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376B1 - 인사이드 핸들 모듈 및 이의 발광 방법 - Google Patents

인사이드 핸들 모듈 및 이의 발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376B1
KR101787376B1 KR1020160091176A KR20160091176A KR101787376B1 KR 101787376 B1 KR101787376 B1 KR 101787376B1 KR 1020160091176 A KR1020160091176 A KR 1020160091176A KR 20160091176 A KR20160091176 A KR 20160091176A KR 101787376 B1 KR101787376 B1 KR 101787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ght
vehicle
information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로
정연곤
남상욱
Original Assignee
(주)에핏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핏라이트 filed Critical (주)에핏라이트
Priority to KR102016009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door or boot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2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lock status, i.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User displays
    • E05Y2400/818User displays with visual display
    • E05Y2400/822Light emitters, e.g.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인사이드 핸들 모듈 및 이의 발광 방법이 개시된다. 본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이너패널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은, 상기 도어의 락킹을 위해 마련되는 도어락 스위치부; 및 차량제어부로부터 상기 락킹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락킹 상태를 나타내도록 마련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상태 정보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하고, 차량 상태에 대한 인지력을 향상시켜 운전자의 안전에 보다 충실할 수 있으며,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감성 어필에 충실할 수 있고, 차량에 대한 구매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사이드 핸들 모듈 및 이의 발광 방법{Inside handle module and ligh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사이드 핸들 모듈 및 이의 발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락킹 상태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인사이드 핸들 모듈 및 이의 발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에는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내측 개폐장치와 외측 개폐장치가 각각 마련되게 된다. 이 중 외측 개폐장치에는 운전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운전자의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고, 내측 개폐장치에는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시 자동으로 차량 도어가 락킹되어 불의의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내측 개폐 장치에는 차량의 락킹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차량이 일정 속도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강제적으로 락킹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락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도어락은 락킹 상태와 언락킹 상태의 모양이 서로 다르도록 회전 운동 등을 통해 변형되거나 언락킹 상태에서는 언락킹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물리적 표식들이 마련되기도 한다.
하지만, 차량 내에는 과거와 달리 기계적인 요소보다는 전자적인 요소가 다수 포함되고 있으며, 전기차나 자율주행 등과 같은 거창한 기술이 아니더라도 전자적인 요소를 가미한 디테일한 마감이나 감성적인 매력들이 차량의 구매 욕구를 고취시키기 위한 중요한 포인트들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재의 추세에 감안할 때, 종래와 같이 물리적인 움직임이나 물리적인 표식을 활용하여 차량의 락킹 상태를 나타내는 방식보다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감성 어필에 충실하며, 운전자의 안전을 더욱 충실히 보호할 수 있고, 차량 구매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5242호 : 램프가 설치된 차량용 손잡이 한국등록특허 제10-1025287호 : 자동차의 인/아웃사이드 도어락 핸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상태 정보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하고, 차량 상태에 대한 인지력을 향상시켜 운전자의 안전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사이드 핸들 모듈 및 이의 발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이너패널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은, 상기 도어의 락킹을 위해 마련되는 도어락 스위치부; 및 차량제어부로부터 상기 락킹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락킹 상태를 나타내도록 마련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락킹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도어가 락킹되었는지 언락킹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차량제어부로부터 직접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 모듈은,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해 마련되는 도어 손잡이부; 및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 및 상기 도어 손잡이부가 상기 이너패널의 외측면에 장착되기 위한 플레이트로서 마련되는 도어캐치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 상기 도어 손잡이부 및 상기 도어캐치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인입되는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와 상기 발광부는, 상기 차량제어부로부터 상기 락킹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각각 동작하되,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포지션이 변경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발광색이 변경되도록 동작할 수 이TEk.
또한,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는, 다면체로 구성되되 일면에 도광판이 노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가 상기 도어의 락킹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도광판이 상기 도어캐치커버부의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포지션이 변경되고,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가 상기 도어의 언락킹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도광판이 운전자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포지션이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캐치커버부는, 상기 락킹 상태에서 상기 도광판을 통해 출사된 광을 운전자 방향으로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운전자로 하여금 간접적으로 상기 출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광원들로 마련되고, 상기 차량제어부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및 차량 외부의 조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들 간의 조합을 통해 서로 다른 광색을 가지는 상태로 발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차량제어부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및 차량 외부의 조도 정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밝기를 가지는 상태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도어 손잡이부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어 손잡이부의 고정단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손잡이부의 회전단 방향으로 발광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도어 손잡이부는, 광 전달이 가능한 비차광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도어캐치커버부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도어캐치커버부는, 일단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는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발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이너패널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의 발광방법은, 상기 도어의 락킹을 위해 마련되는 도어락 스위치부가, 차량제어부로부터 상기 락킹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발광부가,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락킹 상태를 나타내도록 발광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상태 정보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하고, 차량 상태에 대한 인지력을 향상시켜 운전자의 안전에 보다 충실할 수 있으며,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감성 어필에 충실할 수 있고, 차량에 대한 구매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 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어가 언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도어가 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위치부에 발광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부에 발광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캐치커버부에 발광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 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차량제어부(10)는 차량 내부에 마련되어 차량 내의 각종 전자장비를 콘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차량제어부(10)는 엔진이 온-상태가 된 것으로 확인되면 계기판의 각종 인디케이터들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차량의 주행 중 차선이탈이 방지되도록 사용자에게 알람이 제공되도록 하거나 후방카메라로 수집된 영상이 모니터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제어부(10)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과 직접 연결되어,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에 제어신호 또는 제어정보를 직접 전달하게 된다.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은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이너패널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차량의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은 차량의 상태에 따른 각종 정보가 가시성있는 광의 형태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특히,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은 차량제어부(10)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 또는 차량의 상태정보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이 취해야 할 상태정보를 직접 수신하며, 이로 인해 차량의 상태에 보다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정보를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은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이너패널(20)의 외측면에 매립, 결합 또는 부착된 상태로 형성되며, 도어락 스위치부(110), 발광부(120), 도어 손잡이부(130) 및 도어캐치커버부(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어락 스위치부(110)는 도어의 락킹을 위해 마련되며 색상이나 조도의 변경, 포지션의 변경 또는 모양의 변경에 따라 도어의 언락킹 상태 또는 락킹 상태를 나타내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위치부(110)는 내부에 위치한 발광부(120)의 조명에 따라 색상이나 조도의 변경을 통해 도어의 언락킹 상태 또는 락킹 상태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고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은 도어가 언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언락킹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에 비해 도어락 스위치부(110)의 오른쪽이 바깥쪽으로 회전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도어락 스위치부(110)의 일면에서 발광되는 광원의 조도가 운전자 방향을 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는 도어가 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락킹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것에 비해 도어락 스위치부(110)의 오른쪽이 안쪽으로 회전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도어락 스위치부(110)의 일면에서 발광되는 광원의 조도가 운전자 방향을 향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도어가 락킹된 상태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중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도어락 스위치부(110)에서 발광되는 광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도록 차량의 도어 방향을 향해 조사되게 되고, 도어가 언락킹된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차량을 정차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도어락 스위치부(110)에서 발광되는 광을 통해 운전자가 도어락 스위치부(110) 또는 그 주변의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 전반에 대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광의 조도를 통해 차량의 락킹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광의 색상을 통해서 차량의 락킹 상태를 나타내도록 구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어가 락킹된 상태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중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도어락 스위치부(110)에서 발광되는 광이 운전에 방해되지 않을 편한한 색상의 광일 수 있고, 도어가 언락킹된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차량을 정차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도어락 스위치부(110)에서 발광되는 광을 통해 운전자가 도어락 스위치부(110) 또는 그 주변의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 전반에 대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점멸을 반복하거나 자극적인 색상의 광이 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상에서는 도어락 스위치부(110)가 회전하면서 조도가 변경되도록 구현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어락 스위치가 별도로 회전하거나 이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전자적으로 조도만 변경되도록 설계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이와 같이 도어락 스위치부(110)는 내부에 위치한 발광부(120)의 조명에 따라 색상이나 조도의 변경을 통해 도어의 언락킹 상태 또는 락킹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내부에는 발광부(120)가 삽입된 상태로 마련되게 된다.
발광부(120)는 단일의 색을 가지는 LED 또는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복수의 LED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복수의 LED로 구현되는 경우 색상의 조합을 통해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다양한 색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어락 스위치부(110)와 발광부(120) 간의 구조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락 스위치부(110)의 하단에는 도어 손잡이부(130)가 마련된다.
도어 손잡이부(130)는 일측이 힌지 등의 부재를 통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되 축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타측은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파지함으로써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도어 래치의 동작에 따라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도어 손잡이부(130)에도 내부에 발광부(120)가 마련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락 손잡이부(130)와 발광부(120) 간의 구조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락 스위치부(110)와 도어 손잡이부(130)는 도어캐치커버부(140)에 의해 이너패널(20)의 외측면에 고정 장착되게 된다. 도어캐치커버부(140)는 도어락 스위치부(110)와 도어 손잡이부(130가 차량 내부의 외측면에 고정 장착되기 위한 플레이트로서 마련되며 도어락 스위치부(110)와 도어 손잡이부(130)를 보호하는 역할을 병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도어캐치커버부(140)에도 내부에 발광부(120)가 마련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캐치커버부(140)와 발광부(120) 간의 구조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위치부(110)에 발광부(120)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도어락 스위치부(110)의 내측이 윗 방향으로 놓여지도록 회전시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 스위치부(110)는 일측 양단에 도어락 스위치부(1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축부가 연결되는 힌지개구부(111), 내부에 장착된 발광부(120)가 발광할 때 직접광에 의한 운전자의 시야를 어지럽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도광판(113), 그리고, 발광부(12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삽입용 홈부(11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발광부(120)는 전술한 LED 등의 광원(121), 그리고, 차량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LED 등의 광원(121)을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전달부(1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발광부(120)의 광원(121)은 상단의 화살표(A1)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도어락 스위치부(110)의 도광판(113)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배치되며, 이로 인해 최대한 적은 전력으로 광이 도광판(113)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중에 있을 때에는 운전자에게 광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하단의 화살표(A2)의 방향으로 도어락 스위치부(110)가 회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에 대한 간섭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하단의 화살표(A2)의 방향으로 도어락 스위치부(110)가 회전된 상태에서는 광원(121)의 방향이 도어캐치커버부(140)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되어 도어캐치커버부(140)에 의해 반사되는 간접조명에 의해 무드등의 역할이 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손잡이부(130)에 발광부(120)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도어 손잡이부(130)의 내측이 전면에서 보여지도록 뒤집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부(130)는 기능적 특성상 일 방향으로 길쭉하게 뻗어있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은 힌지 등의 부재를 통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되 축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타측은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파지함으로써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도어 래치의 동작에 따라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 부분이 전술한 타측이 되고, 우측 부분이 전술한 일측이 되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부(130)의 일측의 후면에는 발광부(1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용 홈부(135)가 마련된다. 삽입용 홈부(135)의 역할은 전술한 도어락 스위치부(110)의 삽입용 홈부(115)의 역할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도어 손잡이부(130)의 일측으로 발광부(120)가 삽입되면 발광부(120)의 광원(121)은 도어 손잡이부(130)의 타측으로 광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향인 화살표(A4)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도어 손잡이부(130)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까지 최대한 균일한 밝기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광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 손잡이부(130)는 그 자체가 광 전달이 가능한 비차광 재질로 마련되거나 도 6에 도시된 후면부만 비차광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A3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이 A4와 A5 방향으로도 무드등의 방식으로 조사되거나 A4 방향으로 무드등의 방식으로 간접 조사되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캐치커버부(140)에 발광부(120)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도어캐치커버부(140)의 내측이 전면에서 보여지도록 뒤집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캐치커버부(140)는 기능적 특성상 도어락 스위치부(110)와 도어 손잡이부(1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움푹 파인 형상을 가지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움푹 파인 형상의 상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20)가 안착될 수 있는 삽입용 안착부(145)가 마련되며 이러한 삽입용 안착부(145)의 하단은 화살표(A6) 방향을 따라 횡 방향 연속 개구된 상태로 마련되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용 안착부(145)에 발광부(120)가 안착되면 발광부(120)의 광원(121)은 화살표(A6)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마련되고, A6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은 A7 방향으로 새어나오는 듯한 방식으로 발광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도어캐치커버부(140)의 횡 방향 전반에서 최대한 균일한 밝기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광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캐치커버부(140) 역시 도어 손잡이부(130)와 마찬가지로 그 자체가 광 전달이 가능한 비차광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A6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이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방향으로 무드등의 방식으로 조사되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발광부(120)가 어디에 위치하였는지를 기준으로 발광부(120)의 광이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시야 간섭없이 자연스럽게 무드등의 역할을 하며 제공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구조적인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이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상황에서 차량 내외부의 상태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광이 제어되는지에 대해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른 발광방법은, 차량의 속도를 차량의 상태로 상정하고, 발광부(120)의 조도 변화를 발광부(120)의 제어방식으로 상정한 것이다.
우선, 차량이 구동되어 일정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은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 또는 차량의 속도에 따른 발광부(120)가 취해야 할 상태 정보를 차량제어부로부터 직접 수신함으로써 도어락 스위치부(110)가 락킹 상태인 것으로 인지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발광부(120)가 점등되도록 한다(S210).
이후 발광부(120)가 점등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차량의 주행이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은 차량의 주행 시간 정보 또는 차량의 주행 시간에 따른 발광부(120)가 취해야 할 상태 정보를 차량제어부로부터 직접 수신함으로써 발광부(120)의 조도가 감소되도록 한다(S220).
아울러, 차량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은 차량의 정지 정보 또는 차량의 정지에 따른 발광부(120)가 취해야 할 상태 정보를 차량제어부로부터 직접 수신함으로써 도어락 스위치부(110)가 언락킹 상태인 것으로 인지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발광부(120)가 멸등되도록 한다(S23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른 발광방법은, 차량 외부의 조도를 차량의 상태로 상정하고, 발광부(120)의 조도 변화를 발광부(120)의 제어방식으로 상정한 것이다.
우선, 차량 외부의 조도가 특정한 조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은 차량 외부의 조도 정보 또는 차량 외부의 조도에 따른 발광부(120)가 취해야 할 상태 정보를 차량제어부로부터 직접 수신함으로써 발광부(120)가 내장된 도어락 스위치부(110)가 제1 밝기로 발광되도록 한다(S310).
이후, 차량 외부의 조도가 특정한 조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은 차량 외부의 조도 정보 또는 차량 외부의 조도에 따른 발광부(120)가 취해야 할 상태 정보를 차량제어부로부터 직접 수신함으로써 발광부(120)가 내장된 도어락 스위치부(110)가 제2 밝기로 발고아되도록 한다(S320).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따른 발광방법은, 차량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를 기반으로 차량의 상태를 상정하고, 발광부(120)의 광색 변화를 발광부(120)의 제어방식으로 상정한 것이다.
우선, 차량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가 발라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은 차량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 정보 또는 차량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에 따른 발광부(120)가 취해야 할 상태 정보를 차량제어부로부터 직접 수신함으로써 발광부(120)가 내장된 도어락 스위치부(110)가 차분한 광색을 가지는 제1 광색으로 발광되도록 한다(S410).
이후, 차량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가 댄스인 것으로 판단되면, 인사이드 핸들 모듈(100)은 차량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 정보 또는 차량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에 따른 발광부(120)가 취해야 할 상태 정보를 차량제어부로부터 직접 수신함으로써 발광부(120)가 내장된 도어락 스위치부(110)가 현란한 광색을 가지는 제2 광색으로 발광되도록 한다(S410).
이러한 논리는 차량의 주행모드에 따라 발광부(120)가 취해야 할 상태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모드가 에코모드인 경우, 발광부(120)는 차분한 색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고, 차량의 주행모드가 스포츠모드인 경우, 발광부(120)는 강렬한 색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사항들은, 발광부(120)가 도어락 스위치부(110)에만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한 것이며,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부(130) 또는 도어캐치커버부(140)에 발광부(120)가 마련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차량제어부 20 : 이너 패널
100 : 인사이드 핸들 모듈 110 : 도어락 스위치부
111 : 힌지개구부 113 : 도광판
115 : 삽입용 홈부 120 : 발광부
121 : 광원 123 : 신호전달부
130 : 도어 손잡이부 135 : 삽입용 홈부
140 : 도어캐치커버부 145 : 삽입용 안착부

Claims (11)

  1.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이너패널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락킹을 위해 마련되는 도어락 스위치부;
    차량제어부로부터 상기 도어가 락킹되었는지 언락킹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 상기 락킹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직접 수신되어 상기 락킹 상태를 나타내도록 마련되는 발광부;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해 마련되는 도어 손잡이부; 및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 및 상기 도어 손잡이부가 상기 이너패널의 외측면에 장착되기 위한 플레이트로서 마련되는 도어캐치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 상기 도어 손잡이부 및 상기 도어캐치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인입되는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와 상기 발광부는,
    상기 차량제어부로부터 상기 락킹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각각 동작하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발광색이 변경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는,
    다면체로 구성되되 일면에 도광판이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가 상기 도어의 락킹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도광판이 상기 도어캐치커버부의 방향으로 전환되어 포지션이 변경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가 상기 도어의 언락킹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도광판이 운전자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포지션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캐치커버부는,
    상기 락킹 상태에서 상기 도광판을 통해 출사된 광을 운전자 방향으로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운전자로 하여금 간접적으로 상기 출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광원들로 마련되고,
    상기 차량제어부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 정보,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및 차량 외부의 조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들 간의 조합을 통해 서로 다른 광색을 가지는 상태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차량제어부에서 획득된 상기 차량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 정보,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 정보 및 차량 외부의 조도 정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밝기를 가지는 상태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도어 손잡이부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어 손잡이부의 고정단 주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손잡이부의 회전단 방향으로 발광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도어 손잡이부는,
    광 전달이 가능한 비차광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도어캐치커버부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도어캐치커버부는, 일단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는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
  11.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이너패널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인사이드 핸들 모듈의 발광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락킹을 위해 마련되는 도어락 스위치부가, 차량제어부로부터 상기 도어가 락킹되었는지 언락킹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 상기 락킹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단계; 및
    발광부가,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락킹 상태를 나타내도록 발광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사이드 핸들 모듈은,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해 마련되는 도어 손잡이부; 및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 및 상기 도어 손잡이부가 상기 이너패널의 외측면에 장착되기 위한 플레이트로서 마련되는 도어캐치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 상기 도어 손잡이부 및 상기 도어캐치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인입되는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와 상기 발광부는,
    상기 차량제어부로부터 상기 락킹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각각 동작하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발광색이 변경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도어락 스위치부는,
    다면체로 구성되되 일면에 도광판이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가 상기 도어의 락킹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도광판이 상기 도어캐치커버부의 방향으로 전환되어 포지션이 변경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가 상기 도어의 언락킹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도광판이 운전자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포지션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방법.
KR1020160091176A 2016-07-19 2016-07-19 인사이드 핸들 모듈 및 이의 발광 방법 KR101787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176A KR101787376B1 (ko) 2016-07-19 2016-07-19 인사이드 핸들 모듈 및 이의 발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176A KR101787376B1 (ko) 2016-07-19 2016-07-19 인사이드 핸들 모듈 및 이의 발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376B1 true KR101787376B1 (ko) 2017-10-18

Family

ID=6029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176A KR101787376B1 (ko) 2016-07-19 2016-07-19 인사이드 핸들 모듈 및 이의 발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3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802A (ja) * 2006-09-29 2008-04-10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の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802A (ja) * 2006-09-29 2008-04-10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の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0380B1 (en) Enhanced informational vehicle puddle lamp assemblies
US9376055B2 (en) Illuminated emblem
US10442347B2 (en) In-vehicle illumination system
US10415276B2 (en) Gesture access and object impact avoidance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2005048578A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モジュール
US6982632B2 (en) Vehicle engine starting apparatus
JP4446981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CN111994037A (zh) 使用投射图标的车辆功能控制系统
US20150241015A1 (en) Illuminated Emblem
CN111108020A (zh) 控制装置以及点亮系统
US20220186533A1 (en) Motor vehicle gesture access system including powered door speed control
US8926149B2 (en) Side-view mirror assembly with selectively illuminating portion
US11313159B2 (en) Gesture access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100053864A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US20150239390A1 (en) Illuminated Emblem
EP3243701B1 (en) Passenger communication lighting
JP5333244B2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充電表示装置
CN112543838B (zh) 用于机动车辆的手势进入和物体碰撞避免系统
KR101787376B1 (ko) 인사이드 핸들 모듈 및 이의 발광 방법
JP2015071386A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07203958A (ja) 車両用照明システム
KR101751035B1 (ko) 도어 트림의 감성 조명장치
JP2015098677A (ja) 自車サーチシステム
KR102648435B1 (ko) 도어 스커프 장치
EP3968290B1 (en) Gesture access system for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