5085271B2 (ja) 液体噴出器のストッパ及び当該ストッパ付き液体噴出器ユニット
KR101788028B1 (ko) 부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